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15Y1 -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 Google Patents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15Y1
KR200490015Y1 KR2020170005290U KR20170005290U KR200490015Y1 KR 200490015 Y1 KR200490015 Y1 KR 200490015Y1 KR 2020170005290 U KR2020170005290 U KR 2020170005290U KR 20170005290 U KR20170005290 U KR 20170005290U KR 200490015 Y1 KR200490015 Y1 KR 200490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p
ink container
ink cartridg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05U (ko
Inventor
전승규
Original Assignee
(주)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잉크테크
Priority to PCT/KR2017/0112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70807A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은 일측에 잉크 용기의 주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캡 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잉크 배출통로와 공기 유입통로로 분리하는 분할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통로의 내측 단부에는 공기 유입통로를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튜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잉크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INK CONTAINER CAP FOR REFILLING INK CARTRIDGE}
본 고안은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는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서 시중에 많이 보급되고 있으나 잉크젯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는 비교적 고가에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잉크카트리지는 그대로 두고 잉크만을 주사기형태의 잉크주입기로부터 보충받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5116호 '원터치 잉크 주입기'에서는 잉크주입기 상단에 원터치 개폐 캡을 결합하여 한 손으로 개폐 캡을 밀폐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잉크 용기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하여 카트리지에 잉크를 주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개폐 캡만으로 잉크가 수용된 잉크주입기 내부를 밀폐할 경우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 잉크 주입기에 바늘을 결합한 후 상기 잉크주입기를 잉크카트리지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개폐 캡이 밀폐위치에 있음에도 주입바늘을 통해 잉크가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상기 원터치 개폐 캡을 사용할 경우 잉크주입기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를 1/4 이상 사용하여 잉크주입기 내부의 빈공간이 많아지면 개폐 캡이 밀폐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잉크가 흘러나와 주변 및 카트리지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 형태의 용기는 잉크의 배출시간이 길기 때문에, 잉크카트리지 충전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대용량 잉크카트리지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병 타입의 충전 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잉크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와, 이 주입구를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며, 마개를 열고 주입구를 통해 잉크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잉크를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병 타입의 리필 용기는 상기와 같은 주사기 형태의 용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
하지만, 병 타입의 용기는 잉크를 배출하기 위해 용기를 기울이면 용기에서 배출되는 잉크가 주입구로 들어오려는 공기를 차단하면서 용기 내부가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잉크의 배출 흐름에 역행하여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잉크의 흐름을 막으면서 잉크의 배출을 방해하게 된다. 이때, 계속하여 잉크의 배출을 시도하게 되면 용기 내부로 불규칙하게 유입되는 공기 때문에 잉크의 배출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잉크의 배출 흐름을 조절하기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충전용 잉크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잉크가 잉크카트리지에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고 주변으로 튀거나 한꺼번에 쏟아져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잉크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5116호 (2008.12.10.공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잉크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캡 본체를 잉크 용기에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잉크 용기의 주입구를 마감하는 밀폐막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측에 잉크 용기의 주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캡 본체;와, 상기 토출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잉크 배출통로와 공기 유입통로로 분리하는 분할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통로의 내측 단부에는 공기 유입통로를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튜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에 부착되는 밀폐막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결합부와 잉크 용기의 주입구가 상호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주입구를 마감하는 밀폐막을 절개할 수 있도록 선단이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는 캡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장튜브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격벽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마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는 토출구의 단부에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잉크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이 제공된다.
또한, 캡 본체를 잉크 용기에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잉크 용기의 주입구를 마감하는 밀폐막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작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캡 본체를 잉크 용기 주입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은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에 결합되는 것으로, 캡 본체(110)와 분할격벽(120)과 절개부(130) 및 마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 본체(110)는 일측에 플레이트(115)가 형성된 원형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 내주면에는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에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에는 제1결합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112)의 하단에는 단턱(113)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13)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개(140)와 연결되는 힌지(114)가 형성되며, 내부 상면에는 플레이트(115)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5)의 중앙에는 슬리브 형태로 돌출되어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토출구(116)가 형성된다.
잉크 용기(C)와 본 고안의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은 예를 들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캡본체(110)의 결합부(111)는 도 3 등에서와 같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잉크 용기(C)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을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은 도 1의 (a)에서와 같이 다수 개의 일자형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물결형 돌기나 점형 돌기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민무늬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분할격벽(120)은 상기 토출구(116)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116)를 잉크 배출통로(121)와 공기 유입통로(122)로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잉크 배출통로(121)가 공기 유입통로(122)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도록 토출구(116)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통로(122)의 내측 단부에는 공기 유입통로(122)를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시키는 연장튜브(12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유입통로(122)는 도 1 등에서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에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토출구(116)보다 작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이외 다양한 다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할격벽(1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 3의 (a)에서는 절곡부가 분할격벽(120)의 상단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도 3의 (b)에서는 절곡부가 분할격벽(120)의 상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공기 유입통로(122)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개부(130)는 상기 결합부(111)와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주입구(C1)를 마감하는 밀폐막(C2)을 절개할 수 있도록 선단이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기 토출구(116)의 내측 단부에 돌출 형성된다. 절개부(130)가 밀폐막(C2)을 확실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절개부(130)의 선단은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부(130) 선단의 측면 형상은 예를 들어, 구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칼날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130)는 토출구(116)의 내측 단부의 어느 곳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 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장튜브(123)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30)는 1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절개부(1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개의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절개부(130)가 다수 개인 경우 잉크 용기(C)에 대하여 캡을 약간만 회전시키더라도 밀폐막(C2)이 더욱 더 편리하게 절개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140)는 일측이 마감된 원형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구측 단부의 외주면 일측이 상기 캡 본체(110)의 힌지(114)에 연결되고, 개구측 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12)와 맞물릴 수 있는 제2결합돌기(141)가 형성되고, 내측면 중 개구측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토출구(116)의 단부에 접촉할 수 있는 O-링 형태의 실링부재(142)가 마련된다. 이러한 마개(140)는 힌지(114)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캡 본체(1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결합돌기(112)와 제2결합돌기(141)가 맞물린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토출구(116)를 마감하여 토출구(116)를 통해 잉크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140)가 캡 본체(110)에 힌지 결합하는 경우, 상기 분할격벽(120)과 절개부(130)와 마개(140)는 합성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캡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 유입통로(122)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조립하거나, 복잡한 성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다.
마개(140)는 도 1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출구(116)에 맞물리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개(140)와 캡 본체(110)는 별도로 형성되거나 유연하고 긴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작용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캡 본체(110)는 결합부(111)가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에 결합되고, 마개(140)는 캡 본체(110)의 상단 일측에 힌지(11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위치에 따라 캡 본체(110)의 토출구(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110)에 형성된 토출구(116)는 분할격벽(120)에 의해 잉크 배출통로(121)와 공기 유입통로(122)로 분할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잉크 배출통로(121)가 기울이는 방향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캡 본체(110)의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잉크 용기(C)를 기울이면,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잉크가 상기 토출구(116)의 잉크 배출통로(121)로 배출되므로, 상기 토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는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주입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격벽(120)에 의해 잉크 배출통로(121)와 분리된 공기 유입통로(122)는 잉크 배출통로(12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잉크가 잉크 배출통로(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통로(122)를 통해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가 잉크 배출통로(121)를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잉크 용기(C)를 기울여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잉크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 유입통로(122)의 내측단부에는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튜브(123)가 형성되어 공기 유입통로(122)가 연장되므로, 잉크 용기(C) 내부공간에서 잉크 배출통로(121)로 배출되는 잉크가 공기 유입통로(122)의 내측단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의 배출 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통로(122) 측으로 잉크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잉크의 배출을 순조롭게 할 수 있으므로, 잉크를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잉크의 쿨렁거림을 방지하여 깔끔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분할격벽(1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절곡부(124)가 형성되면 공기 유입통로(122) 내로 잉크가 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분할격벽(120)의 하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연장튜브(123)의 하단부 위치의 절곡부(124)는 잉크 배출통로(121)의 반대편을 향해 절곡되는 것이 잉크(C) 용기를 기울였을 때 잉크가 공기 유입통로(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장튜브(123)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공기 유입통로(122)로의 잉크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고안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의 캡 본체를 잉크 용기 주입구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114)를 통해 연결된 마개(140)를 폐쇄위치로 회동하면, 상기 마개(140)의 단부가 상기 캡 본체(110)의 단턱(113)에 밀착된 상태에서 캡 본체(110)의 제1결합돌기(112)와 마개(140)의 제2결합돌기(141)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마개(14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결합돌기(112)와 제2결합돌기(141)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마개(140)의 내측면에 마련된 실링부재(142)가 토출구(116)의 개구측에 밀착되면서, 상기 토출구(116)가 수밀한 상태로 밀폐된다.
특히, 상기 캡 본체(110)의 내측에 형성된 절개부(130)는 선단부가 뾰족한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본체(110)를 잉크 용기(C)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절개부(130)의 선단부는 주입구(C1)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즉, 캡 본체(110)의 결합부(111)를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를 캡 본체(110)의 결합부(1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캡 본체(110)를 회전시키면, 절개부(130)의 선단부가 캡 본체(110)와 함께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점진적으로 하강하면서, 주입구(C1)를 마감하고 있는 밀폐막(C2)을 원호형으로 절개하므로, 밀폐막(C2)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잉크 용기(C)의 주입구(C1)에 붙어있는 밀폐막(C2)을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는 과정에서, 잉크 용기(C)가 흔들려 잉크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개부(130)에 의해 절개된 밀폐막(C2)은 캡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절개부(130)의 반대편에 위치한 연장튜브(123)에 의해 가압되어 잉크 용기(C)의 내부공간을 향해 접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절개된 밀폐막(C2)에 의해 잉크 배출통로(121)가 막혀 잉크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은 상기한 특징들을 구현할 수 있다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a)의 연장튜브(123)와 달리, 도 7과 같이 연장튜브(123)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고, 마개(140)는 캡 본체(110)에서 완전히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캡 본체 111 : 결합부
112 : 제1결합돌기 113 : 단턱
114 : 힌지 115 : 플레이트
116 : 토출구 120 : 분할격벽
121 : 잉크 배출통로 122 : 공기 유입통로
123 : 연장튜브 124 : 절곡부
130 : 절개부 140 : 마개
141 : 제2결합돌기 142 : 실링부재
C : 잉크 용기 C1 : 주입구
C2 : 밀폐막

Claims (7)

  1. 일측에 잉크 용기의 주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캡 본체;
    상기 토출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를 잉크 배출통로와 공기 유입통로로 분리하는 분할격벽; 및
    상기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상기 토출구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에 부착되는 밀폐막을 절개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유입통로의 내측 단부에는 공기 유입통로를 잉크 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하며 잉크 용기의 주입구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연장튜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캡 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연장튜브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절개부에 의해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주입구에 매달린 밀폐막이 상기 연장튜브에 의해 잉크 용기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결합부와 잉크 용기의 주입구가 상호 맞물리는 과정에서 상기 주입구를 마감하는 밀폐막을 절개할 수 있도록 선단이 돌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1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격벽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7. 제 1항,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마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상기 마개의 내측면에는 토출구의 단부에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KR2020170005290U 2016-10-12 2017-10-12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KR200490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1259 WO2018070807A1 (ko) 2016-10-12 2017-10-12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86 2016-10-12
KR20160005886 2016-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05U KR20180001105U (ko) 2018-04-20
KR200490015Y1 true KR200490015Y1 (ko) 2019-09-10

Family

ID=6207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290U KR200490015Y1 (ko) 2016-10-12 2017-10-12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1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4349A (ja) * 2001-07-25 2003-02-04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付開封刃内蔵口栓
US20090277859A1 (en) * 1998-05-26 2009-11-12 Bapco Closures Research Ltd. Cap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781A (ja) * 1994-08-17 1996-03-05 Toyo Kagaku Kk 液体容器の注出具
KR20070055116A (ko) 2005-11-25 2007-05-30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장비의 클램프 교정 지그 및 교정 방법
KR20130022148A (ko) * 2011-08-25 2013-03-06 주식회사 성림정공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인너캡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7859A1 (en) * 1998-05-26 2009-11-12 Bapco Closures Research Ltd. Cap Closure
JP2003034349A (ja) * 2001-07-25 2003-02-04 Toppan Printing Co Ltd 不正開封防止付開封刃内蔵口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05U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1702T3 (es) Pieza de acoplamiento de clic y fijación para elementos dispensadores intercambiables
BR112017023278B1 (pt) Recipiente de fluido de impressão, arranjo de sistema de impressora e método de carregamento de uma fonte de fluido de impressão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JP4808415B2 (ja) 2成分混合容器
KR20190094162A (ko)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KR200490015Y1 (ko)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JP2004051104A (ja) 二成分混合噴射装置
JP7282571B2 (ja) 液体収容ボトル
JP6576258B2 (ja) 抜栓付き吐出キャップ
JP3005966U (ja)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再充填用インク注入器具
JP404806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JP5806051B2 (ja) 注出キャップ
JP6391487B2 (ja) スクイズ吐出容器
WO2018070807A1 (ko) 잉크 카트리지 충전용 잉크 용기 캡
JP2007252759A (ja) 点眼薬容器
JP7229639B2 (ja) 吐出容器
KR20180136415A (ko) 이중 캡이 구비된 접착제 용기
JP4502261B2 (ja) 二重容器用注入容器
JP6547573B2 (ja) 移送用キャップ、及びそれを挿嵌した移送用容器
JP4683265B2 (ja) 二重容器用注入容器
JP5467990B2 (ja) 液体噴出容器
KR200495716Y1 (ko) 위험용액 안전저장구조를 포함하는 2중구조 캡
CN211617053U (zh) 一种墨水补充容器
JP2005239223A (ja) スタンディング薄肉容器
KR101468504B1 (ko) 음용수병에 장착되는 캡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