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408U -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 Google Patents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408U
KR20080004408U KR2020070005415U KR20070005415U KR20080004408U KR 20080004408 U KR20080004408 U KR 20080004408U KR 2020070005415 U KR2020070005415 U KR 2020070005415U KR 20070005415 U KR20070005415 U KR 20070005415U KR 20080004408 U KR20080004408 U KR 200800044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valve
main body
bellows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한용
Original Assignee
표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한용 filed Critical 표한용
Priority to KR2020070005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408U/ko
Publication of KR20080004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12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 F16T1/14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involving a piston, diaphragm, or bellows, e.g. displaceable under pressure of incom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2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 시스템 및 스팀 시스템에서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하되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벨로우즈를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압축공기나 스팀의 손실을 최소화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관한 것으로,
응축수 유입구(11)와 응축수 배출구(12)가 각각 구비되고 응축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 및 기체가 저장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서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15)와;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플로트(15)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2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컨트롤 밸브(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와; 플로트(15)의 승강 움직임을 컨트롤 밸브(20)로 전달하는 연결부재(16)와; 컨트롤 밸브(20)에 연동하여 작동되어 응축수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응축수 배출밸브(30)와; 컨트롤 밸브(20)와 응축수 배출밸브(30)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연동시키는 벨로우즈(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체 내에 저장되거나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대되고 응축수 배출밸브의 작동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고장이 감소되며, 별도의 동력이나 전원의 공급없이 응축수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응축수, 압축공기, 스팀, 벨로우즈, 탄성력, 플로트, 컨트롤밸브

Description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Bellows Drain Trap}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응축수가 고이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
도 3은,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서 응축수가 배출될 때의 작동도.
도 4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대한 테스트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응축수 유입구
12: 응축수 배출구 13: 점검구
14: 벤트 밸브 15: 플로트
16: 연결부재 17: 조절부재
20: 컨트롤 밸브 21: 밸브 바디
22: 밸브 시트 23: 힌지 고정부
24: 지지부재 25: 테스트 버튼
30: 응축수 배출밸브 31: 스프링 시트
32: 스프링 33: 밸브 스풀
34: 응축수 배수구 40: 벨로우즈
본 고안은 압축공기 시스템 및 스팀 시스템에서 공기 압축시 또는 스팀으로부터 생성된 응축수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체에 의해 팽창되는 벨로우즈를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밸브를 개폐시킴으로써 압축공기나 스팀의 손실을 최소화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 인터쿨러(Inter Cooler), 에프터쿨러(After Cooler), 세퍼레이터(Separator), 리시버 탱크(Receiver Tank), 냉동 건조기(Refrigerated Air Dryer) 등의 압축공기 시스템과 스팀(Steam)을 발생하는 스팀 시스템 및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배관에서는 응축수를 배출하여야만 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한다. 만약, 응축수가 제거되지 않으면 비압축성인 응축수가 시스템의 주요 부분으로 공급되어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거나 시스템에 고장이 일어나게 한다. 특히, 압축공기 시스템에서의 응축수 제거는 절대적이며,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지 못하면 냉동식 드라이어나 애프터 쿨러 등에서 캐리 버하는 응축수가 후공정의 장비에 심각한 문제와 손실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공기 시스템이나 스팀 시스템 등에는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기구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시스템 또는 배관의 하부에 고여 있게 되므로, 이 부분에 응축수 배출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응축수 배출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밸브를 개폐시켜 응축수를 배출하는 매뉴얼 밸브 타입과, 플로트 장치를 이용하여 응축수의 유입에 따라 자동으로 밸브가 개폐되도록 하는 플로트 장치를 이용한 트랩 타입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매뉴얼 밸브 타입의 응축수 배출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밸브를 개폐하여 응축수를 배출하게 되므로, 응축수를 제때 배출하지 못하거나 응축수와 함께 고가의 압축공기 또는 스팀이 배출되어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흔히 드레인 트랩으로 호칭되는 트랩 타입의 응축수 배출기구는 응축수의 유입에 따라 상승되는 플로트에 의해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음은 물론 압축공기 또는 스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드레인 트랩은 응축수의 유입에 의해 플로트가 상승하는 만큼만 응축수가 배출되는 구조여서 배출량이 적고 응축수 배출 간격이 짧으므로 플로트 장치의 사용회수가 증가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랩 내부의 응축수 수위와 함께 트랩 내부의 기체 압력을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한 번에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대되도록 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벨로우즈 내부의 기체 압력을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 여부를 결정하게 되므로 별도의 동력이나 전원의 공급없이 응축수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응축수 배출밸브의 개폐 과정에서 벨로우즈에 유입된 후 배출되는 기체외에는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압축공기나 스팀과 같은 기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응축수 유입구와 응축수 배출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 및 기체가 저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플로트의 승강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 밸브로 전달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컨트롤 밸브에 연동하여 작동되어 응축수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응축수 배출밸브와; 상기 컨트롤 밸브와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연동시키는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 밸브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벨로우즈의 상단이 연결된 밸브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바디의 기체 유입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힌지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고정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를 개방시키는 테스트 버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는, 상기 벨로우즈의 하단이 상면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밸브 바디의 기체 유입구보다 작은 크기의 기체 통로가 형성된 스프링 시트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스프링 시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시트의 하단 중앙에 부착되고 기체 통로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와 응축수 배출구 사이에 형성된 배수구를 개폐하는 밸브 스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서 응축수가 고이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서 응축수가 배출될 때의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서 테스트시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은, 응축수 유입구(11)와 응축수 배출구(1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 및 기체가 저장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 는 볼 형상의 플로트(15)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15)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와; 상기 플로트(15)의 승강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 밸브(20)로 전달하는 연결부재(16)와;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연동하여 작동되어 응축수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응축수 배출밸브(30)와; 상기 컨트롤 밸브(20)와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연동시키는 벨로우즈(40)와;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본체(10) 내부의 기체 압력에 따라 작동되어 기체를 배출하는 벤트 밸브(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기체 유입구(21')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벨로우즈(40)의 상단이 연결된 밸브 바디(21)와, 상기 연결부재(16)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바디(21)의 기체 유입구(21')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밸브 시트(22)와, 상기 밸브 바디(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6)가 힌지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23)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고정부(23)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개방시키는 테스트 버튼(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테스트 버튼(25)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체결되는 고정부(26)와, 상기 고정부(2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일단이 고정부(26) 외측으로 돌출되어 누름부(27')를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단부에 접촉되는 테스트 막대(27)와, 상기 고정부(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스트 막대(27)에 탄성 력을 부여하는 스프링(28)과, 상기 테스트 막대(27)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26)의 구멍 주위를 밀폐시키는 오 링(2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는, 상기 벨로우즈(40)의 하단이 상면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밸브 바디(21)의 기체 유입구(21')보다 작은 크기의 기체 통로(31')가 형성된 스프링 시트(31)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상기 스프링 시트(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3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2)과, 상기 스프링 시트(32)의 하단 중앙에 부착되고 기체 통로(31')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33')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와 응축수 배출구(12) 사이에 형성된 배수구(34)를 개폐하는 밸브 스풀(3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응축수 배출구(12)의 일측에는 점검구(13)가 형성되어 상기 밸브 스풀(33)의 기체 배출구(33')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은 벨로우즈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동안 본체에 응축수가 저장된 후 벨로우즈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는 동안 본체의 응축수가 배출되므로 많은 양의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응축수 유입구(11)를 통해 응축수 및 기체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수가 저장된다. 이때, 응축수 배출밸브(30)와 컨트롤 밸브(20)가 모두 닫혀 있으므로, 응축수는 본체(10) 내부에서 서서히 차오르면서 수위가 상승하고 본체(10) 내부의 기체 압력 역시 상승하게 된다.
이후,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플로트(15)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플로트(15)의 상승에 따라 연결부재(16)가 힌지 고정부(2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 게 되므로,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밸브 시트(22)가 밸브 바디(21)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 바디(21)에 구비된 기체 유입구(21')를 통해 본체(10) 내부의 기체가 벨로우즈(4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벨로우즈(40)의 하부에 연결된 응축수 배출밸브(30)의 스프링 시트(31)에 구비된 기체 통로(31') 및 밸브 스풀(33)에 구비된 기체 배출구(33')를 통해 기체의 일부가 배출되나, 상기 기체 유입구(21')의 직경이 상기 기체 통로(31') 및 기체 배출구(33')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벨로우즈(40) 내부의 압력은 점차 상승하게 된다.
상기 벨로우즈(4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벨로우즈(40)가 팽창하면서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의 스프링 시트(31)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상기 벨로우즈(40)의 내부 압력이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의 스프링(32)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스프링 시트(31)가 스프링(32)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시트(31)에 연결된 밸브 스풀(33)이 하강하면서 응축수 배수구(34)를 열게 되고, 상기 응축수 배수구(34)가 열림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구(12) 쪽으로 빠져나간 후 응축수 배출구(12)에 연결된 배관 등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부의 응축수가 배출되면 응축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플로트(15)가 점차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밸브 시트(22)가 밸브 바디(21)에 접촉되어 기체 유입구(21')를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벨로우즈(40)로의 기체 유입이 차단된되나 아직은 상기 벨로우즈(40) 내부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벨로우즈(40)의 기체가 계속하여 밸브 스풀(33)의 기체 배출 구(33')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벨로우즈(40) 내부의 기체가 기체 배출구(33')를 통해 배출되면, 벨로우즈(40) 내부의 압력이 점차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32)의 탄성력이 벨로우즈(40) 내부 압력보다 커지게 되어 응축수 배출밸브(30)의 스프링 시트(31)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시트(31)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 스풀(33)이 상승되면서 응축수 배수구(34)를 차단하게 되고, 본체(10)로부터의 응축수 배출이 차단된다.
이상의 응축수 배출과정을 살펴보면 본체(10)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증가하여 플로트(15)가 상승하더라도 개방된 컨트롤 밸브(20)를 통해 벨로우즈(40)로 유입되는 기체의 압력이 스프링(32)의 탄성력 이상이 되기 전에는 응축수 배출밸브(30)가 개방되지 않아 본체 내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또,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가 개방되어 본체(10) 내의 응축수가 배출될 경우에는, 상기 본체(10) 내의 응축수 수위가 낮아져 컨트롤 밸브(20)가 닫히더라도 상기 벨로우즈(40) 내부의 기체 압력이 스프링(32)의 탄성력보다 낮아질 때까지 응축수 배출밸브(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실제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응축수 배출밸브(30)가 개폐되는 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본체(10) 내에 저장되거나 본체(10)로부터 응축수 배출구(12)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되고, 응축수 배출밸브(30)의 작동 회수가 감소되어 고장의 우려가 감소된다.
한편, 상기 응축수 유입구(11)를 통해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은 응축수뿐만이 아니고 기체도 함께 유입되는데, 이 기체로 인해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된 벤트 밸브(14)가 개방되어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본체(10)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테스트 버튼(25)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5)를 개방시킴으로써 응축수 배출밸브(3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응축수 배출밸브(30)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점검구(13)를 개방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에 대한 직접적인 점검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본체(10) 내의 응축수 수위와 상기 컨트롤 밸브(20)의 작동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15)와 상기 연결부재(16) 사이에 별도의 조절부재(17)를 둠으로써 컨트롤 밸브(20)가 개폐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트랩 내부의 응축수 수위에 따라 벨로우즈의 내부 압력이 변화되고 이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구를 개폐시킴으로써 본체 내에 저장되거나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대되고 응축수 배출밸브의 작동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고장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본체 내부의 응축수 수위 및 벨로우즈 내부의 기체 압력을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밸브를 개폐하게 되므로 별도의 동력이나 전원의 공급없이 응축수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전기 공급이 어려운 곳에서도 사용 가능한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에 따르면, 응축수 배출밸브의 개폐 과정에서 벨로우즈에 유입된 후 배출되는 기체외에는 외부로 기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압축공기나 스팀과 같은 기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응축수 유입구(11)와 응축수 배출구(1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 및 기체가 저장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15)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플로트(15)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컨트롤 밸브(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와;
    상기 플로트(15)의 승강 움직임을 상기 컨트롤 밸브(20)로 전달하는 연결부재(16)와;
    상기 컨트롤 밸브(20)에 연동하여 작동되어 응축수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응축수 배출밸브(30)와;
    상기 컨트롤 밸브(20)와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 사이에 구비되어 양자를 연동시키는 벨로우즈(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밸브(20)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기체 유입구(21')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벨로우즈(40)의 상단 이 연결된 밸브 바디(21)와, 상기 연결부재(16)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바디(21)의 기체 유입구(21')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밸브 시트(22)와, 상기 밸브 바디(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16)가 힌지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힌지 고정부(23)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컨트롤 밸브(20)를 개방시키는 테스트 버튼(2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밸브(30)는, 상기 벨로우즈(40)의 하단이 상면에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밸브 바디(21)의 기체 유입구(21')보다 작은 크기의 기체 통로(31')가 형성된 스프링 시트(31)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상기 스프링 시트(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3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2)과, 상기 스프링 시트(32)의 하단 중앙에 부착되고 기체 통로(31')와 연통되는 기체 배출구(33')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와 응축수 배출구(12) 사이에 형성된 배수구(34)를 개폐하는 밸브 스풀(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구(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 스풀(33)의 기체 배출구(33')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구(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본체(10) 내부의 기체 압력에 따라 작동되어 기체를 배출하는 벤트 밸브(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KR2020070005415U 2007-04-03 2007-04-03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KR200800044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415U KR20080004408U (ko) 2007-04-03 2007-04-03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415U KR20080004408U (ko) 2007-04-03 2007-04-03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08U true KR20080004408U (ko) 2008-10-08

Family

ID=4150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415U KR20080004408U (ko) 2007-04-03 2007-04-03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40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080A1 (ko) * 2015-12-01 2017-06-08 티에스케이 주식회사 벨로우즈형 스팀 트랩
CN113983345A (zh) * 2021-10-18 2022-01-28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大连电厂 一种汽轮机用主蒸汽疏水的电动阀门
KR102366296B1 (ko) * 2021-08-17 2022-02-23 (주)이앤이시스템 응축수 배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080A1 (ko) * 2015-12-01 2017-06-08 티에스케이 주식회사 벨로우즈형 스팀 트랩
KR102366296B1 (ko) * 2021-08-17 2022-02-23 (주)이앤이시스템 응축수 배출장치
CN113983345A (zh) * 2021-10-18 2022-01-28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大连电厂 一种汽轮机用主蒸汽疏水的电动阀门
CN113983345B (zh) * 2021-10-18 2024-04-30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大连电厂 一种汽轮机用主蒸汽疏水的电动阀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1909B2 (ja) 燃料タンク用バルブ
US8950421B2 (en) Condensate drain for compressed air system
KR20080004408U (ko) 벨로우즈 드레인 트랩
KR20140004885U (ko) 스톱밸브 기능을 구비한 셀프 클로징 밸브
KR100972445B1 (ko) 에어컴프레서의 응축수 드레인밸브장치
KR101695430B1 (ko) 피스톤 구동형 일제개방밸브
KR100942660B1 (ko) 응축수 자동배수장치를 갖는 에어 컴프레셔
US7540170B2 (en) Liquid pressure-feed device
KR20100050840A (ko) 타이어 가황 금형의 공기 배출변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US11293431B2 (en) Pneumatically controlled drain valve
JP4557377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JP2013130257A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200460731Y1 (ko) 전력 제어용 공기압축기 시스템
JP6163617B2 (ja) 液体圧送装置
KR20110035795A (ko) 드레인 트랩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CN210566583U (zh) 一种自动排放装置
CN113503468A (zh) 一种储气罐排水系统及生产工艺
JP2006300112A (ja) パイロット式バルブ
JP3803466B2 (ja) 自動排水装置
KR101897439B1 (ko) 다단압축기용 오토드레인트랩
CN218237055U (zh) 一种压力容器排污结构
JP4292060B2 (ja) 常閉形フロート式オートドレン
ITMI970060A1 (it) Valvola di sfogo aria a doppia funzione automatica e manuale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idro-termo-sanita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