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984U -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984U
KR20080003984U KR2020070004299U KR20070004299U KR20080003984U KR 20080003984 U KR20080003984 U KR 20080003984U KR 2020070004299 U KR2020070004299 U KR 2020070004299U KR 20070004299 U KR20070004299 U KR 20070004299U KR 20080003984 U KR20080003984 U KR 200800039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onnector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4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3984U/ko
Publication of KR2008000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폭을 가지는 전면판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광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에 배치된 제1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키는 광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감겨져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과 함께 움직이는 스풀과, 일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풀에 고정되며, 미리 정한 탄성 범위 내에서 광케이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광케이블, 스풀, 스프링,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접속 부재

Description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Length-Regulating Apparatus for Optical Cable}
도1의 (a)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면판과 광모듈이 부착되고, 광모듈로부터 나온 내부 광케이블이 제2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종래 기술의 측면도.
도1의 (b)는 도1의 (a)를 전면판으로부터 바라본 종래 기술의 정면도.
도2는 제2 커넥터를 제1 커넥터에 연결시키기 위해 외부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종래 전자통신장비의 측면 단면도.
도3은 전면판과 광모듈이 장착되어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를 부착한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3의 인쇄회로기판을 쉘프에 장착한 전자통신장비의 측면 단면도.
도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풀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 확대도.
도5b는 핀으로 스풀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고, 스프링의 양 단부가 각각 스풀 및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6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광케이블의 일단부에 부착된 접속 부재를 제1 커넥터와 연결시키기 위해 잡아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광케이블의 일단부에 부착된 접속 부재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100' : 전자통신장비
200 :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102, 202 : 인쇄회로기판
104, 204: 광케이블
106, 106', 206 : 접속 부재
108 : 제2 커넥터
114, 214 : 쉘프
116, 216 : 제1 커넥터
본 고안은 전자통신장비의 광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통신장비에 사용하는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광모듈로부터 나온 광케이블을 제1 커넥터와 연결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광케이블과 제2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장비는 이동통신망과 일반전화망 혹은 동일 또는 다른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가입자간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로서, 가입자의 호신호에 따라 가입자를 다른 가입자에게 연결하거나 다른 중계기로 연결하거나 또는 가입자 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를 통칭한다.
이러한 전자통신 장비는 통상 교환기시스템과 운영시스템으로 대별되며, 각 시스템들은 캐비닛 형태로 마련된 후 서로 연결되어져 하나의 통합적인 전자통신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도1의 (a)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면판과 광모듈이 부착되고, 광모듈로부터 나온 내부 광케이블이 제2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종래 기술의 측면도이고, 도1의 (b)는 도1의 (a)를 전면판으로부터 바라본 종래 기술의 정면도이다.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2)상에 광모듈(112)이 부착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102)의 전면에는 전면판(110)이 결합되어 있다. 전면판(110)에는 전면판(110)의 내외부에 각각 구비된 내부 광케이블(104')과 외부 광케이블(104)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제2 커넥터(108)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판(110)에는 관통공(1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 커넥터(108)는 관통공(124)에 삽입된다. 한편, 제2 커넥터(108)의 외주변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용접에 의해 제2 커넥터(108)의 플랜지를 전면판(110)의 관통공(124) 주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통신장비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통형상의 쉘프(114)를 구비하는데, 상기 쉘프(114)에는 제2 커넥터(108), 전면판(110) 및 광모듈(112)을 장착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102)이 도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히 끼워 수납된다. 쉘프(114)의 내부에는 제2 커넥터(108), 전면판(110) 및 광모듈(112)을 장착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102)이 슬라이딩 인출 가능하도록 실장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2)의 상단에는 인쇄회로기판(102)에 부착된 광모듈(112) 에서 나온 광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커넥터(116)가 도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광모듈(112)로부터 나온 내부 광케이블(104')이 별도의 장치를 거치지 않고 전면판(108)에 고정 결합된 제2 커넥터(108)와 직접 연결된다. 제1 커넥터(116)와 제2 커넥터를 연결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외부 광케이블(104)을 전면판(108)의 외부에서 별도로 사용해야 한다. 상기 외부 광케이블(104)의 양단부에는 접속 부재(106, 106')가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의 접속 부재(106)는 A방향으로 제1 커넥터(116)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 부재(106')는 B방향으로 제2 커넥터(108)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전면판(108)에 고정 결합된 제2 커넥터(108)와 그 인쇄회로기판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커넥터(116)는 외부 광케이블(106)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전자통신장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 광케이블(104')과는 별개의 외부 광케이블(104)을 제작하여, 상기 외부 광케이블(104)의 양단부에 연결된 접속 부재(106', 106)를 각각 제2 커넥터(108) 및 제1 커넥터(116)에 상호 접속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전면판(110)에 내부 광케이블(104')을 연결할 수 있는 제2 커넥터(108)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고, 용접 공정에 의해 제2 커넥터(108)를 전면판(110)에 부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전자 통신 장비는 부품수가 증가하고 용접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재료비 및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커넥터(108)와 제1 커넥터(116)의 접속 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여분의 광케이블(104)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 외부 광케이블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제2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광모듈에서 나온 광케이블을 제1 커넥터에 직접 접속시킬 수 있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외부 광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광모듈에서 나온 광케이블의 길이를 직접 조절하여 제1 커넥터에 광케이블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전자통신장비에 따라 접속 거리를 고려하여 여분의 외부 광케이블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폭을 가지는 전면판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광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에 배치된 제1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키는 광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감겨져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과 함께 움직이는 스풀과, 일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풀에 고정되며, 미리 정한 탄성 범위 내에서 광케이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외부 광케이블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제2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 광모듈에서 나온 광케 이블을 제1 커넥터에 직접 접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모듈에서 나온 광케이블의 길이를 직접 조절하여 제1 커넥터에 광케이블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전자통신장비에 따라 접속 거리를 고려하여 여분의 외부 광케이블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전자통신장비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2 커넥터를 고정하는 용접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광케이블이 원래 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외부 광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광모듈로부터 나온 광케이블을 제1 커넥터에 직접 접속시키는 동시에 여분의 외부 광케이블을 필요 없도록 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3은 전면판과 광모듈이 장착되어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를 부착한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통신장비에 장착한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201)는 접속 부재(206), 스풀(220) 및 스프링(218)을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02)에는 광모듈(212) 및 인쇄회로기판(202)의 전면에 인쇄회로기판(202)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된 폭을 갖는 전면판(210)이 장착된다. 상기 광모듈(212)에서 나온 광케이블(204)은 스풀(220)에 감겨져 있고, 상기 광케이블(204)의 일 단부는 전면판(210)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전면판(210)의 외부로 돌출된 접속 부재(206)와 연결된다. 스풀(220)은 미리 정한 탄성 범위(D)를 갖는 스프링(218)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스프링(218)의 타단부 는 인쇄회로기판(202)에 고정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3의 인쇄회로기판을 쉘프에 장착한 전자통신장비(20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4에서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의 접속 부재가 이동하지 않고 전면판(210)에 접촉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5a는 스풀(220)의 정면과 측면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5b는 핀(222)으로 스풀(220)을 인쇄회로기판(202)에 고정하고 스프링(218)의 양 단부가 각각 스풀(220) 및 인쇄회로기판(202)에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204)이 감겨져 있는 스풀(220)은 핀(222)으로 인쇄회로기판(202)에 고정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02)과 스풀(220) 사이에 스프링(218)이 개재되어 있는데, 스프링(218)의 일단부는 스풀(220)에 고정되고 스프링(218)의 타단부는 인쇄회로기판(202)에 고정된다. 스풀(220)은 탄성을 갖는 스프링(218)에 의해 고정되므로, 광케이블(204)이 이동할 때 스풀(220)이 한쪽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218)의 탄성 범위 내로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커넥터(216)에 광케이블(204)을 연결시키기 위해 광케이블(204)의 일단부에 연결된 접속 부재(206)를 제1 커넥터(216)를 향해 잡아당긴다.(도6a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접속 부재(206) 및 광케이블(204)이 제1 커넥터(216)를 향해 이동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스풀(220)이 스프링(218)의 탄성 범위(D)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별도 제2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접속 부재(206)가 제1 커넥터(216)에 직접 접속되어 광케이블(204)은 제1 커넥 터(216)와 연결된다. 도6a와 도6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커넥터(216)로부터 광케이블(204)에 부착된 접속 부재(206)를 제거시키면,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201)의 스프링(218)의 탄성 작용에 의하여 광케이블(204)은 스풀(220)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광케이블(204)과 접속 부재(206)는 도4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광케이블의 접속 부재와 제1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처럼 제2 커넥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광케이블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외부 광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광모듈에서 나온 광케이블의 길이를 직접 조절하여 제1 커넥터에 광케이블을 접속시키기 때문에 개별 전자통신장비에 따라 접속 거리를 고려하여 여분의 외부 광케이블을 제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제1 커넥터(216)로부터 광케이블(204)에 부착된 접속 부재(206)를 제거시키면,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201)의 스프링(218)의 탄성 작용에 의하여 광케이블(204)이 스풀(220)에 감기면서 광케이블(204)과 접속 부재(206)는 도4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폭을 가지는 전면판이 부착된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광모듈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에 배치된 제1 커넥터를 상호 접속시키는 광케이블의 길이조절장치이며,
    상기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광케이블을 상기 제1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 부재와,
    상기 광케이블이 감겨져 있고, 상기 접속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과 함께 움직이는 스풀과,
    일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스풀에 고정되며, 미리 정한 탄성 범위 내에서 광케이블의 길이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광케이블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KR2020070004299U 2007-03-15 2007-03-15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KR200800039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99U KR20080003984U (ko) 2007-03-15 2007-03-15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99U KR20080003984U (ko) 2007-03-15 2007-03-15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84U true KR20080003984U (ko) 2008-09-19

Family

ID=4149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99U KR20080003984U (ko) 2007-03-15 2007-03-15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39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4540A1 (en) * 2013-03-13 2014-10-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assembly with patch cord stor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4540A1 (en) * 2013-03-13 2014-10-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assembly with patch cord storage
US10276990B2 (en) 2013-03-13 2019-04-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assembly with patch cord storage
US10566747B2 (en) 2013-03-13 2020-0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elecommunications assembly with patch cord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9246B2 (en)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US9244229B2 (en)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EP1986278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connector and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EP2511744A1 (en) Optical backplane interconn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5086836A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KR20080040915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JP2017050235A (ja) 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US2011012424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grounding mechanism
US9345161B2 (en) Front panel of board,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97269B2 (ja) Fotとシールドケースとの取付補助具、光コネクタ、及びハイブリッドコネクタ
CN103730790B9 (zh) 用于电子装置的电子元器件的连接装置
KR20080003984U (ko) 광케이블 길이조절장치
EP2355644A2 (en) Shield structure for an electronic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CN102196335A (zh) 便携式终端设备
US814726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CN105491195A (zh) 一种压力触控模组的固定装置
KR1011066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 구조
KR100833794B1 (ko)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모듈
JP2001194555A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ックな素子の配列構造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CN218918129U (zh) 证件识别器
JP2010050305A (ja) フレキシブル基板、配線ケーブル保持構造、および配線ケーブル保持方法
KR2006011413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66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표시부 연결구조
JP2013026282A (ja) 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