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535A -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535A
KR20070117535A KR1020077012581A KR20077012581A KR20070117535A KR 20070117535 A KR20070117535 A KR 20070117535A KR 1020077012581 A KR1020077012581 A KR 1020077012581A KR 20077012581 A KR20077012581 A KR 20077012581A KR 20070117535 A KR20070117535 A KR 20070117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ube
transformer
winding
lighting circuit
transfor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7552B1 (ko
Inventor
키요시 히라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11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05B41/24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for a plurality of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4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having two or more secondary windings, each supplying a separate load, e.g. for radio set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0Single-phase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백라이트(1)는 방전관 점등회로(5)의 커넥터(6A)에 U자형 방전관(2A, 2B)을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U자형 방전관(2A)의 한쪽의 단자에는 전력공급용 전극(4A)을 통하여 트랜스(T1A)의 2차측 출력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U자형 방전관(2B)의 한쪽의 단자에는 전력공급용 전극(4D)을 통하여 트랜스(T1C)의 2차측 출력전압을 인가한다. U자형 방전관(2A)과 U자형 방전관(2B)의 각각의 다른쪽 단자에는 전력공급용 전극(4B, 4C)을 통하여, 트랜스(T1B)의 2차측 출력전압을 인가한다. 트랜스(T1A)와 트랜스(T1C)의 각각의 2차측 출력전압은 서로 동극성이며, 트랜스(T1B)의 2차측 출력전압은, 그것과는 역극성이다.
방전관 점등회로, U자형 방전관, 권선, 권회, 트랜스, 자성체 코어

Description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DISCHARGE TUBE LIGHTING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냉음극관 등의 방전관을 점등시키는 방전관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U자형 방전관 또는 유사 U자형 방전관(이하, 유사 U자형 방전관도 간단히 U자형 방전관이라 칭함)을 점등시키는 방전관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방전관 점등회로를 구비해서 백라이트를 구성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에 냉음극관(방전관)이 이용된다. 방전관에는 U자형 방전관이나 유사 U자형 방전관 등이 이용된다. U자형 방전관은 1개의 장척(長尺)의 방전관을 중앙에서 굴곡시킨 것이다. 또한, 유사 U자형 방전관은 2개의 I자형 방전관을 접속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에는 통상, U자형 방전관이 복수개, 예를 들면 화면 사이즈가 30~40인치급의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백라이트에서는 10수개가 설치된다.
특허문헌 1에는, U자형 방전관을 점등하기 위한 방전관 점등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문헌을 참고로 한 방전관 점등회로의 간이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2개의 U자형 방전관을 점등하는 방전관 점등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백라 이트(101)는 방전관 점등회로(105)에 U자형 방전관(102A, 102B)을 접속한 것이다. U자형 방전관(102A)은 2개의 I자형 방전관(103A, 103B)을 서로 접속하여, 유사 U자형 방전관으로 한 것이다. 또한, U자형 방전관(102B)은 2개의 I자형 방전관(103C, 103D)을 서로 접속하여, 유사 U자형 방전관으로 한 것이다.
각 I자형 방전관(103A~103D)의 전력공급용 전극(104A~104D)에는, 각각 방전관 점등회로(105)의 공진용의 커패시터(C1A~C1D)와 트랜스(T1A~T1D)를 접속하고 있다. 트랜스(T1A~T1D)는 각각, 2차 권선(N2A~N2D)의 출력전압의 극성이 U자형 방전관(102A, 102B)의 양단에서 반대가 되도록 접속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T1A~T1D)의 1차측에서는 1차 권선(N1A~N1D)을 병렬로 접속하고, 그 병렬회로를 고주파 구동회로(110)에 접속하고 있다.
고주파 구동회로(110)는 인버터이고, 각 트랜스(T1A~T1D)를 통하여 교류전압을 U자형 방전관(102A, 102B)에 공급한다. 트랜스(T1A~T1D)는 1차측 전압을 권수비에 따라 승압하여, 소정의 2차측 출력전압(1~2kV)으로 한다. U자형 방전관(102A, 102B)에는 양단자에 각각 역극성의 2차측 출력전압을 인가하고, 양단자에 인가하는 2차측 출력전압의 진폭을 서로 더한 2~4kV 정도의 구동전압에 의해 구동한다.
이와 같이 U자형 방전관의 양단자에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U자형 방전관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압을 양단자로부터 분산해서 공급하여, 각 단자에 접속되는 트랜스의 정격출력 전압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U자형 방전관의 단자를 모두 독립된 트랜스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각 U자형 방전관의 양단전압을 소정의 구동전압으로 하여, 다른 U자형 방전관의 점등에 영향받지 않고 U자형 방전관을 점등시키고 있다.
또한, 이 U자형 방전관은 기동 점등시(최초의 점등시)에 높은 기동전압을 필요로 하지만, 계속 점등하고 있는 동안은 기동전압보다 낮은 구동전압으로 점등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의 승압비를 낮게 설정해 두고, 기동 점등시의 전압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 2차 권선의 누설 인덕턴스와 직렬 공진하는 커패시터를 각 트랜스에 설치하여, 이 직렬 공진의 공진점 근방에서 승압비가 높아지는 특성을 이용해 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2005-5059호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에 설치하는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상기 구성의 방전관 점등회로에서는, U자형 방전관의 단자와 같은 수의 트랜스와 공진용 커패시터가 필요하여,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의 증가에 따라, 트랜스나 공진용 커패시터 등의 부품수도 늘릴 필요가 있었다.
부품수의 증가는 제조 비용, 부품 비용, 장치 사이즈를 각각 증대시키고, 또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그 억제가 과제가 되고 있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는 트랜스의 실장면적의 대형화도 일으켜,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의 제약이 되어 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삭감한 간이한 구성의 방전관 점등회로를 제공하여, 방전관 점등회로의 신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도모하며,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를 늘려 전자장치의 백라이트를 고휘도화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주파 구동회로와, 1차 권선이 상기 고주파 구동회로에 병렬로 접속하는 복수의 트랜스를 구비하고, 각 트랜스의 2차 권선에 U자형 방전관의 단자를 접속하는 방전관 점등회로에 있어서,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각각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는 제1·제2의 전극과, 상기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다른쪽 단자가 각각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3의 전극을 구비하고, 제1·제2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동극성이며, 또한 상기 제3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상기 제1·제2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과는 역극성이 되도록, 제1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1의 전극에, 제2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2의 전극에, 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3의 전극에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트랜스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즉,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각각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는 제1·제2의 전극(이하, 독립전극이라 칭함)에, 각각 제1·제2의 트랜스를 접속하고,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다른쪽 단자를 각각 공통으로 접속하는 제3의 전극(이하, 공통전극이라 칭함)에 제3의 트랜스 1개만을 접속함으로써, 이 2개의 U자형 방전관에 접속하는 트랜스를 합계로 3개로 저감할 수 있어,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관 점등회로를 구성하고, 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공통전극을 통하여 병렬로 각 U자형 방전관에 접속해도, 각 U자형 방전관의 다른쪽 독립전극에는, 제1·제2의 트랜스로부터 각각 독립된 2차측 출력전압을 인가하므로, 각 U자형 방전관을 동시에 연속하여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공진용 커패시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공진용 커패시터의 수를 각 단자에 1개, 즉 2개의 U자형 방전관으로 합계해서 3개로 저감할 수 있어,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의 트랜스는 상기 제1·제2의 트랜스보다도, 2차 권선의 선직경이 큰 것이다.
본 구성의 방전관 점등회로에서는, 공통전극용의 제3의 트랜스는 2개의 U자형 방전관 각각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합성전류가 흐른다. 그래서, 공통전극용의 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선직경을, 독립전극용의 제1·제2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의 선직경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3의 트랜스에서의 동손을 억제하고, 그 2차 권선에 생기는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의 트랜스는 상기 제1·제2의 트랜스보다도, 코어 단면적이 큰 것이다.
따라서, 공통 전극용의 제3의 트랜스의 코어 단면적을, 독립전극용의 제1·제2의 트랜스의 코어 단면적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3의 트랜스에서의 철손을 억제하고, 그 코어에 생기는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부터 상기 제1~제3의 각 전극부분 주변에 분포하는 기생용량과, 상기 각 트랜스의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상기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각각에 공진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각 U자형 방전관의 양단자에 공진용의 커패시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수를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제3의 트랜스는 폐자로를 형성하는 공용의 자성체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각각 권회해서 일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트랜스를 일체로 모듈화하여 형성하고, 자성체 코어의 부품수 및 트랜스의 실장면적을 각각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1개 또는 2개의 1차 권선을 권회하고, 그 1차 권선을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에 공통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1차 권선의 수를 저감할 수 있고, 이 일체로 모듈화한 제1~제3의 트랜스를 간이한 구성으로 하여,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1차 권선의 권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1개의 1차 권선을 권회하고, 상기 1차 권선을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에 공통으로 결합시키는, 또한,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는 적어도 3개의 자각(磁脚; magnetic leg)을 가지며,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서로 다른 자각에 각각 권회하고, 상기 1차 권선을, 상기 2차 권선이 권회된 어느 하나의 자각, 또는 2차 권선이 권회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자각에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1차 권선을 구비하지 않고, 1차 권선의 구성 정밀도의 차이에 관계없이 각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정할 수 있으며, 2차측 출력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개의 2차 권선 각각을 1차 권선이 권회되어 있지 않은 자각에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2차측 출력을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전관 점등회로 및 상기 방전관 점등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냉음극관을 백라이트에 구비하여 전자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트랜스의 실장면적을 저감한 방전관 점등회로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U자형 방전관을 백라이트에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U자형 방전관의 전력공급용의 단자수 및 각 단자에 접속하는 트랜스, 각 단자에 접속하는 공진용 커패시터의 수를 억제하여 U자형 방전관 점등회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하여 제조 비용이나 부품 비용,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압 출력부의 신뢰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의 제약이 되고 있었던 트랜스 및 커패시터의 실장면적을 작게 하여, U자형 방전관의 설치 개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백라이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형태의 백라이트 및 방전관 점등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각 트랜스의 2차측 출력파형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도 4는 제2의 실시형태의 방전관 점등회로 및 트랜스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제3의 실시형태의 방전관 점등회로 및 트랜스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1, 101: 백라이트 2, 102: U자형 방전관
3, 103: I자형 방전관 4, 104: 전력공급용 전극
5, 25, 105: 방전관 점등회로 6: 커넥터
8: 전류 검지회로 10, 110: 고주파 구동회로
22: E자형 자성체 코어 23: 보빈
24: 2차측 단자 26: 1차측 단자
27: 칸막이부 C1: 공진용 커패시터
T1: 트랜스 T2, T3: 트랜스 모듈
N1: 1차 권선 N2: 2차 권선
이하, 제1의 실시형태로서 4개의 U자형 방전관을 점등하기 위한 방전관 점등회로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백라이트에서는, 실제로는 수개~10수개의 U자형 방전관을 설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 간이한 구성, 4개의 U자형 방전관을 설치하는 구성에 의해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방전관 점등회로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백라이트(1)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U자형 방전관(2A~2D)과 방전관 점등회로(5)를 구비하고 있다. U자형 방전관(2A, 2B)은 커넥터(6A)를 통하여 방전관 점등회로(5)에 접속하고, U자형 방전관(2C, 2D)은 커넥터(6B)를 통하여 방전관 점등회로(5)에 접속하고 있다.
커넥터(6A)는 전력공급용 전극(4A~4D)을 포함하고, 전력공급용 전극(4A)을 통하여 I자형 방전관(3A)을 트랜스(T1A)에, 전력공급용 전극(4D)을 통하여 I자형 방전관(3D)을 트랜스(T1C)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전력공급용 전극(4A, 4D)은 각각 독립전극이다. 또한 전력공급용 전극(4B) 및 전력공급용 전극(4C)은 각각 실장기판상에서 트랜스(T1B)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전력공급용 전극(4B) 및 전력공급용 전극(4C)은 실장기판에 설치한 접속선(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공통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내에서는 전력공급용 전극(4B) 및 전력공급용 전극(4C)을 접속하지 않고 실장기판상에서 접속하지만, 커넥터 내에서 접속하도록 하여도 당연히 본 발명은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B)는 커넥터(6A)와 같은 구성이며, I자형 방전관(3E)을 트랜스(T1D)에, I자형 방전관(3F)과 I자형 방전관(3G)을 트랜스(T1E)에, I자형 방전관(3H)을 트랜스(T1F)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전력공급용 전극(4F) 및 전력공급용 전극(4G)은 한 세트의 공통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력공급용 전극(4E, 4H)은 각각 독립전극이다.
4개의 U자형 방전관(2A~2D)은 각각 2개의 I자형 방전관으로 유사 U자형 방전관을 구성하고 있다. U자형 방전관(2A)은 I자형 방전관(3A)과 I자형 방전관(3B)의 일단끼리를 서로 접속한 것이고, U자형 방전관(2B)은 I자형 방전관(3C)과 I자형 방전관(3D)의 일단끼리를 서로 접속한 것이며, U자형 방전관(2C)은 I자형 방전관(3E)과 I자형 방전관(3F)의 일단끼리를 서로 접속한 것이고, U자형 방전관(2D)은 I자형 방전관(3G)과 I자형 방전관(3H)의 일단끼리를 서로 접속한 것이다. 이들 I자형 방 전관(3A~3H)은 액정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배면에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방전관 점등회로(5)는 실장기판에 설치한 인버터이고, 전자장치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방전관 점등회로(5)는 커넥터(6A, 6B), 커패시터(C1A~C1F), 1차 권선 (N1A~N1F)과 2차 권선(N2A~N2F)을 가지는 트랜스(T1A~T1F), 전류 검지회로(8A~8D), 고주파 구동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방전관 점등회로(5)의 고주파 구동회로(10)는 전자장치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직사각형파 형상의 1차측 전압을 생성하고, 이 1차측 전압을 각 트랜스(T1A~T1F)의 1차 권선(N1A~N1F)에 인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프 브리지형이나 풀 브리지형의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50% 온듀티비의 직사각형파가 되도록 1차측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본질과는 관계없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일반적인 스위칭 제어를 행하면 되고, 온듀티비도 5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방전관 점등회로(5)의 트랜스(T1A~T1F)는 각각의 1차 권선(N1A~N1F)을 병렬로 접속하고, 그 병렬회로를 고주파 구동회로(10)에 접속한 것이다. 여기서는, 트랜스(T1A~T1F) 각각의 1차 권선(N1A~N1F)의 감기 끝단(winding terminal end)을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다. 이 접속 방법은 적용되는 스위칭 회로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다. 또한, 제3의 트랜스인 트랜스(T1B, T1E)는 공통전극에 접속하고 있다. 이 트랜스(T1B, T1E)는 2차 권선의 감기 시작단(winding start end)을 공통전극으로, 감기 끝단을 그대로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감기 시작단과 그라운드 사 이에 전류 검지회로를 접속해도 좋다. 한편, 제1·제3의 트랜스인 트랜스(T1A, T1C, T1D, T1F)는 독립전극에 접속하고 있다. 이 트랜스(T1A, T1C, T1D, T1F)는 2차 권선의 감기 끝단을 독립전극에, 감기 시작단과 접지 사이에 전류 검지회로(8A~8D)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T1A~T1F)를 구성함으로써,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B, T1E)의 2차측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과,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A, T1C, T1D, T1F)의 2차측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을, 서로 역극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B, T1E)의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의 선직경은, 다른 트랜스의 선직경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T1B, T1E)의 코어 단면적은 다른 트랜스의 코어 단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합성전류가 흐르는 트랜스(T1B, T1E)의 1차 권선 및 2차 권선에 의한 동손, 코어에 의한 철손을 억제하고,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방전관 점등회로(5)의 커패시터(C1A~C1F)는 트랜스(T1A~T1F)의 2차 권선과 접지 사이에 접속하고 있다. 이들 커패시터(C1A~C1F)는 백라이트의 기동 점등시에, 트랜스(T1A~T1F) 각각의 누설 인덕턴스와 직렬 공진하여, 기동 점등에 필요한 고전압을 U자형 방전관(2A~2D)에 인가한다. 또한, 커패시터(C1A~C1F)를 반드시 방전관 점등회로(5)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2차측 출력전압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각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부터 커넥터(6A, 6B) 주변, 및 U자형 방전관에 분포하는 기생용량을 커패시터(C1A~C1F) 대신에 이용함으로써 공진전압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전관 점등회로(5)의 전류 검지회로(8A~8D)는 U자형 방전관(2A~2D)의 관전류를 검출하는 것이고, 관전류를 안정화하기 위해 이용한다. 관전류의 안정화를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본질과는 관계없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일반적인 구성을 이용하면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1) 및 방전관 점등회로(5)는 U자형 방전관(2A~2D)을 점등시킨다. 또한, 트랜스(T1A~T1F)에 대해서는 각 트랜스(T1A~T1F)의 출력특성이 거의 일치하도록 권수, 권수비, 1차측과 2차측의 결합도, 누설 인덕턴스를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커패시터(C1A~C1F)의 정전용량도, 각 트랜스(T1A~T1F)의 출력특성을 거의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계속 점등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주파 구동회로(10)는 전자장치의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하프 브리지형 등의 스위칭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위칭하여 각 트랜스(T1A~T1F)에 인가한다.
각 트랜스(T1A~T1F)의 1차 권선(N1A~N1F)에는 고주파 구동회로(10)의 출력전압인 직사각형파 형상의 1차측 전압이 인가되며, 각 트랜스는 1차측 전압을 권수비에 따라 승압하여, 소정의 2차측 출력전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전압 출력기간에 1차 권선(N1A~N1F)의 감기 시작단으로부터 감기 끝단으로 여자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트랜스(T1A~T1F)의 코어의 자속은 시간과 함께 증가하고, 2차 권선(N2A~N2F)에는, 감기 끝단으로부터 감기 시작단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한편, 부전압 출력기간에는 각 트랜스(T1A~T1F)의 코어의 자속은 시간과 함께 감소하고, 2차 권선(N2A~N2F)에는 감기 시작단으로부터 감기 끝단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 트랜스(T1B)와 트랜스(T1E)는 감기 시작단과 감기 끝단을 다른 트랜스와는 반대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트랜스와는 역극성의 2차측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공통전극에 I자형 방전관(3B, 3C), I자형 방전관(3F, 3G)이 접속되므로,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B)와 트랜스(T1E)에는,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A, T1C, T1D, T1F)에 대하여 (2배의) 합성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도 3에 각 트랜스의 2차측 출력전압의 전압파형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3A는 트랜스(T1A)의 2차측 출력전압(Va)의 전압파형이다. 도 3B는 트랜스(T1B)의 2차측 출력전압(Vb)의 전압파형이다. 도 3C는 트랜스(T1C)의 2차측 출력전압(Vc)의 전압파형이다.
각 트랜스(T1A~T1C)의 2차측 출력전압(Va~Vc)은 각각 같은 주파수의 정현파 파형을 나타내고,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A)와 트랜스(T1C)의 2차측 출력전압(Va, Vc)은 각각 동위상의 정현파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트랜스(T1B)의 2차측 출력전압(Vb)은 2차측 출력전압(Va, Vc)과는 역극성, 즉 위상이 180도 어긋난 정현파 파형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트랜스(T1D~T1F)의 2차측 출력전압의 전압파형은, 각각 트랜스(T1A~T1C)의 2차측 출력전압의 전압파형(Va~Vc)과 같다.
U자형 방전관(2A)의 양단자에는, 각각 역극성의 2차측 출력전압(Va, Vb)이 인가된다. 따라서 양단자간 전압은 2차측 출력전압(Va, Vb)끼리의 전압진폭(1~2kV)을 서로 더한 전압진폭(2~4kV)이 되어, 2차측 출력전압(Va, Vb)의 2배의 구동전압 이 인가되게 된다. 또한, U자형 방전관(2B, 2C, 2D)도 마찬가지로, 양단자에 각각 역극성의 2차측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양단자간에 높은 구동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U자형 방전관(2A, 2B)에는 공통전극으로부터 단일의 2차측 출력전압(Vb)을 인가하지만, 독립전극에 인가하는 2차측 출력전압(Va) 또는 2차측 출력전압(Vb)은 U자형 방전관(2A, 2B)에 있어 독립된 것이므로, 공통전극에 병렬로 U자형 방전관(2A, 2B)을 접속하고 있어도, U자형 방전관(2A, 2B)을 각각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U자형 방전관(2C, 2D)도 마찬가지로 점등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종래 구성의 방전관 점등회로에 비해, 고압용의 트랜스와 공진용의 커패시터의 수를 3/4으로 할 수 있어, 간이한 구성으로 트랜스와 커패시터의 실장면적을 작게 한 방전관 점등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관 점등회로의 실장기판의 면적이 같아도 보다 많은 방전관을 백라이트로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경우에는, 보다 고휘도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신뢰성을 필요로 하는 고압출력부의 부품수가 삭감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고압출력부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단일의 커넥터에 2개의 U자형 방전관을 함께 접속할 수 있다. 종래는 U자형 방전관끼리의 인접하는 단자간의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U자형 방전관마다 개별의 커넥터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다른 U자형 방전관의 단자라도, 예를 들면 공통전극인 전력공급용 전극(4B, 4C)을 인접한 상태에서 접속함으로써, 다른 U자형 방전관의 단자끼리가 동전위가 되어, 단일의 커넥터에 2개의 U자형 방전관을 접속해도 절연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방전관 점 등회로 전체로서의 커넥터수를 저감할 수 있고, 접속의 작업공정을 간이하게 하며, 또한 작업공정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U자형 방전관의 구동전압을 양단자에 분산시키므로, 각 트랜스(T1A~T1F)의 정격출력 전압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트랜스(T1A~T1F)로서 간이한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4개의 U자형 방전관에 의해 백라이트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보다 많은 U자형 방전관에 의해 백라이트를 구성해도 좋고,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공통전극에 1개의 트랜스를 설치하도록 백라이트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은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1차측의 회로구성으로서 고주파 구동회로에 병렬로 트랜스를 접속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어떠한 1차측의 회로구성이어도 실시할 수 있다. 2차측의 회로구성이 공통전극과 독립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서로 역극성이 되는 것이면 된다.
다음으로, 제2의 실시형태로서 2개의 U자형 방전관을 점등하기 위한 방전관 점등회로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트랜스가 아니라 복수의 트랜스를 단일의 자성체 코어에 설치한 트랜스 모듈을 이용하는 구성에 의해 설명을 행한다.
도 4A에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백라이트(21)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U자형 방전관(2A, 2B)과 방전관 점등회로(25)를 구비하고 있다. U자형 방전관(2A, 2B)은 커넥터(6A)를 통하여 방전관 점등회로(25)에 접속하고 있다. 커넥터(6A)는 전력공급용 전극(4A~4D)을 포함하고, 전력공급용 전극(4A, 4D)은 각각 독립전극이다. 또한 전력공급용 전극(4B) 및 전력공급용 전극(4C)은 실장기판에 설치한 접속선(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공통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방전관 점등회로(25)는 실장기판에 설치한 인버터이며, 전자장치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방전관 점등회로(25)는 커넥터(6A), 커패시터(C1A~C1C), 1차 권선(N1A~N1C)과 2차 권선(N2A~N2C)을 한쌍의 자성체 코어에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 모듈(T2), 전류 검지회로(8A, 8B), 고주파 구동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방전관 점등회로(25)의 트랜스 모듈(T2)의 상세 구성을 도 4B, 4C에 나타낸다. 도 4B는 개관도이며, 도 4C는 단면도이다. 트랜스 모듈(T2)은 2개의 E자형 자성체 코어(22A, 22B)와, 3개의 보빈(23A~23C)과, 1차 권선(N1A~N1C)과, 2차 권선(N2A~N2C)을 구비하고 있다. E자형 자성체 코어(22A, 22B)는 각각 3개의 자각을 가지는 서로 닮은 형상이며, 상호 3개의 자각끼리를 맞대어 폐자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맞대는 3개의 자각 각각에는 관상의 보빈(23A~23C)을 삽통하고 있다.
이 보빈(23A~23C)은 외주방향으로 주회(周回)하는 복수의 칸막이부(27)를 가지며, 칸막이부(27)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일단의 영역에 1차 권선(N1A~N1C)을 권회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칸막이부(27)에 의해 작게 구분된 타단측의 영역에 권선을 순서대로 인출하면서 권회하여 2차 권선(N2A~N2C)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는 칸막이부(27)에 의해 2차 권선(N2A~N2C)을 권회하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겹쳐진 2차 권선간에 큰 전위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각 보빈(23A~23C)은 각각 1차측 단자(26)와 2차측 단자(24)를 2개씩 구비하고, 각 각에 1차 권선(N1), 2차 권선(N2)의 양단을 접속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차 권선(N1A~N1C)의 감기 시작단(여기서는 도면 좌측단으로 함)을, 1차측 단자(26A, 26C, 26E)에 접속하고, 1차 권선(N1A~N1C)의 감기 끝단(여기서는 도면 우측단으로 함)을, 1차측 단자(26B, 26D, 26F)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2차 권선(N2A~N2C)의 감기 시작단(여기서는 도면 좌측단으로 함)을, 2차측 단자(24A, 24C, 24E)에 접속하고, 2차 권선(N2A~N2C)의 감기 끝단(여기서는 도면 우측단으로 함)을, 2차측 단자(24B, 24D, 24F)에 접속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 권선(N1A~N1C)은 감기 시작단에 접속된 1차측 단자(26A, 26C, 26E)끼리를 접속함으로써 병렬로 접속하고, 그 병렬회로를 고주파 구동회로(10)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트랜스 모듈(T2) 각각의 1차 권선(N1A~N1C)은 감기 끝단에 접속된 1차측 단자(26B, 26D, 26F)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접속 방법은 적용되는 스위칭 회로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다. 또한, 트랜스 모듈(T2)의 2차 권선(N2B)은 감기 시작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C)를 통하여 공통전극에 접속하고 있다. 한편, 2차 권선(N2A, N2C)은 감기 끝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B, 24F)를 통하여 독립전극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2차 권선(N2A~N2C)의 감기 끝단과 그라운드 사이에 전류 검지회로를 접속해도 좋고, 여기서는 2차측 단자(24A, 24E)와 접지 사이에 전류 검지회로(8A, 8B)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 모듈(T2)을 구성함으로써,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B)으로부터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과,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으로부터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을, 서로 역극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B)을 E자형 자성체 코어의 중앙의 자각에 삽통한 보빈(23B)에 설치하고,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을 E자형 자성체 코어의 양단의 자각에 삽통한 보빈(23A, 23C)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C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2개의 폐자로가 생기고, 2차 권선(N2A)과 2차 권선(N2C)이 다른 폐자로에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 독립하여 전압을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의 출력특성을 균등화하고 있다. 또한, 2차 권선(N2B)의 선직경을 다른 2차 권선(N2A, N2C)의 선직경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도면에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또한, 중앙의 자각의 코어 단면적을, 다른 양단의 자각의 코어 단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도면에서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합성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N2B)에 의한 동손, 코어에 의한 철손을 억제하고,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 모듈(T2)에 3개의 2차 권선 및 3개의 1차 권선을 설치하여 모듈화함으로써, 부품수 및 트랜스의 실장면적을 각각 저감하고 있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방전관 점등회로(25)의 고주파 구동회로(10)는 전자장치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직사각형파 형상의 1차측 전압을 생성하고, 이 1차측 전압을 트랜스(T2)의 1차 권선(N1A~N1C)에 인가한다.
또한, 방전관 점등회로(25)의 커패시터(C1A~C1C)는 트랜스 모듈(T2)의 각 2차 권선(N2A~N2C)과 접지 사이에 접속하고 있다. 이들 커패시터(C1A~C1C)는 백라이트의 기동 점등시에, 트랜스 모듈(T2)의 누설 인덕턴스와 직렬 공진하여, 기동 점등에 필요한 고전압을 U자형 방전관(2A, 2B)에 인가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21) 및 방전관 점등회로(25)는 U자형 방전관(2A, 2B)을 점등시킨다. 또한, 트랜스 모듈(T2)에 대해서는 각 2차 권선(N2A~N2C)의 출력특성이 거의 일치하도록 권수, 권수비, 1차측과의 결합도, 누설 인덕턴스를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커패시터(C1A~C1C)의 정전용량도, 각 2차 권선(N2A~N2C)의 출력특성을 거의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독립전극이나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2차측 단자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독립전극이나 공통전극에 인가하는 교류 출력전압의 극성을 역극성으로 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차측 단자의 접속은 순서대로, 2차측 단자(24A, 24C, 24E)를 전력공급용 전극에 접속하고, 2차측 단자(24B, 24D, 24F)를 그라운드에 접속하여, 2차 권선의 권회방향을 서로 다르게 반대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트랜스에 대하여 1차측 단자를 2개, 2차측 단자를 2개로 하였으나, 2차 권선의 그라운드 단자를 1차측 단자로서 배치하고, 1차측 단자를 1개로 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제3의 실시형태로서, 1차 권선의 회로구성을 보다 간이하게 한, 2개의 U자형 방전관을 점등하기 위한 방전관 점등회로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이 방전관 점등회로에서는, 트랜스 모듈로서 제2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트랜스 모듈(T2)과 같은 자성체 코어와 보빈과 2차 권선을 구비하고, 1개의 1차 권선만을 설치한 트랜스 모듈(T3)을 이용한다.
도 5A에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백라이트(41)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것이며 U자형 방전관(2A, 2B)과 방전관 점등회로(45)를 구비하고 있다. U자형 방전관(2A, 2B)은 커넥터(6A)를 통하여 방전관 점등회로(45)에 접속하고 있다.
커넥터(6A)는 전력공급용 전극(4A~4D)을 포함하고, 전력공급용 전극(4A, 4D)은 각각 독립전극이다. 또한 전력공급용 전극(4B) 및 전력공급용 전극(4C)은 실장기판에 설치한 접속선(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공통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방전관 점등회로(45)는 실장기판에 설치한 인버터이며, 전자장치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소정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 방전관 점등회로(45)는 커넥터(6A), 커패시터(C1A~C1C), 1차 권선(N1A)과 2차 권선(N2A~N2F)을 한쌍의 자성체 코어에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트랜스 모듈(T3), 전류 검지회로(8A, 8B), 고주파 구동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방전관 점등회로(45)의 트랜스 모듈(T3)의 상세 구성을 도 5B에 나타낸다. 도 5B는 개관도이다. 트랜스 모듈(T3)은 2개의 E자형 자성체 코어(22A, 22B)와, 3개의 보빈(23A~23C)과, 1차 권선(N1)과, 2차 권선(N2A~N2C)을 구비하고 있다. E자형 자성체 코어(22A, 22B)는 각각 3개의 자각을 가지는 서로 닮은 형상이며, 상호 3개의 자각끼리를 맞대어 폐자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맞대는 3개의 자각 각각에는 관상의 보빈(23A~23C)을 삽통하고 있다.
보빈(23B)에는, 칸막이부(27)에 의해 구분된 복수의 영역 중 일단의 영역에 1차 권선(N1)을 권회하고 있다. 이 1차 권선(N1)은 감기 시작단(여기서는 도면 좌측단으로 함)을, 1차측 단자(26C)에 접속하고, 감기 끝단(여기서는 도면 우측단으로 함)을, 1차측 단자(26D)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보빈(23A~23C)의 각각에는 복수의 칸막이부(27)에 의해 작게 구분된 (타단측의) 영역에 권선을 순서대로 인출하 면서 권회하여 2차 권선(N2A~N2C)을 구성하며, 그 감기 시작단(여기서는 도면 좌측단으로 함)을, 2차측 단자(24A, 24C, 24E)에 접속하고, 2차 권선(N2A~N2C)의 감기 끝단(여기서는 도면 우측단으로 함)을, 2차측 단자(24B, 24D, 24F)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1차측 단자를 늘리고, 2차 권선의 그라운드를 1차측 단자로서 배치해도 상관없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차 권선(N1)은 감기 시작단에 접속된 1차측 단자(26C)를 통하여 고주파 구동회로(10)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1차 권선(N1)은 감기 끝단에 접속된 1차측 단자(26D)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접속 방법은 적용되는 스위칭 회로에 의해 변경되는 것이다. 또한, 트랜스 모듈(T3)의 2차 권선(N2B)은 감기 시작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C)를 통하여 공통전극에, 감기 끝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D)를 통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있다. 한편, 2차 권선(N2A, N2C)은 감기 끝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B, 24F)를 통하여 독립전극에, 감기 시작단에 접속된 2차측 단자(24A, 24E)와 접지 사이에 전류 검지회로(8A, 8B)를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 모듈(T3)을 구성함으로써,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B)으로부터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과,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으로부터의 교류출력 전압의 극성을, 서로 역극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공통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B)과 1차 권선(N1)을 E자형 자성체 코어의 중앙의 자각에 삽통한 보빈(23B)에 설치하고,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을 E자형 자성체 코어의 양단의 자각에 삽통한 보빈(23A, 23C)에 설치 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2개의 폐자로가 생기고, 2차 권선(N2A)과 2차 권선(N2C)이 다른 폐자로에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 독립하여 전압을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독립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N2A, N2C)의 출력특성을 균등화하고 있다. 또한, 2차 권선(N2B)의 선직경을 다른 2차 권선(N2A, N2C)의 선직경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또한, 중앙의 자각의 코어 단면적을, 다른 양단의 자각의 코어 단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합성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N2B)에 의한 동손, 코어에 의한 철손을 억제하고,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 모듈(T3)에 1개의 1차 권선을 설치하여 모듈화함으로써, 1차 권선의 부품수를 삭감하고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는 방전관 점등회로(25)의 고주파 구동회로(10)는 전자장치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으로부터 직사각형파 형상의 1차측 전압을 생성하고, 이 1차측 전압을 트랜스(T3)의 1차 권선(N1)에 인가한다.
또한, 방전관 점등회로(25)의 커패시터(C1A~C1C)는 트랜스 모듈(T3)의 각 2차 권선(N2A~N2C)과 접지 사이에 접속하고 있다. 이들 커패시터(C1A~C1C)는 백라이트의 기동 점등시에, 트랜스 모듈(T3)의 누설 인덕턴스와 직렬 공진하여, 기동 점등에 필요한 고전압을 U자형 방전관(2A, 2B)에 인가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백라이트(41) 및 방전관 점등회로(45)는 U자형 방전관(2A, 2B)을 점등시킨다. 또한, 트랜스 모듈(T3)에 대해서는 각 2차 권선(N2A~N2C)의 출력특성이 거의 일치하도록 권수, 권수비, 1차측과의 결합도, 누설 인덕턴스를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커패시터(C1A~C1C)의 정전용량도, 각 2차 권선(N2A~N2C)의 출력특성을 거의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하는 트랜스, 및 트랜스 모듈의 구성에 관계없이 실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1-126937에 개시된, 1차 권선용의 1개의 자각과 2차 권선용의 3개의 자각을 구비하는 트랜스 모듈의 구성이나, 제3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과는 반대로, 보빈(23A)과 보빈(23C)에 각각 개별의 1차 권선을 권회하고, 보빈(23B)에는 1차 권선을 권회하지 않는 트랜스 모듈의 구성이더라도 매우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1차 권선을 다중으로 권회하여, 3보다 많은 1차 권선을 설치하는 구성이더라도 매우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고주파 구동회로와, 1차 권선이 상기 고주파 구동회로에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트랜스를 구비하고, 각 트랜스의 2차 권선에 U자형 방전관의 단자가 접속되는 방전관 점등회로에 있어서,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각각의 한쪽의 단자가 접속되는 제1·제2의 전극과, 상기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다른쪽 단자가 각각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3의 전극을 구비하고,
    제1·제2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동극성이며, 또한 상기 제3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이 상기 제1·제2의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과는 역극성이 되도록, 제1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1의 전극에, 제2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2의 전극에, 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제3의 전극에 각각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트랜스는 상기 제1·제2의 트랜스보다도, 2차 권선의 선직경이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트랜스는 상기 제1·제2의 트랜스보다도, 코어 단면적이 큰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으로부터 상기 제1~제3의 각 전극부분 주변에 분포하는 기생용량과, 상기 각 트랜스의 누설 인덕턴스에 의해 상기 2개의 U자형 방전관의 각각에 공진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3의 트랜스는 폐자로를 형성하는 공용의 자성체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각각 권회해서 일체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1개 또는 2개의 1차 권선을 권회하고, 그 1차 권선을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에 공통으로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에 1개의 1차 권선을 권회하고, 상기 1차 권선을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에 공통으로 결합시킨 방전관 점등회로이며,
    상기 공용의 자성체 코어는 적어도 3개의 자각(磁脚; magnetic leg)을 가지고, 상기 제1~제3의 트랜스의 2차 권선을 서로 다른 자각에 각각 권회하며, 상기 1차 권선을, 상기 2차 권선이 권회된 어느 하나의 자각, 또는 2차 권선이 권회되어 있지 않은 다른 자각에 권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점등회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전관 점등회로, 및 상기 방전관 점등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냉음극관을 백라이트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77012581A 2006-02-28 2006-12-18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KR10086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3184 2006-02-28
JPJP-P-2006-00053184 2006-02-28
JPJP-P-2006-00083646 2006-03-24
JP2006083646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535A true KR20070117535A (ko) 2007-12-12
KR100867552B1 KR100867552B1 (ko) 2008-11-06

Family

ID=3845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581A KR100867552B1 (ko) 2006-02-28 2006-12-18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83555B2 (ko)
EP (1) EP1991034A4 (ko)
JP (1) JP4458166B2 (ko)
KR (1) KR100867552B1 (ko)
CN (1) CN101124855B (ko)
WO (1) WO2007099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0579B2 (ja) * 2006-03-29 2011-12-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トランス接続回路、放電管点灯回路、および電子装置
JP2008166624A (ja) * 2006-12-29 2008-07-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トランス及びそれを用いた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90080292A (ko) * 2008-01-21 200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공급 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9246328A (ja) * 2008-03-31 2009-10-22 Samsung Electro Mech Co Ltd 多出力トランス
TW200938003A (en) * 2009-04-01 2009-09-01 Verticil Electronics Corp Lamp and driving circuit thereof
WO2011070842A1 (ja) * 2009-12-10 2011-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用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WO2011070873A1 (ja) * 2009-12-11 2011-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110176282A1 (en) * 2010-01-20 2011-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common mode filter used therefor
US8872439B2 (en) * 2010-04-30 2014-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equal currents to current driven loa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9595A (en) * 1972-09-01 1975-11-11 Gen Electric Lamp ballast device
US4016477A (en) * 1975-04-29 1977-04-05 Isodyne Inc. Novel multi-path leakage transformer and inverter ballast
US5192896A (en) * 1992-04-10 1993-03-09 Kong Qin Variable chopped input dimmable electronic ballast
JP3292229B2 (ja) * 1995-12-11 2002-06-17 レシップ株式会社 サイン灯用電源装置
AU3109699A (en) * 1998-04-21 1999-11-08 Power Circuit Innovations, Inc. Dimming ballast and drive method for lamps using a frequency controlled, loosely-coupled transformer
US6104146A (en) * 1999-02-12 2000-08-15 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lanced power supply circuit for multiple cold-cathode fluorescent lamps
JP3951176B2 (ja) * 2002-09-06 2007-08-01 ミネベア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JP4371675B2 (ja) * 2003-03-12 2009-11-25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面光源、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335422A (ja) * 2003-05-12 2004-11-25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放電灯点灯装置
JP2005032940A (ja) * 2003-07-11 2005-02-03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放電灯点灯装置
TWI254270B (en) * 2004-01-15 2006-05-0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ing apparatus formed by serially driving lighting units
US7309964B2 (en) * 2004-10-01 2007-12-18 Au Optronics Corporation Floating drive circuit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TWM267478U (en) * 2004-11-10 2005-06-11 Logah Technology Corp Lamp current controller
JP4560680B2 (ja) * 2004-11-12 2010-10-13 ミネベア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インバ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WO2006085683A1 (ja) * 2005-02-09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トランスとそれを用いた照光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74714B1 (ko) * 2005-06-23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1034A4 (en) 2014-04-16
KR100867552B1 (ko) 2008-11-06
JP4458166B2 (ja) 2010-04-28
JPWO2007099683A1 (ja) 2009-07-16
US7683555B2 (en) 2010-03-23
EP1991034A1 (en) 2008-11-12
US20080129227A1 (en) 2008-06-05
CN101124855A (zh) 2008-02-13
CN101124855B (zh) 2011-02-09
WO2007099683A1 (ja) 200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552B1 (ko) 방전관 점등회로 및 전자장치
JP3906413B2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7018997A (ja) 回路の放電ランプ電流の等化
US20070247082A1 (en) Discharge Lamp Operating Device
US7977888B2 (en) Direct coupled balancer drive for floating lamp structure
JP4830579B2 (ja) トランス接続回路、放電管点灯回路、および電子装置
JP4560686B2 (ja) 多灯式放電灯点灯装置
JP2001267156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4664226B2 (ja) 放電管駆動回路
US20080303449A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ing discharge tube device
JP2008258166A (ja) 蛍光灯駆動電源
JP4333787B2 (ja) 冷陰極放電灯点灯装置
JP4752610B2 (ja) 放電管点灯回路および光源システム
KR100864905B1 (ko) 램프 구동 회로
JP2010055878A (ja) 放電管均流点灯装置
JP4629613B2 (ja) 放電管駆動回路およびインバータ回路
JP2006040871A (ja) 照明器具駆動装置
JP2009054413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9231000A (ja) 放電管均流点灯装置
JP2009099388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4213994A (ja) 放電灯点灯装置
JP2004328951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US20110103109A1 (en) Ac power source apparatus
JP2009231107A (ja) 電源装置
JP2008294199A (ja) 電子部品及び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