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193A -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193A
KR20080000193A KR1020060057783A KR20060057783A KR20080000193A KR 20080000193 A KR20080000193 A KR 20080000193A KR 1020060057783 A KR1020060057783 A KR 1020060057783A KR 20060057783 A KR20060057783 A KR 20060057783A KR 20080000193 A KR20080000193 A KR 2008000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sensitive adhesive
copolymer olig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호
민경은
Original Assignee
(주)이그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그잭스 filed Critical (주)이그잭스
Priority to KR102006005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193A/ko
Publication of KR2008000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 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부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은 기지에 피복하고 광조사함으로써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점착제와 점착제 시트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 초기 접착력, 광경화

Description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Acrylic photo-curing composition for preap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ts preparatory method}
본 발명은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높은 초기 접착력을 가진 광중합형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아크릴계 고분자를 주 성분으로 하는 UV 중합형 감압성 점착제로서 라벨, 의료용 및 장식용 테이프, 바닥재, 자동차 내장재 등의 용도에 이용된다. 감압성 점착제의 활용 범위는 계속해서 증가추세에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시장도 성장하고 있는 만큼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압성 점착제는 -40∼-50℃ 정도의 낮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고분자 물질이 주 성분이다.
아크릴산,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타콘산과 그 아미드 치환체를 사용한 아크릴 계 점착제에 관한 울리히(Ulrich)의 특허를 비롯하여 공 단량체의 다양한 활용 기술에 대해서는 여러 특허와 논문 등에 소개되어 있다.
합성된 공중합체가 낮은 탄성률과 적당한 초기 접착력 (tack)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히 낮은 유리전이온도가 필요하다. 낮은 유리전이온도의 공 단량체는 주 단량체의 단독 중합 시에 비해 높은 소성을 부여하며 반대로 공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을수록 점착제의 경직성(stiffness)이 증가되므로 낮은 유리전이온도의 공단량체가 더 높은 초기 접착력을 부여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사용하는 제 2, 제 3의 공 단량체의 함량과 화학적 특성에 따라 최종 중합체의 물성이 저하되기도 하기 때문에 그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기존의 초기 접착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점착 부여제(tackifier)를 도입하는 기술도 있는데 크게 로진 계(rosin), 테르펜 계(terpene) 그리고 탄화수소 계(hydrocarbon)로 나뉜다. 점착부여제는 물리적 혼합으로 손쉽게 초기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중합체와의 상용성을 갖추어야 하고 중합체 보다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낮은 분자량을 가져야 하는 등 조건을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변색(discoloration)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역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광경화 공정에 의하여 기지 상에 간단히 비용제형 감압성 점착제로 제조될 수 있는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 부여제의 혼입에 의해 수반되는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초기 접착력을 지닌 비용제형 감압성 점착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방법이 단순하고 공정이 간단한 점착제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50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 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부의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공단량체인 n-부틸 아크릴레이트(또는 다른 공단량체)의 합을 100중량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5 내지 50 중량부와 광개시제 0.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나) 상기 혼합물을 광조사하여 500 내지 1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갖는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단계; 다)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지에 도포하는 단계; 및 라)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광조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광개시제에 의한 광중합은 바람직하게는 UV 광개시에 의한 광중합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중량부이고 n-부틸 아크릴레이트는 10 내지 40 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1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혼합물에 광개시제를 혼합하고 짧은 시간 광조사하여 광개시제의 부분활성화에 의하여 광경화 반응을 불충분하게 유도하여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제조할 때 단량체 혼합물은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6 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의 아크릴산(acrylic acid; AA) 단량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용 점착제 조성물은 소량의 점착 부여제, 예를 들면, 로진, 테르펜 또는 상온 액성 탄화수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와 다) 단계 사이에 광중합에 필요한 공중합체 올리고머에 광개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개시제와 함께 점착제의 사용 목적에 따라, 또는 초기 점착력의 요건에 따라, 필러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러의 예로는 수산화알류미늄과 같은 열전도성 무기분말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지 상에 도포된 점착제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기지는 본 발명의 점착제가 적용되는 시트이든지 또는 제거가능한 이형지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2- EHA 와 n- BA 의 공중합 점착제의 제조
실시예1
주 단량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와 공 단량체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는 각각 90: 1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0.1 중량부의 광 개시제 (BDK, benzildimethyl ketal)를 도입시킨 후 최대한 빛에 대한 노출을 차단시키면서 기계식 교반기로 약 1분 정도 다시 혼합한다. 이 때 혼합액을 샤알레(schale)로 옮겨 수 초 동안 광 조사 (Fe-doped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최대 흡광 파장: 365nm, UV강도: 31 mW/cm2)를 실시한다.
이렇게 형성된 중심부 시럽을 바코터로 25mm 두께의 PET필름 위에 코팅한 다음 5 분 동안 질소 조건 하에서 광 조사 하여 최종 점착제 시료를 얻는다. 이 때 조사 시간은 여러 차례 시간을 달리하여 합성된 공중합체의 전환율을 통해 5분 내에 중합이 완료됨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tack)은 점착성 시험기(Sangyo사의 TE-6001 probe tack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2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와 공 단량체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를 각각 80: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3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와 공 단량체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를 각각 70:3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4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와 공 단량체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를 60: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1
공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고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만을 단량체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1 내지 4와 비교예1의 공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초기 점착력 값은 아래의 표1(아래 선)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5 내지 8
전체 단량체 기준으로 2 중량부의 아크릴산(AA)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2
전체 단량체(100중량부) 기준으로 2 중량부의 아크릴산(AA)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5 내지 8와 비교예2의 공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초기 점착력 값은 아래의 표1(윗 선)에 도시되어 있다.
n-BA의 함량에 따른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 값의 변화를 나타낸 표1의 결과를 보면 n-B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접착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30중량부가 첨가되었을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성 단량체로 AA를 소량(2중량부) 첨가했을경우 초기 접착력은 더 크게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관능성 단량체로 첨가되는 AA는 두 단량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극성을 띄고 있어서 초기 접착력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표1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1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2
실시예9 내지 14
전체 단량체 기준으로 각각 2, 4, 6, 8 또는 10 중량부의 아크릴산(AA)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공단량체의 양을 30중량부로 고정하고 아크릴산의 양을 달리한 점착제의 초기 점착력 값은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관능성 단량체인 AA의 함량을 달리 했을 때는 AA의 함량이 4 중량부일 때까지 초기 접착력이 소폭 상승하지만 그 이상에서는 오히려 AA를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표2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3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4
2- EHA IOA 의 공중합 점착제의 제조
비교예3 내지7
공 단량체로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 대신에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OA)를 각각 100;0, 90;10, 80:20, 70:30 그리고 60: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공단량체의 함량에 따른 초기 점착력 값은 아래의 표3(아래 선)에 도시되어 있다.
비교예8 내지 12
전체 단량체 기준으로 2 중량부의 아크릴산(AA) 단량체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각각 비교예 3내지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공단량체의 함량에 따 른 초기 점착력 값은 아래의 표3(윗 선)에 도시되어 있다.
n-BA 대신 IOA를 공 단량체로 첨가한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의변화를 살펴보면 표3의 결과에서 공 단량체의 함량 증가에 따른 초기 접착력의 증가가 극히 미미함을 알 수 있다. 표3의 윗 선은 관능성 단량체로 AA를 2 중량부 투입했을 때의 결과로 관능성 단량체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IOA의 함량에 따른 초기 접착력에 별다른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AA의 첨가로 IOA의 함량에 따른 초기 접착력이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소폭 상승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표3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5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6
2- EHA 와 n- BA 의 공중합 점착제에 무기분말을 혼입
실시예15
전체 아크릴 올리고머 기준(100중량부)으로 무기물 충진제인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trihydroxide (ATH))을 5중량부 도입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16 내지 18
전체 아크릴 올리고머 기준(100중량부)으로 무기물 충진제인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trihydroxide (ATH))을 각각 10, 15, 20중량부 도입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15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15 내지 18에서 초기 점착력 값을 측정하여 표4에 표시하였다. n-BA의 첨가로 인해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이 증대되는 원인은 탄성률의 저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열전도성 물질인 무기물 충진제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trihydroxide; ATH)를 도입시켜 2-EHA / BA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제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H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초기 접착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정된 함량의 n-BA가 첨가된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이 ATH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는 것은 높은 탄성률의 ATH에 기인하는 것이다.
표4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7
Figure 112006045549861-PAT00008
본 발명에 의하여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은 기지에 피복하고 광조사함으로써 초기 접착력이 우수한 점착제와 점착제 시트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8)

  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 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부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에 의한 광중합은 UV경화형인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500 내지 1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가지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각 단량체와 소량의 광개시제 혼합물을 광중합하여 얻어지는 500 내지 1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가지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10 중량부 이하의 아크릴산 단량체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6 중량부 이하의 아크릴산 단량체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0 내지 90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1 내지 5 중량부의 아크릴산 단량체를 더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용 점착제 조성물은 소량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용 점착제 조성물은 소량의 점착 부여제를 함유하는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는 로진, 테르펜 또는 상온 액성 탄화수소인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
  11. 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95 중량부와 n-부틸 아크릴레이트5 내지 50 중량부와 광개시제 0.05 내지 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나) 상기 혼합물을 광조사하여 500 내지 1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갖는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단계; 다)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지에 도포하는 단계; 및 라)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광조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2. 상기 가) 단계에서 아크릴산 1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 점착 부여제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와 다) 단계 사이에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에 광중합개시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와 다) 단계 사이에 상기 공중합체 올리고머에 광중합개시제와 필러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가 열전도성 무기분말인 점착제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지 상에 도포된 점착제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가 이형지인 점착제 시트
KR1020060057783A 2006-06-27 2006-06-27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KR20080000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83A KR20080000193A (ko) 2006-06-27 2006-06-27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83A KR20080000193A (ko) 2006-06-27 2006-06-27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93A true KR20080000193A (ko) 2008-01-02

Family

ID=3921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83A KR20080000193A (ko) 2006-06-27 2006-06-27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8325B (en) Wet-stick adhesives
JPS62288676A (ja) 感圧接着剤組成物
JP6810054B2 (ja) アクリルポリマーに基づくuv硬化性接着剤
CN103228751A (zh) 触控面板用粘结剂组合物、粘结膜和触控面板
CN104769069A (zh) 基于丙烯酸-硅氧烷的复合乳液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237861A (zh) 触控面板用粘结剂组合物、粘结膜和触控面板
JPH0218485A (ja) 紫外線重合アクリル感圧性接着剤
EP3904411B1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 display device
JPH108011A (ja) 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
CN113308203B (zh) 一种耐高温光固化丙烯酸泡棉胶带的合成工艺
CN108300332B (zh) 一种光固化压敏胶、其制备方法及压敏胶带
US20190390086A1 (en) A curable composition,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 adhesive tape, and an adhesive article
KR20060130397A (ko)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감압성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광경화 접착된 물품
WO2020137401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323851B2 (ja) 光反応物層含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00193A (ko) 아크릴계 광경화용 점착제 제조용 조성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의 제조방법
JP2017039856A (ja) 紫外線硬化性再剥離性マスキングテープ用粘着剤組成物
JP4836108B2 (ja) 粘着性向上剤、それを含有する(メタ)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200139623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4010835A (ja)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粘着シート
JP2007297484A (ja) 可視光硬化型の再剥離性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3053673B2 (ja) 光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重合物
Hwang et al. Realizing Cross-linking-fre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Intensive Chain Entanglement through Visible-Light-Mediated Photoiniferter-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Transfer Polymerization
JP3154739B2 (ja) 光重合性接着剤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の接着シ―ト類
CN113308204B (zh) 一种光固化防静电泡棉胶带的合成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