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35U -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 Google Patents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35U
KR20080002635U KR2020070000525U KR20070000525U KR20080002635U KR 20080002635 U KR20080002635 U KR 20080002635U KR 2020070000525 U KR2020070000525 U KR 2020070000525U KR 20070000525 U KR20070000525 U KR 20070000525U KR 20080002635 U KR20080002635 U KR 200800026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neck
spout
toner
toner containe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711Y1 (ko
Inventor
전문배
Original Assignee
전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문배 filed Critical 전문배
Priority to KR2020070000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1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충전 구멍의 크기에 구애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테이퍼(taper)진 용기 병목에 주둥이를 크기를 조절하면서 형성하기 위한 절단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절단홈들을 형성함으로서 작업자가 직접 주둥이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형성할 수 있게 하여 카트리지의 충전 구멍의 크기에 구애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과 같은 깔때기의 사용을 탈피하게 한다.
인쇄기, 카트리지, 토너(toner), 테이퍼, 병목, 절단홈

Description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Toner Container Having Function for Regulating Mouth Siz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Ⅰ-Ⅰ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모양의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모양의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인쇄기의 카트리지 1a:충전 구멍
10:용기 몸체 11:통체
12:병목 13:주입구
15:홈부 17:주둥이
21:마개 31a∼31c:절단홈
본 고안은 프린터나 복사기에 인쇄를 위해서 주입되는 토너(toner)를 수용하 는데 사용되는 토너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주둥이의 크기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프린터나 복사기(이하, "인쇄기"라고 통칭한다)는 검은색 탄소 가루인 토너를 주입하여 인쇄를 실시하는데, 인쇄기의 유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 다 쓴 카트리지에 구멍을 뚫어 토너를 재충전함으로서 재생하여 사용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처럼 카트리지를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토너는 병모양의 용기에 넣어져 판매되는데, 그러나 기존의 용기 주둥이는 그 주둥이를 통해서도 토너가 충전되기 때문에 그 충전작업이 용이하도록 보통 크게 형성된 채로 고정되기 때문에 나중에 토너의 토출량 조절이 어려워, 카트리지의 충전 구멍이 작을 경우에는 그 충전 구멍에 맞게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넣어야 하므로 카트리지의 재생작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토너를 넣다가 잘못하여 많은 량이 토출되면 주변으로 흩어져 주위의 물건을 더럽히는 문제와 함께 혹 바람 등에 날려 비산하면 사람에게 흡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주둥이에 깔때기를 끼워 사용해야만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주둥이의 크기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카트리지의 충전 구멍의 크기에 구애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를 이루는 주둥이를 형성하면서 단부는 폐쇄된 병목부와 병목부와 반대쪽으로 상기 병목부와 연락되는 넓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부와 하부몸체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토너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게 한 마개를 갖는 주입구로 이루어진 연질의 수지재질로 된 용기 몸체; 및 상기 병목부의 원하는 부위를 절단할 수 있게 상기 병목을 따라서 주벽부에 거리를 두고 요입 형성되며, 상기 병목의 절단시 노출되는 주둥이의 직경 크기에따라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단홈들을 포함하는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목부는 직립 혹은 굽은 구조중 어느 하나를 이루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목으로부터 절단된 부분은 상기 병목의 주둥이에 거꾸로 끼워져 마개기능을 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의 바닥부에는 상기 마개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홈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Ⅰ-Ⅰ선 단면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너용기의 사용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모양의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모양의 토너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너용기는 양단이 막힌 통체(11)의 일단을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늘려 테이퍼(taper)진 병목(12)을 형성한 용기 몸체(1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기 몸체(10)는 그 타단에 내부와 연락하는 마개(21)로 개폐되는 주입구(13)를 형성하여 그 주입구(13)를 통해서 인쇄기 카트리지(1)에 재충전될 토너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용기 몸체(10)는 그 타단에 상기 마개(21)를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고 수용하기 위한 홈부(15)를 형성하여 상기 마개(21)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바닥으로부터 똑바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용기 몸체(10)의 병목(12)에는 절단홈(31a∼31c)이 길이를 따라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홈들(31a∼31c)은 상기 병목(12)에 주둥이(17)를 크기를 조절하면서 형성하기 위한 절단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단홈들(31a∼31c)은 칼날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함으로서 상기 병목(12)을 쉽게 절단하여 상기 주둥이(17)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절단홈들(31a∼31c)을 따라 상기 병목(12)을 절단하면, 크기가 서로 다른 상기 주둥이(17)가 상기 병목(12)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병목(12)의 끝단에 인접하는 절단홈(31a)을 따라 잘라 크기가 가장 작은 상기 주둥이(17)를 상기 병목(12)에 형성하 면, 카트리지(1)에 천공된 충전 구멍(1a)이 작아도 깔대기 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재충전할 수 있고, 카트리지(1)가 대용량이여서 충전 구멍(1a)이 크면, 상기 통체(11)에 인접하는 절단홈(31c)을 따라 잘라 크기가 가장 큰 상기 주둥이(17)를 상기 병목(12)에 형성함으로서 토너를 쉽고 빠르게 재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둥이(17)의 크기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의 충전 구멍(1a)의 크기에 구애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절단홈들(31a∼31c)의 개수는 카트리지(1)의 충전 구멍(1a)의 크기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기 때문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상기 병목(12)은 원형의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병목(12)을 제외한 상기 통체(11)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중 어느하나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도1 및 도5 참조).
또한 토너가 액상이 아니라 가루이기 때문에 상기 병목(12)을 통과하는 동안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 몸체(10)는 상기 통체(11)를 눌러 펌핑작용이 가능하도록 말랑말랑하면서도 플랙셔블한 수지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와 같이, 상기 병목(12)은 상기 용기 몸체(10)를 기우렸을 때에 토너가 갑자기 빠져 나오지 않도록 상기 통체(11)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토너 대신 액상의 잉크를 상기 카트리지(1)에 재충전할 때에 그 흘러나옴을 아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주둥이(17)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병목(12)으로부터 절단된 부 분은 상기 주둥이(17)에 거꾸로 끼워져 주둥이 마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병목(12)으로부터 절단된 부분은 그 모양이 원추형이기 때문에 상기 주둥이(17)에 거꾸로 끼우면 훌륭한 주둥이 마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주둥이의 크기를 작업자가 직접 조절하면서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카트리지의 충전 구멍의 크기에 구애없이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면서 쉽게 재충전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기존과 같은 깔때기의 사용을 탈피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를 이루는 주둥이를 형성하면서 단부는 폐쇄된 병목부와 병목부와 반대쪽으로 상기 병목부와 연락되는 넓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부 몸체부와 하부몸체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토너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게 한 마개를 갖는 주입구로 이루어진 연질의 수지재질로 된 용기 몸체; 및
    상기 병목부의 원하는 부위를 절단할 수 있게 상기 병목을 따라서 주벽부에 거리를 두고 요입 형성되며, 상기 병목의 절단시 노출되는 주둥이의 직경 크기에따라 토너의 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단홈들을 포함하는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부는 직립 혹은 굽은 구조중 어느 하나를 이루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으로부터 절단된 부분은 상기 병목의 주둥이에 거꾸로 끼워져 마개기능을 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부에는 상기 마개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홈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KR2020070000525U 2007-01-11 2007-01-11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KR200441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25U KR200441711Y1 (ko) 2007-01-11 2007-01-11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525U KR200441711Y1 (ko) 2007-01-11 2007-01-11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35U true KR20080002635U (ko) 2008-07-16
KR200441711Y1 KR200441711Y1 (ko) 2008-09-03

Family

ID=4149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525U KR200441711Y1 (ko) 2007-01-11 2007-01-11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36B1 (ko) * 2013-03-06 2015-02-11 주식회사신도리코 2성분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현상제 파우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36B1 (ko) * 2013-03-06 2015-02-11 주식회사신도리코 2성분 화상 형성 장치용 카트리지 및 현상제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711Y1 (ko)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4037B2 (en) Liquid container
JP6775992B2 (ja)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US5607003A (en) Thermoplastic closure for a fluid container and system for refilling a fluid resevoir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JP5428468B2 (ja) 詰替え容器用口栓および詰替え容器
KR200441711Y1 (ko) 주둥이 크기의 조절기능을 갖는 토너용기
JPH08119306A (ja) 詰替え容器の吐出口構造
JP2022009509A (ja) 液体吐出装置
KR101920370B1 (ko) 잉크 공급장치
JP7174593B2 (ja) 注出スパウト及び詰め替え容器から包装容器への内容物補充方法
JPH11236068A (ja) 容 器
CN211617053U (zh) 一种墨水补充容器
JP2011020742A (ja) 繰り返し使用容器
KR200404024Y1 (ko) 재활용 토너용기
JP3128592U (ja) インク注入具
JP5032268B2 (ja) 泡噴出容器
JP6895765B2 (ja) キャップ
KR101265726B1 (ko) 액체 공급 장치
KR101719414B1 (ko) 프린터용 잉크공급용기
JP2018070162A (ja) インク補給方法、インク補給容器、及びインクタンク
JP2010274998A (ja) 詰め替え容器
KR20220158125A (ko) 전량 소진 가능한 리필 구조를 갖는 용기
KR101028069B1 (ko)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KR200490015Y1 (ko)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JP4165465B2 (ja) 密閉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