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3399A -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3399A
KR20080003399A KR1020077025509A KR20077025509A KR20080003399A KR 20080003399 A KR20080003399 A KR 20080003399A KR 1020077025509 A KR1020077025509 A KR 1020077025509A KR 20077025509 A KR20077025509 A KR 20077025509A KR 20080003399 A KR20080003399 A KR 2008000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history
display
home care
history information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리 이나바
쿠니아키 카와고에
유이치 나가세
히로시 나가오카
마사토 시모가와
리카 마츠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바
Publication of KR2008000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4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Abstract

침대(1; 재택 간호 기기)는 스위치 조작에 기초하여, 머리부(12), 다리부(13), 높이 조절부(14)의 각 구동부가 모터부(15a 내지 15c), 액추에이터부(16a, 16c)에 의해서 작동한다. 본 구동부의 작동상태는 센서부(17a 내지 17c)에서 검출되고, 각 조작 제어수단(21)은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고,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정보로서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격납한다.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 정보는 통신 유닛(7)에 의해서 호스트 컴퓨터(4)로 송신된다. 호스트 컴퓨터(4)는 수신한 조작 이력 정보를 애니메이션 표시나 그래프 표시, 누적 시간 표시가 가능한 데이터로 가공하여, 인터넷 회선으로 접속된 컴퓨터(5) 등으로 송신한다.
재택 간호 기기, 구동부, 센서부, 조작 이력 기억부, 조작 이력 정보

Description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Home care apparatus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요(要)간호자나 요(要)지원자 등의 생활정보를 파악하여, 요간호자 등을 위해 최적의 생활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침대나 전동휠체어 등의 사용상태에 기초하여 요간호자 등의 생활정보를 취득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간호 보험제도의 창설에 따라, 고령자나 신체장애자, 난치병 나환자 등, 통상 생활을 할 때 간호나 지원이 필요한 케어 대상자(요간호자나 요지원자 등)에 대해서는 유자격자인 케어 매니저에 의해, 각 케어 대상자 등에게 맞는 개별 케어 플랜이 작성되어 있다. 케어 플랜의 작성에 있어서는 케어 매니저나 의료관계자가 개개의 케어 대상자를 방문하여, 개별로 듣고 그 사람에게 최적의 플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케어 매니저나 의료관계자는 통상, 많은 케어 대상자를 담당하고 있어, 각 개인을 개별로 방문하여 생활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시간을 요하여, 케어 매니저 등이 각 개인의 매일매일의 생활 상황을 항상 섬세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듣는 시간도 한정되게 되기 때문에, 생활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여, 인식 부족이 생기는 것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동거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에는 가족에 의한 케어를 얻을 수 있지만, 가족이 먼 지역에 떨어져 생활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충분한 케어를 얻을 수는 없다.
또한, 가족이 떨어져 생활하고 있는 경우, 가족일망정 매일매일의 생활 상황을 상세하게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고, 케어 대상자에게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도 바로 대응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간호자가 되도록이면 그 사람을 빈번하게 방문하도록 항상 주의하거나, 멀리 사는 가족이 정기적으로 방문하거나 전화를 걸거나 하는 것으로, 케어 대상자가 잘 생활하고 있는지, 병이 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통상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간호자는 바쁘고, 가족도 또 일이나 육아를 하고 있기 때문에, 케어 대상자를 빈번하게 방문하는 것은 대단히 부담이 크다.
그래서, 케어 대상자의 생활 상황을 모니터로 감시하거나, 가전제품의 사용상태를 검지하거나 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생활정보를 수집하여, 그 정보를 케어 매니저나 의료관계자, 또는 가족에게 연락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케어 대상자가 일상 사용하는 전화제품(전기포트나 전기밥솥 등의 사용 상황을 검지하여, 전화 회선을 통해서 그 사용정보를 먼 지역에 사는 가족에게 통지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인감(人感) 센서나 조명 동작 모니터, 텔레비전 동작 모니터, 수도 센서 등을 사용하여, 케어 대상자의 생활정보를 취득하여, 케어 플랜 작성을 서포트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3 내지 5에는 전동침대나 일어섬 보조의자, 전동휠체어 등의 각종 재택 간호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등을 올리거나 높이·무릎 위치를 조정 가능한 전동침대가 개시되어 있고, 희망 조정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희망 위치에서 침대를 용이하게 유지 가능한 동시에, 조작 스위치 조작시간을 관리하여 스위치의 오조작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전동 액추에이터와 링크 기구에 의해, 시트면을 정상 위치로부터 소정 높이까지 상승 가능하게 한 보조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전동차량(전동휠체어)의 속도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여기서는 좌우 차륜에 회전 속도차가 생긴 경우에도, 그 회전 속도차가 제어량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하도록 연산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연산치에 기초하여 모터에 대한 공급전력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속도차를 허용하면서 속도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후진을 위해서 속도 제어를 적정하게 행하면서도, 개조자(介助者) 등이 인력으로 휠체어를 방향 변경시키는 경우의 반력(反力)이 경감되어, 전동휠체어의 방향 변경이 용이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8761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66659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5590호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8779호
특허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30921호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감시 시스템은 가전제품의 ON/OFF나 재실의 유무 등을 검지하는 것에 그치고, 케어 대상자의 취침시에서의 상세한 상황을 아는 것은 곤란하였다. 케어 대상자는 하루 중에서 반 가까이의 시간을 자면서 보내는 경우가 많고, 누워만 있는 상태의 경우, 가전제품의 ON/OFF나 재실의 유무의 검지로는 유효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요통이나 욕창 등은 침대 상에서의 자세에 의한 부분도 많아, 취침 자세도 케어 플랜 작성에는 유용한 정보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한 원격감시 시스템에서는 시점(視點)이 케어 대상자의 생활에만 주목되고 있고, 간호시의 침대 높이 등 간호자에 대한 조언이라는 점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전동침대나 전동휠체어 등의 각종 재택 간호 기기는 이들을 이용자가 어떤 시간대에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여, 이용자의 신체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게 어떠한 질환이 있고, 평소는 취침하고 있는 시간대에 재택 간호 기기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경우 등에서는 단지 기기의 구동상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이용자가 건강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고, 이 때문에, 질환의 발견이 늦어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거주 공간에 어떠한 장해가 있는 경우 등, 사용환경에 의해서 이용자가 원하는 조작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자집에 방문할 때까지 그 장해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장해를 조기 발견할 수 없어, 이용자의 평소의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재택 간호 기기에서는 기기의 조작상태와 구동상태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는 작업은 현지에서 할 필요가 있어, 케어 매니저 등이 현지에 갈 때까지 기기의 고장을 발견할 수 없어, 고장 발견이 늦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어 대상자와 같은 재택 간호 기기 이용자의 상세한 생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소의 구동부가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작동 가능한 재택 간호 기기와, 상기 재택 간호 기기에서의 상기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소정 형태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기초하여 작동 가능한 부위를 가지는 재택 간호 기기의 작동상태를 센서수단에서 검출하는 동시에, 제 1 제어수단에 의해서 재택 간호 기기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한다. 그리고, 이 조작 이력정보를 제 2 제어수단에 의해서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표시수단을 봄으로, 간호자나 케어 매니저 등이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의 조작 이력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세한 생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접속되고, 상기 기억수단에 격납된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상기 제 1 제어수단 밖으로 송신 가능한 정보송신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조작 이력정보를 제 2 제어수단으로 송신하고,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지에 있는 케어 매니저 등이 재택 간호 기기의 사용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재택 간호 기기의 적절한 사용방법을 어드바이스하는 것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재택 간호 기기에 장착한 제어수단으로부터 조작 이력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유선·무선수단을 통해서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상기 구동부를 복수개 가져도 좋고, 이 때,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구동부의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부의 동작 상황을 대비하여 볼 수 있고, 조작 이력의 비교검토가 용이해진다. 따라서, 케어 매니저 등이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의 상세한 생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각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에게 맞는 케어 플랜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조작 이력정보가, 어떤 상기 구동부가 조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구동부가 조작된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재택 간호 기기의 머리부, 다리부 및 재택 간호 기기높이 조정부를 작동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부가 소정시간 이상 조작되어 있는 경우만, 상기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소정시간 미만의 작은 스위치 조작은 선별되어 제외되고, 이력으로서 중요한 데이터만이 기억수단에 격납된다.
상기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애니메이션 표시, 그래프 표시, 누적시간 표시, 수치 표시 또는 통계 표시의 적어도 어느 1개의 표시형태로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애니메이션 표시나 그래프 표시는 각 구동부의 동작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어, 조작 이력의 비교검토가 용이해진다. 또한, 누적시간 표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각 구동부의 동작시간의 누적치 등이고, 각 구동부의 수명이나 메인터넌스 시기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수치 표시는 케어 매니저 등에 의한 독자의 분석에 도움이 되고, 통계 표시는 일정기간에서의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상기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의 사이를,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통해서 통신 회선으로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재택 간호 기기의 사용 상황을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먼 곳에 사는 가족도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의 생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침대이어도 좋고, 상기 구동부로서, 머리부 각도 조정부, 다리부 각도 조정부 및 침대 높이 조정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전동휠체어이어도 좋고, 상기 구동부로서, 상기 전동휠체어의 전후진 동작 및 곡진(曲進)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륜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일어섬 보조의자이어도 좋고, 상기 구동부로서, 상하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시트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소의 구동부가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작동 가능한 재택 간호 기기에서,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수단과, 센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파악하여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조작 이력정보를 소정 형태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제어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재택 간호 기기의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 표시수단을 봄으로, 간호자나 케어 매니저 등이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의 조작 이력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세한 생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간호자나 환자, 시설 입거자 등의 이용자가, 재택 간호 기기를 잘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어드바이스나 케어 플랜의 작성, 신체상태·사용상태에 맞춘 계속적인 케어 플랜의 수정을 하여 갈 수 있고, 각 재택 간호 기기 사용자의 생활 레벨의 유지·향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조작 이력정보를 제 2 제어수단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케어 매니저 등이 재택 간호 기기의 사용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재택 간호 기기에 관해서 적절한 사용방법을 원격지에서 어드바이스를 하여, 방문 전에 미리 재택 간호 기기의 사용 상황을 체크하는 것으로, 방문시의 어드바이스나 지도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수단을 재택 간호 기기에 장착시킴으로써, 제 2 제어수단으로부터 조작 이력정보를 재택 간호 기기 밖으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선 또는 무선수단을 통해서,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 등에 조작 이력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간호 시설 내 등에 서버를 설치함으로써, 시설 입거자에 대하여, 재택 간호 기기의 사용 상황의 관리나 건강 관리를 일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전동침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전동침대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처리 및 그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4는 각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5는 조작 이력정보의 데이터 보존 형식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호스트 컴퓨터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애니메이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각 구동부별 그래프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 8a는 머리부, 도 8b는 다리부, 도 8c는 침대의 높이의 변화를 도시하는 표시.
도 9는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정리한 그래프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누적시간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전동휠체어)에 서의 전동휠체어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실시예 2의 시스템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처리 및 그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3은 각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4는 실시예 2의 시스템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정리한 그래프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 14a는 전동휠체어의 선회방향과 그 각도, 도 14b는 전동휠체어의 주행방향과 그 속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애니메이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동침대(재택 간호 기기)
2 : 컨트롤 박스(제 1 제어수단)
3 : 무선 회선
4 : 호스트 컴퓨터(제 2 제어수단)
5 : 퍼스널 컴퓨터(표시수단)
6 : 휴대전화(표시수단)
7 : 통신 유닛
11 : 케어 대상자
12 : 머리부 각도 조정부(구동부)
13 : 다리부 각도 조정부(구동부)
14 : 침대 높이 조절부(구동부)
15a 내지 15c : 모터부
16a 내지 16c : 액추에이터부
17a 내지 17c : 센서부
18 : 손잡이 스위치
19 : 조작 스위치
21 : 다리부 조작 제어수단
22 : 조작 이력 기억부(기억수단)
23 : 무선통신 모듈
31 : 데이터 접수부
32 : 조작 이력 데이터 보관부
33 : 서비스 제공 접수부
34 : 모니터 대상자 정보 등록부
35 : 데이터 가공수단(애니메이션 가공)
36 : 데이터 가공수단(그래프 가공)
37 : 데이터 가공수단(ACT 누적 가공)
38 : 가공정보 보존부
41 : 전동휠체어(재택 간호 기기)
42 : 컨트롤 박스(제 1 제어수단)
43a, 43b : 구동륜(구동부)
44a, 44b : 모터부
45a, 45b : 센서부
46 : 모터 회전 속도 검출부
47 : 모터 구동 제어부
48 : 조작 레버 스위치
49 : 조작 지령부
51 : 조작 레버
52 : 조작 레버 센서부
53 : 조작 레버 표시
54 : 휠체어 표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기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침대(1; 재택 간호 기기)의 조작 이력정보를 컨트롤 박스(2; 제 1 제어수단) 내에 격납하는 동시에, 이 조작 이력정보를, 무선 회선(3; 통신 회선)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4; 제 2 제어수단)로 송신한다. 호스트 컴퓨터(4)는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각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5; 이하, 컴퓨터(5)라고 약기함)나 휴대전화(6)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4)로부터 컴퓨터(5) 등에 대하여 조작 이력정보가 제공된다.
도 2는 전동침대(1; 이하, 침대(1)라고 약기함)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침대(1)는 요간호자 등인 케어 대상자(11)가 사용하고, 그 머리부나 다리부의 각도 및 침대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머리부 각도 조정부(12; 이하, 머리부(12)라고 약기함), 다리부 각도 조정부(13; 이하, 다리부(13)라고 약기함) 및 높이 조절부(14)의 각 구동부에는 각각 모터부(15a 내지 15c)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부(15a 내지 15c)는 신축 로드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와 접속되어 있다. 침대(1)의 각 구동부는 이 모터부(15a 내지 15c)와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로 이루어지는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된다. 각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는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침대(1)의 머리부(12) 등과 각각 접속되어 있다.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에는 또, 각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17a 내지 17c; 센서수단)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부(17a 내지 17c)에는 예를 들면, 퍼텐셔미터(potentiometer) 등, 각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의 구동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액추에이터부의 구동 위치와, 머리부(12)와 다리부(13)의 각도 변위나 높이 조절부(14)의 변위량은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고,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의 구동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각 작동부위의 작동량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7a 내지 17c)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는 침대(1)에 장착된 컨트롤 박스(2)에 보내진다.
컨트롤 박스(2) 내에는 센서부(17a 내지 17c)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각 구동부의 상황을 파악하여, 그 동작을 제어하는 다리부 조작 제어수단(21)이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 조작 제어수단(21)에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사용되고, 도시하지 않는 CPU나 ROM, RAM, 타이머 등이 배치된다. 컨트롤 박스(2)에는 머리부·다리부·높이 등의 각종 조작 스위치(19)를 구비한 손잡이 스위치(18)가 접속되어 있다. 다리부 조작 제어수단(21)은 케어 대상자(11)의 스위치 조작에 근거하여, 센서부(17a 내지 17c)의 검출치를 참조하면서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모터부(15a 내지 15c)는 센서부(17a 내지 17c)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피드백 제어되어, 머리부(12) 등의 각 구동부가 케어 대상자(11)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동작을 한다.
상기 침대(1)에서는 손잡이 스위치(18)에 의해, 머리부(12)와 다리부(13)의 각도, 침대(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머리부(12)와 다리부(13)의 연동 동작도 조절할 수 있다. 이 연동 동작은 케어 대상자(11)가 침대에서 일어설 때 등, 상체를 일으키는 경우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케어 대상자(11)가 일어날 때, 머리부(12)만을 올리면, 케어 대상자(11)가 다리부(13)측에 미끄러져 버려, 잘 일 어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연동 동작에서는 다리부(13)를 올려 무릎을 높게 구부린 상태에서 머리부(12)를 올리도록 설정되어 있어, 침대(1)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상체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 박스(2) 내에는 또, 조작 이력 기억부(22; 기억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이력 기억부(22)에는 E2PROM이 사용되고, 거기에는 각 구동부의 동작 이력이 조작 이력정보로서 격납된다. 도 3, 도 4는 각 구동부의 동작처리 및 그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의 처리는 메인 스위치 ON과 함께, 예를 들면 5ms 간격으로 상시 실시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스텝 S1에서 조작 스위치(19)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ON인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ON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의 처리를 반복하고, ON의 경우에는 스텝 S2 이하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조작 스위치(19)의 조작이 머리부(12)의 조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머리부(12)의 조작의 경우에는 스텝 S11로 진행하고, 머리부(12)의 각도를 조정하여 스텝 S5로 진행한다. 머리부(12)의 조작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조작이 다리부(13)의 조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다리부(13)의 조작의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여, 다리부(13)의 각도를 조정하여 스텝 S5로 진행한다. 다리부(13)의 조작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조작이 침대(1)의 높이의 조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높이의 조작인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진행하고, 침대(1)의 높이를 조정하여 스텝 S5로 진행한다. 높이의 조작이 아 닌 경우, 즉, 스텝 S2 내지 S4가 모두 NO인 경우는 머리부·다리부·높이 이외의 조작이고, 그 경우에는 그대로 스텝 S5로 진행한다. 또, 스텝 S2 내지 S4의 처리는 어느 것을 먼저 행하여도 좋고, 또한, 이것에 덧붙여, 연동 조작의 확인처리와 연동 동작 실시처리를 첨가하여도 좋다.
스텝 S5에서는 머리부·다리부·높이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즉, 센서부(17a 내지 17c)의 신호로부터, 현시점에서의, 머리부(12)·다리부(13)의 경사 각도나 침대(1)의 높이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 후,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머리부·다리부·높이의 각 데이터를 일단, CPU의 RAM 영역에 기록한다. 스텝 S6의 처리에서는 조작 스위치(19)의 조작에 관계하는 모든 데이터가 RAM 영역에 기록된다.
전체 데이터를 RAM 영역에 기록한 후, 조작 스위치(19)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하여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조작 스위치(19)의 조작시간이 2초 미만인 경우에는 그대로 루틴을 뺀다. 즉, 머리부·다리부·높이의 데이터를 조작 이력 기억부(22)에는 격납하지 않고 도 3의 처리를 종료한다. 일반적으로, 케어 대상자(11)가 약간 침대의 각도나 높이를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조작은 대강 1초 정도가 되지만, 이 정도의 동작은 조작 이력으로서의 중요성은 낮아, 반드시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모두 격납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이력 기억부(22)의 기억영역을 절약하기 위해서, 스텝 S7에서 격납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2초 미만의 조작은 조작 이력 기억부(22)에는 격납하지 않고 도 3의 처리를 종료시킨다.
스텝 S7에서 조작 스위치(19)의 조작시간이 2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조작 스위치(19)가 OFF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조작 스위치(19)가 OFF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 조작 계속 중이라고 판단되어, 루틴을 뺀다. 한편, 조작 스위치(19)가 OFF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9로 진행하여 RAM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머리부·다리부·높이의 데이터를 조작시간과 함께, 동작 이력 데이터로서 새롭게 RAM 영역에 기록한다. 동작 이력 데이터를 기록한 후, 스텝 S10에서, 새로운 동작 이력 데이터가 RAM 영역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워 루틴을 뺀다.
이와 같이, 도 3의 처리에서는 조작 스위치(19)가 조작되면, 그 조작에 관련하는 머리부·다리부·높이의 동작 이력 데이터가 모두 RAM 영역에 일단 기록된다. 그 후, 조작 스위치(19)의 조작시간이 판정되어,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의 데이터만이, 동작 이력 데이터로서 RAM 영역에 기록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시간 미만의 작은 스위치 조작은 선별되어 제외되고, 이력으로서 중요한 데이터만이 RAM 영역에 남겨진다.
RAM 영역에 기록된 동작 이력 데이터는 도 4의 처리에 의해서,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격납된다. 도 4의 처리도 또 메인 스위치 ON과 함께 개시되지만, 도 3의 처리보다도 빈도가 낮고, 예를 들면 1분 간격으로 상시 실시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스텝 S21에서 타이머가 스타트된다. 타이머의 스타트에 따라, 스텝 S22에서 경과시간이 판단되어, 1분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경과시간이 1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2의 처리(1분 경과 확인)를 반복한다.
스텝 S23에서는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격납해야 하는 동작 이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도 3의 스텝 S10에서 세워지는 플래그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플래그가 서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격납해야 하는 동작 이력 데이터는 없다고 판단하여 스텝 S25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리셋하여 루틴을 뺀다. 이것에 대하여, 플래그가 서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4로 진행하여 RAM 영역 내의 동작 이력 데이터를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보내어, 조작 이력정보로서 격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에, 조작시간 데이터를 수반한 각 구동부의 동작 이력이 조작 이력정보로서 보존된다. 그리고, 데이터 격납 후, 스텝 S25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리셋하여 루틴을 뺀다.
이러한 순서에서 선택되어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보내진 조작 이력정보는 조작 이력 기억부(22)에서 1블록의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도 5는 조작 이력정보의 데이터 보존 형식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조작 이력정보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스위치(18)의 ON/OFF 상태를 도시하는 SW 입력, 각 구동부의 동작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 및 각 구동부의 조작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격납되어 있다. 각 구동부의 동작정보는 어떤 구동부가 조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조작시간정보는 그 구동부가 조작된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각 침대(1)에는 예를 들면 「BD0001」 등의 ID 코드가 부가되어 있고, 조작 이력 기억부(22)에는 이 침대 ID 코드도 아울러 격납된다. 또한, 조작 이력정보에서는 각 구동부의 조작시간은 카운터값으로 나타내진다. 즉, 구동부의 동작 개시를 검출하여, 상술한 플로우에 기초하여, 조작시간이 2초 이상 경과한 것에 관해서 는 동작 종료시간의 카운터값이 격납되고, 조작 이력정보에는 예를 들면, 「머리부의 액추에이터부(16a)가 카운터값 XXXX에서 동작이 종료하였다」가 나타내지고, 동작 부위 및 종료시의 액추에이터의 위치도 또 격납된다. 이 카운터값은 호스트 컴퓨터(4)에서 시간정보, 요컨대, 몇분몇초라는 형태로 연산된다. 또, 컨트롤 박스(2)에 타이머를 배치하고, 각 구동부의 조작시간을 시간정보로 격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정보는 기억부 안이 가득차면 적절하게 호스트 컴퓨터(4)측으로 송신된다. 컨트롤 박스(2)에는 호스트 컴퓨터(4)측에 조작 이력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7; 정보송신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통신 유닛(7)에는 무선통신 모듈(23)이 설치되어 있고,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정보를 컨트롤 박스(2)로부터 호스트 컴퓨터(4)에 무선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무선송신은 예를 들면, NTT(일본전신전화주식회사) 제공의 DoPa망(상품명) 등의 디지털 휴대전화망 등을 통해서 행하여진다. 조작 이력 기억부(22)에서는 조작 이력정보가 호스트 컴퓨터(4)측으로 송신되고 빈 블록이 생기면, 거기에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6은 호스트 컴퓨터(4)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호스트 컴퓨터(4)는 사용자측으로부터 리얼타임의 조작 이력정보 등의 데이터 표시 요구가 있는 경우나, 미수신 데이터가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남아 있는 경우, 컨트롤 박스(2)에 액세스하여 조작 이력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이력 기억부(22)가 가득차면, 호스트 컴퓨터(4)측에 조작 이력정보가 송신된다. 이 렇게 하여 보내진 조작 이력정보는 호스트 컴퓨터(4)의 데이터 접수부(31)에서 수신된다. 데이터 접수부(31)에서는 수신한 조작 이력정보로부터, 침대 ID 코드와 함께 침대의 조작 이력정보를 취득한다. 데이터 접수부(31)에서 취득한 이들의 정보는 조작 이력 데이터 보관부(32)에 보존된다. 이 조작 이력 데이터 보관부(32)에서는 과거 3개월분의 조작 이력정보가 보존된다.
한편, 호스트 컴퓨터(4)에는 인터페이스부로서 기능하는 서비스 제공 접수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는 인터넷 회선을 개재하여 각 사용자의 컴퓨터(5; 표시수단)나 휴대전화(6; 표시수단)가 접속되어 있다. 각 사용자는 컴퓨터(5) 등에 각자의 사용자 ID 코드(예를 들면, US0001)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서비스 제공 접수부(33)에서 사용자인증이 행하여진다. 사용자인증에 의해, ID 코드 등이 대조되어 정규의 이용자인 것이 확인되면, 호스트 컴퓨터(4)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된다.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는 모니터 대상자 정보 등록부(34)에 접속되어 있고, 액세스가 허가되면, 컴퓨터(5) 등에는 모니터 대상자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모니터 대상자 정보에서는 모니터 대상이 되는 케어 대상자명이나 그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침대의 ID 코드, 제공을 요구하는 데이터의 종류나 모니터 대상기간 등이 있고, 모니터 대상자 정보 등록부(34)에는 컴퓨터(5) 등으로부터 이들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 때, 모니터 대상자 정보 등록부(34)에서는 시큐리티 강화를 위해, 다시 액세스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요구한다. 패스워드 대조에 의해 정규 이용자인 것이 확인되면, 모니터 대상자 정보 등록부(34)는 서비스 제공 접수부(33)에 대하여 그 취지를 통지한다. 이것을 받은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작성하여 컴퓨터(5) 등으로 송신한다.
호스트 컴퓨터(4)에서 제공 가능한 데이터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애니메이션 표시, 그래프 표시, 누적시간 표시, 수치 표시 및 통계 표시의 5종류를 상정하고 있다. 도 7은 애니메이션 표시, 도 8은 각 구동부의 다른 그래프 표시, 도 9는 각 구동부의 동작을 정리한 그래프 표시, 도 10은 누적시간 표시의 각각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애니메이션 표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대(1)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침대의 도형을 사용하여 시간을 단축하여 표시한 것이다. 그래프 표시는 도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떤 기간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선도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동부별로 구동부를 정리한 2형식이 있다. 누적시간 표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동부의 누적 작동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수치 표시는 각 구동부의 구동량을 수치로 표시하는 표시형태, 통계 표시는 어떤 기간 내에서의 각 구동부의 구동량을 통계적으로 표시하는 표시형태이고, 호스트 컴퓨터(4)는 컴퓨터(5) 등에 이들의 5종류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애니메이션 표시에서는 예를 들면, 어떤 1일의 각 구동부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에는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띠가 나타내지고, 삼각형의 마커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시간의 경과를 표시한다. 시간 경과와 함께 아래 쪽의 침대의 도형이 움직여, 머리부(12)·다리부(13)의 경사나 침대(1)의 높이의 변화가 시간을 따라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측에서는 침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수치정보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연동 동작의 모양 등도 용이하고 또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그래프 표시에서는 가로축에 시간, 세로축에 작동량이 표시되어, 어떤 기간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 및 위치가 표시된다. 도 8에서, a는 머리부(12), b는 다리부(13), c는 침대(1)의 높이의 변화를 도시하는 표시이고, 여기에서는 3일분(2월 20일 내지 2월 22일)이 개시되어 있다. 도 8a에서는 예를 들면, 2월 20일의 오전 6시경에 머리부(12)를 30° 올리고, 그 후 일단 0°로 되돌린 후, 75°(최대 각도)로 올린 것을 알 수 있다. 도 8b에서는 2월 20일의 오전 3시경에 다리부(13)를 일단 25° 올리고, 그 후 일단 10°로 되돌린 후, 오전 6시경에 다시 25°로 올린 것을 알 수 있다. 도 8c에서는 2월 20일의 오전 10시경에 침대(1)의 높이를 35cm로 올리고, 그 후 정오경에 65cm(최대 높이)로 올린 것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 8의 이들의 선도가 한개의 그래프에 정리되는 동시에(도 9a), 연동·머리부·다리부·높이의 각각의 조작 상황이 플롯 표시된다(도 9b). 이 도 9의 표시에 의해, 각 구동부의 동작의 상호 관계가 명확해져, 도 8에서는 잘 알 수 없는 머리부(12)와 다리부(13)의 연동 상황도 파악할 수 있다. 도 8, 도 9를 보면, 침대(1)에서의 각 구동부의 동작은 머리부(12)가 가장 빈번하고, 이어서 다리부(13)가 많고, 침대 높이를 바꾸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리부의 동작은 연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단독 동작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애니메이션 표시나 도 8, 9의 그래프 표시는 단순한 스위치의 ON/OFF가 아니라, 침대(1)의 사용자(케어 대상자, 환자, 케어 시설 입거자 등)의 매일매일의 생활 상황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생생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이것을 의사나 케어 매니저 등의 전문가가 분석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생활 상황을 더욱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어 대상자가 목이나 허리의 아픔을 호소하고 있는 경우, 그 원인의 하나가 취침시의 머리부나 다리부의 경사 각도에 있을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케어 매니저 등에 의한 케어 플랜 작성을 서포트할 수 있어, 케어 대상자에게 맞는 더욱 섬세한 케어 플랜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간호자나 케어 매니저 등이, 침대를 사용자가 잘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에서는 침대(1)에 장착된 컨트롤 박스(2)로부터 조작 이력정보를 침대(1) 밖으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유선·무선수단을 통해서 원격지에 설치된 서버에 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격지에 있는 의사나 케어 매니저 등이 침대의 사용 상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어, 침대의 적절한 사용방법을 케어 대상자나 간호자 등에게 정확하게 어드바이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어 시설 내에 서버를 설치하여, 그 입거자에 대하여, 침대(1)의 사용 상황의 관리나, 조작 이력정보에 근거하는 건강 관리 등을 일괄로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침대 높이로 인한, 간호인의 부담도 검토할 수 있다. 즉, 침대 높이가 낮아 간호인 부담이 큰 경우에는 간호시의 침대 높이를 올리도록 간호인에게 조 언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이들의 정보는 컴퓨터(5)나 휴대전화(6)로 원격지에서도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어 매니저 등이나 떨어져 살고 있는 가족도 이들의 정보에 의해, 케어 대상자의 생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재해시나 케어 대상자에게 무언가 일어난 경우 등의 긴급시에도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누적시간 표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대(1)의 통전시간이나 각 구동부의 작동시간의 누적 합계가 표시된다. 또한, 에러가 있는 경우에는 그 이력도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침대(1)의 통전시간 합계는 2073시간 35분이고, 같은 시간만큼 컨트롤 박스(2)도 작동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머리부(12)의 작동시간 합계는 5시간 49분, 다리부(13)의 작동시간 합계는 1시간 49분, 높이 조정의 작동시간 합계는 36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손잡이 스위치(18)로 동작 직후에 코드 U2의 에러가 발생한 것도 알 수 있다. 이들의 표시는 오로지 메인터넌스용으로 사용되고, 액추에이터부(16a 내지 16c) 등의 각 구동부의 수명이나 메인터넌스 시기를 떨어진 장소에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회사나 메인터넌스회사 등에서는 이 표시에 기초하여 보수계획을 입안할 수 있는 동시에, 에러 이력에 근거하는 보수나 신속한 고장 대응이 가능해진다.
한편, 수치 표시에서는 각 구동부의 구동량이 리얼타임으로 표시되지만, 과거의 어떤 시점에서의 구동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수치 표시는 다른 표현형태를 수반하지 않는 생생한 수치 데이터이고, 이것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케어 매니저 등이 케어 대상자의 상태를 독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계 표시에서는 어떤 기간 내에서의 각 구동부의 구동량의 평균치나 최대치, 최소치, 최빈치, 표준편차, 분산 등이 표시된다. 단, 이들의 값을 모두 표시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고, 각 통계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통계치의 선택은 초기 설정의 형태이어도 좋고, 사용자에 의한 지정이어도 좋다. 이 통계 표시에 의해, 일정기간에서의 각 구동부의 구동상태의 전체적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더욱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각종 표시용 데이터는 호스트 컴퓨터(4)에서는 데이터 가공수단(35 내지 37)으로 작성된다. 데이터 가공수단(35 내지 37)에서는 서비스 제공 접수부(33)의 지시에 근거하여, 조작 이력 데이터 보관부(32)에 보존된 조작 이력정보로부터 각종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한다. 데이터 가공수단(35)은 애니메이션 표시, 데이터 가공수단(36)은 그래프 표시, 데이터 가공수단(37)은 누적시간 표시용 데이터를 각각 작성한다. 각 데이터 가공수단(35 내지 37)에서 작성된 표시용 데이터는 가공정보 보존부(38)에 침대 ID 코드별로 보존된다.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는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표시 요구가 있는 시점에서, 그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 가공수단(35 내지 37)에 지시를 하여, 각종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한다. 작성된 데이터는 일단 가공정보 보존부(38)에 보존되고,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는 가공정보 보존부(38)에 액세스하여 사용자 원하는 표시용 데이터를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는 서비스 제공 접수부(33)로부터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5) 등으로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침대(1)에 관한 조작 이력정보가 원격지에 있는 각 사용자의 단말로 참조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전동휠체어를 대상으로 한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그 전동휠체어측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실시예 1과 같은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시스템은 도 1의 시스템과 같이, 전동휠체어(41; 재택 간호 기기(이하, 휠체어라고 약기함))의 조작 이력정보를 컨트롤 박스(42) 내에 격납하는 동시에, 무선 회선(3)을 통해서 이 조작 이력정보를 호스트 컴퓨터(4)로 송신한다
휠체어(41)에는 좌우의 구동륜(43a, 43b; 구동부)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륜(43a, 43b)에는 각각, 전동모터를 사용한 모터부(44a, 44b; 전기적 구동수단)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부(44a, 44b)에는 그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45a, 45b; 센서수단)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부(45a, 45b)에는 예를 들면, 홀 IC 등,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센서가 배치된다. 센서부(45a, 45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는 휠체어(41)에 장착된 컨트롤 박스(42; 제 1 제어수단)에 보내진다
컨트롤 박스(42) 내에는 센서부(45a, 45b)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전동모터의 회전 속도(회전수)를 산출하는 모터 회전 속도 검출부(46)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회전 속도는 모터 회전 속도 검출부(46)에서 산출되어 모터 구동 제어부(47)에 보내진다. 모터 구동 제어부(47)는 모터부(44a, 44b)의 작동 상황을 파악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 구동 제어부(47)에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사용되고, 도시하지 않는 CPU나 ROM, RAM, 타이머 등이 배치된다
컨트롤 박스(42)에는 또, 휠체어(41)의 조작 레버 스위치(48)와 접속된 조작 지령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 스위치(48)에는 조작 레버(51)와 조작 레버 센서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 레버(51)의 경사 방향이나 경사 각도가 조작 레버 센서부(52)에서 검지되어, 조작 지령부(49)에 보내진다. 조작 지령부(49)는 조작 레버 스위치(48)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근거하여, 조작 레버(51)의 경사 방향이나 경사 각도를 산출하여, 그 정보를 모터 구동 제어부(47)에 송출한다. 모터 구동 제어부(47)는 조작 지령부(49)로부터 보내진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부(44a, 44b)의 구동 패턴을 결정하고, 그 패턴에 따라서 모터부(44a, 44b)를 작동시킨다
요컨대, 조작 레버(51)가 전진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모터 구동 제어부(47)는 모터부(44a, 44b)의 양쪽의 전동모터를 순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것에 대하여, 조작 레버(51)가 후퇴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양측의 전동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한편, 레버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우측의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좌측의 전동모터의 구동력보다도 증대시킨다. 또한, 레버가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좌측의 전동모터의 구동력을 우측의 전동모터의 구동력보다도 증대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작 레버(51)를 진행방향측으로 넘어뜨리면 휠체어는 전진하여, 반대방향으로 넘어뜨리면 휠체어는 후퇴한다. 또한, 조작 레버(51)를 선회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넘어뜨리면, 휠체어가 그 방향으로 선회한다
전동모터를 작동시킬 때, 모터 구동 제어부(47)는 센서부(45a, 45b)의 검출치를 참조하면서 모터부(44a, 44b)를 피드백 제어한다. 구동륜(43a, 43b)은 현재의 주행속도를 고려하면서 휠체어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고, 휠체 어(41)는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속도로 이동한다. 이 경우, 휠체어의 속도, 즉, 전동모터의 구동량(회전수)은 조작 레버(51)의 경사 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 조작 레버(51)의 경사 각도에 임계치를 갖게 하고, 그 임계치에 도달한 경우, 조작 레버(51)가 그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져도 정속도(定速度)가 되는 제어를 하여도 좋다
상기 시스템에서도, 컨트롤 박스(42) 내에는 E2PROM을 사용한 조작 이력 기억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정보는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에 격납되고, 기억부 안이 가득차면 적절하게 호스트 컴퓨터(4)측으로 송신된다. 컨트롤 박스(42)에는 무선통신 모듈(23)을 구비한 통신 유닛(7)이 접속되어 있고,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정보는 컨트롤 박스(42)로부터 호스트 컴퓨터(4)에 무선송신된다. 도 1의 시스템과 같이, 호스트 컴퓨터(4)측으로 송신되어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공 블록이 생기면, 거기에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12, 도 13은 각 구동부의 동작처리 및 그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록할 때의 처리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의 처리도 도 3의 처리와 같이, 메인 스위치 ON과 함께, 예를 들면 5ms 간격으로 상시 실시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스텝 S31에서, 조작 레버(51)가 조작되어 경사 각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경사 각도가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 S1의 처리를 반복하고,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32 이하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서는 조작 레버(51)의 경사 방향과 경사 각도 및 휠체어의 주행속도로부터, 양 모터부(44a, 44b)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즉, 레버 경사 방향으로부터 사용자가 바라는 주행방향, 레버 경사 각도로부터 사용자가 바라는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센서부(45a, 45b)의 검출치로부터 구한 주행속도를 가미하여, 모터부(44a, 44b)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텝 S32에서 모터부(44a, 44b)의 구동력 조정을 한 후, 스텝 S33으로 진행하여, 센서부(45a, 45b)의 신호로부터, 현시점에서의 휠체어의 전후진 속도와 선회 각도를 판독한다
전후진 속도와 선회 각도를 취득한 후, 스텝 S34로 진행하여, 동작 데이터를 작성하여 이것을 일단, CPU의 RAM 영역에 기록한다. 동작 데이터에는 조작 레버(51)의 경사 방향/경사 각도, 휠체어(41)의 구동 속도/선회 각도가 포함되어 있다. 동작 데이터를 RAM 영역에 기록한 후, 조작 레버(51)가 소정시간(예를 들면 2초) 이상 계속하여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조작 레버(51)의 조작시간이 2초 미만인 경우에는 그대로 루틴을 뺀다. 즉, 동작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불필요한 데이터를 조작 이력 기억부(22)에는 격납하지 않고 도 12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도 3의 스텝 S7과 같이, 조작 이력 기억부(22)의 기억영역을 절약할 수 있다
스텝 S35에서 조작 레버(51)의 조작시간이 2초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하여 RAM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동작 데이터를 레버 조작시간과 함께, 동작 이력 데이터로서 새롭게 RAM 영역에 기록한다. 이 때, 배터리 잔량이나 TOTAL 주 행거리, 기록일시 등도 아울러 동작 이력 데이터로서 기록되고, 거기에는 레버 경사 방향/경사 각도/조작시간이나 휠체어 구동 속도/선회 각도 등, 레버 조작이나 휠체어의 주행 데이터가 세분화되어 RAM 영역에 기록된다. 동작 이력 데이터를 기록한 후, 스텝 S37에서, 새로운 동작 이력 데이터가 RAM 영역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세워 루틴을 뺀다
이와 같이, 도 12의 처리에서는 조작 레버(51)가 조작되면, 그 조작에 관련하는 동작 데이터가 RAM 영역에 일단 기록된다. 그 후, 조작 레버(51)의 조작시간이 판정되어, 소정시간 이상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의 데이터만이, 동작 이력 데이터로서 RAM 영역에 기록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시간 미만의 작은 스위치 조작은 선별되어 제외되고, 이력으로서 중요한 데이터만이 RAM 영역에 남겨진다
RAM 영역에 기록된 동작 이력 데이터는 도 13의 처리에 의해서,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조작 이력정보로서 격납된다. 도 13의 처리는 도 12의 처리보다도 빈도가 낮고, 예를 들면 1분 간격으로 상시 실시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스텝 S41에서 타이머가 스타트된다. 타이머의 스타트에 따라, 스텝 S42에서 경과시간이 판단되어, 1분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경과시간이 1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2의 처리(1분 경과 확인)를 반복한다
스텝 S43에서는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격납해야 하는 동작 이력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판단은 도 12의 스텝 S37에서 세워지는 플래그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플래그가 서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격납해야 하는 동작 이력 데이터는 없다고 판단하여 스텝 S45로 진행하고, 타이머 를 리셋하여 루틴을 뺀다. 이것에 대하여, 플래그가 서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4로 진행하여 RAM 영역 내의 동작 이력 데이터를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보내어, 조작 이력정보로서 격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에, 조작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반한 각 구동부의 동작 이력이 조작 이력정보로서 보존된다. 그리고, 데이터 격납 후, 스텝 S45로 진행하고, 타이머를 리셋하여 루틴을 뺀다
이러한 순서에서 선택되어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보내진 조작 이력정보는 도 1의 시스템과 같이, 조작 이력 기억부(22)에서 1블록 48비트의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조작 이력정보에는 레버 경사 방향/경사 각도/조작시간, 휠체어 구동 속도/선회 각도, 배터리 잔량, TOTAL 주행거리, 기록 일시가 포함되고, 도 5와 같이, 각각 수비트씩의 데이터로서 조작 이력 기억부(22)에 격납된다. 또, 각 휠체어(41)에도 개별로 ID 코드가 부가되어 있고, 이것도 아울러 격납된다
조작 이력 기억부(22) 내의 조작 이력정보는 기억부 안이 가득차면, 통신 유닛(7)을 통해서 적절하게 호스트 컴퓨터(4)측으로 송신된다. 호스트 컴퓨터(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이력정보를 데이터 접수부(31)에서 수신하고, 그 정보는 조작 이력 데이터 보관부(32)에 보존된다. 조작 이력정보는 데이터 가공수단(35 내지 37)에서 각종 표시용의 데이터로 가공되어, 컴퓨터(5) 등에는 표시용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종 표시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4)로부터, 그래프 표시나 애니메이션 표시로 조작 이력정보를 제공한다. 도 14는 그래프 표시, 도 15는 애니메이션 표시의 각각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그래프 표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4a에 휠체어(41)의 선 회방향과 그 각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b에 휠체어(41)의 주행방향과 그 속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의하면, 2005년 1월 20일의 오전 9시경에 휠체어(41)는 전진하면서 우선회한 것, 2005년 1월 20일의 오후 1시경에 활발히 움직여 전진이나 후진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전 11시경이나 오후 2시경에도 후진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애니메이션 표시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어떤 1일의 휠체어(41)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애니메이션으로 표시된다. 또한, 조작 레버(51)의 움직임이나, 배터리 잔량, 토탈 주행거리 등도 같은 화면에 표시된다. 또, 도 7과 같이,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띠나, 시계 등에 의한 시각 표시를 하여도 좋다
애니메이션 표시에서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조작 레버 표시(53)가 움직이고, 그와 함께 휠체어 표시(54)가 동작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2005년 1월 20일의 동작 이력을 표시시키면, 9:15의 표시와 함께 조작 레버 표시(53)가 우측 전방으로 넘어진 표시가 되고, 이에 따라, 휠체어 표시(54)가 전진하면서 우선회한다. 이때, 배터리 잔량이나 토탈 주행거리도 함께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측에서는 휠체어(41)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수치정보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동작도 용이하고 또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그래프 표시나 애니메이션 표시는 과거의 동작 이력뿐만 아니라, 휠체어(41)의 리얼타임의 동작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4의 그래프 표시나 도 15의 애니메이션 표시는 단순한 레버 조작의 유무뿐만 아니라, 휠체어(41)의 사용자의 매일매일의 생활 상황을 나타내는 정량적인 생생한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을 의사나 케어 매니저 등의 전문가가 분석함으로써, 케어 대상자의 생활 상황을 더욱 상세하게 알 수 있는 동시에, 휠체어(41)를 사용자가 잘 사용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휠체어(41)의 적절한 사용방법이나, 휠체어에서의 쾌적한 생활수법을 케어 대상자나 간호자 등에게 정확하게 어드바이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격지의 케어 매니저 등이나 가족이 케어 대상자의 생활 상황을 리얼타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재해시나 긴급시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본 시스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재택 간호 기기는 상술한 전동침대나 전동휠체어에는 한정되지 않고, 일어섬 보조의자 등의 다른 간호 기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일어섬 보조의자에 본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는 전동침대의 머리부 각도 조정부(12)나 다리부 각도 조정부(13) 등 대신에, 의자의 발판이나 시트부의 상승 각도나 높이를 조절하는 구동부가 감시 대상이 되고, 그 밖의 구성은 도 1의 시스템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침대 구동부의 전기적 구동수단은 전동모터와 액추에이터의 조합에는 한정되지 않고, 전동 액추에이터나 전동공압 작동의 액추에이터 등,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하는 수단이면 여러가지의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또, 컨트롤 박스(2)와 호스트 컴퓨터(4)의 사이는 유선 회선으로 접속하여도 좋다. 단,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무선송신을 하는 것이 침대(1)의 설치장소의 자유도는 향상 된다
덧붙여, 조작 이력 기억부(22)에서의 조작 이력정보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조작 이력정보를 다른 데이터 보존 형식으로 격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조작 이력 기억부(22)의 데이터 격납 용량(292블록)도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덧붙여, 호스트 컴퓨터(4)로부터 제공하는 데이터의 표시형태는 상술한 3형태나 도 7 내지 도 10, 14, 15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그래프 표시를 원그래프나 막대그래프의 표시로 하는 등, 여러가지의 표시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컨트롤러 박스(2, 42)와 호스트 컴퓨터(4)의 사이의 접속방법은 컨트롤 박스(2)를 상용 및 가정용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에 호스트 컴퓨터(4)에 접속되는 접속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컨트롤러 박스(2, 42)와 호스트 컴퓨터(4)의 사이는 가정 내의 경우에는 DOPA망 등의 무선을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통신하지만, 병원이나 노인홈 등의 시설에 본 시스템을 탑재한 재택 간호 기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통신 유닛으로부터 간호 기기를 시설 내의 무선 LAN 등에 유선으로 접속하여, 시설 내에 설치한 서버로 데이터 관리·열람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조작 이력정보가 서버로 송신된 후, 기기의 조작 상황이 미리 설정해 둔 조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경우에는 케어 매니저 등에게 E-Mail 등으로 자동적으로 그 취지를 통지하는 기능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 때의 설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정기간(3일간 등), 조작이 한번도 없는 경우나, 1일의 조작이 일정 회수 이상(100회 등)인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또, 이 설정 조건은 케어 매니저 등이 조작 이력정보를 열람하는 것과 같이, 퍼스널 컴퓨터(5)나 휴대전화(6) 등으로부터 호스트 컴퓨터(4)에 액세스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적어도 1개소의 구동부가 전기적 구동수단에 의해서 작동 가능한 재택 간호 기기와,
    상기 재택 간호 기기에서의 상기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수단과,
    상기 센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소정 형태로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제 2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접속되고, 상기 기억수단에 격납된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상기 제 1 제어수단 밖으로 송신 가능한 정보송신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정보송신수단으로부터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는 상기 구동부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복수개의 상기 구동부의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이력정보는 어떤 상기 구동부가 조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구동부가 조작된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부가 소정시간 이상 조작되어 있는 경우만, 상기 구동부의 동작 이력을 조작 이력정보로서 기억수단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애니메이션 표시, 그래프 표시, 누적시간 표시, 수치 표시 또는 통계 표시의 적어도 어느 1개의 표시형태로 상기 조작 이력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의 사이는 상기 정보송신수단을 통해서 통신 회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침대이고, 상기 구동부로서, 머리부 각도 조정부, 다리부 각도 조정부 및 침대 높이 조정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전동휠체어이고, 상기 구동부로서, 상기 전동휠체어의 전후진 동작 및 곡진(曲進)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택 간호 기기가 일어섬 보조의자이고, 상기 구동부로서, 상하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시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KR1020077025509A 2005-04-04 2006-03-23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KR20080003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7291 2005-04-04
JPJP-P-2005-00107291 2005-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99A true KR20080003399A (ko) 2008-01-07

Family

ID=3707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509A KR20080003399A (ko) 2005-04-04 2006-03-23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55216A1 (ko)
EP (1) EP1870068A1 (ko)
JP (1) JP4772784B2 (ko)
KR (1) KR20080003399A (ko)
CN (1) CN101151636A (ko)
TW (1) TW200704401A (ko)
WO (1) WO20061066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183B2 (en) 2008-02-01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ly customized electronic furniture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KR20200119299A (ko) * 2018-06-05 2020-10-1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시중 장치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5383B2 (ja) * 2008-09-22 2013-08-07 アズビル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
US8744523B2 (en) 2010-08-02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home monitoring
CA3089920C (en) 2010-10-12 2024-01-09 Smith & Nephew, Inc. A medical devic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remote computer system
US20120191476A1 (en) * 2011-01-20 2012-07-26 Reid C Shane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on, organization and display of ems information
US20120203491A1 (en) * 2011-02-03 2012-08-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aware control of sensors and sensor data
DE102011055362A1 (de) * 2011-11-15 2013-05-16 Dewert Antriebs- Und Systemtechnik Gmbh Anordnung mit einem elektromotorischen Möbelantrieb und einem Datengerä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zwischen dem elektromotorischen Möbelantrieb und dem Datengerät; und ein entsprechender Möbelantrieb
TW201321232A (zh) * 2011-11-25 2013-06-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動輪椅之煞車控制系統及方法
JP6064255B2 (ja) * 2012-10-26 2017-01-25 公益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操作状態計測システム、操作状態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37649B2 (en) 2013-03-14 2017-08-22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CN103230325A (zh) * 2013-04-27 2013-08-07 永康市陆坦工贸有限公司 一种自动式智能病床
CN103637890B (zh) * 2013-11-27 2016-08-17 南京畅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体感控制病床升降系统
FI20145128L (fi) 2014-02-10 2015-08-11 Murata Manufacturing Co Varhainen akuutin kaatumisriskin havaitseminen
CN105455984A (zh) * 2014-08-27 2016-04-06 天津康丽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床头
CA2902102C (en) * 2014-08-27 2023-02-14 Umano Medical Inc. Systems for patient support surface orientation and displacement
CN104503488A (zh) * 2014-12-26 2015-04-08 天津工业大学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床
CN105982798A (zh) * 2015-01-28 2016-10-05 燕铁斌 电动起立床可编程动态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6137628A (zh) * 2015-04-02 2016-11-23 江苏慧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护理床管理系统
EP3360063A1 (en) 2015-10-07 2018-08-15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CA3023932A1 (en) 2016-05-13 2017-11-16 Smith & Nephew, Inc. Automatic wound coupling detection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EP3519002A2 (en) 2016-09-29 2019-08-07 Smith & Nephew, Inc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components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US20190008720A1 (en) * 2016-10-21 2019-01-10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daptive body positioning during chest compressions
JP6828483B2 (ja) * 2017-02-08 2021-02-10 ニプロ株式会社 輸液装置の管理システム、輸液装置の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805550B (zh) * 2017-02-27 2019-11-08 宁波光芒新科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医院家属监护椅
WO2018189823A1 (ja) * 2017-04-12 2018-10-18 株式会社Fuji 介助装置のデータ取得装置
JP6990040B2 (ja) * 2017-04-28 2022-01-12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システム
WO2019014141A1 (en) 2017-07-10 2019-01-17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DIRECTLY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A WOUND PROCESSING APPARATUS
JP7337362B2 (ja) * 2017-08-03 2023-09-04 株式会社ケープ エアマット制御装置およびエアマット制御方法
US20190231079A1 (en) * 2018-01-26 2019-08-01 Fredman Brothers Furniture Company, Inc. Voice activated adjustable bed system
JP7019800B2 (ja) * 2018-04-11 2022-02-15 株式会社Fuji 介助情報システム
GB201820668D0 (en) 2018-12-19 2019-01-30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escribed wound therapy
RU2696105C1 (ru) * 2019-03-29 2019-07-3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абилитик"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CN109984897A (zh) * 2019-04-16 2019-07-09 上海理工大学 一种基于人机交互的无线智能控制轮椅床系统
CN111329696B (zh) * 2020-03-13 2022-05-31 浙江佑仁智能机器人有限公司 一种转运护理机器人的控制系统
JP7240740B2 (ja) * 2020-08-04 2023-03-16 レナード株式会社 美容支援システム、及び美容支援方法
US20220415493A1 (en) * 2021-06-28 2022-12-29 Hill-Rom Services, Inc. Remote diagnostics for patient beds
JP2023161203A (ja) * 2022-04-25 2023-11-0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446041B1 (ja) 2023-10-20 2024-03-08 祐次 廣田 在宅介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747B2 (ja) * 1993-10-07 2000-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踏切遮断竿撮影装置
US5704366A (en) * 1994-05-23 1998-01-06 Enact Health Management Systems System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medical measurements
JPH09214872A (ja) * 1996-01-30 1997-08-15 Sony Corp 情報信号処理装置及び情報信号処理方法
JP2865161B2 (ja) * 1996-02-20 1999-03-0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運転記録機能を備えた電動ベッドの動作制御システム
US6032119A (en) * 1997-01-16 2000-02-29 Health Hero Network, Inc. Personalized display of health information
JPH1133002A (ja) * 1997-05-19 1999-02-09 Global:Kk 介護システム
JPH1155761A (ja) * 1997-07-29 1999-02-26 Zojirushi Corp 生活モニターシステム
JPH1176217A (ja) * 1997-09-02 1999-03-23 Yamasa Tokei Keiki Kk 動物用運動量計
JPH11306473A (ja) * 1998-04-21 1999-11-05 Mitsubishi Heavy Ind Ltd 異常検知システム
JP2000135243A (ja) * 1998-10-29 2000-05-16 Hiroshi Takei 立ち上がり補助椅子
JP2000182166A (ja) * 1998-12-18 2000-06-30 Aisin Seiki Co Ltd 被介護者安否確認システム
JP3098997B1 (ja) * 1999-05-06 2000-10-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介護支援装置
JP2000347731A (ja) * 1999-06-04 2000-12-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自動収集装置
JP2001054176A (ja) * 1999-08-06 2001-02-23 Sanyo Electric Co Ltd 家庭内電気機器の電力制御システム
WO2001089362A2 (en) * 2000-05-19 2001-11-29 Welch Allyn Protocol Inc. Patient monitoring system
JP2003111157A (ja) *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統合コントローラ、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US20050101841A9 (en) * 2001-12-04 2005-05-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ealthcare networks with biosensors
JP4256660B2 (ja) * 2002-11-05 2009-04-22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用センサーシート及び介護用ベッドの支援装置
JP4307153B2 (ja) * 2003-05-21 2009-08-0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4輪駆動式電動車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183B2 (en) 2008-02-01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ly customized electronic furniture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KR20200119299A (ko) * 2018-06-05 2020-10-1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시중 장치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106607A1 (ja) 2008-09-11
US20090055216A1 (en) 2009-02-26
WO2006106607A1 (ja) 2006-10-12
TW200704401A (en) 2007-02-01
CN101151636A (zh) 2008-03-26
JP4772784B2 (ja) 2011-09-14
EP1870068A1 (en)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3399A (ko) 재택 간호 기기 모니터 시스템
US8266742B2 (en) Biometric bed configuration
JP4338494B2 (ja) 電動ベッドの動作制御装置
EP2689763A1 (en) Proxy caregiver interface
EP2030602A2 (en) Mattress for a hospital bed for use in a healthcare facility and management of same
US11410771B2 (en) Patient care devices with open communication
JP2014198244A (ja) 汎用介護者インターフェース
US9922533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cleaning of a medical apparatus
CA3140320A1 (en) Caregiver assistance system
EP3640950B1 (en) Patient care system for a home environment
US11800997B2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 support apparatuses and patient fall risks
JP4514038B2 (ja) 電動ベッドの動作制御装置
CN1907215A (zh) 一种全自动护理床椅综合监控系统
KR20170135336A (ko) 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5996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in a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220122724A1 (en) Caregiver assistance system
CN200939130Y (zh) 一种全自动护理床椅综合监控系统
US112787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and quantifying patient mo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