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732A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732A
KR20080001732A KR1020060059587A KR20060059587A KR20080001732A KR 20080001732 A KR20080001732 A KR 20080001732A KR 1020060059587 A KR1020060059587 A KR 1020060059587A KR 20060059587 A KR20060059587 A KR 20060059587A KR 20080001732 A KR20080001732 A KR 2008000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renade launcher
sensing terminal
launcher simulation
persona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3162B1 (ko
Inventor
임승찬
백인찬
이강훈
강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Priority to KR102006005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162B1/ko
Priority to US12/308,857 priority patent/US20090305197A1/en
Priority to PCT/KR2007/003009 priority patent/WO2008002036A1/en
Publication of KR2008000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C27/06Adaptations of smallarms for firing grenades, e.g. rifle grenades, or for firing riot-control ammunition; Barrel attach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6Mort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중앙 제어 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사격 정보가 수신되면, 유탄의 탄착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중앙 제어 장치 또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수신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와 탄착점의 위치 정보의 비교를 통해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중앙 제어 장치 또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사격 위치 및 피격 위치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탄 발사기를 실화기 특성과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유탄 발사기, 모사, 지그비, 무선 통신망

Description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격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타임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202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제어부
204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격발신호 입력부
206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그비 통신 모듈
208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전자 나침반
209 :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메모리부
210 : 중앙 제어 장치
211 : 중앙 제어 장치의 제어부
212 : 중앙 제어 장치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213 : 중앙 제어 장치의 DGPS 비콘 신호 수신부
220 : 개인용 감지 단말기
221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
222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223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GPS 신호 수신부
224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DGPS 모듈
225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상황 알림부
226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표시부
227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메모리부
229 :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
본 발명은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제의 유탄 발사기 장치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모의 방법을 제공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앙 제어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해 동안 군(軍)에서는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을 병사들의 훈련에 도입함으로써 실제와 유사한 모의 전투 훈련을 수행하여 왔다.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은 M16, K2 등의 소총류나 기관총의 총열에 실탄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발사기(Small Arms Transmitter)를 장착하고, 헬멧 등에 레이저 감지장치를 부착한 적 병사 또는 적 무기 시스템에 레이저를 발사함으로써, 피격 여부를 판단하는 훈련 방식이다. 이와 같은 다중 통합형 레이저 교전 시스템은 실제 살상을 하지 않고도 적과의 교전 훈 련이 가능하므로 병사 개개인의 전투 능력 향상과 지휘관들의 지휘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유탄 발사기를 모의 훈련하기 위한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그런데, 유탄 발사기에서 발사되는 유탄은 곡선을 이루면서 나아가는 곡사화기이므로,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실제의 유탄 발사기를 그대로 모사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곡사화기의 경우에는 탄이 포물선 탄도를 형성한 후 한 지점에 떨어져서 피폭 범위를 형성하지만 레이저를 발사하는 경우에는 그 직진성으로 인하여 레이저빔의 경로 상에 있는 모든 대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처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2-22033호의 '모의 교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전술한 특허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특허에 따른 모의 교전 시스템은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곡사화기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복잡한 D-CODE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폭 위치 및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복잡한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실제의 유탄 발사기는 곡사화기이므로 언덕이나 장애물을 넘어가서 목표물에 투하될 수 있으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서 발사된 레이저는 직진하게 되므로 언덕이나 장애물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실제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레이저광이 아닌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곡사화기인 유탄 발사기의 발사 특성을 실화기와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화기 특성과 유사한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장애를 받지 않는 고성능의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유탄발사기 모의 장치는,
자신의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격발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격발신호 입력부와,
지향 방향과 고각을 감지하는 전자 나침반과,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지향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자신의 식별 정보를 패킷화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할당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신호수신부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만약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 및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격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할당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신호수신부와,
기설정된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기설정된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만약 상기 제1 통신 인터페 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 및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격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또는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통신하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중앙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 정보 전송 모듈 및 DGPS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모듈은 GPS 신호 수신부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GPS 신호에 대한 오차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신호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을 더 구비하고, 만약 외부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사망 여부 및/또는 피해 여부를 계산하고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특히,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주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신 선점권을 획득하고, 생성된 상기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른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격 결과 알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결과 정보로부터 피격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피격 위치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 및 제3 특징에 따른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격 정보는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임의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와 연동되어 유탄 발사기를 모사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외부의 DGPS 기지국으로부터 GPS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DGPS 신호를 수신하는 DGPS 비콘 신호 수신부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방송 모듈 및 피격 정보 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만약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방송 모듈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된 피해 결과 정보를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각 병사가 소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의 하나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자신의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나침반과,
외부로부터 격발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격발 신호에 따라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격발 신호 입력부와,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 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자신이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GPS 신호 수신부와,
만약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외부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피해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각 병사가 소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의 하나에 등 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와,
자신의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나침반과,
외부로부터 격발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격발 신호에 따라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격발 신호 입력부와,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 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자신이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GPS 신호 수신부와,
만약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만약 외부로부터 상기 유 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피해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5 특징 및 제6 특징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2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결과 정보로부터 피격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표시부에 자신의 위치 및 피격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5특징 및 제6특징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또는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RF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로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및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5 특징 및 제6 특징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GPS 신호 수신부에 의한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동기화되어 있으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일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하여 각 주기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활성화된 시간동안에만 데이터를 전송하여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앙 제어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들을 이용하여 실제의 유탄 발사기를 그대로 모사할 수 있게 된다.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2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200)는 실제의 유탄 발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수가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작동된 다. 사수에 의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 및 고각 등의 사격 정보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200)는 제어부(202), 격발신호 입력부(204), 지그비 통신 모듈(206), 전자 나침반(208) 및 메모리부(209)를 구비한다.
상기 격발신호 입력부(204)는 사수 등에 의해 방아쇠가 당겨지면 격발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20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자 나침반(208)은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206)은 지그비(Zigbee)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설정 등록된 개인 감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9)에는 초기 등록 과정에 의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소지한 병사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부여된 식별 번호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202)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격 정보 전송 모듈(2021) 및 초기 등록 모듈(2023)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2)의 사격 정보 전송 모듈(2021)은, 격발신호 입력부(204)를 통해 외부로부터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208)으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들 및 상기 메모리부(209)에 저장된 자신의 식별 정보를 패킷화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206)을 통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설정 등록된 해당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02)의 초기 등록 모듈(2023)은, 외부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식별 번호 및 등록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식별 번호를 상기 메모리부(209)에 저장한다. 상기 식별 번호는 상기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도 자신의 메모리부에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2)는 사격 결과 표시 모듈(202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2)의 사격 결과 표시 모듈(2025)은,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해당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자신의 위치 및 피해 결과 정보에 따른 피격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그 결과,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사격한 병사는 자신의 사격 결과를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개인용 감지 단말기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 지 단말기(22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는 훈련에 참가하는 모든 병사들이 소지하는 것으로서, 제어부(22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22), GPS 신호 수신부(223), DGPS 모듈(224), 상황 알림부(225), 표시부(226), 메모리부(227) 및 지그비 통신 모듈(229)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22)는 외부의 중앙 제어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22)는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229)은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인접한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자신에게 설정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등과 같은 화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그비 통신 모듈(229)은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22)에 비해 가까운 거리의 대상물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226)는 LCD, PDP 등과 같은 패널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특히,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유탄 발사 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의한 피격 위치 및 자신의 위치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피격 결과를 해당 병사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GPS 신호 수신부(223)는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21)로 전송한다. 상기 GPS 신호 수신부(223)는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GPS 신호 수신부(223)가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GPS 모듈(224)은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22)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DGPS 비콘 신호 수신부로부터 GPS 신호에 대한 오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GPS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신호 수신부(223)에 의해 수신된 GPS 위치 정보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221)로 제공한다.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상황 알림부(225)는 스피커 또는 LED와 같은 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221)의 제어에 따라 해당 병사의 생사 여부에 관한 정보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 및 기타 상황 정보들을 스피커 또는 LED등을 통해 해당 병사에게 알려준다. 여기서, 피해 결과 정보는 사망의 경우 뿐만 아니라 비록 피해는 입지 않았으나 주변에서 피폭이 일어난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훈련 병사에게 이 사실을 상황 알림부를 통해 알려 주어, 훈련 병사가 상 황 판단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메모리부(227)는 초기 등록 과정에서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부여된 일련 번호,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를 소지하는 병사가 소지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그 외에 해당 병사가 소지하는 다른 종류의 화기 및 탄약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의 제어부(221)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화기 등록 모듈(230), 위치 정보 전송 모듈(232), 사격 정보 전송 모듈(234), 피해 정보 전송 모듈(236), 사격 결과 알림 모듈(238)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21)의 화기 등록 모듈(230)은, 초기 등록 과정에서 임의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220)를 소지한 병사가 소지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그 외의 화기들에 대한 정보를 해당 병사가 소지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각각 등록하는 모듈이다. 상기 화기 등록 모듈에 의하여, 각 병사가 소지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해당 병사가 소지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자신의 메모리부(227)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상기 제어부(221)의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모듈(232)은, 기설정된 일정 시간주기 마다 또는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GPS 신호 수신부(223) 및 DGPS 모듈(224)을 통해 자신의 정확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 일정 시간마다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거나,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는 경우에도 정확한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1)의 상기 사격 정보 전송 모듈(234)은,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지그비 통신 모듈을 통해 자신의 메모리부(227)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지향 방향 및 고각 등을 포함하는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지향 방향 및 고각과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수학식을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236)은, 외부로부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사망 여부 또는 피해 여부를 계산하고, 만약 자신이 사망하거나 피해 지역내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탄착점으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은 사망 지역으로서 '피해 지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피해 지역으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은 '피해 경고 지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피해 경고 지역외의 지역은 '안전 지역'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내용은 피해 결과 정보에 포함된다.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피해 결과 정보에는 해당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식별 정보, 피격 화기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피해 결과 정보에 따라 자신의 사망 여부 또는 피해 정도를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상황 알림부를 통해 출력하여 해당 병사에게 상황을 알려준다. 또한,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피해가 없더라도 '피해 경고 지역'등에 위치할 경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상황 알림부를 통해 해당 병사에게 상 황을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자신이 피해 지역내에 있는 경우, 주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신 선점권을 확보하고, 통신 선점권을 확보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피해 지역내에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피해 경고 지역내에 있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주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과 통신하여 통신 선점권을 확보하고, 통신 선점권을 확보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사격 결과 알림 모듈(238)은, 외부로부터 자신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피해 결과 정보로부터 피격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피격 위치를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상기 사격 결과 알림 모듈(238)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피격 위치 정보를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작동시킨 병사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또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황을 통해 자신의 사격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고, 이후의 사격 방향이나 고각 등의 결정시에 참고할 수 있게 된다.
중앙 제어 장치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21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 장치(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 장치(210)는 제어부(2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2), DGPS 비콘 신호 수신부(213)를 구비한다.
상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212)는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한다.
DGPS 비콘 신호 수신부(213)는 외부의 DGPS 기지국으로부터 GPS 신호에 대한 오차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210)의 제어부(211)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단말기 위치 갱신 모듈(240), 사격 정보 방송 모듈(242), 피격 정보 전송 모듈(244), DGPS 신호 전송 모듈(246)을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위치 갱신 모듈(240)은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 사격 정보 방송 모듈(242)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상기 피격 정보 전송 모듈(244)는, 임의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상기 피해 결과 정보를 재전송한다.
상기 DGPS 신호 전송 모듈(246)은, 상기 DGPS 비콘 신호 수신부(213)로 전송되는 GPS 신호에 대한 오차 정보를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계속 방송한다.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탄발사기 모의 장치,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훈련에 참가하는 모든 병사에게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제공되며, 또한 각 병사에게 선택적으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제공되며,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를 초기 등록 과정을 거쳐 중앙 제어 장치에 등록시키게 된다. 초기 등록 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든 병사에게 제공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중앙 제어 장치에서 식별 정보 등을 부여받게 되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소지한 병사는 자신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등록한다. 초기 등록 방법의 일실시 형태는 지그비 통신 모듈이나 적외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식별 번호 등을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대한 초기 등록 과정을 거친 후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500)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500)은 중앙 제어 장치(50), 모의 작전에 참가한 각 병사들(P1, P2, P3, P4, P5)의 신체에 부착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61, 62, 63, 64, 65) 및 병사(P5)가 소지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7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500)에 있어서, 모든 병사는 초기 등록 과정에 의해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를 구비하고, 임의의 병사(P5)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70)를 구비하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상기 병사(P5)가 소지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저장 등록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작동됨에 따라,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 정보(예,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과 고각 등)를 해당 병사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지그비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600).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사격 정보를 이용하여 유탄의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된다(단계 610).
한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은 중앙 제어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각 병사들이 소지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한다(단계 620). 다음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탄착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사 여부 및 피해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30). 다음, 사격에 따른 피해가 발생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과 통신하여 하나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게 통신 선점권을 부여한다(단계 640). 통신 선점권을 부여받은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650). 단계 64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착점으로부터 피해 지역(즉, 사망 가능한 지역내)내에 위치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의 하나가 가장 먼저 통신 선점권을 갖게 되며, 만약 피해 지역내에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는 피해 예상 지역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통신 선점권을 갖게 된다. 중앙 제어 장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피해 결과 정보를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660).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수신된 피해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피격 위치 및 자신의 현재 위치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67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사격한 병사가 소지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사격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상에 사격자의 위치(즉,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배치 위치), 작전에 참가 한 병사들의 위치(즉,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배치 위치)와 피해 상황 및 유탄 발사기로부터 발사된 유탄의 경로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황을 통해, 사격자는 자신의 사격의 정확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이후 사격의 참고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있어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의한 탄착점에 대한 위치 계산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가 수행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나,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 정보(예컨대, 사격 방향, 고각) 및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 장치가 전송받은 사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는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브로드캐스팅하고,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수신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사 여부를 계산하여 그 결과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나,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피해 예상 지역을 산출하고, 피해 예상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각 병사들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병사들에 대한 생사 여부 정보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각 병사들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한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피해 결과 정보에 따라 자신의 생사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상황 알림부 등을 통해 알려준다.
또한,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가 피해 예상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각 병사들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각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수신된 피해 예상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생사 여부 정보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중앙 제어 장치는 GPS 신호 수신부에 의해 동기화되어 있으며,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일정 시간 주기마다 상기 중앙 제어 장치와 기설정된 일정 시간동안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시간 동안을 비활성화시켜, 활성화된 시간동안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킨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서의 타임 슬롯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에게 기설정된 시간 동안(a1, a2, a3, ...)만 활성화되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시킨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의 참조부호 61 내지 65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이며, 참조부호 50은 중 앙 제어 장치이며, 참조부호 65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이다.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수신부(Rx)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소정의 시간 동안(a1,a2,a3,...)만 활성화되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 제어 장치(50)는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수신부가 활성화되어 있는 시간동안만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송신부(Tx)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b1, b2, b3, b4, b5)에 자신의 위치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중앙 제어 장치의 수신부가 이를 수신한다.
한편,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65)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c1)을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c2)한 중앙 제어 장치는 송신부를 통해 탄착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c3)을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c4, c5, c6, c7)한다.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 통신 선점권을 확보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61)가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d1)을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중앙 제어 장치는 이를 해당 개인용 감지 단말기(65)로 전송(d4)한다.
제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 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사망 여부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격자에 의해 방아쇠가 당겨지면,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격발 신호 입력부는 격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사격 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이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를 소지한 병사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 전송한다(단계 800).
상기 병사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수신된 사격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이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 전송한다(단계 810).
한편, 모든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GPS 신호 수신부 및 DGPS 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며, 확인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820).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이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탄착점 위치 정보 및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생사 여부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830). 다음,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자신의 생사 여부 정보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이나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와 연결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고(단계 840),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자신의 생사 여부 정보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850).
한편, 지그비 통신 모듈이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부터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사격 결과 상황을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860).
전술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송신용 증폭기 및 수신용 증폭기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장착된 지그비 통신 모듈의 송신 출력이 약한 경우에도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키면서,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구성 및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구성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작동됨에 따라,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 정보를 해당 병사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900).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사격 정보를 이용하여 유탄의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며, 계산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지그비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로 전송한다(단계 910).
한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은 GPS 신호 수신부 및 DGPS 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며, 확인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920).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이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탄착점 위치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사망 여부 및/또는 피해 상황을 판단한다(단계 930). 다음,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 중 사망이라고 판단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통신 선점권을 확보하고, 통신 선점권을 확보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자신의 피해 상황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단계 940).
중앙 제어 장치는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에 대한 피해 상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격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 950)
한편,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에 대한 피해 상황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사격 결과 상황을 디스플레이시킨다(단계 960).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제어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한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유탄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 정보(즉,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들)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고,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수신된 사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 위치 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사망 여부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
제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서로 다른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써, 중앙 제어 장치의 통신 부하를 줄여주면서도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와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과의 통신 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중앙 제어 장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제어 장치 및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제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무선 통 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각각 제1 채널 및 제2 채널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는 제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채널을 이용하여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DGPS 비콘 신호 수신부의 DGPS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제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DGPS 신호를 이용하여 GPS 신호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의 제2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은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착점의 위치 정보 계산 주체, 피해 예상 지역의 추출 주체, 각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 모의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곡사화기인 유탄 발사기의 동작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한 모의 시스템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실제의 유탄 발사기의 작동과 매우 유사하게 모사해 냄으로써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피격 상황 및/또는 피해 결과 정보를 송신하고, 각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와 연결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사격에 따른 결과 정보를 LCD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훈련자가 자신의 발사 결과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다시 피드백시켜 정확한 훈련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은 전체 통신망의 부하를 최소화시키면서 실제와 거의 유사한 유탄 발사기를 모사해 낼 수 있다.

Claims (19)

  1. 자신의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격발신호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격발신호 입력부;
    지향 방향과 고각을 감지하는 전자 나침반;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자 나침반으로부터 지향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자신의 식별 정보를 패킷화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여, 유탄 발사기를 모사할 수 있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지그비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3.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할당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신호수신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유·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을 더 구비하고, 만약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 및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격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4.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할당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신호수신부;
    기설정된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기설정된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만약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 및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GPS 신호 수신부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격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에 대한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탄착점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 인용 감지 단말기.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 정보 전송 모듈 및 DGPS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모듈은 GPS 신호 수신부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DGPS 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GPS 신호에 대한 오차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신호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6.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을 더 구비하고,
    만약 외부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된 탄착점의 위치 정보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사망 여부 및/또는 피해 여부를 계산하고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 정보 전송 모듈은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한 후, 주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신 선점권을 획득하고, 생성된 상기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8.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격 결과 알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결과 정보로부터 피격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자신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피격 위치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9.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가 외부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사격 정보는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를 모사할 수 있는 개인용 감지 단말기.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임의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와 연동되어 유탄 발사기를 모사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격 정보 방송 모듈 및 피격 정보 전송 모듈을 구비하고, 만 약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격 정보 방송 모듈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격 정보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된 피해 결과 정보를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를 모사하는 중앙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의 DGPS 기지국으로부터 GPS 신호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DGPS 신호를 수신하는 DGPS 비콘 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제어 장치.
  12. 각 병사가 소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의 하나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자신의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나침반;
    외부로부터 격발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격발 신호에 따라 작동 신호를 전 송하는 격발 신호 입력부;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 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자신이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GPS 신호 수신부;
    만약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외부의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외부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피해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의 피해 결과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3. 각 병사가 소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용 감지 단말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중의 하나에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자신의 지향 방향 및 고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나침반;
    외부로부터 격발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격발 신호에 따라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격발 신호 입력부;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격발 신호 입력부로부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지향 방향과 고각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자신이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자신의 식별 정보 및 자신에게 등록된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 GPS 신호 수신부;
    만약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사격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만약 외부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피해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
    만약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탄착점의 위치 정보를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전송하며, 만약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부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가 등록된 개인용 감지 단말기로 피해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들의 피해 결과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4.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2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사격에 따른 피해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피해 결과 정보로부터 피격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표시부에 자신의 위치 및 피격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5.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외부의 DGPS 기지국으로부터 DGPS 신호를 수신하는 DGPS 비콘 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6.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추가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또는 다른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며,
    상기 추가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추가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및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이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추가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의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RF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RF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8.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제3 인터페이스부는 RF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RF 통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19.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 및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GPS 신호 수신부에 의한 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동기화되어 있으며,
    상기 개인용 감지 단말기는 일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하여 각 주기동안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동안에만 활성화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중앙 제어 장치는 각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활성화된 시간동안에만 데이터를 전송하여 개인용 감지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KR1020060059587A 2006-06-29 2006-06-29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KR10083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87A KR100833162B1 (ko) 2006-06-29 2006-06-29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US12/308,857 US20090305197A1 (en) 2006-06-29 2007-06-21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PCT/KR2007/003009 WO2008002036A1 (en) 2006-06-29 2007-06-21 Apparatus and system for simulating of shooting a grenade laun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87A KR100833162B1 (ko) 2006-06-29 2006-06-29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32A true KR20080001732A (ko) 2008-01-04
KR100833162B1 KR100833162B1 (ko) 2008-05-28

Family

ID=3884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587A KR100833162B1 (ko) 2006-06-29 2006-06-29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305197A1 (ko)
KR (1) KR100833162B1 (ko)
WO (1) WO20080020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59B1 (ko) * 2013-09-30 2015-07-22 국방과학연구소 지상무인체계 시뮬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74B1 (ko) 2007-11-02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곡사화기 사격 모의 훈련 시스템
US9782667B1 (en) 2009-02-27 2017-10-10 George Carter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a target profile for a simulation shooting system
US10213679B1 (en) 2009-02-27 2019-02-26 George Carter Simulated indirect fire system and method
US10527390B1 (en) 2009-02-27 2020-01-07 George Carter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US9308437B2 (en) * 2009-02-27 2016-04-12 Tactical Entertainment, Llc Error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 simulation shooting system
US11662178B1 (en) 2009-02-27 2023-05-30 George Carter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 drone and an optical system
WO2011022426A1 (en) * 2009-08-17 2011-02-24 Kms Consulting Llc Training device for grenade launchers
US10470010B2 (en) 2010-01-15 2019-11-05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Networked battle system or firearm
US10477618B2 (en) 2010-01-15 2019-11-12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Networked battle system or firearm
US10477619B2 (en) 2010-01-15 2019-11-12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Networked battle system or firearm
US9921028B2 (en) 2010-01-15 2018-03-20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ing and networking a rail of a firearm
US9823043B2 (en) 2010-01-15 2017-11-21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Rail for inductively powering firearm accessories
US10337834B2 (en) 2010-01-15 2019-07-02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Networked battle system or firearm
CA2827101C (en) 2011-02-15 2019-05-14 Colt Canad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tively powering and networking a rail of a firearm
DK2885595T3 (da) 2012-08-16 2020-01-02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at strømforsyne og forbinde en skinne af et skydevåben
SG11201601739YA (en) * 2013-09-09 2016-04-28 Colt Canada Ip Holding Partnership A network of intercommunicating battlefield devices
DE102013225323A1 (de) * 2013-12-09 2015-06-11 Thales Deutschland Gmbh Waffensimulator zur Simulation von sicherheitskritischen Situationen und Simulationswaffe in Form eines Wurfgeschosses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Waffensimulator
KR102117862B1 (ko) 2018-08-10 2020-06-02 주식회사 유토비즈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KR102137872B1 (ko) 2018-08-10 2020-07-24 주식회사 유토비즈 작전테마 콘텐츠를 이용한 ar vr mr 교전 모의 훈련 시스템
CN115035764B (zh) * 2022-05-27 2024-01-3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飞机设计研究所 一种机载发射物模拟发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8155A (en) * 1992-07-21 1995-01-03 Teledyne, Inc. Combat train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jamming
US5590491A (en) * 1994-10-24 1997-01-07 Truth Hardware Corporation Window operator with dial interface
US5690491A (en) * 1996-08-13 1997-1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precision-guided munitions
US6386879B1 (en) * 2000-03-24 2002-05-14 Cubic Defense Systems, Inc. Precision gunnery simulator system and method
KR100409211B1 (ko) * 2000-04-17 2003-12-11 송진주 유탄 발사기 레이저 교전훈련장비
AU2001290346A1 (en) * 2000-09-18 2002-03-26 Standard Laser Syste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US7927102B2 (en) * 2005-01-13 2011-04-19 Raytheon Company Simulation devices and systems for rocket propelled grenades and other weap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759B1 (ko) * 2013-09-30 2015-07-22 국방과학연구소 지상무인체계 시뮬레이터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2036A1 (en) 2008-01-03
KR100833162B1 (ko) 2008-05-28
US20090305197A1 (en)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162B1 (ko)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KR100815501B1 (ko) 폭탄 모의 장치 및 상기 폭탄 모의 장치를 이용한 모의교전 시스템
US9504907B2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WO2009120226A2 (en) Sniper training system
WO2008048116A1 (en) Monitoring engagement of a weapon
US965134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mall arms training
KR100925404B1 (ko) 위치 추적 장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위치 추적 방법
KR100914320B1 (ko) 곡사화기 모의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090010691A (ko) 유도탄 시뮬레이션 시스템, 유도탄 모의 사격 장치 및 감지장치
JP5650000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0816388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KR101941988B1 (ko) 레이저태그건 및 그를 이용한 모의사격 경기 시스템
JP2004085033A (ja) 射撃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JP2014145531A (ja) 射撃訓練システム
US1030975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increasing aiming accuracy of a sniper rifle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KR101285064B1 (ko) 마일즈장비 착용하 모의교전훈련시 중상자 및 사망자 표시장치
US20210048276A1 (en) Probabilistic low-power position and orientation
JP7197443B2 (ja) 交戦訓練システム
JPH07146096A (ja) 模擬訓練システム
US1135988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1229872B1 (ko) Led를 이용한 크레모어 모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KR101371692B1 (ko) 모의 교전 시스템의 개인용 감지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