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259A -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 Google Patents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259A
KR20080001259A KR1020060059498A KR20060059498A KR20080001259A KR 20080001259 A KR20080001259 A KR 20080001259A KR 1020060059498 A KR1020060059498 A KR 1020060059498A KR 20060059498 A KR20060059498 A KR 20060059498A KR 20080001259 A KR20080001259 A KR 2008000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ate
parts
coating composition
antistati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503B1 (ko
Inventor
박찬호
김현기
우수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켐
Priority to KR1020060059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5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LCD)용 편광판 지지체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에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TAC 필름 위에 코팅함으로써,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부착성 및 내찰성과 같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높은 투과도를 전혀 저하시키기 않음과 동시에, TAC 필름에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피막을 형성시켜 표면의 전기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는 TAC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코팅 방법 및 이렇게 형성된 대전방지용 TAC 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 TAC, 대전방지, 전도성 고분자,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A coating composition for preventing electrification, an antistatic triacetyl cellulose film thus prepare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LCD용 편광판 지지체인 TAC 필름에 전도성 고분자가 함유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여 편광판에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대전방지 성능과 함께 뛰어난 투과도와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는 피막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정보화시대의 가속화 속에 정보와 사람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시장이 전력소비가 심하고 공간효율이 떨어지는 기존의 음극선관 방식에서 PDP,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대체되는 시점에서 평판 디스플레이에 관한 기술개발은 그 양과 질적인 면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수요에 대한 공급초과 현상이 맞물려 그동안 고가였던 평판디스플레이의 가격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생산효율 향상에 대한 필요성으로 다가오고 있다.
LCD는 현재 PC모니터 분야의 가장 인기 있는 제품으로 그 영역을 TV로 까지 넓혀가고 있으며 편광판은 LCD 구동에 필요한 핵심부품 중 하나이다. 다른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자체발광을 할 수 없는 LCD는 백라이트라는 발광체를 이용하여, 여기에서 나오는 빛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백라이트에서 나오는 빛은 여러 방향의 진동을 가지고 있는데 편광판은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 시키고 나머지 진동방향의 빛은 편광매질을 이용하여, 흡수 또는 반사시켜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을 만들어낸다. 이 편광판을 액정셀 양쪽에 수직 또는 수평 되게 배치하여 백라이트의 빛이 액정셀을 통과하는 동안 편광판의 회전배치 정도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세기가 조절된다.
편광판은 편광매질인 PVA(폴리비닐알코올)를 중심으로 지지체인 TAC 필름을 PVA의 양쪽 면에 사용하고 그 중 한 면에 LCD의 다른 구성품과 접합시키기 위해 점착제 코팅하고 보호필름을 입힌다. 편광판 접합의 후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박리시키는 과정 중 정전기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편광판에 대한 대전방지 처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이후에 LCD 구동 시에도 내부 정전기 발생으로 IC회로 손상이나 기기의 오동작을 불러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차원에서 LCD의 내부소재마다 대전방지 성능을 추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해서, 종래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0983호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이, ATO 또는 ITO 등의 금속 산화물 계통을 전도체로 이용한 제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런 제품들은 금속입자 형태로서 코팅공정이 용이하지 않고 자체로서 고유한 색깔마저 있어 디스플레이 소재의 생명인 투과도를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고가의 금속 산화물 사용으로 인한 생산원가의 현격한 상승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1186호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의 바인더로서 열건조형 유기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열건조형 유기 바인더의 사용으로 인해서 지지체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인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강도 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코팅된 도막의 안정성 역시 크게 낮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전방지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의 바인더로서 광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열건조형 유기 바인더에 비해 기계적 물성이 훨씬 뛰어난 피막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편광매질인 PVA와 지지체인 TAC 필름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TAC 필름을 NaOH로 전처리하게 되는데, 이 전처리된 TAC필름의 표면은 대전방지 피막층과의 부착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며 피막층의 바인더가 광경화형 수지일 경우 부착성은 더욱 떨어지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부착성 및 내찰성과 같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높은 투과도는 전혀 저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TAC 필름에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피막을 형성시켜 표면의 전기 저항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이러한 코팅 방법 및 형성된 대전방지용 TAC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최적의 광경화형 수지 바인더와 용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서 대전방지 성능의 지속성과 TAC 필름과의 부착성을 확보하고, 더불어 내찰성을 추가하여 생산 공정상에 일어날 수 있는 스크래치에 관한 불량을 줄여 수율의 향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도성 고분자의 바인더로서 광경화형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TAC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3~25 중량부의 전도성 고분자, (ii) 3~20 중량부의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iii) 50~100 중량부의 유기용매, 및 (iv) 0.01~2.0 중량부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함량의 단위로 사용된 중량부는 상기한 일 구현예에서와 같이 상대적인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대적 중량부에 대한 별도의 기준 함량이 비록 명시적으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각 구성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을 결정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4~10 중량부의 전도성 고분자, (ii) 5~13 중량부의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iii) 70~90 중량부의 유기용매, 및 (iv) 0.03~0.06 중량부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1186호에서 사용된 열건조형 유기 바인더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형 수지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체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인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강도 및 코팅된 도막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에서 외부마찰 및 용제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개시하고 있는, 아크릴을 경화시킬 수 있는 멜라민과 같은 경화제를 사용하더라도, 그 기계적 물성 등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크게 떨어진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우수한 작용효과가 있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우수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또는 폴리피롤 등과 같이 종래에 전도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모든 종류의 전도성 고분자 중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다른 전도성 고분자에 비하여 가용성이 우수하여 적절한 바인더와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 뛰어난 대전방지 성능과 지속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색도가 낮고 전도성이 좋아 많은 양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투과도 확보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전도성 고분자는 3~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7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5.5~6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전도성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함량범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및 상한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각각 대전방지 성능의 약화되는 문제점 및 기재의 투과도가 낮아지고 코팅 공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부착성 및 내찰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 피막의 투과도 및 대전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서, 3~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1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2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함량이 3 중량부 보다 낮은 경우 내찰성 및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강도 등이 저하되고, 20 중량부 보다 높은 경우에는 대전방지 성능 및 부착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2관능기 이상이기만 하면 어떠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 및 대전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및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및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를 60~95 중량% : 5~40 중량%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65~90 중량% : 10~35 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내찰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및 대전방지 성능의 극대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에는 피막의 경도 증가로 내찰성이 향상되나 상대적으로 대전방지 성능이 약해지고, 상기 함량 범위 보다 낮은 경우에는 내찰성이 약해지고 피막의 경화 속도가 낮아져 생산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펜타알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3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와 같은 2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 고머 또는 모노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틸올프로판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1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올리고머"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기용매 중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선택함에 있어서는, 특히 전도성 고분자에 대한 안정성과 광경화형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적절한 유기용매의 선정 여부에 따라 대전방지 성능, 피막의 외관 및 기재와의 밀착성이 좌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였을 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메틸 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아세톤알콜, 노르말메틸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메틸 셀루솔브, 아세톤, 자일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아세톤은 NaOH로 전처리된 TAC 필름과 광경화형 수지 바인더 사이의 부착성이 우수해지며 대전방지 성능의 향상도 가져올 수 있으며, 기재와의 부착성의 향상을 고려하였을 때 아세톤의 함량을 5% 이상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포함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는 50~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9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75~8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하다. 유기용매의 함량이 상기 함량범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및 상한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각각 막 외관 불량 등의 코팅성이 저해되는 문제점 및 대전방지 성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개시제는 광경화형 수지의 경화에 범용으로 쓰이면서 전도성고분자와 상용성에 문제가 없는 개시제는 모두 사용 가능하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광개시제의 함량은 0.1~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1.7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7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함량범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및 상한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각각 피막의 경화도가 낮아져 원하는 피막의 표면물성을 얻을 수 없거나 피막이 미경화될 수 있는 가능성 및 경화속도도 빨라지고 내찰성이 뛰어난 피막을 얻을 수 있으나 피막의 과경화로 인해 기재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또한 대전방지 성능도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1.0 중량부 이내의 레벨링제, 슬립제, 습윤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막의 조성은 롤코팅, 메이어바코팅, 블레이드코팅, 그라비아코팅, 마이크로그라비아코팅, 슬롯다이코팅, 슬라이드코팅, 커튼코팅 등의 일반적인 필름코팅의 방식으로 TAC 필름 위에 본 수지 조성물을 코팅한 후 30~80℃, 바람직하게는 40~60℃의 온도 범위에서 30초~5분, 바람직하게는 1~3분 동안 건조시켜 수지 조성물 내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200~1000 mJ/cm2, 바람직하게는 400~600mJ/cm2 광량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완전히 경화된 피막을 얻는다.
경화된 피막의 두께는 1~30 ㎛, 바람직하게는 5~15 ㎛가 적당하며 피막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및 상한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각각 대전방지 성능과 내마모성의 약화 및 막외관 불량과 투과도 저하의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코팅 방법에 따라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예에 의해 결코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
표1의 조성을 가지는 용액을 혼합한 후 NaOH로 전처리된 TAC 필름에 #10 바코터로 코팅하고 80℃에서 2분간 건조시켜 조성물 내의 용제를 제거한 다음, 약 500 mJ/㎠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대전방지용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5
표1의 조성을 가지는 용액을 가지고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건조과정을 70℃에서 30초 동안 수행하고, 약 500 mJ/㎠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대전방지용 피막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1
표1의 조성을 가지는 열건조형 바인더를 사용한 코팅액을 제조한 후 NaOH로 전처리된 TAC 필름에 #10 바코터로 코팅하고 나서, 80℃에서 2분간 건조함으로써 대전방지용 피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6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표1의 조성과 같이 본 발명의 함량범위를 벗어나도록 구성성분을 포함시켜 대전방지용 피막을 형성시켰다.
전도성 고분자 4관능 이상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3관능 이하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광개시제 열건조형 아크릴계 바인더 유기용매 첨가제
실시예1 BaytronPH (6) DPHA (9) - Irg184 (0.7) - NPA (40) MC (40) BYK333 (0.05)
실시예2 BaytronPH (6) DPHA (9) - Irg184 (0.7) -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실시예3 폴리아닐린 (15) SC2100 (10) - Irg184 (0.7) - NPA (30) MC (20) 아세톤 (20) 자일렌 (10) BYK333 (0.05)
실시예4 BaytronPH (6) DPHA (9) PETA (1) Irg184 (0.7) -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실시예5 BaytronPH (5.5) DPHA (8) TMPTA(2) 2-HPA (2) Irg184 (0.4) TPO (0.4) - NPA (30) MC (20) 아세톤 (20) 자일렌 (10) BYK333 (0.05)
비교예1 BaytronPH (6) - - - AA-952V (9)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비교예2 BaytronPH (2.5) DPHA (9) PETA (1) Irg184 (0.7) -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비교예3 BaytronPH (27) DPHA (9) PETA (1) Irg184 (0.7) -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비교예4 BaytronPH (6) DPHA (20) PETA (2) Irg184 (1.5) NPA (20) MC (30) 아세톤 (30) BYK333 (0.05)
비교예5 BaytronPH (6) DPHA (9) PETA (1) Irg184 (0.7) - NPA (30) MC (30) 아세톤 (30) 자일렌 (30) BYK333 (0.05)
비교예6 BaytronPH (5.5) DPHA (8) TMPTA (2) 2-HPA (2) Irg184 (0.4) TPO (0.4) - NPA (50) IPA (50) BYK333 (0.05)
* 전도성 고분자: BaytronPH: (주)바이엘 * AA-952V: 열건조형 아크릴계 바인더: 애경화학(주) * DPHA: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주)일본화약 * SC210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주)미원상사 * 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주)미원상사 * PE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주)SK CYTEC * 2-HPA: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 Irg-184: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 (주)CIBA * TPO: 2,4,6-트리메틸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 (주)CIBA * NPA: N-프로필알콜 * IPA: 이소프로필알콜 * MC: 메틸 셀루솔브 * BYK-333: 실리콘 레벨링제: (주)BYK chemi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피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1) 표면저항
Monroe Electronics사가 제조한 표면저항측정기(resistivity meter)를 사용한 100 볼트 전압 인가했을 때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2) 투과도
UV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 400~700nm 파장영역의 빛에 대한 투과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3) 부착성
경화 피막에 대한 크로스 컷 셀로테이프 (Cross cut Cellotape) 박리테스트로서 피막에 1mm 간격으로 기질에 달하는 피막 절단선을 가로 세로 각각 11매 넣어서 1mm2의 눈수를 100개 만들어 그 위에 셀로테이프를 붙이고 급격히 떼어내는 작업을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표시하였다.
아주 양호: 경화피막의 박리가 전혀 없음
양호: 경화피막의 박리가 거의 없음
미흡: 박리된 피막의 눈수가 1~50인 경우
불량: 박리된 피막의 눈수가 50~100인 경우
(4) 표면 경도
ASTM D3502에 준하여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5) 막외관
경화 피막의 평활성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표면 저항(Ω/㎠) 투과도(%) 부착성 표면경도 막외관
실시예1 1ㅧ 106 92.5 양호 2H 양호
실시예2 1ㅧ 106 92.4 아주 양호 2H 양호
실시예3 5ㅧ 107 91.2 양호 2H 양호
실시예4 5ㅧ 106 92.4 양호 3H 양호
실시예5 1ㅧ 107 92.5 양호 3H 양호
비교예1 1ㅧ 107 92.4 양호 HB 양호
비교예2 5ㅧ 108 92.5 양호 3H 양호
비교예3 1ㅧ 107 87.0 양호 3H 불량
비교예4 5ㅧ 108 92.1 미흡 4H 양호
비교예5 5ㅧ 108 92.5 양호 2H 미흡
비교예6 1ㅧ 107 92.4 불량 양호 양호
본 발명의 전도성고분자가 포함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의해 대전방지 성 능과 부착성과 내찰성 등의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면서 기재의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TAC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1186호에서 사용된 열건조형 유기 바인더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형 수지 바인더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체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물성인 내열성, 내습성, 기계적 강도 및 코팅된 도막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Claims (12)

  1.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i) 3~25 중량부의 전도성 고분자,
    (ii) 5~20 중량부의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iii) 50~100 중량부의 유기용매, 및
    (iv) 0.1~2.0 중량부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2.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i) 4~10 중량부의 전도성 고분자,
    (ii) 8~13 중량부의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iii) 70~90 중량부의 유기용매, 및
    (iv) 0.5~1.5 중량부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및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 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가 60~95 중량% : 5~40 중량%로 혼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디옥시티오펜, 폴리티오펜,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크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티오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펜타알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 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3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2관능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에틸올프로판 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관능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메틸 에틸케톤, 메틸 이소부틸케톤,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아세톤알콜, 노르말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이고;
    상기 4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우레탄 아크릴레 이트 올리고머, 디펜타아크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3관능기 이하의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는 펜타에리스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10 중량부 이상의 아세톤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0.01~1.0 중량부의 레벨링제, 슬립제, 습윤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
  11. (a)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을 TAC 필름 위에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코팅된 필름을 30~80℃에서 30초~5분간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건조된 필름에 200~10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 필름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따라 제조되고 상기 대전방지용 코팅의 두께가 1~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
KR1020060059498A 2006-06-29 2006-06-29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KR100804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98A KR100804503B1 (ko) 2006-06-29 2006-06-29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98A KR100804503B1 (ko) 2006-06-29 2006-06-29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59A true KR20080001259A (ko) 2008-01-03
KR100804503B1 KR100804503B1 (ko) 2008-02-20

Family

ID=3921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498A KR100804503B1 (ko) 2006-06-29 2006-06-29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7178A (zh) * 2018-04-26 2018-09-11 青岛展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uv手擦填充着色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9883A (zh) * 2013-12-12 2014-04-09 青岛海洋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苯胺改性防腐涂料的制备方法
KR101867935B1 (ko) * 2016-12-02 2018-06-18 주식회사 효성 외관품질이 우수한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76A (ja) * 1993-06-24 1995-01-13 Sekisui Chem Co Ltd 導電塗料組成物
JPH09300533A (ja) * 1996-05-14 1997-11-25 Nippon Kayaku Co Ltd ハードコート性を有する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フィルム
JP2000143851A (ja) 1998-11-05 2000-05-26 Sekisui Chem Co Ltd 帯電防止性プレート
KR100389050B1 (ko) * 2000-10-10 2003-06-25 주식회사 대하맨텍 도전성 고분자 수용액을 포함하는 광경화형 투명도전성코팅제
KR20050048343A (ko) * 2003-11-19 2005-05-24 서광석 대전방지 저반사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저반사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7178A (zh) * 2018-04-26 2018-09-11 青岛展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uv手擦填充着色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517178B (zh) * 2018-04-26 2020-05-12 青岛展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uv手擦填充着色涂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503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841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686644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KR101415838B1 (ko)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70463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4B1 (ko) 하드코팅 필름
KR101443845B1 (ko)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CN107850712B (zh) 偏光元件保护膜、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液晶显示装置
KR101628437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737156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1802567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5613691B2 (ja)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板用フェノ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プラスチック基板素材
KR20140027024A (ko) 적층 하드코팅 필름
CN107850719B (zh) 偏光元件保护膜、包括其的偏光板和包括偏光板的液晶显示装置
KR101676894B1 (ko) 액정 필름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0804503B1 (ko)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대전방지용 코팅 조성물,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및 제조된 대전방지용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8875A (ko)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514272B1 (ko) 폴리아마이드계 복합 필름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12027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6578B1 (ko)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KR20170142508A (ko)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07876B1 (ko) 광학 필름, 편광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606577B1 (ko)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KR102068868B1 (ko) 위상차 보상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