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225A -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225A
KR20080001225A KR1020060059410A KR20060059410A KR20080001225A KR 20080001225 A KR20080001225 A KR 20080001225A KR 1020060059410 A KR1020060059410 A KR 1020060059410A KR 20060059410 A KR20060059410 A KR 20060059410A KR 20080001225 A KR20080001225 A KR 20080001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optically transparent
film
laminate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필
이문복
최순욱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1225A/ko
Publication of KR2008000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형 PDP용 필터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리의 두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인장강도로 흡수력이 증가되어 관통저항 및 충격력에 매우 강하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발광 판넬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대치의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필름 필터 직화형의 발광 판넬 보호의 미흡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PDP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적층체, Lamination, 광학용, 적층체

Description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OPTICALLY TRANSPARENT AND SAFE LAMIN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용 전면 필터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접합 안전유리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PDP용 전면 필터 구성도.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형 PDP용 필터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리의 두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인장강도로 흡수력이 증가되어 관통저항 및 충격력에 매우 강하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발광 판넬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대치의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필름 필터 직화형의 발광 판넬 보호의 미흡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PDP용 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은 투명 전극이 인쇄된 유리판 사이에 봉해 넣은 네온, 아르곤, 크세논 등의 방전 가스의 발광을 이용한 발광부로 구성되어, 전극간의 가스 방전으로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로서, 종래의 CRT 또는 LCD에 비해 대형 화면의 형성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PDP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및 자외선, 근적외선이 많이 발생하고, 적ㆍ녹ㆍ청 삼원색 형광체로부터 빛이 발광될 경우 580 내지 590nm 영역에서 강한 가시광선이 발생하므로, 소비자들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자파 및 유해광선의 차단과 색조 조절을 위한 부가장치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일본특허공개 제1983-153904호에서는 표시 색의 색 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필터를 PDP의 전면(前面)에 부착하는 방법을 이용한 PDP를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필터를 이용하여 유해한 전자파 및 자외선, 근적외선을 차단하고 좀 더 자연 색에 가까운 PDP 화면 색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본공개특허 제1999-160532호에는 기판 위에 색 보정용 근적외선 흡수제 함유 수지층을 별도로 형성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0-340985호에는 PDP용 전면필터 부재의 접착에 쓰이는 투명 접착제에 색 보정용 안료를 포함시켜 이의 농도를 제어하여 유해광선을 차단하고 색조를 조절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1-343520호에서는 전자파 차폐용 메쉬(mesh)의 투명성 향상을 위해 도포하는 수지 또는 접착제에 색소 보정용 색소를 직접 분산시켜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는 전자파 PDP 전면필터부의 차폐용 메쉬라 할 수 있겠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주파수대역이 30㎒∼130㎒의 불필요한 전자파를 외부로 누설하고, 이러한 불필요한 전자파가 다른 기기(예 정보처리장치 등)나 인체에 폐해를 주지 않도록 전자파를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장치로부터 장치 외부로 유출되는 전자파를 제거 및/또는 감쇄시키기 위해 전자장치의 외부를 적당한 도전성 부재로 덮는 전자파 쉴드가 채용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패널에서는 적정한 투시성을 가진 전자파 차폐판을 디스플레이 전면에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여기서, PDP 등의 디스플레이용 전자파 차단 필터란 광학필터에서 투명 기판과 전기 전도성 메쉬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또한 반사방지 기능 및 근적외선 차단 기능이 부가되어도 전자파 차단 필터라는 관점에서 광학필터를 전자파 차단 필터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판의 기본구조는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면에, ITO(인듐-주석산화물) 등의 투명 도전성 막을 증착이나 스퍼터링법 등으로 박막 형성한 것이나,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면에, 금속망 등의 적당한 금속스크린을 접착하거나,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 면에 무전해 도금이나 증착 등에 의해 전체 면에 금속박막을 형성하고, 해당 금속박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에 의해 가공해서 미세한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메쉬를 설치한 것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적외선 흡수 기능, 네온 발광(590nm 파장 영역)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필름을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상술한 반사 빛의 제거물과 색 보정용 구조물, 전자파차폐 를 위한 구조물과 더하여 내부의 발광표시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글래스(glass)를 합지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기술로 반사 빛의 제거물과 색 보정용 구조물, 전자파차폐를 위한 구조물만을 내부의 발광표시장치 위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으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발광표시장치가 파손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형 PDP용 필터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리의 두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인장강도로 흡수력이 증가되어 관통저항 및 충격력에 매우 강하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발광 판넬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대치의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필름 필터 직화형의 발광 판넬 보호의 미흡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는 광학필름과 광학필름 사이에 접착제 수지층으로 적층되고 두께가 50∼55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은 감압 접착제(PSA)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 수지층은 탄성을 가진 EVA(Ethylene-vinyl Acetate),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습식 코팅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는 투명한 플라스틱기판과 기판을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적정한 탄성치를 가지는 EVA(Ethylene-vinyl Acetate),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를 포함한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접착제만을 볼 경우, 순수한 epoxy와 같이 rigid한 구조물로서 구부러지기 어려운 상태의 접착제는 해당되지 않는다.
아래에 나타낸 표 1은 일반적인 유리와 안전필름을 부착한 유리의 상대적인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름을 직부착하게 되면 유리의 허용하중 및 신뢰성은 높아지게 된다.
[표 1]
구분 일반유리 강화유리 접합유리 필름부착유리 비고
유리의 강도 1배 2-4배 1배 4-6배
열에 의한 파손 높음 낮음 다소 높음 낮음 실온실험
허용 하중 약150Kg 약900Kg 약250Kg 약1,350Kg 실온실험
가시광선 투과율 약90% 약90% 약90% 약90% 380~780
일반적인 플라스틱 접합 안전유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판 유리로 형성된 유리부(10)가 있고, 유리부(10) 사이에 단순히 유리접합 화합물인 폴리비닐부티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합 조성물(20)이 구성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10)의 유리판 두께는 3mm에서부터 12mm이고 안전유리 제조시 유리 두께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할 수도 있고, 사용 용도와 성능에 따라 각각의 유리 두께를 다르게 하여 접합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안전유리 제조시 접합 조성물(20)은 일반적으로 0.381mm에서 최고 1.5mm 두께의 접합화합물을 적용시켜 안전유리를 접합 제조한다.
한편, 도 3은 종래의 PDP용 전면 필터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P용 전면 필터의 구성도로서, 광학 필름(201)과 광학필름(201) 사이에 열가소성 탄성체인 접착제 수지층(202)을 결착시킨 다음, 광학필름(201)과 접착제 수지층(202)을 열과 압력에 의해 고정시킨다. 여기서 광학필름(201)의 두께는 동일 또는 각각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광학필름(201)의 두께는 25㎛ ∼ 100㎛ 까지 적용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광학필름(201)과 그 사이의 접착제 수지층(202)으로 된 폴리에스테르 필름(200)을 다층으로 동시에 접합하여 요구되는 강도를 높일 수 있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기능성필름(100)도 연속 공정에 의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 수지층(202)은 예컨대 EVA(Ethylene-vinyl Acetate)를 열 로울러(라미네이트 로울러)에 통과시켜 피착물과 피착물 사이에 결착시켜 열과 압력으로 접합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한다.
상기 접착제 수지층(202)은 열가소성수지탄성체로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 비닐부티랄, EVA사이의 접합계면에는 이형 Film위에 접착성이 우수한 용액수지를 투명하게 코팅한 라미네이트용 필름(시트), 또는 서로 상이한 재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합성수지조성물을 합지(접합)하기 위하여, 두 필름의 계면을 유사한 성질을 갖도록 저융점의 열가소성 수지필름으로 라미네이팅하여 두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과, Hot melt(핫멜트)방식이나, 습식 coating에 의하여 접합조성물로도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접합조성물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질적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그 밖에 폴리에틸렌, 폴리푸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수지필름, 에틸렌아크릴산에틸공중합수지필름과 같은 저 융점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용융액으로도 라미네이팅(합지)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적층제에서 상기 접착제 수지층(201)은 "습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습식 코팅을 하게 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합 조성물(202)의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의 기능성필름(100)의 순서나 위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바뀌거나 합쳐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한 필름(200)의 경우 광학필름(201), 접합 조성물(202) 및 광학필름(201)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만이 아니라, 필름(200) 구성을 연속적(201,202,201,202,201)으로 적층하여 발광판넬(400)의 안전성능을 위해 요구 성능에 따라 충격력 강도, 인장 강도, 관통저항에 따른 접합조성물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50㎛ ∼ 550㎛ 까지 두께가 형성되고, 또한 투명에서부터 특정한 색상을 선택하여 (100)의 구조물을 줄일 수도 있다. 여기서, 부착할 유리의 두께가 얇을 경우 안정성을 높여 내부기재를 좀더 잘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장의 필름의 중간에 탄성체를 넣어서 겹치는 것이 안전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는 유리(glass)와 같은 무거운 구조물을 제외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보다 제작이 용이하며, 내부 표시장치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투명한 광학용 적층체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체는 PDP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투명성과 반사방지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및 강도가 요구되는 모든 용도에 폭 넓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필름과 접착제만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 구조물은 유리를 포함한 구조물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고 아울러 박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 구조물은 유리를 포함한 구조물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를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는 발광 판넬을 보호할 수 있는 전면 필터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의 접착제 수지층은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탄성체로 가공되므로 유리형 PDP용 필터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리의 두께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인장강도로 흡수력 이 증가되어 관통저항 및 충격력에 매우 강하고,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발광 판넬에 대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대치의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한 종래의 필름 필터 직화형의 발광 판넬 보호의 미흡함을 EVA와 같은 탄성 가공체를 사용하여 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광학필름(201)과 광학필름(201) 사이에 접착제 수지층(202)으로 적층되고 두께가 50∼55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200)으로,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200)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200)의 적어도 한 면은 감압 접착제(PSA)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수지층(201)은 탄성을 가진 EVA(Ethylene-vinyl Acetate),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를 포함한 에폭시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습식 코팅에 의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KR1020060059410A 2006-06-29 2006-06-29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KR20080001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10A KR20080001225A (ko) 2006-06-29 2006-06-29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10A KR20080001225A (ko) 2006-06-29 2006-06-29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225A true KR20080001225A (ko) 2008-01-03

Family

ID=3921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410A KR20080001225A (ko) 2006-06-29 2006-06-29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12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9252A1 (zh) * 2017-12-19 2019-06-27 陈正林 一种能消除汽车密封件动态异响的水基涂料
CN113025245A (zh) * 2021-02-25 2021-06-25 悦声纸业(中国)有限公司 一种多增韧型环氧结构胶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9252A1 (zh) * 2017-12-19 2019-06-27 陈正林 一种能消除汽车密封件动态异响的水基涂料
CN113025245A (zh) * 2021-02-25 2021-06-25 悦声纸业(中国)有限公司 一种多增韧型环氧结构胶的制备方法
CN113025245B (zh) * 2021-02-25 2023-03-10 悦声纸业(中国)有限公司 一种多增韧型环氧结构胶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2976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素子
US20040116013A1 (en) Thi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laminate for display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588392B (en) Front plate for plasma display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13088999A1 (ja) 前面板付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20030070555A (ko)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내충격막
KR100722342B1 (ko) 투명 겔 점착제, 투명 겔 점착 시트 및 디스플레이용 광학필터
JP2003080624A (ja)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TW200304434A (en) Impact resistance film for flat display panel and flat display panel
JP2007094191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吸収材の製造方法
US20060152127A1 (en) Display filter
US20040160186A1 (en) Plasma display panel filter
KR101243717B1 (ko) 색감 및/또는 시인성이 우수한 터치 윈도우
JP2005107199A (ja) 光学フィルタ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1056325B1 (en) Light transmiting laminated plate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KR20030044823A (ko) 전자기파 차폐 필터 및 그 제조 공정
KR20080001225A (ko)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안전한 적층체
TW200405941A (en) Optical filtering/electromagnetic screening structure
JP7074510B2 (ja) 調光フィルム用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
KR102433775B1 (ko) 유기전자장치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 봉지재 및 봉지 방법
JP2010015177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304373A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107775B2 (ja) 調光フィルム用透明導電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
JP2001134198A (ja)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及び表示装置
JP2000340986A (ja) 電磁波シールド性光透過窓材及びパネル貼合材
JPH1197880A (ja) 電磁波シールド熱線カット性光透過窓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