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0180A -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0180A
KR20070120180A KR1020077025771A KR20077025771A KR20070120180A KR 20070120180 A KR20070120180 A KR 20070120180A KR 1020077025771 A KR1020077025771 A KR 1020077025771A KR 20077025771 A KR20077025771 A KR 20077025771A KR 20070120180 A KR20070120180 A KR 2007012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tenna
quality indicator
vers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2144B1 (ko
Inventor
레이몬드 씨 월리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2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comparing all antennas before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품질 지표

Description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SYSTEM FOR DIVERSE PATH ANTENNA SELECTION}
배경기술
Ⅰ.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Ⅱ. 종래 기술의 설명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현재 널리 사용되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서로 무선 통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무선 통신하도록 한다. 점점 이동 단말기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서비스 모두를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동작 중에, 이동 단말기는 레일리 신호 페이딩 (Rayleigh signal fading) 의 효과 및/또는 성능을 감소시키는 다른 송신 왜곡을 경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일리 신호 페이딩은 동일한 신호의 다수의 역위상 (out-of-phase) 버전이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역위상 버전은 서로 상쇄하고 열화된 수신 신호를 내는 경향이 있다.
신호 페이딩의 효과를 감소시키는데 이용되는 하나의 기술은 수신 디바이스에서 1차 수신 패스 및 다이버스 수신 패스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다. 안테나는 서로 떨어진 물리적인 공간이고, 1차 수신 패스는 제 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며, 디바이스 수신 패스는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2개의 수신 패스 상의 신호를 결합함으로써, 신호 페이딩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2 안테나는 덜 보이도록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및 그와 연관된 다이버스 수신 패스 일렉트로닉스는 덜 비싼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제 1 안테나 및 1차 수신 패스보다 낮은 성능 (즉, 낮은 민감도) 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무선 서비스의 이용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정보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음성 콜, 페이징 메세지,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신호 (GPS) 와 같은 포지셔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불행하게도, 정적인 다이버스 수신 패스를 갖는 통상적인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그 패스를 신호를 프로세싱하는데만 사용하여, 신호 페이딩과 같은 송신 효과를 감소시킨다. 게다가, 비용의 제약으로 인해, 제 2 안테나는 1차 안테나의 성능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동시에 오직 하나의 정보 신호만을 프로세싱하도록 한정된다. 그 결과, 다이버스 패스 프로세싱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능력 및 기능성은 불필요하게 제한되고/제한되거나 충분히 활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에서 다이버스 수신 패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보유하여, 추가적인 기능성 및/또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 디바이스에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정보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개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에서 1차 수신 패스와 다이버스 수신 패스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동작하는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로 하여금 다수의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게 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추가적인 기능성 및/또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에 이용하는데 적절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스템은 수개의 동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동작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다이버스 수신 패스 프로세싱을 완전히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적화 신호" 모드로 지칭하는 일 동작 모드에서, 시스템은 1차 안테나와 2차 안테나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동작하여 선택된 품질 레벨의 원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통신 시스템에서 유연하게 다이버스 수신 패스 프로세싱을 이용하도록 동작하여서, 종래의 시스템에서와 같이, 단순히 신호 페이딩과 같은 송신 효과를 감소시키는데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제 1 안테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제 1 버전을 생성하고, 제 2 안테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제 2 버전을 생성한다. 장치는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수신 로직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동작한다. 장치는 또한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신호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수단, 및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수단, 및 제 1 및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계-판독가능 명령의 프로그램을 명백히 수록한 신호-베어링 매체가 제공된다. 방법은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 2 안테 나를 이용하여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 1 및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신호의 제 1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여기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전술한 양태 및 부수적인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 는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 은 통신 디바이스에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 는 통신 디바이스에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발병의 상세한 설명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하는데 적절하다.
도 1 은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 (106) 의 일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의 통신 디바이스 (104) 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100)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8) 를 통해 디바이스 (104) 와 통신하는 데이터 네트워크 (102) 를 포함한다. 통신 링크 (108) 는 포워드 통신 채널, 리버스 통신 채널, 제어 채널, 페이징 채널, 및/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데이터 또는 음성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는 임의의 유형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04) 는 이동 전화, 페이저, PDA,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라디오와 같은 무선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를 가상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04) 는 무선 링크 (108) 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 (102) 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안테나 (110) 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104) 는 무선 링크 (108) 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 (102) 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안테나 (112) 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110 및 112) 둘 다는 네트워크 (102) 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테나 (110 및 112) 는 상이한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는 포지셔닝 신호, 라디오 신호,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송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110) 는 최적 신호 수신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 (104) 의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다. 제 2 안테나 (112) 는 디바이스 (104) 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이 때문에, 제 1 안테나 (110) 보다 더 낮은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안테나 (110, 112) 는 임의의 유형, 사이즈, 형상, 또는 품질의 안테나 및/또는 안테나 기술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바이스 (104) 는 안테나 (110, 112) 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하는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을 포함한다.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은 제 1 안테나 (110) 로부터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1차 수신 패스를 포함한다. 1차 수신 패스는 스플리터 (114; Splt) 및 1차 수신기 로직 (116; PR) 을 포함한다.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은 제 2 안테나 (112) 로부터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다이버스 또는 2차 수신 패스도 포함한다. 다이버스 수신 패스는 스위치 (118; Swt) 및 다이버스 수신기 로직 (120; DR) 을 포함한다.
스플리터 (114) 는 임의의 적절한 신호 스플릿팅 로직을 포함하고, 제 1 안테나 (110)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1차 수신기 로직 (116) 및 스위치 (118) 에 입력되는 2 개의 신호로 스플릿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치 (118) 는 임의의 적절한 스위치 로직을 포함하고, 제 2 안테나 (112) 로부터의 신호 및 스플리터 (114)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 또는 그 중 하나를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120) 에 입력되는 스위치 출력으로 향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치 (118) 로 입력된 2 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제어 신호 (Ctl) 에 기초하여 스위치 출력으로부터 출력될 수도 있다. 1차 패스 수신 로직 (116) 및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120) 은 제 1 및 제 2 안테나 (110, 112) 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수신 로직을 포함한다.
동작 중에,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은 디바이스 (104) 로 하여금 송신된 신호를 프로세싱 및 수신하도록 다양한 모드에서 동작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바이스 (104) 는 동시에 2개의 정보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104) 는 음성 콜 및 GPS 신호를 동시에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 디바이스 (104) 는 멀티미디어 신호 및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에 의해 제공되는 동작 모드는 디바이스 (104) 로 하여금 향상된 기능성 및 유연성을 갖고 동작하게 한다. 다음의 프로세싱 모드는 예시적이며, 다른 포로세싱 모드가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다이버스 패스 모드
다이버스 패스 모드에 있어서, 선택 로직 (106) 은 디바이스 (104) 로 하여금 동일한 신호의 2개의 버전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송신된 신호는 디바이스 (104) 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음성 콜과 연관될 수도 있다. 다이버스 패스 모드는 수신기로 하여금 음성 콜 신호의 2 개의 버전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페이딩의 효과 또는 다른 반대 송신 조건을 극복하여, 허용가능한 신호 품질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이 모드에서, 제 1 안테나 (110) 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1차 수신 패스의 스플리터 (114) 에 입력한다. 신호는 1차 수신 로직 (116) 으로 흐르고, 디바이스 (104) 의 다른 로직에 의해 더 프로세싱된다. 제 2 안테나 (112) 도 신호를 수신하지만, 신호는 제 1 안테나 (110) 에서 수신된 신호와 역위상이다. 제 2 안테나 (112) 는 스위치 (118) 에 신호를 입 력한다. 제어 신호 (Ctl) 는 스위치 (118) 를 제어하여 제 2 안테나 (112) 로부터 다이버스 패스 수신기 (120) 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이버스 패스 수신기 (120) 는 이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그 신호를 포워딩하여 디바이스 (104) 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로직에 의해 프로세싱되게 한다. 따라서, 2 개의 안테나 (110, 112) 는 동일한 신호의 2 개의 버전이 프로세싱되도록 하여, 페이딩의 효과 및/또는 다른 반대 송신 효과를 감소시켜서, 음성 콜이 혀용가능한 품질 레벨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멀티플 신호 모드
멀티플 신호 모드에 있어서, 선택 로직 (106) 은 디바이스 (104) 로 하여금 프로세싱을 위해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음성 콜과 연관되는 제 1 신호가 수신될 수도 있고, GPS 신호와 연관되는 제 2 신호가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112) 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120) 으로 라우팅되도록, 스위치 (118) 가 제어된다. 그 결과, 1차 수신 로직 (116) 은 제 1 안테나 (110) 로부터 수신된 제 1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하고, 다이버스 수신 로직 (120) 은 제 2 안테나 (112) 로부터의 제 2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디바이스 (104) 는 2 개의 상이한 정보 신호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최적화 신호 모드
최적화 신호 모드에 있어서, 스위치 (118) 는 다이버스 수신 로직 (120) 에 의해 프로세싱될 신호의 최적 버전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GPS 신 호와 같은 원하는 신호는 제 1 및 제 2 안테나 (110, 112) 모두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의 최적 버전이 다이버스 수신 로직 (120) 에 라우팅되도록 스위치 (118) 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일 케이스에서 제 2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그 결과, 스위치 (118) 는 제 2 안테나로부터 다이버스 수신 로직 (120) 으로 신호를 라우팅한다. 또 다른 케이스에서, 제 1 안테나 (110) 는 더 훌륭한 품질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그 결과, 스위치 (118) 는 제 1 안테나 (110) 로부터 다이버스 수신 로직 (120) 으로 신호를 라우팅한다. 다이버스 패스에 의한 신호의 프로세싱은 1차 패스가 동일 또는 상이한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동안에 발생한다.
따라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은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수신된 정보 신호의 가장 효율적인 프로세싱을 제공하도록 수개의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여서, 종래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유연성 및 성능을 제공한다.
도 2 는 통신 디바이스에 이용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200) 의 일 실시형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선택 로직 (200) 은 도 1 에 도시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106) 으로서 이용하기에 적절하다. 선택 로직 (200) 은 202 로 일반적으로 도시된 1차 수신 패스 및 204로 일반적으로 도시된 다이버스 수신 패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1차 수신 패스 (202) 는 듀플렉서 (Dplx; 206), 송신 및 수신 증폭기 (208, 210), 신호 스플릿터 (Splt; 214), 증폭기 (236), 필터 F; 212) 및 1차 수신 로직 (PR; 216) 을 포함한다. 다이버스 수신 패스 (204) 는 필터 (F; 218), 수신 증폭기 (220), 필터 (F; 222), 스위치 (224) 및 다이버스 수신 로직 (DR; 226) 을 포함한다. 1차 수신 패스 (202) 가 제 1 안테나 (228) 에 연결되고 다이버스 수신 패스 (204) 가 제 2 안테나 (230) 에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228) 는 통신 디바이스의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고, 제 2 안테나는 통신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 1 안테나 (228) 및 1차 수신 패스 (202) 는 제 2 안테나 (230) 및 다이버스 수신 패스 (204)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제 1 안테나 (228) 에서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 (206) 및 수신 증폭기 (210) 를 통해 스플릿터 (214) 로 흐른다. 스플릿터 (214) 는 임의의 적절한 로직, 회로 또는 입력 신호를 2개의 출력 신호로 스플릿하도록 동작하는 다른 기술을 포함한다. 스플릿터 (212) 는 그 입력부의 신호를 증폭기 (236) 및 스위치 (224) 의 제 1 단자로 출력되는 신호로 스플릿하도록 동작한다.
제 2 안테나 (230) 에서 수신된 신호는 필터 (218), 수신 증폭기 (220), 및 필터 (222) 를 통해 스위치 (224) 의 제 2 단자로 흐른다. 스위치 (224) 는 임의의 적절한 스위치 기술을 포함하고, 로직, 디스크리트 컴포넌트, 및/또는 원하는 선형성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고체-상태 회로를 포함한다. 스위치 (224) 는 그 입력부의 신호 중 하나를 스위치 출력으로 스위칭하도록 동작하여, 선택된 신호가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흐르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위치 (224) 는 제어 신호 (232) 에 기초하여 그 입력부의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동 작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바이스에서의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어 신호 (232) 는 1차 수신 로직 (216),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또는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다른 로직에 의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동작 중에,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200) 은 안테나 (228, 230) 에서 수신된 신호가 어떻게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택 로직 (200) 은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어떻게 신호를 라우팅되는지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동작 모드가 다이버스 패스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 로직 (234) 은 스위치 (224) 를 제어하여 안테나 (230) 에서 수신된 신호가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한다. 모드가 멀티플 신호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 로직 (234) 은 스위치 (224) 를 제어하여 안테나 (230) 에서 수신된 신호를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한다. 모드가 최적화 신호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 로직 (234) 은 스위치 (224) 를 제어하여, 안테나 (228, 230) 모두에서 수신된 신호의 최적 버전이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신호가 안테나 (228, 230) 둘 다에서 수신되면, 제어 로직 (234) 은 스위치 (224) 를 제어하여, 신호의 더 높은 품질 버전이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200) 은 여기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계-판독가능 명 령의 프로그램을 명백히 수록한 신호-베어링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RAM, ROM,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선택 로직 (200) 과 인터페이스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선택 로직 (200) 으로 명령을 로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리소스로부터 선택 로직 (200) 으로 명령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명령은, 선택 로직 (200)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도 2 에 도시된 선택 로직 (200) 의 요소는 하나의 실시형태일 뿐이고, 선택 로직 (200) 의 구현은 수개의 기능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수개의 방법 중 하나에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기능 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에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은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수신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3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방법 (300) 은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를 다이버스 패스 모드 또는 멀티플 신호 모드에서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한다. 방법 (300) 은 도 2 에 도시된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200) 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한 사용에 적절하다.
블록 (302) 에서, 1차 수신 패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가 수신된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는 제 1 안테나 (228) 를 통해 수신되고 1차 수신기 (216) 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음성 콜 신호일 수도 있다.
블록 (304) 에서,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에서의 로직은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기능성을 단말기 사용자에 제공한다. 2 개의 모드: 즉, 다이버스 패스 모드 또는 멀티플 신호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서 다른 모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블록 (306) 에서, 다이버스 패스 모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다이버스 패스 모드가 선택되어, 디바이스로 하여금 동일한 신호의 2개 버전을 수신하여서, 그 버전이 페이딩 효과 및/또는 다른 열화 송신 효과에 대항하도록 함께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블록 (308) 에서, 제 2 안테나로부터의 신호는 다이버스 패스 수신기로 라우팅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224) 는 다이버스 패스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포지션 2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포지션 2를 선택한다. 이는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블록 (310) 에서,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된다. 이는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이 1차 수신 로직 (216) 에 의해 수신되는 동일한 신호의 버전을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기로 하여금 다이버스 패스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한다. 방법은 그에 따라 수신된 신호가 프로세싱되는 블록 (312) 으로 진행한다.
블록 (314) 에서, 멀티플 신호 모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음성 콜 및 GPS 신호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멀티플 신호 모드가 선택되어 단말기로 하여금 프로세싱하기 위해 2 개의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블록 (316) 에서, 스위치는 포지션 2로 설정되어 멀티플 신호 모드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포지션 2를 선택한다. 이는 제 2 안테나 (230) 에 의해 수신된 신호로 하여금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블록 (318) 에서,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된다. 이는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이 1차 수신 로직 (216) 과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기로 하여금 멀티플 신호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후, 방법은 블록 (312) 으로 진행한다.
블록 (312) 에서, 신호는 선택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된다. 방법 (300) 은 하나의 실시형태일 뿐이고, 방법 (300) 의 변경, 추가, 삭제, 또는 재배열은 설명한 실시형태의 범위 내인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 는 통신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수신 시스템을 동작하는 방법 (4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방법 (400) 은 통신 디바이스가 수신된 신호를 최적화 신호 모드에서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한다. 방법 (400) 은 도 2 에 도시된 다이버스 패스 선택 로직 (200) 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한 사용에 적절하다.
블록 (402) 에서, 1차 수신 패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신호가 수신된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는 제 1 안테나 (228) 를 통해 수신되고 1 차 수신기 (216) 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음성 콜 신호일 수도 있다.
블록 (404) 에서, 최적화 신호 모드가 선택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음성 콜 및 페이징 메세지를 프로세싱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최적화 신호 모드가 선택되어 디바이스가 2 개의 상이한 신호를 수신하게 하여서, 제 2 신호가 가능한한 최상의 품질로 수신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2 신호는 2 개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에서 수신될 수도 있고, 최적화 신호 모드는 신호가 더 훌륭한 품질을 제공하는 안테나에서 수신되게 한다.
블록 (406) 에서, 제 1 안테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치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스위치 포지션 1 을 선택한다. 이는 제 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블록 (408) 에서, 원하는 제 2 신호가 제 1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된다.
블록 (410) 에서, 제 1 품질 지표가 결정된다.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은 수신된 제 2 신호와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품질 지표는 신호 강도 지표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품질 지표가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412) 에서, 스위치가 제 2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설정되어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스위치 포지션 2를 선택한다. 이는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되게 한다.
블록 (414) 에서, 원하는 제 2 신호가 제 2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된다.
블록 (416) 에서, 제 2 품질 지표가 결정된다.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은 수신된 제 2 신호와 연관된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품질 지표는 신호 강도 지표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품질 지표가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418) 에서, 어떤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결정하도록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은 제 1 품질 지표와 제 2 품질 지표를 비교하여 어떤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수신 로직,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로직은 신호 품질 지표를 결정 및 비교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어떤 수신된 신호가 더 훌륭한 품질을 가지는지를 결정하는데 임의의 수의 지표 또는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직은 신호 크기에 기초한 대역 내 전력 (in-band power) 을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원하는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임의의 적절한 신호 품질 지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한다고 결정하면, 방 법은 블록 (422) 으로 진행한다. 제 2 안테나가 더 훌륭한 품질의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한다고 결정하면, 방법은 블록 (420) 으로 진행한다.
블록 (420) 에서, 제 2 안테나가 선택되어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은 238의 신호를 통한 제어 로직 (234) 에의 원하는 스위치 세팅을 표시한다.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스위치 포지션 2를 선택한다. 이후, 방법은 블록 (424) 으로 진행한다.
블록 (422) 에서, 제 1 안테나가 선택되어 원하는 제 2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은 238의 신호를 통한 제어 로직 (234) 에의 원하는 스위치 세팅을 표시한다. 이후, 제어 로직 (234) 은 제어 신호 (232) 가 스위치 (224) 를 제어하도록 설정하여 스위치 포지션 1을 선택한다. 방법은 이후 블록 (424) 으로 진행한다.
블록 (424) 에서, 원하는 제 2 신호가 가장 훌륭한 품질로 수신되고 다이버스 패스 수신 로직 (226) 으로 라우팅된다. 블록 (428) 에서,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 1 및 제 2 신호를 원하는 대로 프로세싱한다.
방법 (400) 은 일 실시형태일 뿐이고, 방법 (400) 의 변경, 추가, 삭제, 또는 재배열은 설명한 실시형태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방법 (400) 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범위 내의 방법 (300) 의 하나 이상의 기능과 결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 (400) 은 그 수신된 신호를 다이버스 수신 로직 (226) 에 제공하도록 1차 안테나 (228) 가 항상 선택되도록 조절된다. 예 를 들어, 스위치 (224) 는 최적화 신호 모드가 활성화될 때마다 포지션 1로 설정된다.
통신 디바이스에서 다이버스 패스에 의해 프로세싱될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다이버스 패스 선택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는 여기에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여기의 명세서 및 설명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해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6)

  1.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을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를 측정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 패스로부터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스플릿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 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품질 지표는 제 1 신호 강도 지표이고, 상기 제 2 품질 지표는 제 2 신호 강도 지표인, 신호 수신 방법.
  5.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갖는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의 제 2 버전을 생성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과 제 2 버전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수신 로직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신호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스플릿터를 더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품질 지표는 신호 강도 지표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로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품질 지표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신호 수신 장치.
  9.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을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를 측정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 패스로부터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스플릿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품질 지표는 제 1 신호 강도 지표이고, 상기 제 2 품질 지표는 제 2 신호 강도 지표인, 신호 수신 장치.
  13.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가진 통신 디바이스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계-판독가능 명령 의 프로그램을 명백히 수록한 신호-베어링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제 2 버전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제 1 품질 지표 및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프로세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신호-베어링 매체.
  1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을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를 측정하도록 동작하는 수신 로직으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신호-베어링 매체.
  1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테나와 연관된 수신 패스로부터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을 스플릿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신호-베어링 매체.
  1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신호의 제 1 버전 및 제 2 버전과 각각 연관된 상기 제 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 2 품질 지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품질 지표는 제 1 신호 강도 지표이고, 상기 제 2 품질 지표는 제 2 신호 강도 지표인, 신호-베어링 매체.
KR1020077025771A 2005-04-08 2006-04-10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 KR100982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02,064 2005-04-08
US11/102,064 US7639999B2 (en) 2005-04-08 2005-04-08 System for diverse path antenna se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180A true KR20070120180A (ko) 2007-12-21
KR100982144B1 KR100982144B1 (ko) 2010-09-14

Family

ID=3744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771A KR100982144B1 (ko) 2005-04-08 2006-04-10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39999B2 (ko)
EP (1) EP1867069B1 (ko)
JP (1) JP4819875B2 (ko)
KR (1) KR100982144B1 (ko)
CN (1) CN101189808B (ko)
BR (1) BRPI0609754A2 (ko)
IL (1) IL186506A0 (ko)
WO (1) WO20070272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7127A1 (en) * 2007-03-26 2008-10-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 a diversity enabled receiver
US8064960B2 (en) * 2008-12-29 2011-11-22 General Motors Llc Method of managing multiple vehicle antennas
JP2010233023A (ja) * 2009-03-27 2010-10-14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装置
US8583199B2 (en) * 2011-04-07 2013-11-12 General Motors Llc Telematics systems and methods with multiple antennas
US9379789B2 (en) * 2013-07-03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election adjustment
US10122399B2 (en) 2015-03-10 2018-11-06 Mediatek Inc. Antenna ground and feed swapping in handheld applications
EP3211801A1 (en) * 2016-02-24 2017-08-30 MediaTek Inc. Antenna ground and feed swapping in handheld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1682A (ja) * 1994-05-26 1995-12-08 Clarion Co Ltd 多重放送用受信装置
US5621770A (en) * 1994-08-31 1997-04-1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 versions of a signal in a diversity receiver
US5634206A (en) * 1995-05-25 1997-05-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signal fading characteristic
JPH0983421A (ja) * 1995-09-13 1997-03-28 Toshiba Corp スぺクトラム拡散信号受信用アナログモジュール
JP2000057983A (ja) * 1998-08-06 2000-02-25 Hitachi Medical Corp X線管装置
JP3389153B2 (ja) 1999-06-16 2003-03-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のダイバーシチ制御装置及びそのダイバーシチ制御方法
US6924766B2 (en) 2003-04-03 2005-08-02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telephone antenna diversity system
KR100672582B1 (ko) 2004-11-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86506A0 (en) 2008-01-20
CN101189808A (zh) 2008-05-28
JP2008537864A (ja) 2008-09-25
KR100982144B1 (ko) 2010-09-14
WO2007027202A3 (en) 2007-05-31
BRPI0609754A2 (pt) 2010-04-27
EP1867069B1 (en) 2015-10-28
WO2007027202A2 (en) 2007-03-08
US20060264193A1 (en) 2006-11-23
CN101189808B (zh) 2013-01-02
EP1867069A2 (en) 2007-12-19
US7639999B2 (en) 2009-12-29
JP4819875B2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144B1 (ko) 다이버스 패스 안테나 선택용 시스템
KR100733205B1 (ko) 휴대 단말 장치 및 안테나 스위치
EP2359484B1 (en)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55344A1 (en) Wireless multimode co-band receiver device and method employing receiver bypass control
EP34391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versity service antenna in portable terminal
US20100008339A1 (en) Dual mode phone and method for acting as an access point
KR20080063506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전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8017659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adiation power in dual 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646465B1 (ko) 통신 단말의 권외 판정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전환 방법및 통신 단말
CN115361035B (zh) 射频系统、通信设备、通信控制方法及通信控制装置
JP2000040988A (ja) 無線通信装置
US8310362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 a diversity enabled receiver
JPH109348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ダイバーシチ受信方法
KR101180110B1 (ko) 듀얼 신호처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신호처리 방법
CN116886110A (zh) 通信方法及穿戴式设备
JPH07131394A (ja) ダイバーシチ受信制御方式
JPH0685721A (ja)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200312484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1111466A (ja) 移動体通信装置
JP2002185396A (ja) 無線端末装置
JP2006086774A (ja) デジタル無線機およびデジタル無線機における受信方法
JP2010062988A (ja) 中継機能付き無線装置
JPH11340906A (ja) 無線通信端末局の送信出力制御装置
JP2006287440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700774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가변적 정합회로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