KR20080005544A - 순환 장해 개선제 - Google Patents

순환 장해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544A
KR20080005544A KR1020077026076A KR20077026076A KR20080005544A KR 20080005544 A KR20080005544 A KR 20080005544A KR 1020077026076 A KR1020077026076 A KR 1020077026076A KR 20077026076 A KR20077026076 A KR 20077026076A KR 20080005544 A KR20080005544 A KR 20080005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group
circulatory disorder
albumin
rh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히로츠
유키 오카와
마사노리 노자코
사오리 스즈키
유키코 쿠와타
마코토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5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four such rings, e.g. porphine derivatives, bilirubin, biliver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pancreatic disorders, e.g. pancreatic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besit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ndocri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상기 순환 장해 전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약으로써, 순환 장해가 생기고 있는 부위의 혈액순환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켜, 조직 장해를 충분히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약물을 제공한다.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에 대해, 약리효과의 연구를 행한 결과, 본 화합물이 순환 장해시의 혈류저하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조직 장해를 충분히 방지 또는 개선하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은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을 포함하는 순환 장애 개선제이다.
순환 장애, 장애 개선제, 혈류저하

Description

순환 장해 개선제{AGENT FOR IMPROVING CIRCULATORY DISORDER}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 있어서, 생체에서의 혈액 순환 장해를 개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심기능 저하, 전신성의 지속하는 고혈압, 저혈압, 순환 쇼크, 및 국소 충혈, 울혈, 빈혈(oligemia) 혹은 허혈, 경색, 출혈 등의 혈류 저하에 기인하는 순환 장해에 대해서 혈류를 증가시켜, 조직 장해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혈액 순환 장해는 중추성 및 말초성으로 대별되고, 말초성은 다시 전신성 및 국소성으로 나눌 수 있다. 중추성 혈액 순환 장해란 심장의 기능 저하가 일차적 원인으로 되는 것으로 급성 및 만성의 좌심 기능 부전 및 우심 기능 부전이 포함된다. 전신성 말초 혈액 순환 장해란 혈액 순환계 전체의 말초 순환 장해로 심장에 일차적 원인의 없는 것을 말하며, 지속하는 고혈압, 저혈압 및 순환 쇼크 등에 기인한다. 국소성 말초 혈액 순환 장해는 국소의 충혈, 울혈, 빈혈 혹은 허혈, 경색, 출혈 등에 수반하는 장해이다.
이 순환 장해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약으로는, 그에 기인되는 병 상태의 치료약, 순환 장해의 직접적인 개선약으로서 혈관 확장제 및 혈전 용해제 등이 사용되어 왔지만, 전신의 혈압 저하 및 혈전 용해 후, 활성 산소에 의한 재관류(再灌 流; reperfusion)조직 장해 등이 생기기 때문에, 순환 장애가 생기는 부위의 혈액 순환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켜, 조직 장해를 충분히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약물은 아직도 개발되어 있지 않다.
한편, 출혈성 쇼크의 소생액(적혈구 대체물), 심근경색 등에서의 허혈 부위로의 산소 공급액, 이식 장기의 관류액이나 보존액, 인공심폐 등의 체외순환 회로의 보전액, 재생 조직의 배양 세포로의 산소 공급액, 암치료용 증감제 등의 이용을 기대하여 여러 가지의 인공 산소 수액이 연구되고 있다. 인공 산소 수액의 일례로써, 포르피린(porphyrin)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抱接; clathrated)시킨 화합물이 연구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4-1049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순환 장해 전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약으로서, 순환 장해가 생기고 있는 부위의 혈액순환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켜, 조직 장해를 충분히 방지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약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에 대해, 약리 효과의 연구를 행한 결과, 본 화합물이 순환 장해시의 혈류 저하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조직 장해를 충분히 방지 또는 개선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본 발명자들은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에 대해서, 복수의 혈류 저하 모델 혹은 허혈 모델 동물을 이용해 검토한 결과, 어느 모델에 대해서도 충분한 혈류 개선 효과 및 조직 장해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됐다.
즉, 본 발명은,
(1)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을 포함한 순환 장해 개선제,
(2)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철(iron)착체인 상기 (1) 기재의 순환 장해 개선제,
(3) 철이 2가 상태에 있는 상기 (1) 기재의 순환 장해 개선제,
(4) 알부민이 사람 혈청 알부민 혹은 유전자 조작형 사람 혈청 알부민인 상기 (1) 기재의 순환 장해 개선제,
(5) 알부민이 고분자 화합물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상기 (1) 기재의 순환 장해 개선제, 및
(6) 고분자 화합물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란(dextran)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 화합물인 상기 (1) 기재의 순환 장해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1) 5% rHSA 투여, (2) rHSA―FecycP 투여 경우의 탈혈(脫血) 래트(rat)에서의 하지혈류 저하로의 작용을 비교한 레이저 도플러(Doppler)식 혈류 화상화 장치에 의한 화상이다.
도 2는 (1) 정상 대조, (2) 저속관류에 의한 허혈 대조, (3) 허혈 + 5% rHSA 투여, (4) 허혈 + rHSA―FecycP 투여 경우의 래트 적출 심장에서의 허혈성 심기능 장해에 대한 개선 작용을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포르피린 금속 착체란 포르피린 유도체에 중심 금속이 배위한, 2위치 측쇄를 가지는 테트라페닐 포르피린 금속 착체이다. 포르피린이란, 4개의 피롤환이 α위치에서 4개의 메탄기와 교대로 결합한 대환상 화합물과 그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포르피린 금속 착체로서는, 하기 일반식(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착체(錯體; complex)가 바람직하다.
일반식(1)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1
(식중, Rl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사슬식 혹은 지환식 탄화수소기, R2는 하기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치환기, M은 원소주기표 제6∼10족의 천이금속원자 또는 금속 이온, X-은 할로겐 이온을 나타내고, X-의 개수는 금속 이온의 가수에서 2를 공제한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르피린 금속 착체에서는,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가 시클 로헥사노일(cyclohexanoyl)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바람직하다.
일반식(2)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2
(식중, R2는 하기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치환기, M은 원소주기표 제6∼10족의 천이금속원자 또는 금속 이온, X-는 할로겐 이온을 나타내고, X-의 개수는 금속 이온의 가수에서 2를 공제한 수를 나타낸다. )
또, 상기 일반식(1) 또는 (2)에 있어서, 2위치의 치환기(R2)로서는, 하기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3)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3
(식중, R3은 C1∼C18의 알킬기, 또는 하기 일반식(4)에서 나타내는 것이다.)
일반식(4)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4
(식중, R4는 이것이 결합하고 있는 이미다졸의 중심 금속으로의 배위를 저해하지 않는 기, R5는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
상기 일반식(4)에 있어서, R4로서는 수소, 혹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 등의 저급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R5로서는 C1∼C10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1)에 나타내는 테트라페닐 포르피린 금속 착체에 있어서는, 중심 금속(M)에 염기가 배위한 착체가 바람직하다.
또, 2위의 치환기 자체가 축염기로서 중심 금속에 배위한 이미다졸 유도체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하기 일반식(5)의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들 수 있다.
일반식(5)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5
(식중, 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사슬식 혹은 지환식 탄화수소기, R4는 저급 알킬기, R5는 C1∼C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M은 철, 코발트 또는 크롬 또는 이들 이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포르피린 금속 착체에서의 중심 금속{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1)에서의 M}은, 원소주기표 제6∼10족의 천이금속원자이고, 금속 이온의 형태이어도 좋다. 그 중에서 철, 코발트, 크롬 등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가의 철{철(Ⅱ)}, 3값의 철{철(Ⅲ)} 또는 2가의 코발트{코발트(Ⅱ)}이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2가의 철이다.
이들 포르피린 금속 착체 중에서도 특히, 하기 일반식(6)에서 나타내는, 2-[8-(2-메틸-1-이미다졸릴)옥타노일옥시메틸]-5,10,15,20-테트라키스{[α,α,α,α-o-(1-메틸시크로헥사노일)]페닐}포르피나토철(Ⅱ) 착체가 바람직하다.
일반식(6)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6
게다가,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알부민과 포리피린 철 착체로서는, 상기 일반식(6)에서 나타내는 2-[8-(2-메틸-1-이미다졸릴)옥타노일옥시메틸]-5,10,15,20-테트라키스{[α,α,α,α-o-(1-메틸시크로헥사노일)]페닐}포르피나토철(Ⅱ)착체(FecycP)의 합성과정을 단축하는 것으로, 합성 조작에서의 유해물질 사용을 생략해, 수 율을 올리는 연구가 이루어진 것, 즉, 하기 일반식(7)에서 나타내는, 5,10,15,-트리스(α,α,α,α-o-시크로헥산아미드페닐)-20-모노[β-o-6-{N-(2-메틸-1-이미다졸릴)}헥산아미드페닐]포르피린의 중심에 철이 배위한 착체(rHSA-Fecyc3P)를 들 수 있다.
일반식(7)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7
본 발명의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알부민에 포접된 화합물이란, 알부민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소수 영역 내에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포매(包埋; embedding)·고정(抱接; fixing)된 것이다.
알부민(예를 들면, 사람 혈청알부민) 1몰에 대한 포르피린 금속 착체의 결합수는 통상 약 1∼8이다. 알부민 1몰에 포접·결합된 포르피린 금속 착체 수는, 예를 들면, 스카챠드·플롯(Scatchard plot){C. J. Halfinan, T. Nishida, Biochemistry, 11권, 3493페이지(1972)를 참조} 등을 작성하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알부민은, 사람 혈청알부민, 조환(recombinant) 사람 혈청알부민, 소혈청 알부민 등 그 유래에 제한은 없다. 사람으로의 적용을 고려했을 경우, 사람 혈청알부민 또는 유전자 조작 기술에 의해 제조된 사람 혈청알부민(이하, 조환 사람혈청알부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조환 사람 혈청알부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근년, 유전자 조작 기술의 발전에 의해, 구조·조성 및 물리화학적 특징이 사람 혈청알부민과 완전히 동일한 고순도의 조환 사람 혈청알부민이 개발되어 왔고{K. Kobayashi et al., Therapeutic Apheresis, 2권, 257~262페이지(1998) 참조}, 이 조환 사람 혈청알부민에 치환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포접시켜 되는 포르피린 금속 착체―조환 사람 혈청알부민 포접 화합물은, 전 합성계로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공업적 규모에서의 제조도 비교적 용이하다.
또,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이기 때문에 생체로의 적용이 뛰어나다.
게다가 본 발명으로 이용하는 알부민은, 고분자 화합물로 수식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의료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알부민을 수식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란 및 폴리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로서는 예컨대 1977년 아부코바스키 등{A. Abuchowski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52권, 3578~3581페이지(1977) 및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52권, 3582~3586페이지(1977)를 참조}에 의해 이용되고있는 이래, 펩티드성 의약품 분자 수식에 범용되고 있는 고분자이고, 생체내 반감기의 연장에 더해져 항원성의 저하를 목적으로 한 연구예{Y. Kawasaki et al.,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16권, 410~414페이지(1981), N. Katre et al., Proceedl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4권, 1487~1491페이지(1987) 및 MJ. Knauf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3권, 15064~15070페이지(1988)를 참조}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치료제는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알부민에 포접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이고, 더욱이 안정화제 등이 첨가된 여러 가지의 의약 조성물도 본원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치료제의 제형은, 의료용의 여러 가지의 제형으로 할 수가 있지만, 주사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주사제로서 제조하는 경우는, 적당한 용제, 필요에 응해, pH 조정제, 완충제, 안정화제, 현탁제, 용해 보조제, 담체 등을 첨가하고, 통상방법에 의해 주사제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치료제는 여러 가지의 질환·증상에 수반하는 순환 장해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사용된다. 여러 가지의 질환·증상으로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및 당뇨병 등의 질환, 혈전 등에 의한 혈관 폐색 및 급성 출혈 혹은 만성 출혈에 수반하는 허혈증상, 허혈 후의 재관류장해 등 , 그 외에 장기 이식을 들 수 있다. 이들에 수반하는 순환 장해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허혈성 뇌질환(뇌경색, 일과성 뇌 허혈 발작, 뇌혈전, 뇌색전), 뇌경색 후유증, 뇌혈관 연축(攣縮; vasoconstriction), 허혈성 심질환(심근경색), 협심증, 폐색성 혈전혈관염(버거병; Buerger's disease), 폐색성 동맥경화증, 혈전성 정맥염, 레이노(Raynaud)병 및 레 이노 증후군, 지단자람(肢端紫藍;acrocyanosis)증, 동창·동상, 지단 지각 이상, 간헐성 파행(跛行), 특발성 탈저, 메니얼병(Meniere's disease), 메니얼 증후군 및 현운증(眩暈症; vertigo), 만성 동맥 폐색증, 허혈성 췌염(膵炎), 허혈성 시신경증, 허혈성 대장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치료제는, 대상 장기로서 예를 들면, 뇌, 심장, 폐, 간장, 신장, 췌장, 비장, 장, 골격근, 골수, 신경, 망막, 혈관 등에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개선제를 주사제로서 투여하는 경우의 투여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정맥 내 투여, 동맥 내 투여, 문맥 내 투여, 병소(病巢) 내 직접 투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개선제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투여 방법, 증상에 따라서 다르지만, 통상 성인 1인 1일당, 비경구 투여(예를 들면, 주사 혹은 지속 링겔)로 약 1∼2500mL(예를 들면, FecycP로서 4㎎∼11g), 바람직하게는 약 1∼10000mL(예를 들면, FecycP로서 4㎎∼4g)의 범위에서 투여한다.
이하에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2-[8-(2-메틸-1-이미다졸릴)옥타노일옥시메틸]-5,10,15,20-테트라키스{[α,α,α,α-o-(1-메틸시크로헥사노일아미노)]페닐}포 르피나토 철착체(Ⅱ)는, T. Komatsu et al., Bioconjugate Chemistry, 13권,397~402페이지(2002)의 기재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제조예 1) 포르피린 철착체의 알부민 포접체의 제조
일산화탄소 분위기하에서, 2-[8-(2-메틸-1-이미다졸릴)옥타노일옥시메틸]-5,10,15,20--테트라키스{[α,α,α,α-o-(1-메틸시크로헥산놀아미노)]페닐}포르피나토 철착체 1.07m㏖의 에탄올 1.5L에 0.6M의 L-아스코르빈산 수용액 1.5L를 첨가하여 환원하고, 이 액을 유전자 조환 사람 혈청알부민(이하, rHSA라고 약칭한다) 0.27m㏖를 함유하는 인산 완충 수용액(pH 7.4, 1/30mM) 6.5L에 가해 교반했다. 그 혼합액에 인산 완충 수용액(pH 7.4, 1/30mM) 60L를 더하면서, 한외 과장치(밀리보아제 한외 여과막: 한외분자량 30,000)를 이용하여 정용량 한외 과투석을 실시해, 혼합액 중에 포함되는 에탄올을 제거했다. 이 혼합액을 300mL로 농축 후, rHSA 농도가 종(終)농도 0.75mM(5w/v%)로 되도록 인산 완충 수용액(PH 7.4, 1/30mM)을 이용하여 조제하고, 소망의 포르피린 철착체―알부민 포접 화합물의 분산액(이하, rHSA―FecycP로 약칭한다)을 얻었다.
rHSA―FecycP는 산소 가스(100%) 통기하에, 500W 할로겐 램프를 이용해 20분간 광조사한 후 실험예 1 및 2에 사용했다.
덧붙여 rHSA는 (주) 바이파제의 것(25w/v%제재)을 이용했다.
(실험예 1) 래트 출혈성 혈류 저하 모델에 대한 작용
위스터(Wistar)계 웅성 래트(8주령)를 이용해 세보후르란(sevoflurane) 흡입 마취하(도입 2.0%, 유지 1.5%)에 탈혈(脫血)하고 혈류량을 저하시켰다. 우총경(右總頸)동맥에서 2mL의 탈혈, 우대퇴 정맥에서 2mL의 5%/rHSA 투여를 9회 조반하고, 총 혈액량의 약 70%량을 5%rHSA로 교반하고, 10분후에 우총경동맥에서 총 혈액량의 30%량을 탈혈했다. 탈혈 종료후, 신속히 rHSA―FecycP, 혹은 대조로서 5%rHSA의 총 혈액량의 30%량을 우대퇴 정맥 내에 투여했다. 또, 탈혈 및 투여는 1mL/분의 속도로 행했다. 탈혈전, 탈혈 종료 직후 및 투여 종료 25분후에, 하지 혈류량을 레이저 도플러식 혈류 화상화장치{(주)몬테시스템제, MoorLDI―LKⅡ}를 이용해 비침습하로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화상화해 도면 1에 도시한다.
래트의 하지 혈류량은 탈혈종료후에는 저하하고, 5%rHSA를 투여하여도, 혈류량의 회복은 인정되지 않고, 오히려 한층 더 저하했다. 한편, rHSA―FecycP는 탈혈에 의해 저하한 혈류량을 탈혈전과 거의 동일한 정도까지 회복했다. 따라서, rHSA―FecycP는 출혈성의 혈류량 저하에 대해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개선시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험예 2) 래트 허혈성 뇌혈류 저하 모델에 대한 작용
rHSA―FecycP를 투여했을 경우의 양측 총경동맥 폐색 래트의 뇌혈류 개선 저하에 대한 개선 작용에 대해 실험을 행했다.
위스터계 웅성 래트(10주령)를 이용해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나트륨(50㎎/㎏, 복강내 투여) 마취하에 양측 총경동맥을 결찰(結紮; ligation)해 뇌혈류량을 저하시켰다. rHSA―FecycP는 10mL/㎏을 양측 총경동맥 결찰 10분후에 꼬 리(尾)정맥내에 투여했다. 대뇌피질 혈류량을 양측 총경동맥 결찰전, 결찰 직후 및 rHSA―FecycP 투여종료 5분후에, 레이저 도플러식 혈류 화상화장치{(주)몬테시스템제, MoorLDI―LKⅡ}를 이용해 비침습하에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는 화상을 수치화해, 결찰전 값을 100%로서 표 1에 나타낸다.
라트(rat) No. 대뇌피질 혈류량(결착전을 100로 한 %값)
총경동맥 결착전 결착 직후 rHSA―FecycP 10mL/㎏ 투여종료 5분후
1 100 55.4 63.7
2 100 73.7 82.8
표 1의 결과로부터, 대뇌피질 혈류량은 양측 총경동맥 결찰전(100%)에 비해, 결찰직후에는 55.4% 및 73.7%로 저하하고, rHSA―FecycP의 10mL/㎏를 정맥내 투여 하면, 각각 63.7% 및 82.8%로 상승했다. 따라서, rHSA―FecycP는 허혈성 뇌혈류량의 저하에 대해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개선시키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험예 3) 뇌혈류 저하에 의한 허혈성 뇌기능 장해에 대한 작용
rHSA―FecycP를 투여했을 경우의 양측 총경동맥 폐색 래트의 뇌혈류 저하에 의한 허혈성 뇌기능 장해에 대한 개선 작용에 대해 실험을 행했다.
피쳐(Fischer)계 웅성 래트(8주령)를 이용해 에테르 경(輕)마취하에 양측 총경동맥을 결찰에 의해 폐색하고, 뇌허혈을 야기시켰다. rHSA―FecycP의 l 및 3mL/㎏, 혹은 대조로서 5%rHSA의 3mL/㎏를 양측 총경동맥 폐색 직후에 꼬리정맥내에 투여해, 각성하에 폐색 종료후 3.5시간까지의 허혈성 발작(발작성 도약 및 경련;convulsion) 발현 유무 및 24시간후까지의 생사를 관찰했다. 허혈성 발작의 발현율{발현예 수/사용예 수×100(%)} 및 사망률{사망예 수/사용예 수×100(%)}을 지표로 약물 효과를 조사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화합물 투여량 (mL/㎏) 예 수 허혈성 발작 발현율(%) 사망률(%)
5% rHSA 3 5 80 100
rHSA―FecyeP 1 6 33 83
3 6 33 67
허혈성 발작의 발현율은 5%rHSA의 3mL/㎏ 투여에서는 80%였지만, rHSA―FecycP의 1 혹은 3mL/㎏투여에서는 함께 33%를 나타내 발현율은 저하했다. 또, 사망률은 rHSA의 3mL/㎏ 투여에서는 100%였지만, rHSA―FecycP를 1 혹은 3mL/㎏ 투여에서 각각 87 혹은 67%를 나타내 사망률은 저하했다. 따라서, rHSA―FecyeP는 허혈성 뇌기능 장해에 대해서 개선 작용을 가지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험예 4) 저속관류에 의한 허혈성 심기능 장해의 개선 작용
위스터(Wistar)계 웅성 래트(8∼10주령)의 심장을 펜토바르비탈 나트륨 마취하에 적출하고, 란겐도르프(Langendorff) 방법에 따라 대동맥내에 카뉼라(cannula)를 삽입해, 영양액으로 관류했다. 심기능으로서 심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좌심실내에 생리식염액을 주입한 벌룬(balloon)을 삽입해, 얻어진 혈압파형을 해석하고, 좌심실 내압의 확장종기압 및 최대 상승 속도를 계측했다. 영양액은 95% O2 -5% CO2 혼합 가스를 통기하고, 37℃로 보온한 컬브스 헨제라이트(Kerbs―Henseleit)액(NaCl 118mM, KCL 4.7mM, KH2PO4 1.2mM, MgSO4 1.2mM, CaCl2 2.5mM, NaHCO3 25mM, 글루코오스 11mM, pH 7.4)을 이용해 20mL/분 유량으로 20분간 관류하고 안정화시켰다. 심근허혈은, 유량을 1/10(2mL/분)으로 내려 60분간 저속관류하는 것에 의해 야기시켰다. 5%rHSA군(허혈+5%rHSA군, n=7) 및 rHSA―FecycP군(허혈+rHSA-FecycP군, n=7)에 대해서는, 저속 유량으로 절환함과 동시에, 5%rHSA 및 rHSA―FecycP를 각각 대동맥내에 삽입한 카뉼라의 측관으로 0.2mL/분의 속도로 60분간, 관류액중에 지속적용했다. 허혈대조군(n=7)에 대해서는 측관에서 물약을 적용하지 않았다.
저속관류 종료후, 유량을 재차 20mL/분으로 되돌려, 60분간 관류를 계속했다. 심장은 전기 자극 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싱(pacing-심박수 330박/분)을 행했다.
각각의 실험군에 대해서, 저속관류 개시시부터 120분 경과시까지의 각 시점에서, 좌심실 내압 확장 종기압 및 좌심실내 최대 상승 속도의 측정을 행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 실험기간중 시종 20mL/분으로 관류한 정상대조군(n=7)에 대해서도 좌심실 내압 확장 종기압 및 좌심실내 최대 상승 속도를 동일하게 측정했다.
좌심실 내압 최대 상승 속도는 저속관류 개시시를 100%로서 나타냈다. 또 각 군의 좌심실 내압 확장 종기압 및 좌심실 내압 최대 상승 속도는 평균치 ± 표준오차로 나타내고, 유의차 검정은 각각 듀넷(Dunnett) 검정 및 스틸(Steel) 검정(모두 유의수준 5%)을 실시했다. 얻어진 결과를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좌심실 내압 확장 종기압은, 심수축력의 저하와 함께 상승하지만, 정상대조군에서는 실험중 거의 일정 값(7.0∼11.9㎜Hg)을 나타냈다. 허혈대조군에서는 저속관류허혈 개시후 서서히 상승하고, 허혈 60분후에 허혈전의 유량으로 되돌리면 한층 더 현저한 상승이 보여져 허혈재관류장해를 초래했다. 5%rHSA군은 허혈대조군과 거의 같은 추이를 나타냈다. 한편, rHSA―FecycP군은 저속유량 허혈기간중, 허혈대조군과 비교해 낮은 값을 유지하고, 허혈전의 유량으로 되돌리면 조금 상승했지만, 허혈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했다.
좌심실 내압 최대 상승 속도는, 심수축력의 저하와 함께 저하하지만, 정상대조군에서는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저하하고, 최대에서도 약 30%의 저하에 머물렀다. 허혈대조군에서는 저속관류허혈 개시후 현저하게 저하하고, 허혈 60분후에 허혈전의 유량으로 되돌리면 상승하지만, 약 60%까지 밖에 회복하지 않았다. 5%rHSA군은 허혈대조군과 거의 같은 추이를 나타냈다. 한편, rHSA―FecycP군에서는 저속관류허혈 기간중은 허혈대조군과 거의 같은 추이를 나타냈지만, 허혈전의 유량으로 되돌리면, 5분후에는 정상대조군과 거의 같은 값까지 회복했다. 저속관류 종료후 5분, 20분 및 30분에는, 허혈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갑을 나타냈다. 따라서, rHSA―FecycP는 심장의 허혈 및 허혈 재관류에 의해 야기되는 심기능 장해를 억제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상, rHSA―FecycP는 각종 조직에 있어서 출혈, 혈관 폐색 또는 혈관협착 등에 의해 저하한 혈류량을 증가시켜, 기능 장해를 개선시키는 것으로부터, 본제는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유용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원 발명의 포접화합물은 순환 장해 치료제로서 여러 가지의 의료용 용도에 사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질환·증상에 수반하는 순환 장해에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순환 장해 개선제는 출혈이나 혈관 협착 및 폐색 등에 의한 혈류량 저하시에, 순환 장해가 생긴 부위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 그 혈류량 증가효과에 의해, 조직 장해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포르피린 금속 착체를 알부민에 포접시킨 화합물을 포함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철착체인 순환 장해 개선제.
  3. 제1항에 있어서, 철이 2가 상태에 있는 순환 장해 개선제.
  4. 제1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사람 혈청알부민 혹은 유전자 조작형 사람 혈청알부민인 순환 장해 개선제.
  5. 제1항에 있어서, 알부민이 고분자 화합물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순환 장해 개선제.
  6. 제1항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이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란 및 폴리아미노산으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분자 화합물인 순환 장해 개선제.
  7. 제1항에 있어서,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일반식(1)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8
    [식중, Rl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사슬식 혹은 지환식 탄화수소기, R2는 하기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
    Figure 112007080457511-PCT00009
    (식중, R3은 C1∼C18의 알킬기, 또는 일반식(4)에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4)
    Figure 112007080457511-PCT00010
    (식중, R4는 저급 알킬기, R5는 C1∼C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M은 원소주기표 제6∼10족의 천이금속원자 또는 금속 이온, X-는 할로겐 이온을 나타내고, X-의 개수는 금속 이온의 가수에서 2를 공제한 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순환 장해 개선제.
  8. 제1항에 있어서,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일반식(2)
    Figure 112007080457511-PCT00011
    [식중, R2는 하기 일반식(3)에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3)
    Figure 112007080457511-PCT00012
    (식중, R3은 C1∼C18의 알킬기, 또는 일반식(4)에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일반식(4)
    Figure 112007080457511-PCT00013
    (식중, R4는 저급 알킬기, R5는 C1∼C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M은 원소주기표 제6∼10족의 천이금속원자 또는 금속 이온, X-는 할로겐 이온을 나타내고, X-의 개수는 금속 이온의 가수에서 2를 공제한 수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순환 장해 개선제.
  9. 제 1항에 있어서, 포르피린 금속 착체가,
    일반식(5)
    Figure 112007080457511-PCT00014
    [식중, 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사슬식 혹은 지환식 탄화수소기, R4는 저급 알킬기, R5는 C1∼C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M은 철, 코발트 또는 크롬 또는 이들 이온을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순환 장해 개선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원자 또는 금속 이온이, 철, 코발트 또는 크롬 또는 이들 이온인 순환 장해 개선제.
KR1020077026076A 2005-05-12 2006-04-27 순환 장해 개선제 KR20080005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0282 2005-05-12
JPJP-P-2005-00140282 2005-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544A true KR20080005544A (ko) 2008-01-14

Family

ID=3739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076A KR20080005544A (ko) 2005-05-12 2006-04-27 순환 장해 개선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275732A1 (ko)
EP (1) EP1880721A4 (ko)
JP (1) JPWO2006120915A1 (ko)
KR (1) KR20080005544A (ko)
CN (1) CN101175490B (ko)
WO (1) WO2006120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85953B2 (en) 2004-09-22 2011-01-2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ovel block copolymer, micelle preparation, and anticancer agent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20080106254A (ko) 2006-03-28 2008-12-04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탁산류의 고분자 결합체
WO2007135910A1 (ja) 2006-05-18 2007-11-29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ポドフィロトキシン類の高分子結合体
CA2664852A1 (en) * 2006-10-03 2008-04-1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High-molecular weight conjugate of resorcinol derivatives
US8334364B2 (en) 2006-11-06 2012-12-18 Nipon Kayaku Kabushiki Kaisha High-molecular weight derivative of nucleic acid antimetabolite
EP2090607B1 (en) 2006-11-08 2015-05-2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olymeric derivative of nucleic acid metabolic antagonist
WO2009041570A1 (ja) * 2007-09-28 2009-04-0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ステロイド類の高分子結合体
US8920788B2 (en) * 2008-03-18 2014-12-3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High-molecular weight conjugate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EP2284209B1 (en) 2008-05-08 2016-08-3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olymer conjugate of folic acid or folic acid derivative
CN102421827B (zh) 2009-05-15 2014-07-30 日本化药株式会社 具有羟基的生理活性物质的高分子结合体
KR20140024833A (ko) 2010-11-17 2014-03-03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신규한 시티딘계 대사길항제의 고분자 유도체
RU2623426C2 (ru) 2011-09-11 2017-06-26 Ниппон Каяку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лок-сополимера
CN110090211B (zh) * 2018-01-29 2021-09-28 武汉联合药业有限责任公司 叶绿素衍生物改善微循环障碍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3489A (ja) * 1994-07-22 1998-03-31 デューク ユニバーシティー 酸素結合能を有するヒト血清アルブミン−ポルフィリン複合体およびその治療上の使用
EP1279405A1 (en) * 2000-03-30 2003-01-29 Ajinomoto Co., Inc. Drugs retained in target tissue over long time
JP4529344B2 (ja) * 2002-06-03 2010-08-25 ニプロ株式会社 腫瘍組織の酸素濃度を上昇させるためのポルフィリン酸素輸液製剤
US7285379B2 (en) * 2003-08-28 2007-10-23 Nipro Corporation Artificial oxygen carri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6008622A (ja) * 2004-06-28 2006-01-12 Hidetoshi Tsuchida α3β置換構造のポルフィリン化合物もしくはその金属錯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酸素輸液
JP2006045173A (ja) * 2004-08-09 2006-02-16 Hidetoshi Tsuchida 表面修飾血清アルブミン−金属ポルフィリン複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酸素輸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75490B (zh) 2011-06-08
JPWO2006120915A1 (ja) 2008-12-18
WO2006120915A1 (ja) 2006-11-16
US20090275732A1 (en) 2009-11-05
EP1880721A4 (en) 2009-05-27
CN101175490A (zh) 2008-05-07
EP1880721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544A (ko) 순환 장해 개선제
RU2589254C2 (ru) Композиции гемоглобина
US8859499B2 (en) Method of enhancing efficacy of blood transfusions
JPS6230A (ja) 悪性腫瘍性貧血治療剤
KR20030034177A (ko) 허혈성 질환 치료제
CA2796870A1 (en) Conjugated blood coagulation factor viia
JP2012524782A (ja) 熱傷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03507430A (ja) 哺乳動物中で酸素運搬を向上する薬剤
RU2275913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полисахаридные конъюгаты,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метастазов ил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ецидива злокачественной опухоли
JP4865936B2 (ja) 急性腎不全治療用hgf
EP0950416B1 (en) Use of TCF-II for the treatment of cancer related body weight loss, anaemia and TNF elevation
JPH0640938A (ja) Hgf含有製剤
JPH0952843A (ja) 急性腎不全治療剤
EP1660133B1 (en) Targeted delivery of anti-viral compounds through hemoglobin bioconjugation
JPH08231413A (ja) 臓器障害に基づく疾患の予防・治療剤
JP5639585B2 (ja) ペプチド−ポリマー共役体
US20040175370A1 (en) Method of gene transfer via vascular system or ureter
KR20110094321A (ko) 수식형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함유 흡입제
JP3569904B2 (ja) 臓器障害治療薬
JPH09301861A (ja) ラジカル疾患用注射・点滴薬剤
JP2006169128A (ja) 熱傷治療剤
JP2002338599A (ja) 血中滞留性が向上した生理活性タンパク質およびその調製方法
Hu et al. Self-fused concatenation of interferon with enhanced bioactivity, pharmacokinetics and antitumor efficacy
JP4006057B2 (ja) 悪液質予防及び/又は治療剤
WO2023197011A2 (en) Nampt for wound-healing and stimulating hair growth and/or re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