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52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524A
KR20080003524A KR1020060061882A KR20060061882A KR20080003524A KR 20080003524 A KR20080003524 A KR 20080003524A KR 1020060061882 A KR1020060061882 A KR 1020060061882A KR 20060061882 A KR20060061882 A KR 20060061882A KR 20080003524 A KR20080003524 A KR 2008000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ndensate
indoor
air condition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904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904B1/ko
Priority to US11/710,540 priority patent/US20080000252A1/en
Priority to EP07250833A priority patent/EP1876397A3/en
Priority to CNB2007101087017A priority patent/CN100561059C/zh
Publication of KR2008000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3/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oling medium
    • F28B3/02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cooling medium by providing a flowing coating of cooling liquid on the condens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열교환기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의 외면으로 강제 순환시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냉매로 각각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210) 및 실외열교환기(32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실외열교환기(320)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구획판(150)과; 상기 구획판(150)을 관통하여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310)과;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하중을 지지하고, 집수부(136)가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팬(310)을 관통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베이스(130)와; 상기 집수부(136)에 집수된 응축수를 구획판(150) 상면으로 유동시키는 응축수유동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 응축수, 순환, 베이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내부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응축수유동수단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조화기 110. 프론트케이스
112. 토출구 114. 토출그릴
116. 루버 118. 이동손잡이
120. 리어케이스 122. 외기유입구
124. 외기토출구 126. 흡입구
130. 베이스 132. 안내유로
134. 이격돌기 136. 집수부
138. 펌프수용공간 140. 캐스터
150. 구획판 152. 제1집수공간
154. 천공부 156. 지지돌기
158. 만수방지구멍 159. 형합돌기
210. 실내열교환기 220. 필터
230. 실내송풍장치 232. 실내모터
233. 체결플랜지 234. 실내팬
235. 실내오리피스 237. 실내하우징
237'. 공기유입홀 237". 실내가이드
238. 실내하우징커버 239. 모터장착구멍
310. 드레인팬 312. 제2집수공간
314. 낙수공 320. 실외열교환기
330. 실외송풍장치 332. 실외모터
334. 실외팬 336. 실외오리피스
338. 실외하우징 338'. 외기유동홀
339. 실외하우징커버 339'. 장착홀
340. 모터브라켓 350. 집수통
360. 압축기 370. 응축수유동수단
372. 응축수펌프 374. 안내호스
I . 실내측 O . 실외측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열교환기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의 외면으로 강제 순환시켜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작동 유체인 냉매가 상술한 각 구성 부품 내부를 순환하면서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되고, 이러한 냉매의 순환작용에 의해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바닥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일정 범위만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 0252478호에 게시된 이동형 에어컨(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본체(11) 내부에는 냉매 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콤프레셔(12) 및 고온·고압의 냉매를 저온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3), 저온으로 응축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외부 공기의 열을 빼앗아 찬공기를 발생기키는 증발기(14), 실외기팬모터(15), 응축수 저장물통(16) 등 실외기의 부품과 실내기의 부품이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하면에는 다수의 캐스터(17)가 설치되어 본체(11)의 유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4)는 응축기(1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응축기(13)는 응축수수집통(22)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4)는 하단부에는 응축수 유도판(2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상측에는 상기 응축수 유도판(21)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유도판(21)의 하단 일측에는 증발기(14)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유도판(21)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유도관(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상측에는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외기팬모터(15)의 모터축(15a) 하단부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응축수수집통(22)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산시키게 된다.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우측단에는 상측으로 단차진 단턱(22a)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22a) 일측에는 응축수수집통(22)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가 단턱(22a)보다 높을 때에 응축수 상기 저장물통(16)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25)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부호 18은 냉기토출구, 19는 온기토출구, 20은 실외기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실외기팬모터(15)에 의해 회전하는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에 의해 강제로 비산되도록 구성되므로, 응축수수집통(22)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 실외기팬모터(15)에 가중되는 부하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응축수수집통(22)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의 양이 적을 때 상기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는 응축수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공회전만 수행하여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응축수수집통(22) 내부에 많은 응축수가 집수되면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는 응축수에 잠겨 많은 간섭을 받게 되므로 실외기팬모터(15)에는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기팬모터(15)의 과부하는 실외기팬모터(15)의 파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파손은 자칫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므로 과부하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의 상측으로 낙 수시킴으로 실외열교환기가 강제 냉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외열교환기를 냉각시킨 후 공기조화기의 내부 하측에 집수된 응축수를 강제 순환시켜 실외열교환기의 냉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냉매로 각각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및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집수부가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팬을 관통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베이스와;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구획판 상면으로 유동시키는 응축수유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수유동수단은, 응축수를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수펌프와, 상기 응축수펌프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으로 안내하는 안내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을 따라 낙수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제1집수공간과, 상기 제1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천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집수공간의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부는 제1집수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한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2집수공간과, 상기 제2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낙수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집수공간의 횡단면적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횡단면 크기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부는 제2집수공간의 상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유로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수펌프가 수용되는 펌프수용공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응축수의 일부가 저장되는 집수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집수공간 일측에는, 상기 제1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으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만수방지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만수방지구멍은 천공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어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프론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스(120) 및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케이스(11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면, 상면 및 좌/우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케이스(120)는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바닥면은 베이스(130)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스(120) 및 베이스(130)가 결합되면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전면 상부에는 후측에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천공된 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12)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그릴(114)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114)의 후측에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단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루버(116)가 구비된다. 상기 루버(116)는 루버모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으로 좌/우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여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측면 상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이동손잡이(118)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30)의 하면에는 공기조화기(100)를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캐스터(140)가 다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손잡이(118)를 파지한 상태로 공기조화기(100)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캐스터(140)는 구름 운동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15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구획판(150)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설치되어 실내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내측(I)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50)의 하측에는 실외열교환기(320)가 설치되어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외측(O)이 형성된다.
전술한 리어케이스(120)의 후면 중앙부에는 동일한 크기로 천공된 외기유입구(122) 및 외기토출구(124)가 구비된다. 상기 외기유입구(122)와 외기토출구(124)는 실외공기가 실외측(O) 내부를 경유하여 다시 실외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 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외기유입구(122)와 외기토출구(124)에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덕트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 후반부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는 리어케이스(120)의 상반부에 천공된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사각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리어케이스(120) 사이에는 필터(22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220)는 상기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26)가 형성된 리어케이스(120)의 상반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의 전방에는 실내송풍장치(23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송풍장치(230)는 실내공기가 흡입구(126)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력과,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나는 토출력을 동시에 발생한다.
즉, 상기 실내송풍장치(23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232)와, 상기 실내모터(232)와 축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234)과, 상기 실내팬(234)이 발생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안내하는 실내오리피스(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오리피스(235)는 실내팬(234) 후측에서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된 실내하우징(237)과,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전면 일부를 차폐하는 실내하우징커버(2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중앙부에는 후방의 공기가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입홀(237')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홀(237')은 실내팬(234)이 회전시에 실내팬(234)의 후면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전달되는 곳으로, 상기 실내팬(234)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234)이 회전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실내하우징(237)과 흡입구(126)에는 이러한 흡입력이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측(I)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전면에는 실내가이드(2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실내가이드(237")는 실내하우징커버(238)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내하우징커버(238)와 결합시에 내부가 상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하반부는 실내팬(234)의 외경보다 조금 큰 크기로 동그랗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상반부는 좌/우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상단부는 토출구(112)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오리피스(235)가 실내측(I)에 장착되면 상기 실내하우징(237)은 후방과 전방을 구획하게 되며,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상단부는 토출구(112)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12)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하우징커버(238)의 하부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모터장착구멍(239)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장착구멍(239)은 실내모터(232)가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실내모터(232)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모터(232)의 전반부가 모터장착구멍(239)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모터(232)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플랜지(233)와 실내하우징커버(238)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모터(232)는 실내오리피스(235) 내부에서 유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실내송풍장치(230) 및 실내열교환기(210)는 상기한 구획판(150)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 후반부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제1집수공간(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은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응축수가 중앙부로 모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중앙부에는 천공부(154)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154)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가 구획판(15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310)으로 응축수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바닥면에는 좌/우로 길게 상방 돌출된 지지돌기(15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56)는 실내열교환기(21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실내열교환기(210)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우측 바닥면에는 만수방지구멍(158)이 형성된다.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은 제1집수공간(152)에 많은 응축수가 집수되었을 때 실외 측(O)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바닥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보다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되는 응축수가 상대적으로 많게 되면,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집수통(350)으로 낙수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바닥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310)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형합돌기(도 6의 도면부호 159)가 구비된다. 상기 형합돌기(159)는 드레인팬(310)의 개구된 상부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형합돌기(159)와 드레인팬(310)이 결합되면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하측으로 낙수되는 응축수는 드레인팬(310)의 내부로 낙수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31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은 상기 구획판(150)을 관통하여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310)의 상면 중앙부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제2집수공간(31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집수공간(312)은 구획판(150)에 1차로 집수되었다가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낙수되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부(154)의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집수공간(312)의 바닥면에는 하방향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낙수공(314)이 형성된다. 상기 낙수공(314)은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 기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면은 상방향으로 함몰되며, 함몰된 횡단면적은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횡단면적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2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측에는 실외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320)가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는 베이스(130)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좌측에는 실외송풍장치(33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송풍장치(330)는 상기 외기유입구(122)로 흡입력을 발생하고 상기 외기토출구(124)로는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외송풍장치(33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외모터(332)와, 상기 실외모터(332)와 축결합되어 풍력을 발생하는 실외팬(334)과, 상기 실외팬(334)이 발생한 공기 유동의 방향을 안내하는 실외오리피스(3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오리피스(336)는 열교환된 공기와 그렇지 않은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외기토출구(124)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실외오리피스(336)는 상기 실외측(O)을 좌/우로 구획하는 실외하우징(338)과, 상기 실외하우징(338)의 좌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실외팬(334)이 수용되도록 하는 실외하우징커버(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하우징(338)은 중앙부가 천공되어 외기유동홀(338')을 형성하며,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통해 실외하우징(338) 우측의 공기가 좌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실외하우징커버(339)의 중앙부에는 실외모터(332)가 장착되는 장착홀(339')이 천공되며, 상기 모터장착구멍(239)에 실내모터(232)가 장착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실외모터(332)와 실외하우징커버(339) 사이에는 모터브라켓(3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터브라켓(340)은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고 상부를 동그랗게 절제하여 형성한 것으로,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며, 동그랗게 절제된 상부에는 상기 실외모터(332)의 외주면 하부가 선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브라켓(340)은 실외송풍장치(330)의 하중을 지지하여 실외송풍장치(330)가 베이스(1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가 결합되어 형성된 실외오리피스(336)의 후반부 상측에는 토출안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의 후반부 상측은 서로 대응되는 모양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의 결합시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 모양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통해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토출안내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외기토출구(124)로 토출되며, 이를 위해 상기 토출안내홀(미도시)은 상기 외기토출구(124)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하단부에는 정사각판 형상의 베이스(13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20)가 설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상방 돌출된 안내유로(13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유로(132)는 낙수공(314)을 통해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된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응축수펌프(372)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로(132)의 내부에는 이격돌기(134)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134)는 전/후로 긴 사각판을 직립되게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이격돌기(134)의 상단부는 실외열교환기(32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와 베이스(130) 상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 우측 전반부에는 집수통(350)이 구비된다. 상기 집수통(350)은 내부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곳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으로 낙수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집수통(350)의 후방에는 압축기(36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360)는 작동 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360)의 내부는 실외열교환기(320) 및 실내열교환기(210)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60) 내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공기조화기(100)의 냉/난방 운전 모드에 따라 실외열교환기(320) 또는 실내열교환기(2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베이스(130)의 좌측 후반부에는 집수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136)는 안내유로(132) 내측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곳으로, 상기 안내유로(132)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 놓이도록 함몰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136)의 전반부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응축수유동수단(370)이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유동수단(370)은 집수부(136)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1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를 수냉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응축수유동수단(370)은 크게 응축수를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수펌프(372)와,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으로 안내하는 안내호스(3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펌프(37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하측의 응축수를 상측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30)의 좌측 전반부에 구획되도록 형성된 펌프수용공간(138)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펌프(372)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안내호스(374)가 끼워지며, 상기 안내호스(374)의 타단부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펌프(372)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집수부(136) 및 펌프수용공간(138)에 고인 응축수는 응축수펌프(372)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안내호스(374)를 따라 상기 제1집수공간(152)으로 모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냉방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실내모터(232)와 실외모터(332)는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실내모터(232)는 실내하우징(237)에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 구(126)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내측(I)으로 흡입하게 된다. 상기 실내측(I)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하우징(237)을 통해 실내하우징(237) 내부로 유입되며 상방향으로 강제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는 필터(220)에 의해 이물이 필터링되어 정화된 상태이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1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차가워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실외모터(332)는 실외하우징(338)을 기준으로 우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며, 이러한 흡입력은 상기 외기유입구(1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실외공기는 덕트(미도시)를 통해 실외측(O)으로 유입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와 열교환된 후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관통하여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팬(334)의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된 후에 상기 실외오리피스(336)의 개구된 상방향을 통해 토출되며, 이후 상기 외기토출구(124)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작동중에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다.(도 6 참조)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천공부(154)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다.
상기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 차가운 응축수는 상기 낙수공(314)을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상단부로 낙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된 응축수는 실외열교환기(320)의 내부를 경유하는 뜨거운 냉매를 수냉식으로 식힌 다 음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 즉 안내유로(132) 내부로 집수된다.
상기 안내유로(132) 내부로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부(136)로 모인 후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향으로 강제되며,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 강제된 응축수는 안내호스(37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집수공간(152)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는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에서부터 발생된 차가운 응축수로 수냉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장시간 사용으로 상기 응축수펌프(372)가 많은 양의 응축수를 제1집수공간(152)으로 보내게 되더라도,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을 통해 상기 집수통(350)으로 집수되므로 응축수가 집수부(136)를 넘쳐 흐르는 것은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베이스 상면에 집수된 응축수를 실외열교환기의 상측으로 낙수시키는 응축수유동수단을 더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가 강제 냉각되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획판에 집수되는 응축수의 양에 따라 응축수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집수통으로 유입되도록 구획판 일측에 만수방지구멍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응축수가 집수부에 만수되어 공기조화기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응축수의 만수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냉매로 각각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및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을 관통하여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집수부가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팬을 관통한 응축수를 집수하는 베이스와;
    상기 집수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구획판 상면으로 유동시키는 응축수유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유동수단은,
    응축수를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수펌프와,
    상기 응축수펌프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으로 안내하는 안내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외면을 따라 낙수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제1집수공간과,
    상기 제1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천공부 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공간의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제1집수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한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2집수공간과,
    상기 제2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낙수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공간의 횡단면적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횡단면 크기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제2집수공간의 상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의 일측에는 상기 응축수펌프가 수용되는 펌프수용공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응축수의 일부가 저장되는 집수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공간 일측에는,
    상기 제1집수공간에 집수된 응축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으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만수방지구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방지구멍은 천공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60061882A 2006-07-03 2006-07-03 공기조화기 KR10134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882A KR101346904B1 (ko) 2006-07-03 2006-07-03 공기조화기
US11/710,540 US20080000252A1 (en) 2006-07-03 2007-02-26 Air conditioner
EP07250833A EP1876397A3 (en) 2006-07-03 2007-02-28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collection via drain pans and evaporative cooling of heat exchanger
CNB2007101087017A CN100561059C (zh) 2006-07-03 2007-05-28 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1882A KR101346904B1 (ko) 2006-07-03 2006-07-0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24A true KR20080003524A (ko) 2008-01-08
KR101346904B1 KR101346904B1 (ko) 2013-12-31

Family

ID=3903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882A KR101346904B1 (ko) 2006-07-03 2006-07-0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6904B1 (ko)
CN (1) CN100561059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2499A (zh) * 2016-10-31 2017-01-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
CN106440312A (zh) * 2016-10-09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窗机电机支架的引水结构及窗机
CN109974274A (zh) * 2019-04-22 2019-07-0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水槽组件、底座及空调器
KR20190084591A (ko)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CN113028630A (zh) * 2019-12-24 2021-06-2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水引流装置及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4928B2 (ja) * 2010-08-04 2013-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CN104296263A (zh) * 2013-07-16 2015-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移动空调
WO2016103442A1 (ja) * 2014-12-26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
KR20200106417A (ko)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36Y2 (ko) * 1986-12-19 1992-01-27
JPH0510551A (ja) * 1991-07-05 1993-01-19 Misawa Homes Co Ltd エアコン装置
JPH0979614A (ja) * 1995-09-12 1997-03-28 Calsonic Corp 空気調和装置
KR200294756Y1 (ko) * 2002-08-06 2002-11-13 이동욱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0312A (zh) * 2016-10-09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窗机电机支架的引水结构及窗机
CN106352499A (zh) * 2016-10-31 2017-01-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
CN106352499B (zh) * 2016-10-31 2022-02-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
KR20190084591A (ko) 2018-01-08 2019-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CN109974274A (zh) * 2019-04-22 2019-07-0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水槽组件、底座及空调器
CN113028630A (zh) * 2019-12-24 2021-06-2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凝水引流装置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904B1 (ko) 2013-12-31
CN101101139A (zh) 2008-01-09
CN100561059C (zh)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100797523B1 (ko) 실내 공기 조화 장치
JP5401563B2 (ja) チリングユニット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97582A (ko) 냉방용 축냉식 공기냉각기
KR20080070140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281929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JP6733764B2 (ja) 屋外空気調和装置
KR100900283B1 (ko)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KR10245849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474049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3164A (ko) 공기조화기
KR100434073B1 (ko) 욕실형 에어컨의 응축수트레이
KR1003984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KR20070022942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어큐뮬레이터
KR101024475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오일 공급구조
KR20050079463A (ko) 공기조화기
KR20050082476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KR200500751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67156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