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822A -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822A
KR20070119822A KR1020060054229A KR20060054229A KR20070119822A KR 20070119822 A KR20070119822 A KR 20070119822A KR 1020060054229 A KR1020060054229 A KR 1020060054229A KR 20060054229 A KR20060054229 A KR 20060054229A KR 20070119822 A KR20070119822 A KR 2007011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robe
pop
torsion spr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309B1 (ko
Inventor
김용범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30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는 스트로보 격납고; 스트로보 격납고에 격납된 상태에서 훅크 걸림부에 작용하는 구속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스트로보 격납고에서 팝업위치로 튀어올라가도록 된 스트로보; 스트로보 격납고 내측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레버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판; 일단의 훅크부가 베이스판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 회전축에 조립되어 회전하면서, 타단의 회전돌기에 작용하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훅크부가 스트로보의 훅크 걸림부에 걸리도록 된 제1레버; 제1레버의 회전돌기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 스프링; 레버 회전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회전돌기가 제1레버의 회전돌기와 제1토션 스프링과 반대측에서 맞닿아 있도록 레버 회전축에 조립된 제2레버; 제2레버의 회전돌기에 제1레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 스프링; 스트로보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 스트로보에 의해 눌려져서 제2 토션 스프링의 다른 쪽 발을 지지하여 가압하도록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상하 운동하는 스트로보 차저바; 제2레버의 회전을 잠금/해제하는 잠금레버; 잠금레버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베이스판 하면에서 레버 회전축 방향에 평행하게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플런저 고정핀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동판; 및 플런저 고정핀에 플런저가 고정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pop-up strob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스트로보 팝업구조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2단 팝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의 전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의 촬영장치의 상단부를 밑에서 본 구조이다.
도 3은 도 2의 제1레버(202)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제2레버(204)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슬라이드 가동판(210)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보조 베이스판(209), 슬라이드 가동판(210), 잠금레버(211) 어셈블리로 구비되는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0의 동작에 의하여 스트로보가 격납위치에 놓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을 위한 팝업기구의 동작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동작에 의하여 스트로보가 2단 팝업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스트로보가 팝업된 도 13의 상태에서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제2토션 스프링(205)의 발(404)에 의해 눌려져서 y축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스트로보가 팝업된 도 14의 상태 직후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스프링(도 7의 703)에 의하여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가 복원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트로보 장치를 구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팝업구조의 스트로보 장치를 구비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촬영장치의 팝업구조는 버튼 조작에 의하여 자동으로 팝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갖추고 있으며, 모터 구동방식과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의 팝업 기구가 있다.
모터 구동방식의 스트로보 팝업 구조의 예로는, 스트로보 장치를 팝업 위치로 튀어 오르게 하는 가압 스프링과 모터에 의해 이동 가능한 고정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정 레버로 스트로보 장치를 고정함으로써,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트로보 장치가 격납 위치에 격납된다. 고정 레버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는 동작이 행해지면, 스트로보 장치는 가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의 스트로보 팝업 구조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69497호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 및 이 플래시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는, 팝업 위치(pop-up position)와 격납 위치(housing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플래시 장치, 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팝업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 상기 플래시 장치를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작동 부재, 그리고 상기 작동 부재와 링크되어 있고, 통전 시에 자기적인 흡인력이 해제되는 플런저(plunger)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가 격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는 상기 플런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격납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자기적인 흡인력을 해제하도록 상기 플런저를 통전시켜 상기 스프링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팝업 위치로 튀어 올라오는 플래시 장치의 팝업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은 모터 구동방식에 비하여 스트로보 팝업 기구를 좁은 공간에 구성할 수 있고, 부품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소형이며 경량인 카메라 장치를 저가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구조의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는 스트로보 격납고; 훅크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에 격납된 상태에서 상기 훅크 걸림부에 작용하는 구속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에서 팝업위치로 튀어올라가도록 된 스트로보;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 내측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레버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판; 일단의 훅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 회전축에 조립되어 회전하면서, 타단의 회전돌기에 작용하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훅크부가 상기 스트로보의 훅크 걸림부에 걸리도록 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의 회전돌기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 스프링; 상기 레버 회전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회전돌기가 상기 제1레버의 회전돌기와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반대측에서 맞닿아 있도록 상기 레버 회전축에 조립된 제2레버; 상기 제2레버의 회전돌기에 상기 제1레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 스프링; 상기 스트로보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트로보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의 다른 쪽 발을 지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상하 운동하는 스트로보 차저바(strobo charger bar); 상기 제2레버의 회전을 잠금/해제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 하면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 방향에 평행하게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플런저 고정핀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동판; 및 상기 플런저 고정핀에 플런저가 고정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가동판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를 복원 시키는 압축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로보는 제1단 팝업기구 및 제2단 팝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 팝업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격납고내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과 평행한 축에 토션 스프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격납고로부터 1단 팝업시키고, 상기 제2단 팝업기구는 스트로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 팝업기구의 타단에 토션 스프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제1단 팝업기구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2단 팝업시키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2단 스트로보 팝업구조를 구비한 촬영장치의 2단 팝업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도면들과의 방향성을 참조하기 위하여 도면에서 x축, y축 방향을 도시하였다. 후술하겠지만, x축은 제1레버(202)와 제2레버(204)의 회전축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장치의 상단부(130)에 구비된 스트로보(100)는 제1단 팝업기구(105) 및 제2단 팝업기구(101)를 구비하고, 격납고(120)에서 격납위치(도 11 참조)와 팝업위치(도 1의 상태)를 이동한다.
제1단 팝업기구(105)는 그 일단이 격납고(120)내에서 x축과 평행한 축에 토션 스프링(112)으로 힌지결합(111)되어 스트로보(100)를 격납고(120)로부터 1단 팝업시킨다.
제2단 팝업기구(101)는 스트로보 장치(102)를 구비하고, 제1단 팝업기구(105)의 타단(106, 104)에 토션 스프링(108)으로 힌지결합(107, 103)되어, 제1단 팝업기구(105)로부터 스트로보 장치(102)를 피사체 방향으로 2단 팝업시킨다.
스트로보 장치(102)의 우측에는, 스트로보를 격납위치에 고정/해제하기 위한 훅크부재(302, 도 11, 도 13참조)의 가동을 위한 훅크 도피홈(110)과 훅크 결합홈(109)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16의 "SAMSUNG"은 제조자의 명칭을 촬영장치의 전면 상단부에 각인한 예이다. 격납고(120)의 하부에는 스트로보 팝업기구가 구성되는 베이스판(200)이 조립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의 전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의 촬영장치의 내측 베이스판(200)의 밑에서 바라본 구조이다. 도 2 아랫쪽의 참조부호 216은 도 1의 116 "SAMSUNG" 이 거꾸로 배치된 것으로서 도 2가 촬영장치의 내부의 밑에서 본 구조임을 나타낸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각 구성요소의 조립과정과 세부 동작은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스트로보 팝업기구는 베이스판(200) 하면(도면에서는 베이스판 상면)에 구비된다.
베이스판(200) 상에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베이스판(209)이 고정되어 있고, 보조 베이스판(209) 상에 장공이 형성된 슬라이드 가동판(210)이 슬 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이에 링크된 레버구조의 잠금레버(211)가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200)에 x축방향의 레버 회전축으로서 형성된 축보스(201, 206)에는 본 발명의 팝업구조의 주된 탄성력원인 제2토션 스프링(205)을 제공하는 제2레버(204)와 도 1의 팝업 스트로보를 훅크부재(302)로서 고정/해제하는 제1레버(202)와 그 토션 스프링(203)이 동일 축(207)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200)을 관통하여 스트로보 차저바(208, strobo-charger bar)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본 발명에서 스트로보를 팝업시키는 비틀림 탄성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스트로보 차저바(208)는 스트로보의 격납/팝업 위치에 따라 지지/해제되어 베이스판(200)을 관통하여 상하 왕복운동을 한다. 도면상에서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위로 올라와 제2토션 스프링(205)의 한쪽발을 지지하면(도 2의 상태), 제2토션 스프링(205)에 의하여 제2레버(204)에서 스트로보 팝업을 위한 탄성력이 발생한다. 만일 스트로보 팝업위치에서는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y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도 14 참조), 이 경우에는 제2토션 스프링(205)의 탄성력이 소실된다.
그리고 베이스판(200)에 고정된 솔레노이드(214)는 제2레버(204)에서 스트로보 차저바(208)에 의하여 지지된 제2토션 스프링(205)에서 발생한 탄성력을 차단하거나 발휘되도록 플런저(213)가 보조 베이스판(209)에 조립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되면 코일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플런저(213)가 가동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되면 제2레버(204)가 잠금해제되며, 제2레버(204)에 서 발휘된 탄성력이 제1레버(202)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1레버(202)가 스트로보 팝업장치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214)에 의한 제2레버(204)의 잠금상태는 잠금레버(211)와 슬라이드 가동판(210)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5,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제1레버(202)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레버(202) 본체(301)의 중앙의 레버 회전축(300)을 중심으로 일단은 훅크부(302)로 형성되고 타단은 회전돌기(303)로 형성된다. 여기서 레버 회전축(300)은 베이스판(도 2의 200)에 형성된 축보스(201, 206)에 조립된다. 훅크부(302)의 동작에 관하여는 도 11, 도 1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 회전축(300)에는 토션 스프링(203)을 끼워 조립하기 위하여 부싱(307, bushing)이 끼워진다. 제1토션 스프링(203)의 한쪽 발(306)은 베이스판(도 2의 200) 하면에 지지되고, 제1토션 스프링(203)의 다른 쪽 발(305)은 제1레버의 회전돌기(303)에 지지되어 회전돌기(303)에 시계방향(304)의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여 제1레버의 훅크부(302)가 걸림위치 방향(308)으로 복원된다.
도 4는 도 2의 제2레버(204)의 상세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레버(204)의 본체(401)의 중앙의 레버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양단의 회전돌기(402, 403)가 레버 회전축 방향(x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어 있다.
레버 회전축(400)에는 제2토션 스프링(205)을 끼워 조립하기 위하여 부 싱(408)이 끼워진다. 제2토션 스프링(205)의 한쪽 발(406)은 제1회전돌기(402)에 지지되어 제1회전돌기(402)에 반시계방향(407)의 비틀림 탄성력을 작용하고, 제2토션 스프링(205)의 다른 쪽 발(404)은 그 지지되는 부재(스트로보 차저바, 도 2의 208) 방향(405)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여기서 제1회전돌기(402)는 도 3의 제1레버(202)의 회전돌기(303)에 맞닿게 되어있고, 제1레버(202)의 제1토션 스프링 발(305)의 비틀림 탄성력(도 3의 304)과 제2레버(204)의 제2토션 스프링 발(406)의 비틀림 탄성력(407)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결국 도 4의 제2레버(204)의 반시계방향(407)의 비틀림 탄성력은 제1레버(202)의 훅크부(302)가 해제(308의 반대방향)되도록 작용하고, 도 3의 제1레버(202)의 시계방향(304)의 비틀림 탄성력은 제1레버의 훅크부(302)가 걸림위치 방향(308)으로 복원되도록 작용한다.
그런데 만일 제2 회전돌기(403)가 반시계 방향(409)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잠금되어 있다면, 제1 회전돌기(402)도 움직이지 못한다. 제2 회전돌기(403)가 자유단 상태가 되어야만, 제1 회전돌기(402)가 비틀림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407)으로 움직이는 제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는, 그 동작 제어 기구의 중심이 제2 회전돌기(403)의 잠금/해제 동작에 있으며, 이를 수행하는 것이 솔레노이드(214) 작동에 의한 제2레버 잠금기구(도 5, 도 6 참조)이다.
도 5는 도 2의 슬라이드 가동판(210)의 상세도이다.
슬라이드 가동판(210)의 본체(500)에 플런저(도 2의 213)가 장착되는 스터드 너트(501)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도 2의 214)가 통전되어 플런저(도 2의 213)가 잠금해제(502)되면, 가동판(500)의 연장부(504)에 형성된 링크 결합용 장공(505)에 전달된 힘(506)에 의해 슬라이드 가동판(210)이 장공(509)에 안내되어 슬라이딩(503)하게 된다.
링크 결합용 장공(505)에는 잠금레버(211)가 결합된다(도 6 참조).
그리고, 플런저 복원을 위하여 복원력(508)이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판(500) 일단에는 이러한 복원력을 작용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도 7의 703)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 예컨대 관통홀(507)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 복원력(508)은 연장부(504)의 링크(505)를 통하여 잠금레버(도 6의 211)를 복원시키는 방향(510)의 힘으로 전달된다.
도 6은 보조 베이스판(209), 슬라이드 가동판(210), 잠금레버(211) 어셈블리로 구비되는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서 회전축(602)을 갖는 잠금레버(601)은 제2레버의 제2 회전돌기(도 4의 403)의 회전을 잠금/해제한다. 또한 잠금레버(601)의 타단에 링크 결합(504)된 슬라이드 가동판(210)은 보조 베이스판(209)에서 x축 방향에 평행하게 슬라이딩하도록 가이드된 구조(606, 607)로 설치된다.
슬라이드 가동판(210)은 본체부(500)에 플런저(도 2의 212)가 장착되는 플런저 고정핀(501)을 구비한다. 플런저 고정핀(501)은 스터드 너트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도 2의 214)가 통전되어 플런저(도 2의 212)가 잠금해제(502)되면, 가동판(500)의 연장부(504)에 형성된 링크에 전달된 힘(506)에 의해 슬라이드 가동판(210)이 장공(509)에 안내되어 슬라이딩(503)하게 된다.
솔레노이드에서 가동된 플런저는 스스로 복원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드 가동판(210)에는 플런저 복원력(508)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판(500) 일단에는 이러한 복원력(508)을 작용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도 7의 703)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507)이나 고리 등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원력(508)이 작용하면 잠금레버(211)과 연결되는 링크(504)에 복원력(510)을 전달하여 잠금레버(211)을 원위치로 복원(609)시킨다.
그리고 보조 베이스판(209)에는 베이스판(도 7의 200)에 나사 등으로 조립하기 위한 체결홀(604, 611, 6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기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6의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의 어셈블리가 베이스판(200)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에 복원력(508)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703)이 조립부(605, 507)에 끼워져 있다.
도 8은, 도 7에 추가하여 제1토션 스프링(203)이 부싱(307)에 결합된 제1레버(202)가 축보스(201, 206)와 동축상의 조립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제1레버(202)의 훅크부(302)가 베이스(200)에 관통하여 형성된 도피홀(706)을 통하여 스트로보 팝업기구에 걸리게 된다(도 11참조).
도 9는, 도 8에 추가하여 제2토션 스프링(205)이 부싱(408)에 결합된 제2레버(204)가 축보스(201, 206)와 동축상의 조립위치에 놓이고, 고정축(207)이 제1레 버(202), 제2레버(204)가 결합된 축보스(201, 206)에 끼워져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고정축(207)은 E-링(E-ring)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레버(204)의 제1회전돌기(402)는 제2토션 스프링 발(406)에 비틀림 지지되어 제1레버(202)에 맞닿아 있고, 제2레버(204)의 제2회전돌기(403)는 잠금레버(601)의 일단에 맞닿아 잠금/해제된다.
도 9에서 베이스판(200)에 형성된 관통홀(702)에는 제2토션 스프링의 다른 발(404)의 지지부재(스트로보 차저바, 도 10 참조)가 조립된다.
도 10은, 도 9에 추가하여 스트로보 차저바(208)와 솔레노이드(214)가 더 조립된 상태이다.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제2토션 스프링 발(404)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214)의 플런저(213)가 슬라이드 가동판(210)의 고정핀(미도시)에 나사(212) 조립된다.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되면 플런저(213)가 잠금상태에서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가동판(210)이 해제되고, 이에 링크 연결된 잠금레버(601)도 해제된다. 잠금레버(601)이 해제되면, 제2레버의 제2회전돌기(403)가 자유단 상태가 되므로, 스트로보 차저바(208)에 발(404)이 지지된 제2토션 스프링(205)의 비틀림 탄성력(406)에 의하여 제2회전돌기(402)가 회전작용할 수 있게된다. 제2회전돌기(402)의 회전작용은 제1레버(202)에 전달되어 훅크부(302)를 동작시킨다.
도 11은 도 10의 동작에 의하여 스트로보가 격납위치에 놓인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스트로보 격납위치에서 제1레버(202)의 훅크부(302)가 베이스(200)에 관통하여 형성된 도피홀(706)을 통하여 제2단 스트로보 팝업기구(101)에 형성된 훅크 결합홈(109)에 걸리게 된다. 참고로 도 11의 격납위치 측단면도에서는 스트로보 차저바가 제1단 팝업기구(105)에 의해 제2토션 스프링(404)을 지지하는 방향(y축 반대방향)으로 눌려 있어서 보이지 않게 된 상태이다(비교:도 13 팝업된 상태).
도 12는 본 발명의 스트로보 팝업을 위한 팝업기구의 동작 모식도이다.
솔레노이드(214)가 통전되면 플런저(213)가 잠금상태에서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가동판(210)이 잠금상태에서 해제되고, 슬라이드 가동판(210)에 링크 연결된 잠금레버(601)도 잠금상태에서 해제된다. 잠금레버(601)이 해제되면, 제2레버의 제1회전돌기(403)가 자유단(409) 상태가 되므로, 스트로보 차저바(208)에 발(404)이 지지된 제2토션 스프링(205)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제2회전돌기(402)가 회전작용(407)할 수 있게된다. 제2회전돌기(402)의 회전작용은 제1레버(202)에 전달되어 훅크부(302)를 동작시킨다.
전체적으로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601)가 잠금 해제되는 방향(1200)으로 이동하면, 스트로보 차저바(208)에 지지된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제2레버(420)가 제1레버(202)에 혹크부(302)를 해제하는 방향(1201)으로 힘을 작용하게 되는 구조이다.
도 13은 도 12의 동작에 의하여 스트로보가 2단 팝업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레버(202)의 훅크부재(302)가 훅크 도피홈(110)을 통하여 훅크 결합홈(109)에서 해제되면, 팝업기구(105, 101)의 힌지부(111, 106)에 결합된 토션 스프링(112, 108)에 의해 제1단 팝업기구(105)와 제2단 팝업기구(101) 가 격납고(120)에서 튀어올라와 팝업위치로 세워진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스트로보가 팝업 위치로 이동한 직후에는, 제1단 팝업기구(105)에 의해 눌려있던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y축방향으로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스트로보 차저바(208)는 제2토션 스프링(404)에 의해 y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참고로 도 11의 격납위치 측단면도에서는 스트로보 차저바가 제1단 팝업기구(105)에 의해 제2토션 스프링(404)을 지지하는 방향(y축 반대방향)으로 눌려 있어서 보이지 않게 된 상태이다.
도 14는 스트로보가 팝업된 도 13의 상태에서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제2토션 스프링(205)의 발(404)에 의해 눌려져서 y축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제2토션 스프링(205)은 지지되지 않으므로, 제2레버(204)는 힘을 작용하지 않는다. 이 상태가 되면, 제1토션 스프링(203)의 비틀림 탄성력이 제1레버(202)의 돌기(303)에 작용하여 훅크부(302)가 원위치된다.
도 15는 스트로보가 팝업된 도 14의 상태 직후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압축스프링(도 7의 703)에 의하여 제2레버 잠금기구(209, 210, 211)가 원위치 방향(1500)으로 복원된 상태이며, 제1레버(202)와 그 훅크부(302)가 제1토션 스프링(203)에 의하여 원위치 방향(1501)으로 복원된다. 스트로보 차저바(208)가 y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레버(204)가 힘을 작용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제외하면, 다른 모든 팝업기구는 도 10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 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솔레노이드 구동방식에 의하여 스트로보를 팝업시키는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스트로보 격납고;
    훅크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에 격납된 상태에서 상기 훅크 걸림부에 작용하는 구속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에서 팝업위치로 튀어올라가도록 된 스트로보;
    상기 스트로보 격납고 내측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레버 회전축을 갖는 베이스판;
    일단의 훅크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고 상기 레버 회전축에 조립되어 회전하면서, 타단의 회전돌기에 작용하는 비틀림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훅크부가 상기 스트로보의 훅크 걸림부에 걸리도록 된 제1레버;
    상기 제1레버의 회전돌기에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토션 스프링;
    상기 레버 회전축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회전돌기가 상기 제1레버의 회전돌기와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반대측에서 맞닿아 있도록 상기 레버 회전축에 조립된 제2레버;
    상기 제2레버의 회전돌기에 상기 제1레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토션 스프링;
    상기 스트로보가 격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트로보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의 다른 쪽 발을 지지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상하 운동하는 스트로보 차저바(strobo charger bar);
    상기 제2레버의 회전을 잠금/해제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 하면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 방향에 평행하게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플런저 고정핀이 구비된 슬라이드 가동판; 및
    상기 플런저 고정핀에 플런저가 고정된 솔레노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가동판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플런저를 복원시키는 압축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보는 제1단 팝업기구 및 제2단 팝업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 팝업기구는 그 일단이 상기 격납고내에서 상기 레버 회전축과 평행한 축에 토션 스프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격납고로부터 1단 팝업시키고, 상기 제2단 팝업기구는 스트로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 팝업기구의 타단에 토션 스프링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제1단 팝업기구로부터 피사체 방향으로 2단 팝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20060054229A 2006-06-16 2006-06-16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KR10126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229A KR101267309B1 (ko) 2006-06-16 2006-06-16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229A KR101267309B1 (ko) 2006-06-16 2006-06-16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822A true KR20070119822A (ko) 2007-12-21
KR101267309B1 KR101267309B1 (ko) 2013-05-23

Family

ID=3913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229A KR101267309B1 (ko) 2006-06-16 2006-06-16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69B1 (ko) * 2008-09-23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656B2 (ja) 2002-10-09 2010-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トロボ内蔵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69B1 (ko) * 2008-09-23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용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309B1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1315B2 (en) Camera accessory device that is removably attached to camera-side accessory shoe
US775641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pop-up flash structure
KR101156680B1 (ko) 스트로보 팝업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US7747162B2 (en) Pop-up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JP2001308553A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KR101267309B1 (ko) 팝업 스트로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4223828B2 (ja) 撮像装置
JP2019159149A (ja) 撮像装置
JP5253903B2 (ja) カメラ用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
JP200616318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US10969656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movable display section
JP7021143B2 (ja) 引戸
CN100418005C (zh) 弹起式闪光灯机构
JP3699507B2 (ja) カメラの内蔵ストロボロック装置
JP3864777B2 (ja) カメラの移動部材係止装置
KR101459318B1 (ko) 전자기기용 팝업 모듈
JPH0996853A (ja)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機構
JP2510539Y2 (ja) ロック解除機構
JP5071445B2 (ja)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KR101623831B1 (ko) 외부 장치의 장착을 위한 장착 구조
JP2018050227A (ja) 回動装置、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JP3397721B2 (ja) 内蔵フラッシュのポップアップ機構
JPH10184617A (ja) 開閉蓋の開放機構
JPH02101796A (ja) 小形電子機器の着脱装置
JP3176043B2 (ja) ドアクローザのスト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