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342B1 -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342B1
KR100891342B1 KR1020070068046A KR20070068046A KR100891342B1 KR 100891342 B1 KR100891342 B1 KR 100891342B1 KR 1020070068046 A KR1020070068046 A KR 1020070068046A KR 20070068046 A KR20070068046 A KR 20070068046A KR 100891342 B1 KR100891342 B1 KR 100891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substrate
parallel
bridg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106A (ko
Inventor
정주영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양단이 각각의 플러그들(30,40)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2)과, 상기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2)들을 내포하는 가요성 절연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릿지 커넥터, 회로기판, 단자.

Description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FLEXIBLE BRIDGE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기판들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전자제품 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는 많은 기판들이 장착된다. 이들 기판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판들간의 연결을 위하여 브릿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브릿지 커넥터는 분리되어 있는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각 기판들에 결합되는 부분과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또는 도선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편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기판들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제품의 특징에 따라, 혹은 동일 제품이라도 제작과정에서의 미세한 오차에 의해 각 기판들 사이의 간격이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기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경우에 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경우 기판에 결합된 커넥터 하우징에 수직으로 와이어를 연결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좁은 기판들 사이에 와이어가 장착된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어, 와이어 하네스(harness)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게 되고, 와이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어느정도의 강성이 있는 도체만을 와이어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기판들 사이의 간격이 제품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제품에 부합되는 커넥터를 별도 설계해야 하고, 동일 제품이라도 간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과 경제성이 떨어진다.
나아가 도체들만으로 연결하는 경우 도체들간의 접촉에 의한 쇼트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버터 등에 결합하는 커넥터의 경우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아 작업성과 경제성이 좋으며, 도체들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인 브릿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기판들간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간격을 보정하는 기능을 가진 범용성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고 결합음을 발생하게 하여 청각적으로도 쉽게 결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양단이 각각의 플러그들(30,40)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2)과, 상기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2)들 을 내포하는 가요성 절연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의 양 측면에는 각각 회전가능한 걸이부(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양 측면에는 각각 돌출된 걸림턱(4)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시에 상기 걸이부(3)가 상기 걸림턱(4)에 걸림에 의해 체결의 육안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플러그(30,40)에는 함몰된 걸림홈(5)이 더 포함되고,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상부의 기판접촉부(6)와 상부의 탄성접촉부(7)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7)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된 결합돌기(8)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접촉부의 일측 결합돌기(8a)는 상기 연결용 단자(2)와 접속하고, 타측 결합돌기(8b)는 상기 걸림홈(5)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돌기(8b)와 걸림홈(5)의 결합시에 충돌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연결용 단자(2)에서 상기 가요성 절연커버(50)에 내포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2a)이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간의 어긋나는 방향의 배열을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용 단자(2)를 내포하는 절연커버(50)가 상하로 파형을 이루며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의 접속거리차이를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가요성 절연커버는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가요성 재질을 가지고 있어서 휘어질 수 있지만 절연성이기 때문에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시에 걸이부와 걸림턱이 상호 걸리게 하여,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체결이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판접속용 단자의 탄성접촉부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삽입되는 플러그에 의해 중심부로 향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용 단자에 접촉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탄성접촉부의 결합돌기가 걸림홈과 결합을 하게 되어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결합돌기는 플러그의 진입에 의해 탄성변형이 발생하였다가 걸림홈과 결합을 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를 타격하여 충돌음을 발생시켜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청각적으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완전한 체결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들간에 어긋나도록 배치되거나 기판들간의 간격이 좁게 배치된다고 하더라고 범용성을 가지고 기판들간의 간격을 보상하여 안정적으로 기판들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1)를 포함하는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 연결용 단자들(2), 가요성 절연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상기 제1 소켓(10)과 제2 소켓(20)은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된다. 상기 소켓과 기판들의 서수는 편의상 구분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켓들은 내부에 플러그들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측벽에 병렬적으로 기판접속용 단자(1)가 배열된다.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상기 소켓의 하부에서 기판들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소켓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들에 연결된 연결용 단자와 결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에 각각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는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수용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내측면에는 연결용 단자(2)들이 병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용 단자(2)들은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양단이 각각의 플러그들(30,40)과 연결되어 있다. 플러그들과 연결된 연결용 단자의 단부는 상기 플러그의 홈을 관통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과 결합시에, 상기 소켓의 내부 수 용공간의 내측벽에 배열된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해진다.
상기 가요성 절연커버(50)는 상기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2)들을 내포하고 있다. 가요성 재질을 가지고 있어서 휘어질 수 있지만, 절연성이기 때문에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절연커버(50)는 연결용 단자들을 병렬적으로 배열한 후에 사출성형하여 단자들은 내포하도록 형성된다. 두께는 상기 단자들을 충분히 내포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커버의 폭은 상기 단자들의 일부분(2a)을 완전히 덮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용 단자는 기판들이 상호 어긋나는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더라도 단자의 일부(2a)에서 변형이 일어나서 상기 간격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상기 제1 플러그(30)와 제2 플러그(40)의 양 측면에는 각각 회전가능한 걸이부(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양 측면에는 각각 돌출된 걸림턱(4)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시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걸이부(3)가 상기 걸림턱(4)이 상호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체결이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커넥터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상기 각각의 플러그(30,40)에는 함몰된 걸림홈(5)이 더 포함되고,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1)는 하부의 기판접촉부(6)와 상부의 탄성접촉부(7)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7)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된 결합돌기(8)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접촉부의 일측 결합돌기(8a)는 상기 연결용 단자(2)와 접속하고, 타측 결합돌기(8b)는 상기 걸림홈(5)과 결합된다. 상기 탄성접촉부의 형상이 도 4와 같이 형성되면 탄성접촉부는 삽입되는 플러그에 의해 중심부로 향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용 단자(2)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탄성접촉부의 결합돌기(8b)가 상기 걸림홈(5)과 결합을 하게 되어 상기 플러그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8b)는 상기 플러그의 진입에 의해 탄성변형이 발생하였다가 상기 걸림홈(5)과 결합을 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를 타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충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음은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청각적으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완전한 체결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 및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5와 도 6은 나란한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경우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커넥터는 기판들간의 간격에 맞추어 초기 장착이 가능하다.
즉, 위치가 어긋나 있는 기판들에 대해 상기 연결용 단자(2)에서 상기 가요성 절연커버(50)에 내포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2a)이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간의 어긋나는 방향의 배열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와 같이 정상적으로 동일한 선상의 위치에 있는 기판들간의 연결시는 연결용 단자의 노출된 부분(2a)이 변형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다. 하지만 도 6과 같이 기판들간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나도록 배치된 경우라 하더라도 연결용 단자의 노출된 부분(2a)이 변형되어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본 커넥터는 기판들간에 어긋나도록 배치된다고 하더라고 범용성을 가지고 기판들간의 간격을 보상하여 안정적으로 기판들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과 도 8은 마주하는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제품이라도 작업상의 오차에 의해 기판들간의 마주하는 방향의 간격이 다른 경우 이러한 간격을 보상하는 범용성 있는 커넥터로서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용 단자(2)를 내포하는 절연커버(50)가 상하로 파형을 이루며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의 근접배치에 의한 접속거리차이를 보상하도록 작동한다.
도 7은 기판들간의 간격이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런 경우는 상기 절연커버(50)가 평평하게 펴져 있다. 하지만 기판들간의 간격이 기준치보다 좁게 배치된 경우, 범용성 있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절연커버가 도 8과 같이 상하로 파형을 이루며 변형되어 그 간격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커버의 변형형상은 정형화된 것은 아니며, 자연스럽게 파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본 커넥터는 기판들간의 간격이 좁거나 넓게 배치된다고 하더라고 범용성을 가지고 기판들간의 간격을 보상하여 안정적으로 기판들 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커넥터의 정면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나란한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도.
도 7과 도 8은 마주하는 방향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도.

Claims (6)

  1.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양단이 각각의 플러그들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과,
    상기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들을 내포하는 가요성 절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용 단자에서 상기 가요성 절연커버에 내포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간의 어긋나는 방향의 배열을 보상하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2. 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된 기판접속용 단자를 포함하며 각각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과 결합되는 제1 소켓과 제2 소켓과,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상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와,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상부에 병렬적으로 배열되며 양단이 각각의 플러그들과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들을 관통하여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들과,
    상기 병렬적으로 배열된 연결용 단자들을 내포하는 가요성 절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용 단자를 내포하는 절연커버가 상하로 파형을 이루며 변형되어 상기 기판들의 접속거리차이를 보상하도록 하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의 양 측면에는 각각 회전가능한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과 제2 소켓의 양 측면에는 각각 돌출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들과 소켓들의 결합시에 상기 걸이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에 의해 체결의 육안확인이 가능한,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러그에는 함몰된 걸림홈이 더 포함되고,
    상기 기판접속용 단자는 하부의 기판접촉부와 상부의 탄성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접촉부는 'U'자 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된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접촉부의 일측 결합돌기는 상기 연결용 단자와 접속하고, 타측 결합돌기는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걸림홈의 결합시에 충돌음이 발생하는,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6. 삭제
KR1020070068046A 2007-07-06 2007-07-06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KR10089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46A KR100891342B1 (ko) 2007-07-06 2007-07-06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46A KR100891342B1 (ko) 2007-07-06 2007-07-06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06A KR20090004106A (ko) 2009-01-12
KR100891342B1 true KR100891342B1 (ko) 2009-03-31

Family

ID=4048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46A KR100891342B1 (ko) 2007-07-06 2007-07-06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6625A1 (en) 2017-07-18 2019-01-24 Avx Corporation MAP CARD CONTACT BRIDG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603A (ko) * 2006-06-22 2007-12-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603A (ko) * 2006-06-22 2007-12-27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06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18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deformable lock arm
US87213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US2019009736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isolation block
US20060035492A1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uning fork terminal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US9318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244887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808397B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use with circuit board
US9343832B2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85717A (ko) 가요성 케이블 전기 커넥터
WO2008001453A1 (fr) Connecteur de câble coaxial
JP5134943B2 (ja) コネクタ
KR100891342B1 (ko)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CN210489871U (zh) 电连接器及其组合件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1180926A (zh)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以及电气组件
KR100886585B1 (ko) 브릿지 커넥터용 단자
KR20090020212A (ko) 직체결 브릿지 커넥터
JP3487542B2 (ja) 屈曲配線板
KR20090020213A (ko) 가요성 브릿지 커넥터
KR100886586B1 (ko) 회전형 브릿지 커넥터
US7972147B2 (en) Connector apparatus
IE5557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which have receptacles that conform to inserted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