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069B1 -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069B1
KR101028069B1 KR1020090002109A KR20090002109A KR101028069B1 KR 101028069 B1 KR101028069 B1 KR 101028069B1 KR 1020090002109 A KR1020090002109 A KR 1020090002109A KR 20090002109 A KR20090002109 A KR 20090002109A KR 101028069 B1 KR101028069 B1 KR 10102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main body
hole
ink cartridge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810A (ko
Inventor
이덕선
Original Assignee
이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선 filed Critical 이덕선
Priority to KR102009000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의 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통공 및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캡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리막을 마련하여 상기 분리막의 하방에는 스폰지가 마련되고 상방에는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여, 항상 잉크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할 수 있어 잉크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노즐의 손상의 방지 및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잉크 및 스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외부에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되는 스폰지(120);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마련되고 어느 일측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132)이 형성한 분리막(130);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이 폐쇄되도록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통공(142)이 형성된 상단막(140); 및 상기 상단막(140)의 통공(142)을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공기구멍(152)이 형성된 캡(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트리지, 잉크충전, 잉크보충

Description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The ink cartridge that it is easy to fill ink}
본 발명은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카트리지의 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통공 및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캡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리막을 마련하고 상기 분리막의 하방에 스폰지가 마련되며 상방에는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여, 항상 잉크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노즐의 손상의 방지 및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파일(문서, 그림 등)을 출력할 때에는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프린터는 크게 리본을 이용하는 도트방식, 토너를 이용하는 레이저방식, 잉크를 이용하는 잉크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도트방식 프린터는 저가라는 장점은 있으나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레이저방식 프린터는 구입비용 및 유지비용(토너 및 현상기의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으로, 단색 및 컬러 지원이 다양한 개인용 또는 일반업무용으로 잉크방식 프린터를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잉크방식 프린터는 일측에 용지의 투입 및 인쇄 완료된 용지를 배출하도록 출입어셈블리가 구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본체 내로 투입된 용지의 횡방향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잉크를 뿌려주도록 가이드레일을 따라 왕복하며 내부에 잉크가 충전된 잉크카트리지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잉크카트리지는 교체 또는 잉크충전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잉크방식 프린터가 보급된 초기에는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강구되지 않았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카트리지의 사용횟수가 1회로 한정되어 잉크방식 프린터의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음은 물론, 산업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잉크가 소진된 카트리지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로 다양한 형태의 충전도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초기에 개발된 충전도구는 주사기 형태로서, 잉크병에 담겨진 잉크를 사용자가 강제 압입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주사기 형태의 충전도구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충전작업이 번거로웠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기를 이용하여 충전할 때에는 잉크가 충전됨에 따라서 카트리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어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최근에는 잉크카트리지의 전용 잉크충전기가 구비된 전문충전소에 가서 충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문충전소까지 이동해야되는 번거로움과 함께 시간적 낭비 및 잉크충전비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잉크카트리지의 본체는 불투명으로 잉크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일정사용시간이 경과하거나 인쇄상태를 봐서 충전시기를 결정하게 됨에 따라 효율적인 잉크충전에 제한적이었다.
더불어, 잉크카트리지에 잉크충전량이 소모된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경우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노즐에 잉크가 굳어 재사용이 불가하다는 재활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잉크카트리지에는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않은 밀폐형상으로 내부에 항상 일정압이 작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잉크충전시 내부압력에 의해 원활한 충전을 방해함은 물론, 상기와 같이 노즐에 잉크가 굳어버리는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카트리지의 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통공 및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캡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이에 적어 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리막을 마련하고 상기 분리막의 하방에 스폰지가 마련되며 상방에는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여, 항상 잉크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노즐의 손상의 방지 및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는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어 상기 잉크로 인쇄하는데 사용되며, 잉크방식 프린터에 착탈되도록 마련된 잉크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는 내부에 잉크 및 스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외부에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스폰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마련되되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스폰지를 분리시키며 상기 배출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충전된 잉크를 하방의 스폰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분리막;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단이 폐쇄되도록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사용자가 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단막; 및 상기 상단막의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에 압력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단막의 어느 일측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을 더 형성하고; 상기 캡에는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상기 상단막의 공기구멍을 통해 본체의 내부에 압력발생을 방지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은 하방에 나선을 형성하여 상단막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며 상단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기를 형성하여 캡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분리막이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단턱부는 본체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1/2 또는 1/3 비율을 가지는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의 높이에 맞춰 스폰지의 높이를 설정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다른 색상을 가지는 잉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분리격벽을 더 형성하고;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스폰지, 분리막, 통공 및 캡이 각각 마련되도록;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잉크카트리지의 본체를 투명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통공 및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캡을 구성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일정높 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분리막을 마련하고 상기 분리막의 하방에 스폰지가 마련되며 상방에는 잉크가 저장되도록 하여, 항상 잉크의 충전상태를 육안으로 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노즐의 손상의 방지 및 자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잉크카트리지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잉크 주입을 용아하도록 하는 잉크충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잉크카트리지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잉크카트리지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상쇄시켜 종래와 같이 내부압력에 의해 잉크충전을 제한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잉크카트리지(10)는 내부에 잉크가 충전 저장되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마련되는 스폰지(12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마련되는 분리막(130)과,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시키는 상단막(140), 및 상기 상단막(14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캡(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수용공간(112)의 일정높이에 마련되어 분리막(130)이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114)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턱부(114)는 내주면을 따라 일정폭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리막(130)의 일정높이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턱부(114)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을 상광하협형상으로 상단보단 하단이 좁아지는 기울기를 형성하여, 상기 기울기에 의해 분리막(130)이 억지끼움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단턱부(114)의 고정높이는 본체(110)의 높이를 기준으로 1/2 또는 1/3 정도의 비율에 맞춰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외부에서 내부의 잉크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폰지(120)는 종래와 같이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되어 잉크를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막(130)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마련된 단턱부(114)에 안착 고정되는 것으로, 어느 일측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막(130)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12) 단턱부(114)에 안착시키고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시켜 배출공(132) 이외의 공간으로 잉크가 새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분리막(130)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을 상, 하방으로 분 리시켜, 상기 수용공간(112)으로 충전되는 잉크가 상기 분리막(130)의 배출공(132)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상단막(140)은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시키도록 고정되는 것이며, 어느 일측에는 주사기등을 이용하여 본체(110)의 내부에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42)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통공(142)은 캡(150)이 나선에 의한 체결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암나사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단막(140)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스폰지(120) 및 분리막(130)을 구성한 후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시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캡(150)은 상기 상단막(140)의 통공(142)에 착탈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하방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방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돌기(1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150)을 관통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구멍(152)을 통해 밀폐되도록 구성된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외부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압력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캡(150)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상단막(14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캡(150)을 상단막(140)의 통공(142)에서 이탈시켰을 때 망실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끈을 더 구성할 수도 있 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잉크카트리지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잉크방식 프린터에 마련된 잉크카트리지는 본체(110)가 내부의 육안식별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체임으로 인쇄작업을 통해 잉크의 소모량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잉크의 충전을 요할 경우, 상단막(140)의 통공(142)에 끼워진 캡(150)을 분리시킨 후 상기 개방된 통공(142)으로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잉크를 충전하게 되며, 또한 잉크충전량을 육안으로 식별함에 따라 보충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잉크의 과도한 충전을 예방할 수 있는 충전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통공(142)을 통해 충전되는 잉크는 분리막(130)에 의해 일차적으로 본체(110)의 상방에 머물며, 상기 분리막(130)의 배출공(132)을 통해 하방의 스폰지(120)로 흡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폰지(120)로 잉크 흡수가 완료되면 분리막(130)의 배출공(132)을 통해 잉크 배출이 중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분리막(13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112)의 상방으로 잉크가 수집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잉크충전이 완료되면 개방된 통공(142)에 캡(150)을 삽입시켜 잉크충전작업을 완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결합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단막(140)의 어느 일측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144)을 형성하되, 캡(150)에는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단막(140) 및 캡(150) 각각에 공기구멍(144)(152)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는 다른 색상을 가진 잉크를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분리격벽(116)을 더 형성한다.
물론, 상기 복수의 분리격벽(116)에 의해 분리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112) 각각에는 스폰지(120), 분리막(130)과, 통공(142), 및 캡(150)을 형성함에 따라 일명 '컬러 잉크카트리지'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잉크카트리지 110: 본체
112: 수용공간 114: 단턱부
116: 분리격벽 120: 스폰지
130: 분리막 132: 배출공
140: 상단막 142: 통공
144: 공기구멍 150: 캡
152: 공기구멍 154: 돌기

Claims (5)

  1.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어 상기 잉크로 인쇄하는데 사용되며, 잉크방식 프린터에 착탈되도록 마련된 잉크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카트리지(10)는
    내부에 잉크 및 스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외부에서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되는 스폰지(120);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마련되되 접착제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13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스폰지(120)를 분리시키며 상기 배출공(132)을 통해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 충전된 잉크를 하방의 스폰지(120)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분리막(130);
    상기 본체(110)의 개방된 상단이 폐쇄되도록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한 융착으로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통공(142)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142)으로 사용자가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으로 잉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단막(140); 및
    상기 상단막(140)의 통공(142)을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152)이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부에 압력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캡(15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막(140)의 어느 일측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구멍(144)을 더 형성하고;
    상기 캡(150)에는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상기 상단막(140)의 공기구멍(144)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에 압력발생을 방지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캡(150)은 하방에 나선을 형성하여 상단막(140)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며 상단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돌기(154)를 형성하여 캡(15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는 분리막(130)이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단턱부(11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수용공간(112)에는 다른 색상을 가지는 잉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분리격벽(116)을 더 형성하고;
    상기 분리격벽(116)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스폰지(120), 분리막(130), 통공(142) 및 캡(150)이 각각 마련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KR1020090002109A 2009-01-10 2009-01-10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KR10102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09A KR101028069B1 (ko) 2009-01-10 2009-01-10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09A KR101028069B1 (ko) 2009-01-10 2009-01-10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810A KR20100082810A (ko) 2010-07-20
KR101028069B1 true KR101028069B1 (ko) 2011-04-08

Family

ID=426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109A KR101028069B1 (ko) 2009-01-10 2009-01-10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54B1 (ko) * 2021-09-16 2022-02-08 (주)토너월드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985A (ja) * 1993-08-31 1995-03-0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一体型カートリッジ
JPH10787A (ja) 1996-06-13 1998-01-06 Minolta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20030093768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카트리지
JP2007326256A (ja) 2006-06-06 2007-12-20 Enex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インク充填方法、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0985A (ja) * 1993-08-31 1995-03-0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一体型カートリッジ
JPH10787A (ja) 1996-06-13 1998-01-06 Minolta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20030093768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카트리지
JP2007326256A (ja) 2006-06-06 2007-12-20 Enex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インク充填方法、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810A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1265A (ko) 기록 장치
US9694586B1 (e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er, enabling refilling of ink by user
US11667123B2 (en) Ink refill container and ink refill system
ITTO980187A1 (it) Cartuccia di inchiostro per registratori a getto di inchiostro.
EP081610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illing a print cartridge
KR102127954B1 (ko) 잉크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1028069B1 (ko)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JP4541258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8357212B (zh) 液体喷射系统以及用于控制液体喷射系统的方法
JP2003205624A (ja) プリンタ、プリンタ用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残量の表示方法
US8651640B2 (en) Ink supply structur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EP1364795A2 (en) Ink cartridge
US20220314632A1 (en) Liquid container
CN207481459U (zh) 一种分体结构的墨盒
KR20060119272A (ko) 잉크 카트리지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잉크팩 교환방법
US20050162489A1 (en) Inkjet printer ink cartridge
JP6056723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キャップ
JPH09174870A (ja) インク補充装置
US11376860B2 (en) Printing fluid container
CN202507678U (zh) 一种可填充墨水的喷墨打印机用墨盒
KR100908806B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인쇄장치용 조립식 잉크 카트리지
TWI331570B (en) Print ink cartridge for continuous ink supply system
CN211617053U (zh) 一种墨水补充容器
TWI546202B (zh) 分離式列印墨匣
JP322566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