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754B1 -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754B1
KR102355754B1 KR1020210123808A KR20210123808A KR102355754B1 KR 102355754 B1 KR102355754 B1 KR 102355754B1 KR 1020210123808 A KR1020210123808 A KR 1020210123808A KR 20210123808 A KR20210123808 A KR 20210123808A KR 102355754 B1 KR102355754 B1 KR 10235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toner cartridge
inlet
installation convenienc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호
Original Assignee
(주)토너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너월드 filed Critical (주)토너월드
Priority to KR102021012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서 상기 토너유입부의 상부에는 위치확보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 장치 시의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의 설치 편의성과 위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TONER CATRIDGE}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 이용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고,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발명이다.
사무기기로 이용되는 레이저 프린터 장치나 복사기는 토너로써 화상을 형성한 후, 이를 종이와 같은 매체에 전사함으로써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린터 장치를 이용한 인쇄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토너가 소모되므로, 일정 인쇄 작업 기간 경과 후에는 토너 카트리지 내의 토너들이 모두 소진된다.
오래 전에는, 프린터 장치용 토너 카트리지가 일회용으로 제작되어, 사용 후에는 폐기물로 처리되어 왔다.
그런데, 근래 토너를 쉽게 보충할 수 있도록 프린터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가 개발 보급되고 있다.
또한, 폐자원의 재활용과 경비 절감을 위해 토너 카트리지를 재생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된 토너 카트리지를 회수 후 소모된 토너를 충진하여 다시 사용하는 실정이다.
도 1 은 공개 특허공보 제 10-2011-0107256 호와 관련된 종래 실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는 프린터 장치로 공급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110)와 프린터 장치에서 전사에 이용된 후 수거된 수거 토너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단 부분의 마개(112)를 개방하여 새로운 토너를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10)에 충진한 상태에서, 상기 마개(112)를 폐쇄한 후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에 장착한다.
상기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미도시)에 장착하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10)에 형성된 토너배출부(130)가 프린터 장치에 형성되는 결합홈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프린터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토너배출부(130)에 배치되는 결합돌출부(132) 부분으로 전달된다.
상기 토너배출부(130) 내부에는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가 배치되어,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블레이드 역시 회전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토너가 상기 토너배출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개구(13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된 토너는 프린터 장치에 설치되는 이송용 블레이드의 작용에 의해 토너 전사를 위한 감광드럼 측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종래 토너 카트리지(100)를 프린터 장치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하는 때에,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이 프린터 장치의 상기 결합홈 부분이나 타 구성요소에 부딪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 장치에 장착되더라도, 회전력을 원활히 전달받지 못하게 되어, 토너를 프린터 장치로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결합돌출부(132) 부분은 프린터 장착 시 외부에서 그 파손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토너 카트리지 또는 프린터 장치의 구성들에 익숙한 전문 인력이 아닌 경우, 인쇄가 되지 않는 문제의 원인을 찾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 장착 시 발생되는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너 카트리지 장착의 편의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서 상기 토너유입부의 상부에는 위치확보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유입부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너배출부와 토너유입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의 측부에는 측부지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측부지지부가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부지지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부지지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와 동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에는 가이드부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측면에 압력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배출공은 외부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공에는 압력배출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압력배출마개에는 공기배출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상기 토너유입부의 수직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토너 카트리지 장착 시의 파손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토너 충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의 설치 편의성과 위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결합돌출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압력배출공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압력배출공에 끼워지는 압력배출마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결합돌출부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압력배출공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8 은 상기 압력배출공에 끼워지는 압력배출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1 과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는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10)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미도시)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20)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12)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14)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50)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30)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32)과,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38)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34)와,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3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서 상기 토너유입부(50)의 상부에는 위치확보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36)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에 수용되는 베이스부(364)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32)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364)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프린트 장치로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대략 아래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새 토너를 주입할 토너주입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주입구(12)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14)가 결합 배치된다.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토너배출부(30)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배출관(32)과,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배치되어 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3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블레이드(34)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 수용되는 토너를 상기 배출관(3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38)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회전력전달부(36)와 이송블레이드(34)들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38)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36)와 이송블레이드(34)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구(38)가 폐쇄된다.
상기 이송블레이드(34)의 단부에는 회전력전달부(36)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36) 부분이 프린터장치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회전력전달부(36)는 프린터장치 측에 배치되는 회전력발생부(미도시)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36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36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하여,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는 상기 베이스부(36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 내부로 소정의 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에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와 만나는 측의 반대편 단부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364)는 대략 5 mm 내외의 깊이로 상기 배출관(32)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돌출부(362)가 상기 배출관(32)의 외부로 돌출되어, 프린터장치 측의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결합돌출부(362) 부분이 부주의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혀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히는 부분은 주로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 부분이 되며, 이때 상기 배출관(32)의 외측 단부 부분이 상기 결합돌출부(362)에 대한 보호벽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64)가 상기 배출관(32)의 내부에 일정 깊이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단부 부분만이 상기 배출관(32)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물체가 상기 결합돌출부(362)에 닿을 수 있는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만약 상기 결합돌출부(362) 부분이 외부 물체와 부딪히는 경우에도 가급적 작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파손의 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하부에는, 프린트 장치(미도시)에서 전사 단계 후에 감광드럼에 잔류하여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로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5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유입부(50)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유입관(52)과, 상기 유입관(52)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송블레이드(54)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블레이드(54)에 의해, 상기 유입관(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입구(58)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20) 내부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블레이드(54)의 단부 역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에 결합되는 경우, 회전력전달부(56)와 이송블레이드(54)들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58)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가 프린터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력전달부(56)와 이송블레이드(54)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구(58)가 폐쇄된다.
상기 이송블레이드(54)의 단부에도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56)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전달부(56) 역시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562)와, 상기 결합돌출부(562)와 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56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564) 역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52)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하여, 상기 배출관(52)의 외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564)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부(564)가 상기 배출관(52) 내부로 소정의 깊이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부(564) 역시 대략 5 mm 내외의 깊이로 상기 배출관(52)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562)의 외측 단부는 상기 배출관(52)의 외측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돌출부(562)가 상기 배출관(52)의 외부로 돌출되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결합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결합돌출부(562) 부분이 부주의에 의해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 주변과 부딪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564)가 상기 배출관(52)의 내부에 일정 깊이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출부(562)의 단부 부분만이 상기 배출관(52)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의 물체가 상기 결합돌출부(562)에 닿을 수 있는 부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만약 상기 결합돌출부(562) 부분이 외부 물체와 부딪히는 경우에도 가급적 작은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의 설계와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가 한 쌍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토너배출부(30)만이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외부의 물체와 부딪혀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에 나눠져 가해지는 것도 요인이 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돌출 형성되는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에 의해 토너 카트리가 장착에 적합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장착 위치로 이동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 중 하나만이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만을 프린터장치의 결합부분에 끼우면 되기에,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프린터장치로 장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 상기와 같이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모두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결합돌출부(362, 562)들을 모두 프린터장치의 결합부분에 끼워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므로, 하나의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무의식적으로 더욱 올바른 장착 위치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의 파손 및 고장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서 상기 토너유입부(50)의 상부에는 위치확보가이드부(7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는 상기 토너유입부(5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한 선(H)에 그 중심이 배치되도록 상기 토너유입부(50)의 수직 상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에 비해 더욱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가 상기 토너유입부(50)와 토너배출부(30)에 비해 더욱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의 위치로써 상기 토너유입부(5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너배출부(30)와 토너유입부(50)에 비해 토너토너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사람의 시야에 더욱 잘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시야에 잘 보이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와 그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토너유입부(50)로서,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를 감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는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린터 측에 원기둥 형태 또는 절두원추 형태의 결합 공간(미도시)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를 더욱 용이하게 감각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착탈결합 방식으로서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의 후단부(72)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도 결합개구(1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개구(13)에 결합용 나사산을 형성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의 후단부(72)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6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결합개구(13)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토너 카트리지 생산과 운반 시에는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를 분리 생산 및 운반하도록 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프린터에 장착 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70)를 결합한 상태에서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의 측부에 측부지지부(366)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5 에서 상기 토너배출부(30)의 결합돌출부(362)에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토너유입부(50)의 결합돌출부(562)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외면에서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상기 결합돌출부(362)와 상기 베이스부(364)가 만나는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측부지지부(366)는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측부지지부(366)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의 외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상기 배출관(32) 내부에 배치되면서도 그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부지지부(366)가 상기 결합돌출부(362)의 측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관(32) 또는 유입관(52)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 부분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파손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에는 가이드부(37, 57)가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7, 57)는 대략 외측 모서리 부분이 절단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7, 57)의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상기 배출관(32)과 유입관(52)으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와 대략 동일하게 돌출되도록 구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대략 1 mm 내지 2 mm 더욱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이드부(37, 57)가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올바른 장착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외부 물체에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들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충돌방지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상기 토너 카트리지 변위에 따라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에 작용될 수 있는 비틀림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토너 카트리지 교체 시 발생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기 결합돌출부(362, 56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면에 압력배출공(16)이 형성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에 새로운 토너 충진 시, 상기 마개부(14)를 개방한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충진하는데, 토너 충진을 위해 작용되는 압력이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야 토너 충진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토너 카트리지들은 상기 마개부(14)가 형성되는 부근 즉,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상면에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었다.
토너 충진을 위해 작용되는 압력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에서 수직 하방으로 작용되므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바닥 부분에 부딪힌 토너들이 반작용에 수직 상방으로 튀어오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토너 충진을 위해 가해지는 압력이 높을 수록, 압력배출을 위한 개구 부분으로 토너가 미세하게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에서는 토너 충진을 위한 압력이 수직 하방으로 작용됨에 비해, 상기 압력배출공(16)이 상기 압력이 작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방을 향하여 형성된다.
그리하여, 토너 충진 시 작용되는 압력에 따른 반작용으로 튀어오르는 토너들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배출공(16)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측면에서 내부(In)로부터 외부(Out)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압력에 의해 충진되는 토너들이 유동되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토너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압력은 충분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압력배출공(16)이 마치 디퓨져(Diffuser)의 원리로 형성되는데, 디퓨져는 공간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압력이 커지는 기계 요소이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의 내측 압력에 비해 외측 압력이 더욱 높아지므로, 압력은 배출되지만 상기 제 1 토너수용부(10) 내부의 토너들이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배출공(16)에는 압력배출마개(162)가 결합된다.
도 8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배출마개(162)에는 공기배출개구(16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배출마개(162)는 많은 기공들을 포함하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많은 미세한 공기배출개구(164)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압력배출마개(162)를 압력배출공(16)에 끼운 상태에서도, 토너 충진을 위한 압력은 외부로 배출되면서도 토너들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제 1 토너수용부
20: 제 2 토너수용부
30: 토너배출부
32: 배출관
34: 이송블레이드
50: 토너유입부
52: 유입관
70: 위치확보가이드부

Claims (17)

  1. 프린트 장치에 공급될 새 토너를 수용하는 제 1 토너수용부와;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린트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토너수용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로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토너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주입구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하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토너수용부의 상단부에는 프린터 장치로부터 수거되는 토너를 유입시키기 위한 토너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토너배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수용되는 토너를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서 상기 토너유입부의 상부에는 위치확보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만나는 부분은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로부터 미리 지정된 깊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유입부는,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구로 유입되는 토너를 상기 제 2 토너수용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블레이드와,
    상기 이송블레이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프린터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프린터장치의 회전력발생부와 착탈결합되기 위한 결합돌출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에 수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의 단부는 상기 유입관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배출부와 토너유입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측부에는 측부지지부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측부지지부가 상기 배출관 또는 유입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지지부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면에서 등간격으로 4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의 외단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단부와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에는 가이드부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과 유입관의 외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너수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의 측면에 압력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공은 외부를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직경을 갖는 절두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공에는 압력배출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압력배출마개에는 공기배출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마개는 발포된 합성수지재 또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상기 토너유입부의 수직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보가이드부는 상기 제 1 토너수용부에 착탈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KR1020210123808A 2021-09-16 2021-09-16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KR10235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08A KR102355754B1 (ko) 2021-09-16 2021-09-16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08A KR102355754B1 (ko) 2021-09-16 2021-09-16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754B1 true KR10235575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808A KR102355754B1 (ko) 2021-09-16 2021-09-16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75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423A (ja) * 1998-10-16 2000-04-2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剤容器
JP2003156946A (ja) * 2001-11-21 2003-05-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60103083A (ko) * 2005-03-25 2006-09-2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 장치
KR20080071739A (ko) * 2007-01-31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00082810A (ko) * 2009-01-10 2010-07-20 이덕선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KR20110107256A (ko) * 2010-03-24 2011-09-30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분체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30029793A (ko) * 2010-12-28 2013-03-25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KR20170110730A (ko) * 2010-06-11 2017-10-1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정보 저장 장치가 탈착 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7219725A (ja) * 2016-06-08 2017-12-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2018028648A (ja) * 2016-06-24 2018-02-22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423A (ja) * 1998-10-16 2000-04-2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剤容器
JP2003156946A (ja) * 2001-11-21 2003-05-3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60103083A (ko) * 2005-03-25 2006-09-28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 장치
KR20080071739A (ko) * 2007-01-31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00082810A (ko) * 2009-01-10 2010-07-20 이덕선 잉크 충전이 용이한 잉크카트리지
KR20110107256A (ko) * 2010-03-24 2011-09-30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분체 수용 용기 및 이를 이용한 현상 장치, 화상 형성 유닛,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70110730A (ko) * 2010-06-11 2017-10-1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정보 저장 장치가 탈착 장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29793A (ko) * 2010-12-28 2013-03-25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JP2017219725A (ja) * 2016-06-08 2017-12-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
JP2018028648A (ja) * 2016-06-24 2018-02-22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1730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US4878603A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EP1184738B1 (en) Container, its support structure and an image formation apparatus
RU25454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дачи тонера в тонер-картридж
KR100490387B1 (ko) 인쇄기용 잉크 리필장치
JP2009122543A (ja)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JP2009122546A (ja) 現像剤収容装置及びこの現像剤収容装置が着脱される画像形成装置
KR102355754B1 (ko) 설치 편의성이 증대된 토너 카트리지
KR102396917B1 (ko) 토너 카트리지
JP4562941B2 (ja) 画像形成装置
JP4338740B2 (ja) 現像剤収容体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88414A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JP2010117603A (ja) 現像剤補給容器
US7817945B2 (en) Developer cartridge and method of recycling the developer cartridge
CN112105506B (zh) 空气清除
KR10047763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리필 카트리지
US7130566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200025329A (ko) 주사기형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플런저 로킹 구조
JPH11212350A (ja) 粒子を貯蔵する装置、現像剤ユニットおよび電子写真プリント装置
JP3917761B2 (ja) トナー補給装置
KR20060034168A (ko) 화상형성기기의 상형성장치
CN212781672U (zh) 显影剂补充装置
JP3993939B2 (ja) 剤収納容器
JP2020046610A (ja)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230054104A (ko) 토너 배출구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