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603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603A
KR20070121603A KR1020070061847A KR20070061847A KR20070121603A KR 20070121603 A KR20070121603 A KR 20070121603A KR 1020070061847 A KR1020070061847 A KR 1020070061847A KR 20070061847 A KR20070061847 A KR 20070061847A KR 20070121603 A KR20070121603 A KR 2007012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pair
connecting member
receptacles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300B1 (ko
Inventor
도시히로 야마모토
히로히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73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70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129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325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리셉터클(receptacle)(1)과, 부착 부재(2)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셉터클은 하우징(10)과 기판 단자(11)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 부재(2)는 한 쌍의 홀더(20)와, 연결 부재(2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21)는 제1 연결 부재(21a)와 제2 연결 부재(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부재(21a)와 제2 연결 부재(21b)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홀더(20)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200, 210)과, 상기 링크 섹션(200, 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201, 211)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21a)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21b)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서 먼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한다.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은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보다 인쇄 회로 기판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커넥터, 어셈블리, 리셉터클, 부착부재, 하우징, 연결부재, 링크섹션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OR ASSEMBLY}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착 부재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주요부(substantial part)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홀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커버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기(separator)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커버의 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커버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연결 부재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5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연결 부재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심사 청구되지 않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00501호는 나란히 배치된 두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P1)에 장착된 소켓(500)과 다른 인쇄 회로 기판(P2)에 장착된 헤더(600)를 포함한다. 소켓(500)은 연결 오목부(501)를 가지고, 인쇄 외로 기판(P1) 상의 회로에 연결된 복수의 단자(502)가 연결 오목부(501)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헤더(600)는 연결 오목부(501)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601)를 가지고, 복수의 단자(602)가 삽입 부재(60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삽입 부재(601)가 연결 오목부(501)에 삽입될 때, 헤더(600)의 단자(602) 각각은 소켓(500)의 단자(502) 각각과 접촉하게 되어, 두 인쇄 회로 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500)과 헤더(6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서 헤더(600)의 삽입 부재(601)를 소켓(500)에 삽입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인쇄 회로 기판(P1, P2)가 고정되어 있으면, 소켓(500)과 헤더(60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리셉터클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판 단자는 상기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과 결합되는 한 쌍을 홀더, 및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link section)과, 상기 링크 섹션의 양단부 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홀더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과 결합될 때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기판 단자와 접촉하게 되는 연결 단자를 각각 가진다.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 중에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들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각각의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 중에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서 먼 각각의 하우징의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들 사이를 연결한다.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보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이 부착 부재의 한 쌍의 홀더를 한 쌍의 리셉터클의 하우징에 인쇄 회로 기판들의 두께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인쇄 기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기판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이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보다 인쇄 회로 기판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과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은 서로 방해하지 않고, 따라서 다수의 연결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및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은, 각각 상기 인쇄 회로 기판들의 두께 방향으로 곡선을 그 리거나 굽어 있고 상기 연결 단자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탄성 변형성(elastiv deformability)을 가지는 스프링 섹션(spring section)을 가진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서의 두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리셉터클들의 변위(displacement)는 스프링 섹션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부재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과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을 서로 분리하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과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사이의 절연을 보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이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어 고정되는 주입 홈(injection groove), 및 상기 주입 홈의 반대쪽에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나머지 링크 섹션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홈(slide groove)를 가진다. 이 경우에, 스페이서는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과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사이의 절연을 보증하면서도, 연결 부재들의 탄성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연결 단자가 가압되는 제1 유지 홈,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연결 단자가 가압되는 제2 유지 홈을 가지고, 상기 제1 유지 홈은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에 공통 방향(common direction)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지 홈은, 상기 홀더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홀 더에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부착 부재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또는 상기 한 쌍의 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연결 부재를 부주의하게 건드리거나 주위의 먼지가 연결 부재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연결 부재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몰딩되고 인접한 연결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연결 부재들을 분리하는 분리기(separator)를 가진다. 이 경우에, 인접한 연결 부재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분리기와 커버를 일체로 몰딩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복수의 제1 맞물림부(engagement part)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홀더는 제2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제1 맞물림부와 각각의 상기 홀더의 제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홀더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커버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할 때, 커버에 연결된 각각의 홀더도 또한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부착 부재를 리셉터클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다. 또, 홀더들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리셉터클로부터 부착 부재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착 부재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 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커버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 부(opening)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각각의 상기 홀더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폭이 넓다. 이 경우에, 리셉터클의 위치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으로 잘못 정렬되더라도, 개구부의 폭이 돌출부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커버를 한 쌍의 홀더에 편안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에 의해 홀더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커버의 부착이 리셉터클과 홀더 사이의 연결 상태를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상기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변위(displacement)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변형부(elastic deformation part)를 가진다. 이 경우에, 특히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리셉터클의 위치가 잘못 정렬되더라도, 탄성 변형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버를 한 쌍의 리셉터클 또는 한 쌍의 홀더에 편안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에 의해 홀더 또는 리셉터클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커버의 부착이 리셉터클과 홀더 사이의 연결 상태를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 판(P1, P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리셉터클(1), 및 한 쌍의 리셉터클(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한 쌍의 리셉터클(1)에 연결된 부착 부재(2)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셉터클(1)은, 절연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10), 및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단자(11)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홈형의(groove-like) 연결 오목부(10a)를 가진다. 하우징(10)은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 상에 배치되되,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 그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오목부(10a)의 양측에 측벽(10b, 10c)을 가지고, 기판 단자(11)들이 배치되는 복수의 홈(10d)이 측벽(10b, 10c) 내에 내부에서 외부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하부면에 위치 설정 돌출부(positioning protrusion)(10e)를 가지고,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하우징(10)의 위치는 위치 설정 돌출부(10e)를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hole)에 삽임함으로써 결정된다.
각각의 기판 단자(11)는 금속판을 펀칭 가공(punching process) 및 벤딩 가공(bending process)함으로써 형성되고, 역 U자 형상을 가지고 홈(10d)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유지부(held section)(11a), 탄성을 가지고 유지부(11a)의 연결 오목 부(10a) 측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오목부(10a)의 위쪽으로 뻗는 접촉부(contact)(11b), 및 유지부(11a)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우징(10)이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회로에 납땜된 단자 섹션(11c)을 가진다. 기판 단자(11)는 하우징(10)의 측벽(10b, 10c)의 홈(10d)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판 단자(11)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부재(2)는,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을 홀더(20)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홀더(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1)를 포함한다.
각각의 홀더는 리셉터클(1)의 연결 오목부(10a)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볼록부(connection convex portion)(20a)를 가진다. 후술하는 연결 부재(21)의 연결 단자(201, 211)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홈(20b)이, 연결 볼록부(20a)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 볼록부(20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폭 방향(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립부(grip portions)(20c)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그립부(20c)를 잡고서 홀더(20)를 리셉터클(1)에 부착하거나 리셉터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빔(beam)(20d)에 의해, 홀더(2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연결 단자(202)를 보호할 수 있다.
연결 부재(21)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21a)와 복수의 제2 연결 부재(21b)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1a)는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 중에서, 각각의 하우징(10)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1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연결 부재(21b)는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 중에서, 각각의 하우징(10)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10)에서 먼 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는 한 쌍의 홀더(20)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link section)(200)과, 링크 섹션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201)를 가진다. 각각의 연결 단자(201)는 홀더(20)에 의해 유지되고 한 쌍의 홀더(20)가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때 기판 단자(11) 중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는 한 쌍의 홀더(20)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210)과, 링크 섹션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211)를 가진다. 각각의 연결 단자(211)는 또한 홀더(20)에 의해 유지되고 한 쌍의 홀더(20)가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때 기판 단자(11) 중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연결 부재(21)의 연결 단자(201) 각각은, 대체로 U자 형상이고, 링크 섹션(200)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도 4) 홀더(20)의 유지 홈(20b) 내로 가압되는 유지부(201a)과, 탄성을 가지고 유지부(201a)의 단부로부터 링크 섹션(200) 측(즉, 제1 연결 부재(21a)의 내부)을 향해 위쪽으로 뻗는(도 4) 접촉부(201b)를 가진다. 돌출부(201c)는 유지부(201a)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201a)가 유지 홈(20b) 내로 가압될 때 유지 홈(20b) 내면에 맞물려서, 연결 단자(201)가 유지 홈(20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21b)의 연결 단자(211) 각각은, 대체로 U자 형상이고, 링크 섹션(200)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도 4) 홀더(20)의 유지 홈(20b) 내로 가압되는 유지부(211a)와, 탄성을 가지고 유지부(211a)의 단부로부터 링크 섹션(200)의 반대쪽(즉, 제1 연결 부재(21a)의 외부)을 향해 위쪽으로 뻗는(도 4) 접촉부(211b)를 가진다. 돌출부(211c)는 유지부(211a)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유지부(211a)가 유지 홈(20b) 내로 가압될 때 유지 홈(20b) 내면에 맞물려서, 연결 단자(211)가 유지 홈(20b)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의 중간부는 역 U자 형상(inverted U-shaped confguration)으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두께 방향으로 굽어져 있고, 그에 따라 연결 단자(201)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 섹션(20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의 중간부는 역 U자 형상으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두께 방향으로 굽어져 있고, 그에 따라 연결 단자(211)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 섹션(2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스프링 섹션(202, 2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P1, P2)들 사이 및/또는 한 쌍의 리셉터클(1)들 사이의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서의 오정렬(misalignment)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1a) 및 제2 연결 부재(21b)가 홀더(20)에 연결될 때,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210)보다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인쇄 회로 기판(P1, P2)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은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을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연결 부재(21a) 및 제2 연결 부재(21b)는 서로 방해하지 않고, 그에 따라 다수의 연결 부재(21)를 홀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는 또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과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사이를 분리시키는(다시 말해,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과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을 서로 분리시키는) 스페이서(22)를 더 포함한다. 스페이서(22)를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과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22)는,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이 각각 인쇄 회로 기판(P1, P2) 측의 면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주입 홈(injection groove)(22a)과, 주입 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df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홈(22b)를 가진다. 즉, 각각의 주입 홈(22a)의 폭은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의 폭과 대략 같고, 각각의 슬라이드 홈(22b)의 폭은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의 폭보다 약간 넓다. 스페이서(22)에 주입홈(22a)에 더해 슬라이드 홈(22b)을 형성함으로써, 링크 섹션(200)과 링크 섹션(210)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확실하게 하면서,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 션(210)이 도 4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페이서(22)는 연결 부재(21)의 탄성적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구성된 부착 부재(2)는 각 홀더(20)의 연결 볼록부(20a)를 각 하우징(10)의 연결 오목부(10) 내로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리셉터클(1)과 연결된다. 이 때, 리셉터클(1)의 기판 단자(11)의 접촉부(11b)와 부착 부재(2)의 연결 단자(201, 211)의 접촉부(201b, 211b)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부착 부재(2)의 각 접촉부(201b, 211b)는 끝(tip)에 오목부(201d, 211d)를각각 가지고(도 4 참조), 한편 리셉터클(1)의 접촉부(11b) 각각은 끝에 돌출부(11d)를 가지며(도 1a 참조), 각각의 돌출부(11d)는 각각의 접촉부(201b, 211b)와 각각의 접촉부(11b)가 서로 연결될 때 각각의 오목부(201d 또는 211d)에 떨어지며(drop), 그에 따라 사용자는 딸깍하는 느낌(click feeling )을 받을 수 있다. 또, 돌출부(11d)와 오목부(201d, 211d)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연결 볼록부(20a)가 연결 오목부(10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단(convex step)(20e)이 각 홀더(20)의 각 그립부(20c)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오목단(concave step)(10f)이 각 리셉터클(1)의 하우징(10)의 상부면 상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단(20e)은 오목단(10f)과 맞물려서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하우징(10)에 대한 홀더(20)의 오정렬을 방지한다.
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오목부(20f)가 각각의 그립부(20c)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위치설정 돌기부(10ㅎ)가 각각의 하우징(10)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에 대한 홀더(20)의 위치는 위치 설정 돌출부(10g)를 위치 설정 오목부(20g) 내에 삽입함으로써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이 예를 들어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한 쌍의 홀더(20)가 연결 부재(21)에 의해 한 쌍의 리셉터클(1)에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는 부착 부재(2)를 부착함으로써, 서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이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 또는 한 쌍의 리셉터클(1) 사이의 오정렬을 부착 부재(2)의 링크 섹션(200, 210)의 스프링 섹션(202, 2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a)의 연결 단자(201)가 안으로 가압되는 홀더(20)의 유지 홈(20b)(이하, 제1 유지 홈이라 한다)과, 제2 연결 부재(21b)의 연결 단자(211)에 안으로 가압되는 유지 홈(20b)(이하 제2 유지 홈이라 한다)은 둘 다 홀더(20)가 리셉터클(10)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즉, 도 4의 위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부재(21a)를 화살표 A1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홀더(20)에 부착한 다음, 스페이서(22)를 화살표 A2로 표시한 방향으로 제1 연결 부재(21a)에 부착하고 나서, 제2 연결 부재(21b)를 화살표 A3으로 표시한 방향으로 스페이서(22) 및 홀더(20)에 부착함으로써, 부착 부재(2)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 부재(21a)의 연 결 단자(201)가 안으로 가압되는 홀더(20)의 제1 유지 홈(20b)은, 홀더(20)가 리셉터클(1)에 부착되는 방향(즉, 도 4의 아래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21a)는 홀더(20)에 아래로부터 부착될 수 있다. 즉, 양 홀더(20) 내에서 제1 유지 홈이 한 쌍의 홀더(20) 사이의 공통 방향(common direction)으로 개방되어 있고, 제2 유지 홈이 홀더(20)가 리셉터클(1)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 제1 및 제2 연결 부재(21a, 21b)를 홀더(20)에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두께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부착 부재(2)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스페이서(22)에 대해 설명하면, 스페이서(22)는, 제2 연결 부재(21b)를 주입 홈(22a)에 가압하고, 제1 연결 부재(21a)를 슬라이드 홈(22b)에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연결 볼록부(20a)는 하우징(10)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연결 오목부(10a)는 홀더(2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오목부(10a)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또,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스프링 섹션(202)과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스프링 섹션(212)은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곡선을 이룰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리셉터클(1'), 한 쌍의 리셉터클(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한 쌍의 리셉터클(1)에 연결된 부착 부재(2), 및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부착 부재(2')의 한 쌍의 홀더(20')에 고정된 커버(3)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셉터클(1')은, 절연 재료,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10'), 및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기판 단자(11')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길이 방향을 따라 홈형의(groove-like) 연결 오목부(10a')를 가진다(도 7 참조). 하우징(10')은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 상에 배치되되, 길이 방향이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오목부(10a')의 양측에 측벽(10b', 10c')을 가지고, 기판 단자(11')들이 배치되는 복수의 홈(10d')이 측벽(10b', 10c') 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기판 단자(11')는 홈(10d')들 중의 하나에 의해 유지되는 유지부(11a'), 탄성을 가지고 선형의 유지부(11a')의 상단(top end)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오목부(10a')의 아래쪽으로 뻗는 접촉부(11b'), 및 유지부(11a')의 바깥쪽 단부에서 하우징(10')이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전기 회로에 납땜된 단자 섹션(11c')을 가진다. 기판 단자(11')는 하우징(10')의 측벽(10b', 10c') 의 홈(10d')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복수의 기판 단자(11')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재(2')는,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을 홀더(20')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홀더(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21')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홀더(20')는 리셉터클(1')의 연결 오목부(10a')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볼록부(20a')를 가진다. 후술하는 연결 부재(21')의 연결 단자(201', 211')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홈(20b')이, 연결 볼록부(20a')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볼록부(20a')의 한 면(대향하는 홀더(20')에서 가까운 면)에 형성된 각각의 유지 홈(20b')은 구멍(20h)을 통해 홀더(20')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형(slit-like) 오목부(20g)와 통한다. 연결 볼록부의 다른 면(대향하는 홀더(20')에서 먼 면)은 구멍(20i)을 통해 홀더(20')의 상부면과 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를 고정하기 위한 제2 맞물림부(engagement part)인 돌출부(20j)는 각 홀더(20')의 세로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20j)의 상부면은 아래쪽으로 엎어져서(slop) 커버(3)을 부드럽게 연결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21')는 복수의 제1 연결 부재(21a')와 복수의 제2 연결 부재(21b')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1a')는 하우징(10')의 양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 중에서, 각각의 하우징(10')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1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연결 부재(21b')는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 중에서, 각각의 하우징(10')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10')에서 먼 하우징(10') 측에 배치된 기판 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는 한 쌍의 홀더(20')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200')과, 링크 섹션(2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201')를 가진다. 각각의 연결 단자(201')는 홀더(20')에 의해 유지되고 한 쌍의 홀더(20')가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때 기판 단자(11')와 접촉하게 된다. 유사하게,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는 한 쌍의 홀더(20')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210')과, 링크 섹션(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211')를 가진다. 연결 단자(211')도 또한 홀더(20')에 의해 유지되고 한 쌍의 홀더(20')가 한 쌍의 리셉터클(1')과 결합될 때 기판 단자(11')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연결 부재(21')의 연결 단자(201') 각각은 선형이고, 슬릿형의 오목부(20g)와 구멍(20h)을 통해 홀더(20')의 유지 홈(20b') 중 하나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연결 부재(21a)의 연결 단자(201')는 대향하는 홀더(20')의 가까운 쪽의 유지 홈(20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21b')의 연결 단자(211') 각각도 또한 선형이고 구멍(20i)을 통해 홀더(20')의 유지 홈(20b') 중 하나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연결 부재(21b')의 연결 단자(211')는 대향하는 홀더(20')에서 먼 쪽의 유지 홈(20b')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의 중간부는 대략 U자 형상(U-shaped confguration)으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두께 방향으로 굽어져 있고, 그에 따라 연결 단자(201')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 섹션(202')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의 중간부는 대략 U자 형상으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두께 방향으로 굽어져 있고, 그에 따라 연결 단자(211')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프링 섹션(21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스프링 섹션(202', 21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 및/또는 한 쌍의 리셉터클(1') 사이의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서의 오정렬를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21a') 및 제2 연결 부재(21b')가 홀더(20')에 연결될 때,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보다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인쇄 회로 기판(P1, P2)에 더 가까이 배치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은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을 각각의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연결 부재(21a') 및 제2 연결 부재(21b')는 서로 방해하지 않고, 그에 따라 다수의 연결 부재(21')를 홀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는 투명하거나 반투명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아래쪽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홀딩된다. 제1 맞물림부인 한 쌍의 개구부(30)와 한 쌍의 개구부(31)는 커버(3)의 한 쌍의 대향하는 측벽(3a)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가의 개구부(30, 31)는, 커버(3)가 홀더(20')에 부착될 때 제2 맞물림부인 홀더(20')의 각 돌출부(20j)가 각각의 개구부(30, 31) 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0)는 홀더(20')의 돌출부(20j)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 L1을 가지고, 개구부(31)는 돌출부(20j)의 폭 W보다 충분히 넓은 폭 L2를 가진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3a)의 하단은 각각 개구부(30)와 개구부(31) 아래에서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32)들을 가진다. 경사면(32)은 커버(3)가 홀더(20')에 부착될 때 홀더(20') 상부면의 에지와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홀더(20')에 대한 커버(3)의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 이 경사면(32)에 의해 커버(3)가 홀더(20')에 부착될 때 커버(3)의 측벽(3a)이 홀더(20')의 돌출부(20j)를 타고 넘기가 용이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의 내부에, 수직벽(34)이 측벽(3a)의 중심들 사이에 커버(3)와 일체로 몰딩되어 있다. 각각의 인접한 연결 부재(21')들 사이에 배치된 빗형(comb)의 분리기(35)가 수직벽(34)의 하단에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 부재(21')들 사이를 분리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가 홀더(20')에 부착될 때, 제1 연결 부재(21a')의 각 링크 섹션(200')과 제2 연결 부재(21b')의 각 링크 섹션(210')는 분리기(35)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35a) 내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인접한 제1 연결 부재(21a')의 링크 섹션(200') 과 인접한 제2 연결 부재(21b')의 링크 섹션(210')은 분리기(35)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분리기(35)에 의해, 인접한 연결 부재(21')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커버(3)의 상판(top board)에, 대략 U자형의 갭(36)이 수직벽(34)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갭(36)들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에 변위가 일어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 변형부(37)를 규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먼저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에 각각의 리셉터클(1')을 장착하고, 부착 부재(2')의 각각의 홀더(20')의 연결 볼록부(20a')를 각각의 하우징(10')의 연결 오목부(10a') 내로 삽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리셉터클(1')의 기판 단자(11')의 접촉부(11b') 및 부탁 부재(2')의 연결 단자(201', 211')가 서로 연결된다.
그런 다음, 커버(3)를 양 홀더(20')에 부착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가 홀더(20')에 부착될 때, 커버(3)의 측벽(3a)의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32)이 홀더(20')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커버(2)와 홀더(20') 사이의 오정렬이 보정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3)가 더욱 가압되면, 경사면(32)은 도 12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0')의 돌출부(20j)의 기울어진 상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커버(3)의 측벽(3a)은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커버(3)의 개구부(30, 31)가 홀더(20')의 돌출부(20j)에 도달하면, 커버(3)의 측벽(3a)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부(30, 31)(즉, 제1 맞물림부)와 돌출부(20j)(즉 제2 맞물림부)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 때, 커버(3)의 상판의 상부면은 홀더(20')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커버(3)가 연결 부재(21')와 양 리셉터클(1')을 덮은 상태에서 커버(3)는 홀더(20')에 고정된다. 커버(3)로 연결 부재(21')와 양 리셉터클(1')을 덮음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연결 부재(21')를 건드리거나 주위의 먼지가 연결 부재(21')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결 부재(21')의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3)가 리셉터클(1')로부터 분리될 때, 부착 부재(2')도 또한 커버(3)와 함께 리셉터클(1')로부터 분리된다. 한 쌍의 홀더(2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부착 부재(2')가 리셉터클(1)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제1 연결 부재(21a')와 제2 연결 부재(21b')가 뒤틀리는 것이 방지되고, 그것들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런데, 커버(3)가 이미 부착되어 있는 부착 부재(2')를 리셉터클(1')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착 부재(2')가 커버(3)와 함께 리셉터클(1')에 부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도 5의 X 방향, 즉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서의 그들 사이의 소정의 위치 관계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차 부재(2')의 홀더(20')가 리셉터클(1')에 부착되어 있으면,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a')의 스프링 섹션(202')의 굴곡도(degree of flexion)와 제2 연결 부재(21b')의 스프링 섹션(212')의 굴곡도는 증대되고, 링크 섹션(200', 210')는 위쪽으로 곡선을 그린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홀더(20')를 각각의 리셉터클(1')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커버(3)의 개구부(31)가 돌출부(20j)의 폭 W보다 충분히 넓은 폭 L2를 가지기 때문에, 커버(3)가 부착 부재(2')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한 쌍의 홀더(20') 사이의 거리의 감소(즉, 한 쌍의 홀더(20')의 접근)가 허용된다. 이로써, 커버(3)에 의해 리셉터클(1')에 결합된 홀더(2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는, 부착 부재(2')가 커버(3)와 함께 리셉터클(1')에 부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도 5의 X 방향에서의 그들의 소정 위치 관계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부착 부재(2')의 홀더(20')가 리셉터클(1')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a')의 스프링 섹션(202')의 굴곡도와 제2 연결 부재(21b')의 스프링 섹션(212')의 굴곡도는 감소된다. 이로써, 각각의 홀더(20')를 각각의 리셉터클(1')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또한 커버(3)의 개구부(31)가 돌출부(20j)의 폭 W보다 충분히 넓은 폭 L2를 가지기 때문에, 커버(3)가 부착 부재(2')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양 홀더(20') 사이의 거리의 증가가 허용된다.
또는, 부착 부재(2')가 커버(3)와 함께 리셉터클(1')에 부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의 위치 관계는 도 5의 Y 방향, 즉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에서의 그들 사이의 소정의 위치치 관계로부터 오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의 탄성 변형부(37)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양 홀더(20')의 오정렬이 허용된다. 인접한 연결 부재(21')는 빗형의 분리기(35)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 한 연결 부재(21')가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커넥터 어셈블이에서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이 예를 들면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나란히 배치되고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착 부재(2')의 각각의 홀더(20')를 각각의 리셉터클(1')에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서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P1, P2) 사이 또는 한 쌍의 리셉터클(1') 사이의 오정렬을, 부착 부재(2')의 링크 섹션(200', 210)'의 스프링 섹션(202', 212')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홀더(20')의 돌출부(20j) 대신에, 리셉터클(1')은 유사한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커버(3)는 한 쌍의 리셉터클(1')에 부착될 수 있다.
탄성 변형부(37)의 형상은 본 발명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더라도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각각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리셉터클(receptacle), 및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착 부재
    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리셉터클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및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판 단자는 상기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과 결합되는 한 쌍을 홀더, 및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는 제1 연결 부재들과 제2 연결 부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에 배치된 링크 섹션(link section)과, 상기 링크 섹션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홀더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과 결합될 때 상기 리셉터클의 기 판 단자와 접촉하게 되는 연결 단자를 각각 가지고,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 중에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들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각각의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 중에서, 각각의 상기 하우징의 양측 중 대향하는 하우징에서 먼 각각의 하우징의 측에 배치된 상기 기판 단자들 사이를 연결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보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및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은, 각각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곡선을 그리거나 굽어 있고, 상기 연결 단자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탄성 변형성(elastiv deformability)을 가지는 스프링 섹션(spring section)을 가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과 각각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을 서로 분리시키는 스페이서(spacer)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이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되어 고정되는 주입 홈(injection groove), 및
    상기 주입 홈의 반대쪽에 상기 스페이서의 표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상기 제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링크 섹션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슬라이드 홈(slide groove)를 가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의 연결 단자가 가압되는 제1 유지 홈, 및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연결 단자가 가압되는 제2 유지 홈
    을 가지고,
    상기 제1 유지 홈은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에 공통 방향(common direction)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지 홈은, 상기 홀더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이동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또는 상기 한 쌍의 홀더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 부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몰딩되고 인접한 연결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한 연결 부재들을 분리하는 분리기(separator)를 가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복수의 제1 맞물림부(engagement part)를 가지고,
    각각의 상기 홀더는 제2 맞물림부를 가지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제1 맞물림부와 각각의 상기 홀더의 제2 맞물림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커버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이고,
    상기 제2 결합부는 각각의 상기 홀더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이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폭이 넓은,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상기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변위(displacement)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변형부(elastic deformation part)를 가지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70061847A 2006-06-22 2007-06-22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02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3035 2006-06-22
JP2006173035A JP4187017B2 (ja) 2006-06-22 2006-06-22 コネクタ
JPJP-P-2007-00081291 2007-03-27
JP2007081291A JP4293254B2 (ja) 2007-03-27 2007-03-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603A true KR20070121603A (ko) 2007-12-27
KR100902300B1 KR100902300B1 (ko) 2009-06-10

Family

ID=3854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847A KR100902300B1 (ko) 2006-06-22 2007-06-22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8200B2 (ko)
EP (1) EP1870963A1 (ko)
KR (1) KR100902300B1 (ko)
TW (1) TWI32187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6B1 (ko) * 2007-07-06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브릿지 커넥터
KR100886585B1 (ko) * 2007-08-31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커넥터용 단자
KR100891342B1 (ko) * 2007-07-06 2009-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KR100939620B1 (ko) * 2007-09-21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8283B1 (en) * 2008-04-23 2009-11-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ridge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US7771227B1 (en) * 2009-04-20 2010-08-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ircuit board connector assembly
CN102668253B (zh) * 2009-11-24 2015-10-14 日本发条株式会社 连接构件
JP5632420B2 (ja) * 2012-05-07 2014-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間接続構造
US8894437B2 (en) * 2012-07-19 2014-11-25 Integrated Illumination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or enabling vertical removal
US9711879B2 (en) * 2014-08-05 2017-07-18 Infinera Corporation Clamp interconnect
MY191373A (en) * 2017-08-28 2022-06-20 Jf Microtechnology Sdn Bhd Low inductanc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manufacturing process
US20190067861A1 (en) * 2017-08-28 2019-02-28 Jf Microtechnology Sdn. Bhd. Low inductance electrical contact assembly
US10193256B1 (en) * 2018-01-12 2019-01-29 Xiamen Ghgm Industrial Trade Co., Ltd. Power supply board bridge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TWI666833B (zh) * 2018-12-26 2019-07-2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總成及其跨接式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0097A (en) * 1951-04-19 1956-03-27 Hughes Aircraft Co Electrical hing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JPS57158969A (en) * 1981-03-27 1982-09-30 Taiko Denki Co Ltd Flexible connector
US4555151A (en) * 1984-08-06 1985-11-26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Contact terminal device for connecting hybrid circuit modules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H0418237Y2 (ko) * 1988-09-30 1992-04-23
JPH0542626Y2 (ko) 1989-05-08 1993-10-27
US4995814A (en) * 1989-12-15 1991-02-2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blade-shaped members
JPH0412282U (ko) 1990-05-23 1992-01-31
US5316486A (en) * 1990-05-29 1994-05-31 Kel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film circuitry
JPH05326087A (ja) * 1991-08-15 1993-12-10 Du Pont Singapore Pte Ltd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用いた電気的接続構造体
US5195897A (en) * 1992-05-08 1993-03-23 Beta Phase, Inc. Connector and opening accessory
US5387111A (en) * 1993-10-04 1995-02-07 Motorola, Inc. Electrical connector
KR100511537B1 (ko) 1997-09-17 2005-09-26 에프씨아이 접지 차폐부를 갖는 3개 열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2000100501A (ja) * 1998-09-25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6302705B1 (en) * 2000-06-22 2001-10-16 Cray Inc. Electrical circuit connector with support
US6428349B1 (en) * 2001-04-30 2002-08-0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jumpering resistors and other components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7227759B2 (en) * 2004-04-01 2007-06-05 Silicon Pipe, Inc. Signal-segregating connector system
DE202004018757U1 (de) * 2004-12-04 2006-04-1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Überbrückung zweier Stromschien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586B1 (ko) * 2007-07-06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브릿지 커넥터
KR100891342B1 (ko) * 2007-07-06 2009-03-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KR100886585B1 (ko) * 2007-08-31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커넥터용 단자
KR100939620B1 (ko) * 2007-09-21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0963A1 (en) 2007-12-26
US7488200B2 (en) 2009-02-10
KR100902300B1 (ko) 2009-06-10
TW200814443A (en) 2008-03-16
US20070298641A1 (en) 2007-12-27
TWI321872B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30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11248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US8197272B2 (en) Connector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50110313A (ko) 커넥터 조립체
US11605911B2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detachably fitting to each other
CN113302803A (zh)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以及具有其的板对板连接器
US20100233906A1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member having a hook
KR101802171B1 (ko) 커넥터
KR20150022662A (ko) 단자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CN101093917A (zh) 连接器组件
JP2006004949A (ja) コネクタ
JP2015204225A (ja) コネクタ
US10516226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JP2017103095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解除方法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3994545B (zh) 连接器
US105539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07294299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4293254B2 (ja) コネクタ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6145531B2 (ja) 中継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