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468A -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468A
KR20070114468A KR1020060048057A KR20060048057A KR20070114468A KR 20070114468 A KR20070114468 A KR 20070114468A KR 1020060048057 A KR1020060048057 A KR 1020060048057A KR 20060048057 A KR20060048057 A KR 20060048057A KR 20070114468 A KR20070114468 A KR 20070114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hai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2264B1 (ko
Inventor
강병하
이기현
곽일영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4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26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으로부터 추출한 카렌(3-Carene) 및 네롤리돌(Nerolid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비듬치료 및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행잎, 솔잎, 알파-피넨, 카렌, 네롤리돌, 비듬방지

Description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ti-Dandruff Materials Extracted from Ginko and Pine Leaves}
본 발명은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으로부터 추출한 카렌(3-Carene) 및 네롤리돌(Nerolid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비듬치료 및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듬이란, 인체의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생긴 두피의 죽거나 벗겨진 세포들이 두피 피지선의 분비물과 함께 말라붙어서 생긴 각질형태의 덩어리를 말한다. 비듬은 점차 정상 피부와 뚜렷한 경계를 가지며, 붉게 되어 두피에 인설이 증가하여 통상 가려움과 염증을 수반하는 지루피부염으로까지 진행된다.
이러한 비듬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일반적으로 내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대사의 불균형, 스트레스 등의 신경적 요인, 두피세포의 지나친 증식에 의한 상피조직의 생화학적 변화, 두피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 대기오염에 의한 염증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 향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결하지 못한 두피에 존재하는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lae)라는 미생물의 증식 및 활성증대는 비듬과 가려움증을 악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고, 근래들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듬치료제의 경우 비듬발생의 주요 원인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의 증식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두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신진대사활동을 정상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편, 시판되는 비듬방지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셀레늄설파이드 및 징크피리치온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듬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및 성분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생태계 친화적이고 환경과 인간에 무해하며, 비듬균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성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도 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비듬균 억제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을 검토하던 중, 솔잎의 주요성분인 정유(terpenetine oil)로부터 추출한 카렌 및 네롤리돌과 은행잎 추출물이 우수한 비듬균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잎과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성분을 함유 하는 비듬치료 및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솔잎으로부터 추출한 카렌(3-Carene) 및 네롤리돌(Nerolid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은행잎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1:9 ~ 5:5의 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7의 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은행(Ginko biloba L.)으로부터 추출되며 은행잎에는 인체의 프리라디칼(유해산소) 제거, 항산화작용, 세포막 보호, 혈관질환개선, 혈압 강하작용 등을 가진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혈액순환 개선, 혈전 제거, 혈액노화 예방, 피부노화 억제, 건성피부 보호 및 얼굴의 잔주름을 막아주는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과 더불어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잎 추출물은 잎의 플라보노이드와 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 으로 이루어진 종합성분으로써 프라본그리코사이드류, 징코닉애씨드, 징코게틴, 징코화이드 A, B, C, M, 텔펜락톤류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flavonoids), 테르펜계 화합물(terpenes)과 탄닌인 프로안토시아니딘류(proanthocyanidins)이며, 그 밖에 알킬페놀류(alkyl phenols)가 있다. 은행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화학적으로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flavonol glycosides)와 바이플라본류(biflavones)로 분류할 수 있으며 바이플라본류에는 시아도피티신(sciadopitysin), 징크게틴(ginkgetin), 이소징게틴(isoginkgetin), 바일로베틴(bilobetin), 아멘토플라본(amentoflavone) 등이 보고 되었으며, 플라보놀 글리코시드류에는 비당체(aglycone)의 종류에 따라 캠페롤(kaempferol), 퀘르세틴(quercetin) 및 이소람네틴(isorhamnetin)의 배당체로 대별될 수 있다. 테르펜류 화합물은 징골리드(ginkgolide) A, B, C 및 J와 바일로발리드(bilobalide)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특히 이소람네틴(isorhamnetin)과 퀘르세틴(quercetin)은 관상 혈관을 확장시켜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징크게틴(ginkgetin)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강하 작용을 한다. 이들은 또한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피부진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어 은행잎의 추출물을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솔잎 추출물은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로부터 추출되는 데, 솔잎은 채취한 지역과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유(terpenetine oil), 시네올(cineol), 레텐(retene), 코니페린(coniferin), P-사이멘(P-cymen), 덴시피마르산(densipimaric acid)등과 엽록소, 각종 아미노산, 조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P등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의 주요 성분인 정유(terpenetine oil)에는 a-피넨(a-pinene), 네롤리돌(Nerolidol), 캠펜(camphene), b-피넨(b-pinene), 3-카렌(3-Carene), b-미르신(b-myrcene), b-펠란드렌(b-phellandrene)등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 중에서 특히 a-피넨(a-pinene), 네롤리돌(Nerolidol), 3-카렌(3-Carene)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솔잎의 다른 함유 성분인 엽록소와 함께 여러 종류의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정도는 다르지만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정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피부에 발생하는 습진, 옴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항균 및 살균 작용이 있어 솔잎 추출물을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 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은행잎과 솔잎의 추출물은 통상의 정유 추출법에 따라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정유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유 추출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
예컨대 정유 제조방법에는 정유를 실제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출시키는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감귤류처럼 과피를 압착해서 정유를 얻는 압착법(expression), 지방과 같은 불휘발성 용매에 흡수시켜 체취하는 흡착 법(adsorption), 휘발성 용제(예를 들면 헥산, 에틸알콜, 벤젠 등)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용제 추출법(solvent extraction), 식물의 줄기나 뿌리 줄기에 상처를 내서 침출하는 수액을 수집하는 침출법(exudation) 및 초임계 가스추출법(supercritical extration, CO2 extraction)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솔잎 및 은행잎은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저분자량의 휘발성이 우수한 성분들만을 수득할 수 있다.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출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 상태의 식물을 일정 크기로 분쇄한 다음, 추출 반응기에 주입한다. 이어서, 추출 용매를 상기 식물에 대해 일정 함량으로 주입한다. 사용 가능한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저극성 용매인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이 사용된다.
이때, 추출용매의 함량은 사용되는 용매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물 및 저급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조 분쇄된 식물의 중량에 대해 부피비로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배로 사용하고, 유기용매의 경우 0.5 내지 2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배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용매에 침지된 식물을 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에서 1 시간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추출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식물 내 함유된 정유성분을 추출한다.
이어, 이전 추출 단계를 통해 용매 내 함유된 정유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반응기 내 용액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분리 및 건조하고, 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건조 단계에서 사용되는 건조제는 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수황산마그네슘, 무수황산칼슘 또는 무수실리카겔이 사용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을 1:9 ~ 5:5의 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7의 비로 혼합한다. 여기서 혼합물내의 은행잎 추출성분에 의한 비듬균 억제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은행잎 추출물이 최소 10%이상 포함되어야 하고, 솔잎 추출물에 의한 비듬균 억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솔잎추출물이 최소 50%이상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0.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하고, 10중량% 초과에서는 안정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토닉, 포마드,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수 있다.
이하,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샴푸 조성물을 예로 들어 대표적인 기제 성분과 첨가물들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샴푸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본 발명의 은행잎 및 솔잎 추출물은 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임의성분으로는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성분에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피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의 제조
A: 솔잎 정유의 추출
솔잎은 서울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반응기에 세절한 솔잎 300 g에 증류수 2,000 ml를 주입하고, 이와 연결된 다른 반응기에 헥산 200 ml을 각각 넣고, 연속수증기증류장치(SDE, Nickerson & Likens 장치)에서 100 ℃, 6시간 동안 연속 추출하였다. 상기 얻어진 헥산 추출물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20 ℃ 이하에서 감압농축한 후,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B: 은행잎 정유의 추출
은행잎은 서울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반응기에 세절한 은행잎 300 g에 증류수 2,000 ml를 주입하고, 이와 연결된 다른 반응기에 헥산 200 ml을 각각 넣고, 연속수증기증류장치(SDE, Nickerson & Likens 장치)에서 100 ℃, 6시간 동안 연속 추출하였다. 상기 얻어진 헥산 추출물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20 ℃ 이하에서 감압농축한 후,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참고예 2] 은행잎 및 솔잎 추출물에서 정유 성분들의 분리
상기 참고예 1에서 식물로부터 정유성분을 추출한 후 GC/MS (HP6890, JMS-600W)를 수행하여 상기 정유성분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단, 시료의 동정이 어려운 경우 공지된 바의 질량 스펙트라 라이브러리(Mass spectra library, The Wiley Registry of Mass Spectral Data, 6th ed.)와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칼럼은 실리카가 충전된 칼럼을 사용하였고, 그 조건은 하기와 같다.
· 칼럼명: 실리카 모세관 칼럼(J&W Scientific 사, 60×0.25 mm, 길이×두께)
· 온도: 50 ℃(15 min.) ⇒ 200 ℃(15 min.),
· 승온 속도 : 2 ℃/min
· 이동상 가스: 헬륨(He) (속도: 0.8 ml/min)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샴푸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 비율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교반하에 4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과 방부제, 점도조절제, 향료, 모발 컨디셔닝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활성성분인 솔잎 및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의 효능성분인 이소람네틴, 퀘르세틴 및 징크게틴과 솔잎의 효능성분인 카렌 및 네롤리돌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함유한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라우릴황산암모늄 10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5 5 5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2 2 2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0.8 0.8 0.8 0.8
솔잎 및 은행잎 추출물 1.0 2.0 3.0 5.0 -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0.2
청색1호 0.0002 0.0002 0.0002 0.0002 0.0002
황색4호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향료 0.8 0.8 0.8 0.8 0.8
구연산 0.1 0.1 0.1 0.1 0.1
디메치콘 1.0 1.0 1.0 1.0 1.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비듬균 억제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에서 분리한 정유 성분의 비듬균(P. ovale ATCC 12087) 억제효과는 액체 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이중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 다음, 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최소억제농도)로 결정하였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시료명 MIC(최소 억제 농도)
a-피넨 0.04%
a-테르피넨 6.4%
네롤리돌 0.01%
(-)-리나룰 > 6.4%
(+)-a-피넨 0.8%
3-카렌 0.04%
미르신 1.6%
징크게틴 0.1%
이소람네틴 0.3%
퀘르세틴 0.08%
g-테르피넨 0.8%
(+)-리모넨 0.8%
피레트린 3.2%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 추출물에서 분리한 정유 성분 중 이소람네틴, 퀘르세틴 및 징크게틴도 미생물 억제에 효과가 있으나, 특히 알파-피넨, 카렌 및 네롤리돌이 MIC의 감소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카렌 및 네롤리돌을 함유함으로써 비듬치료 및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2] 비듬균 감소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의 비듬균 감소 효과 시험은 국내특허 공개번호 1999-0061931의 '기니픽 피부 디스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균력 측정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치는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억제대 크기(m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듬균 억제환 크기 3.2 3.7 4.3 4.7 0
[시험예 3] 비듬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60명을 선정하여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샴푸에 대하여 12명씩 5개 그룹으로 1개월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게 한 후 비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7659516-PAT0000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듬감소율(%) 51.8 61.4 60.1 53.3 67.8 50.1 68.5 59.3 51.7 52.0 67.9 53.5 70.4 66.5 56.8 64.3 62.9 71.1 57.7 69.5 60.6 52.9 64.9 60.1 79.8 82.6 61.7 78.4 74.9 71.7 66.8 74.4 78.6 75.2 63.4 66.0 82.3 76.1 82.3 75.3 86.1 75.7 80.4 85.5 75.2 70.2 88.5 80.7 0.7 -0.5 -1.1 1.5 2.2 1.3 6.3 3.6 3.3 4.6 3.7 4.2
평균값 58.6 63.4 70.2 84.5 3.4
SD 4.5 6.2 6.8 8.1 2.1
상기한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은행잎 및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샴푸 조성물이 비교예 1의 통상의 샴푸 조성물에 비하여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 시험
비교적 두피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25세~45세의 남녀 60명을 선정하여 12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샴푸를 3일에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을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하다 - 5점
우수하다 - 4점
보통이다 - 3점
불량하다 - 2점
매우 불량하다 - 1점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효과 3.2 3.8 4.0 4.3 2.3
상기한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은행잎과 솔잎의 주요 정유 성분으로 카렌 및 네롤리돌을 함유한 실시예 1~4의 샴푸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이들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통상의 샴푸 조성물에 비하여 가려움 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유발균 피티로스포룸 오발레에 대한 활성억제가 우수하여 비듬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비듬치료 및 방지용 모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4)

  1. 솔잎으로부터 추출한 카렌(3-Carene) 및 네롤리돌(Nerolid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치료 및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은행잎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치료 및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추출물과 솔잎으로부터 추출한 카렌 및 네롤리돌의 혼합물은 그 혼합비가 1:9 ~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치료 및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치료 및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48057A 2006-05-29 2006-05-29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082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57A KR100822264B1 (ko) 2006-05-29 2006-05-29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57A KR100822264B1 (ko) 2006-05-29 2006-05-29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468A true KR20070114468A (ko) 2007-12-04
KR100822264B1 KR100822264B1 (ko) 2008-04-15

Family

ID=3914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57A KR100822264B1 (ko) 2006-05-29 2006-05-29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2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43B1 (ko) * 2010-07-30 2013-01-18 윤여훈 피부소양증을 완화시키는 전나무잎 정유의 제조방법
CN116531292A (zh) * 2023-04-27 2023-08-04 佛山市佛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动物用化妆盥洗品
FR3134820A1 (fr) * 2022-04-20 2023-10-27 L'oreal Concrete et absolue de parfum obtenues par extraction de solvant (poly)ol organique a partir de matieres naturelles solid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577B1 (ko) * 1995-01-05 1998-10-15 한동근 솔잎 추출물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DE10327137A1 (de) * 2003-06-17 2005-01-05 Henkel Kgaa Hemmung der asexuellen Vermehrung von Pilz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43B1 (ko) * 2010-07-30 2013-01-18 윤여훈 피부소양증을 완화시키는 전나무잎 정유의 제조방법
FR3134820A1 (fr) * 2022-04-20 2023-10-27 L'oreal Concrete et absolue de parfum obtenues par extraction de solvant (poly)ol organique a partir de matieres naturelles solides
WO2023203098A3 (en) * 2022-04-20 2023-12-14 L'oreal Perfume concrete and absolute which are obtained by organic (poly)ol solvent extraction from solid natural substances
CN116531292A (zh) * 2023-04-27 2023-08-04 佛山市佛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动物用化妆盥洗品
CN116531292B (zh) * 2023-04-27 2023-11-17 佛山市佛丹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动物用化妆盥洗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264B1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5798B2 (ja) 化粧料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05034894A1 (ja) 育毛剤組成物
KR100517465B1 (ko)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822264B1 (ko) 은행잎 및 솔잎에서 분리한 비듬방지 물질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100077554A (ko) 무환자 나무로부터 사포닌을 정제하는 방법, 무환자 나무의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2656700A (zh) 一种含工业大麻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235645B1 (ko) 솔잎 증류 농축액을 포함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24672B1 (ko)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H06305978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化粧品および変色防止剤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0657380B1 (ko)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을 위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2181B1 (ko)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02155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3697B1 (ko) 생물막 생성의 저해, 여드름의 완화 및 항염 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664798B1 (ko) 아로니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모공개선 및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
US20090263509A1 (en) Antibacterial agent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KR10250456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316415B1 (ko) 남천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84284B1 (ko) 하수오, 마카, 겨우살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토닉조성물
KR20230079665A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 분비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20230081342A (ko)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