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342A -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342A
KR20230081342A KR1020210169305A KR20210169305A KR20230081342A KR 20230081342 A KR20230081342 A KR 20230081342A KR 1020210169305 A KR1020210169305 A KR 1020210169305A KR 20210169305 A KR20210169305 A KR 20210169305A KR 20230081342 A KR20230081342 A KR 2023008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ir
scal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원
Original Assignee
한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원 filed Critical 한지원
Priority to KR102021016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342A/ko
Publication of KR2023008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3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 30중량부, 점증제 0.2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05중량부, PH 조정제 0.05중량부, 계면활성제 45.0중량부, 두피영양제 2.0중량부, 살균제 0.15중량부, 보습제 2.8중량부, 착향제 0.35중량부 및 두피모발개선제로 구절초 2∼2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자두씨 5∼10 중량부, 감국 2∼4 중량부; L-멘톨(L-menthol) 2∼3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로 함유하는 두피모발개선제 2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Dandruff Reduction and Hair Care Shampoo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샴푸액 조성물에 함유시켜 사용함으로써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각질을 제거하며 탈모를 방지하도록 두피를 스케일링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매체와 빠른 서구문화의 유입을 통한 패션, 헤어스타일 등의 외모를 가꾸는 유행변화 주기가 상당히 짧아지고 있다. 이 중 최근 들어 각종 매체를 통한 연예인 등의 유명인의 헤어스타일이 사람들에게 이목을끌고 있어, 유행에 민감한 사람들은 그에 따른 헤어스타일을 쫓아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외모를 중시하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의 개성을 발산하기 위해 손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모발의 헤어스타일에 다양한 변화를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헤어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모발은 퍼머넌트, 마찰, 열, 햇빛, 물리적 절단, 탈색, 염색 등에 의하여 손상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모발을 샴푸 후, 모발을 건조시키기 위해 드라이어를 사용시, 이에 의한 열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하면서 모발이 건조되면 모발이 수분의 증발에 따른 열에 의해 팽창하여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검은 모발은 점차 다갈색으로 변색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열에 의해 건조된 모발이 점차 탄력이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퍼머넌트는 단백질 결합 형태를 변형시키는 화학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빈번한 횟수의 퍼머넌트는 모발을 약하게 하기도 하고, 모발 중에 알칼리 성분이 남아 있거나 산화제가 남아있을 경우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이 변성된다. 또한, 잦은 퍼머넌트로 인해 모발의 뿌리를 지지하는 두피가 손상되어 각질, 비듬 등이 발생하여 외관상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최근들어 문화의 국제화 등에 따라 다양한 머리색을 요구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모발을 염색, 탈색제를 이용하게 다양한 색깔의 모발을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발에 염색, 탈색제를 반복 노출하게 되면 모발은 거칠어지고 손상된다. 뿐만 아니라, 염색, 탈색을 좀더 수월하게 하고자 모발에 자외선 등을 조사하게 되면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이 손상을 받거나 단백질 변성을 일으킨다.
퍼머와 염색으로 모발이 심하게 손상된 소비자들은 보다 탁월한 컨디셔닝효과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반복 사용시에도 누적되어 끈적이지 않는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 조성물을 필요로 하나 종래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들은이런 요건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비듬의 주요한 증상은 피부 박편과 두피 가려움증으로, 이중 두피 가려움증이 보다 심각한 증상일 수 있다. 현재 두피 가려움증 및 비듬 치료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은 예를 들어, 징크 피리치온, 케토코나졸과 같은 항진균제 및 테르페나닌, 아세테미졸과 같은 항히스타민제와 같이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다. 이들은 수용액상 불용성이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눈에 대한 자극성, 간독성, 임산부 사용제한 및 피부 가려움증 증가등의 부작용이 있다. 최근 소비자들은 합성 제품보다는 천연 재료를 함유하는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오염물의 흡착제거가 탁월하고,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다량방사되는 숯을 첨가하여 두피 및 모발을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다양한전통적 한방재료를 첨가하여 사용자의 모발과 두피를 저자극으로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켜 민감한 두피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은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 30중량부, 점증제 0.2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05중량부, PH 조정제 0.05중량부, 계면활성제 45.0중량부, 두피영양제 2.0중량부, 살균제 0.15중량부, 보습제 2.8중량부, 착향제 0.35중량부 및 두피모발개선제로 구절초 추출물 2∼2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자두씨 5∼10 중량부, 감국 2∼4 중량부; L-멘톨(L-menthol) 2∼3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1∼2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샴푸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30.0중량부, 양쪽성 계면활성제 10.0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은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각질을 제거하며 두피를 스케일링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절초 추출물은 모발에 광택 및 부드러움 등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은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 모발의 빗질감을 향상시키고, 오랫동안 매끄럽고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피와 모발의 손상 및 개선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손상 및 개선에 필요한 샴푸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절감과 함께, 화장품, 의약품, 의약외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의 실시예를 통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은 정제수 30중량부, 점증제 0.2중량부, 금속이온봉쇄제 0.05중량부, PH 조정제 0.05중량부, 음이온 계면활성제 30.0중량부, 양쪽성 계면활성제 10.0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0중량부, 두피영양제 2.0중량부, 살균제 0.15중량부, 보습제 2.8중량부, 착향제 0.35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발의 보호 및 손상을 예방하는 일반적인 샴푸 베이스에 두피 및 모발을 개선하기 위한 두피모발개선제 2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제수는 상수(수돗물)를 화학적, 물리적인 방법으로 여과하여 만든 보다 순수한 물이다. 이러한 정제수는 각종 무기물, 유기물이 제거되어 있어 화장품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26.4 중량부가 첨가된다.
상기 점증제는 실온에서 젤타입으로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1 중량부, 염화나트륨(NaCl) 0.1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물(경수, Hard Water)에 섞여 있는 칼슘(Calcium)과 마그네슘(Magnesium)이 비누 성분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만들어 내는 끈적거리는 부사(Scum) 가생기지 않고 매끄럽게 거품을 일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이온봉쇄제(씨퀘스터링 이이젼트;Sequestering Agent)가 첨가된다. 여기서, 금속이온봉쇄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Sodium Ethylene Diaminetetraacetate) 0.05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PH 조정제로는 구연산(시트르산;Citric acid) 0.05 중량부를 첨가하여 전체 조성물의 PH를 PH 5.5∼6.0으로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두피영양제 및 두피의 세균성 감염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살균제, 보습제를 첨가한다. 두피영양제로는 디메치콘(Dimethicone) 또는 이소라우레스(Isolaureth) 2.0 중량부, 살균제로는 베타 하이드록시 애시드로서 과일에서 추출되며 피부에서 일정한 엑스폴리에이션의 속도와 피부세포재생을 유지시켜 주어 잔주름의 외관을 완화시키도록 도와주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 0.1 중량부,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0.05 중량부, 보습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8 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샴푸 조성물의 착향제로서 향료 0.35 중량부가 첨가된다.
한편, 계면활성제 45.0 중량부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는 암모늄라우레스 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30.0 중량 %, 양성 이온성 계면활성제(Amphoteric Surfactant)는 코코넛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뛰어난 세정력을 가지고 있고, 풍부하고 부드러운 거품을 내며 사용후 피부에 부드러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코카이도 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10.0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lfate)는 거품 강화제로 모발 컨디셔닝제 코코넛 오일에서의 합성 추출된 투명한 황색의 액체인 코카마이드 DEA(Cocamide DEA) 5.0중량부로 첨가되는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의 일반적인 샴푸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두피모발개선제 23.0 중량부가 첨가된다. 여기서, 두피모발개선제는 구절초 2∼20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자두씨 5∼ 10 중량부, 감국 2∼4 중량부; L-멘톨(l-menthol) 2∼3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절초(九節草,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는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자생화로 5 월 단오에는 줄기가 5 마디가 되고, 9 월 9 일(음력)이 되면 9 마디가 된다 하여 구절초(九節草)라 불린다. 또한, 구절초는 줄기끝에 한 송이 꽃이 피는데 흰 꽃이 신선보다 더 돋보인다 하여 선모초(仙母草)라 불린다. 바닷가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특히 높고 깊은 산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란다. 구절초는 종(種)으로는 단일종(單一種)이지만 품종은 몇 가지가 있다. 산구절초는 높이 10∼60 ㎝, 꽃 직경 3∼6 ㎝ 이며, 바위 구절초는 중북부지방의깊은 산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로 높이 20 ㎝, 꽃 직경 2∼4 ㎝이다. 포천 구절초는 한탄강 지역에 자생하며 꽃색이 분홍색이 돈다. 우리 자생식물 중 원예가치가 높은 꽃 중 하나인 구절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땅 속의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어가면서 번식하며 번식력도 대단히 강하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구절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등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절초 추출물은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가열 추출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절초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절초를 5 내지 80 ℃ 에서 추출용매에 1 내지 7 일간 침지하여 추출하며, 2 내지 3회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의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피에 자극이 적고 인체에 안전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양은 구절초 중량의 2 내지 1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추출용매로 추출물을 수득한 후에, 여과지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추출물을 원심분리후에 상층액을 감압 여과하는 여과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에서 감압농축할 수 있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식품의 조리시 첨가하는 우리나라의 전통 향신료로, 향기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잎과 열매에 기름샘이 있어서 특이한 향과 매운 맛이 난다. 한방에서는 탕을 끓이거나 욕탕에넣어 사지슬통(四肢膝痛)을 제거하는 데 쓰이고 풍한비습(風寒濕痺)에 좋으며 자극성 살충·살균제로 알려져 있다. 산초의 항균성은 실험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산초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E. Coli, S. aureus, B. subtilis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김순임, 한영실,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6-73, 1997). 이러한 산초의 성질을 이용하면 두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및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의 작용을 억제하고 두피의 질환을 치료하며,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모근에 탁월한 산소공급과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산초는 5∼20 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계피(Cinnamomum cassia Blume) 역시 천연 항균성 물질로 분리되고 있다. 계피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상록열대 계피나무의 외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방에서는 두통, 발열, 신경성심계항진, 진통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계피의 주요 성분은 방향족 화합물인 시나몬 알데히드(cinnamon aldehyde)로 항산화작용이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로부터 항균성 물질을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 세균과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정은탁 외 3인,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제13권 제1호, pp. 337-343). 이러한 계피의 성질을 이용하면 두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 및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의 작용을 억제하고 두피의 질환을 치료하며,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모근에 탁월한 산소공급과 영양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계피는 5∼20 중량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부 미만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항균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피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산초와 계피는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자두씨는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의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말을 사용하는데 50∼120 메쉬정도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이 자두씨 분말은 샴푸에 함유되어 두피를 마찰시키는데 그 마찰로 인하여 두피의 비듬과 각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자두씨 분말의 마찰로 인하여 두피의 혈행을 촉진하게 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도 가져온다. 자두씨 분말은 두피와의 마찰효과를 고려하여 50∼120 메쉬 정도의 분말이 바람직한데, 50 메쉬 이하이면 마찰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120 메쉬 이상이면 두피에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자두씨는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중량부 이하에서는 충분한 마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부 이상은 과도한 양으로 불필요하다.
감국은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2∼4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양을 사용하면 두피의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L-멘톨(L-menthol)은 지바옥 고급알콜류에 속하는 착향료로 무색의 주상 또는 침상의 결정 또는 백색 결정성 분말이다. 특이하고 상쾌한 방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기능보다도 방향성을 고려하여 2∼3 중량부로 부가되다. 2 중량부 이하이면 충분한 방향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 중량부 이상은 과도한 양으로 불필요하다.
홍삼은 모세포를 활성화시켜 두피의 통풍을 조절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해조는 상기 산초 또는 계피, 감국, 인삼에 함유된 항균물질,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유효한 성분들이 염증부위나 탈모부위에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해조 성분의 피지조절 효과를 이용하여 두피의 피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해조는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두피가 부드럽지 못하고 건조해질 수 있다.
감초는 상기 산초 또는 계피, 감국, 인삼, 홍삼 및 해조 성분에 포함된 독성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1∼2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샴푸액은 액상제품으로 그 점도가 9,000∼30,000 범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액 조성물은 그 점도를 40,000∼70,000 범위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 범위의 점도에서는 액상타입이 아닌 크림타입의 제품이 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샴푸액 조성물에 함유된 자두씨 분말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점도가 40,000 이하이면 자두씨 분말이 침전할 가능성이 높고 점도가 70,000 이상이면 유동성이 좋지 않아 배출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26.4 중량부에 폴리쿼터늄-10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20∼30 분간의 교반을 통해 폴리쿼터늄-10이 정제수에녹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교반되는 정제수와 폴리쿼터늄-10의 교반시, 온도를 0∼50℃로 점차적으로 가온시켜 녹인다.
이후, 50℃로 상승된 상기 교반된 혼합액에 0.05 중량부 농도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5 중량부 농도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후, 혼합액의 온도를 60℃까지 가온시키면서 상기 혼합액에 30.0 중량부 농도의암모늄라우레스 설페이트, 10.0 중량부 농도의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5.0 중량부 농도의 코카마이드 디이에이를 첨가하고,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에 0.1 중량부 농도의 염화나트륨, 2.0 중량부 농도로 희석된 디메치콘 및 이소라우레스, 0.1 중량부 농도의 살리실산, 0.05 중량부 농도의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2.8 중량부 농도의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여 20∼30 분 동안 교반혼합하였다.
이후, 구절초 추출물 10중량부; 산초 20 중량부; 자두씨 8 주량부; 감국 4 중량부; L-멘톨 3 중량부; 홍삼 2 중량부; 해조1.5 중량부; 및 감초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130℃, 2기압 압력하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여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자두씨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일반적인 비듬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듬방지용 조성물 20 중량부에 통상의 살균제인 살리실산 0.1 중량부, 물 33.9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한방 샴푸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을 액체 배지에 각각 5.0% 첨가시키고 비듬균(Pitirosporum ovale)을 접종하여 4 일간 배양한 후 최소미생물 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최소미생물 억제농도(MIC) 0.6 1.2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통상의 살균제인 살리실산을 포함한 비교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보다 자두씨를 포함한 실시예의 샴푸액 조성물이 비듬균에 대하여 2배의 살균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샴푸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른 샴푸액 조성물(1)와 두피모발개선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의 샴푸액 조성물(2)을 제조한 후, 모발 단백질, 두피 보호 및 회복 효과, 알러지,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실험하고자,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0∼60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와 표 1에 표시된 비교예의 샴푸를 시술하였다. 시험 대상은 잦은 탈색, 염색,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로 모발과 두피가 손상된 사람들을 선정하였다. 5점 채점법(5:아주좋다, 4:좋다, 3:그저그렇다, 2:모르겠다 1:악화되었다)으로 나타내었으며,통계처리 검사결과는 SAS package를 이용하여 Duncan's 다중검정법에 의해 검증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시험항목 아주 좋다 좋다 그저 그렇다 모르겠다 악화되었다
1 2 1 2 1 2 1 2 1 2
두피 회복 72% 48% 28% 39% 0 13% 0 0 0 0
모발 회복 88% 59% 12% 32% 0 9% 0 0 0 0
비듬 제거 75% 33% 21% 63% 4% 4% 0 0 0 0
염증 회복 52% 21% 32% 44% 13% 18% 3% 15% 0 2%
모발 갈라짐 78% 42% 18% 51% 4% 7% 0 0 0 0
모발 윤기 91% 62% 9% 22% 0 16% 0 0 0 0
탈모 방지 62% 0% 38% 9% 0 42% 0 48% 0 1%
발모 효과 67% 0% 33% 3% 0 35% 0 62% 0 0
피지 억제 72% 68% 28% 27% 0 5% 0 0 0 0
상기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한방 천연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보다 시험항목 전반에 걸쳐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 측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정제수 30중량부와, 점증제 0.2중량부와, 금속이온봉쇄제 0.05중량부와, PH 조정제 0.05중량부와, 계면활성제45.0중량부와, 두피영양제 2.0중량부와, 살균제 0.15중량부와, 보습제 2.8중량부와, 착향제 0.35중량부를 포함하고;
    구절초 2∼20 중량부, 산초 또는 계피 5∼20 중량부; 자두씨 5∼10 중량부, 감국 2∼4 중량부; L-멘톨(L-menthol) 2∼3 중량부, 홍삼 1∼2 중량부; 해조 1∼2 중량부; 및 감초 1∼2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샴푸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30.0중량부, 양쪽성 계면활성제 10.0중량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비듬방지 및 두피각질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형태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에는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이 총중량 대비 23.0 중량부가 첨가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69305A 2021-11-30 2021-11-30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KR20230081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05A KR20230081342A (ko) 2021-11-30 2021-11-30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05A KR20230081342A (ko) 2021-11-30 2021-11-30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342A true KR20230081342A (ko) 2023-06-07

Family

ID=8676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305A KR20230081342A (ko) 2021-11-30 2021-11-30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3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4533624A (zh) 一种白发转黑乌发液及其制备方法
KR101189838B1 (ko)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009763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20190061277A (ko) 탈모 방지 및 모발을 굵게 할 수 있는 샴푸 조성물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9111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088369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0727855B1 (ko)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57380B1 (ko)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을 위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1341A (ko) 한방추출물이 포함된 가는 모발 개선용 샴푸
KR20230081342A (ko) 비듬 감소 및 모발 보호 샴푸 조성물
KR101558185B1 (ko) 대나무수액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10194936A (ja) 育毛剤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0708B1 (ko)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810227B1 (ko) 석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2109A (ko)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양모 촉진용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KR100546263B1 (ko)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