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263B1 -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263B1
KR100546263B1 KR1020030066449A KR20030066449A KR100546263B1 KR 100546263 B1 KR100546263 B1 KR 100546263B1 KR 1020030066449 A KR1020030066449 A KR 1020030066449A KR 20030066449 A KR20030066449 A KR 20030066449A KR 100546263 B1 KR100546263 B1 KR 10054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ris
composition
naphthalenone
methylethylid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258A (ko
Inventor
박우규
이순영
임광섭
이종화
장동일
Original Assignee
함평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평군 filed Critical 함평군
Priority to KR102003006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2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포(근경, 및 잎)를 40℃ 조건에서 2일간 완전 건조시킨 후 잘게 절단한 후에 창포: 메탄올을 중량대비 1 : 6.5 (시료가 메탄올에 완전히 잠기는 양)의 비율로 침지한 다음, 실온 암실에서 일주일간 방치한 다음, 상기 침지된 창포와 메탄올을 통상의 여과기의 여과용지를(Whatman filter paper No. 2) 통해 여과 한 후에,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0℃)한 다음, 상기에서 획득한 조 추출물에 증류수와 n-헥산을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두 용매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한 후에, 통상의 분액깔대기로 헥산 분획을 뽑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5℃)하여 창포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창포. 창포추출물. 비누. 화장품.

Description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an extract of a sweet flag}
도1은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
도2는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4일)
도3은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6일)
도4는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8일)
도5는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10일)
도6은 저장 기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1일)
도7은 저장 기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분석 그래프(30일)
본 발명은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손상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 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손상된 피부를 개선하거나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었다.
특히 일반 피부외용제에는 화장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이 있고,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한 피부외용제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원료를 시작으로 여러 가지의 원재료를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삼추출물과 효모추출물, 송이버섯 추출물 등의 추출물, 콜라겐 등의 천연고분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피부부활제 혹은 글리세린 등의 보습제 등이 피부손상방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화장료에 이용되어 오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종래에 피부손상 방지 및 개선에 이용되어 온 물질은 안면피부의 피지량과 수분이 적은 것에 기준을 두고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대상으로 사용되어 미백효과나 면역부활효과와 같은 특수 효과를 얻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다양한 효과를 가지면서 피부에 자극이 없는 원료의 개발이 연구되고 있는 있었다.
현대인들은 각종 고농도 화학세제의 남용 등으로 인해 자연의 생분해가 곤란한 물 오염의 유발과 함께 여러 가지 질환에 시달리게 되는데, 특히 피부와 머리결은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어가며 탈모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창포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전래 풍습으로 단옷날에 창포를 넣어 끓인 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창포를 쉽게 구할 수 없고 또한 사용이 번거롭기 때문에 좋은 효능을 가지고도 이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 중 한 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106886호에는 초피나무 씨앗껍질을 추출용매로 교반추출하여 티로시나제효소활성을 저해하여 피부미백효과를 나타내고 리폭지나제 효소활성저해능 및 프리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3-0005463호에는 호박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3-0037446호에는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조성물,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3-0021209호에는 어성초로부터 정유성분의 추출 및 캡슐화제품 제조방법이,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2-0089216호에는 고급알콜, 에틸아세틸알콜, 클로르포름을 용매로 유자, 마두령, 빈랑자, 편축, 아카시아꽃, 까치수염, 솔방울, 밤나무를 추출하여 제조된 천연식물 및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38119호 에는 뱀딸기에 물, 에탄욜, 메탄올, 프로판올 및 아세통으로 구성된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된 항산화성 뱀딸기 추출물이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특허공보 제10-00334608호에는 느타리버섯을 물,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느타리버섯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으나, 정제하는 방법이 복잡하며, 상기 정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또한 효과에 대하여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닌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피부상처 치 유 및 개선용 또는 피부노화 방지용으로 효과가 탁월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한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포(근경, 및 잎)를 40℃ 조건에서 2일간 완전 건조시킨 후 잘게 절단한 후에 창포: 메탄올을 중량대비 1 : 6.5 (시료가 메탄올에 완전히 잠기는 양)의 비율로 침지한 다음, 실온 암실에서 일주일간 방치한 다음, 상기 침지된 창포와 메탄올을 통상의 여과기의 여과용지를(Whatman filter paper No. 2) 통해 여과 한 후에,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0℃)한 다음, 상기에서 획득한 조 추출물에 증류수와 n-헥산을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두 용매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한 후에, 헥산 분획을 뽑아 농축 (45℃)하여 창포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그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창포 (Acorus calamus)로 부터 창포 추출물을 획득하여 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34 종류의 정유 물질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중 전체 함량비율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성분은 12 종류로 확인되었다. 상기 창포추출물은 일반세균을 비롯한 살모넬라균, 비듬균 등에 효과적인 항균 효능을 나타냈으며, 이를 이용한 헤어 샴푸, 바디 로션, 샤워젤, 비누, 목욕용 분말 제품 등 5 종의 창포 추출물 함유 제품을 제조하였다.
창포는 학명이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이며, 천남성과로 일명 수창, 지심, 경포로 불리며, 전국에 분포하며, 호숫가, 연못가, 도랑가자라며, 60∼100cm의 키인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분근 번식하며, 채취기간은 8∼10월이며,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하며, 따뜻하며, 쓰고 맵다. 독성은 없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좁은 선형으로 창검같이 뾰족하고 길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밑 부분은 서로 얼싸안는다. 평행맥이 있다. 꽃은 6∼7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며 양성화이고 꽃줄기의 중앙부에 육수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8∼9월에 긴 타원형의 장과가 붉은 색으로 익는다. 천남성과 (天南星科, A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인 창포는 땅 밑에서 크기가 1 m까지 옆으로 성장하는 근경이 있다. 근경의 위쪽은 녹색이고 육질이 들어있는 뿌리가 자라나는 아래쪽은 어두운 색이다. 오래된 근경에는 반원의 자국이 있는데 이는 지난해에 나왔던 잎이 있었던 흔적이다. 줄기는 1 m까지 자라고 반으로 자르면 삼각형 모양이다. 잎은 근경에서 직접 나오고 장검과 같이 길고 좁으며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꽃은 육수화(肉穗花)라고 불리는데, 육수화란 꽃줄기가 없는 수많은 꽃들이 줄기에 모여 피어나는 꽃을 일컫는다. 꽃은 피기 전에 잎에 싸여 있다. 꽃은 매우 작으며 황녹색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마디가 많다.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잎은 길이 50∼80 cm, 폭 0.5∼1.5 cm이며 중륵이 있다. 꽃은 6-7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육수꽃차례에 피며, 꽃차례는 길이 5-10 cm다. 꽃의 불염포는 꽃차례를 감싸지 않으며, 잎처럼 생겼고 길이 30-40 cm다. 환경부에서 1998년까지 특정야생식물로 지정해 보호하기도 했다.
창포는 근경을 비롯하여 잎과 뿌리 등 전체에 방향성 물질을 갖고 있다. 잎 을 비비면 맑은 향기가 코끝을 감돈다. 창포를 삶으면 향기로운 물이 우러나와 목욕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쑥이나 당귀 뿌리를 함께 삶기도 한다. 모두 방향물질을 갖고 있다. 우리의 자생 허브 식물인 셈이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근경을 캐 볕에 말린 것을 창포근(菖蒲根)이라 하여 방향성 건위제로 쓴다. 주로 근경을 약재로 쓰는데 위액과 염산을 잘 나오게 하며 밥맛을 좋게 한다. 진정 작용이 있으며 눈을 맑게 하고 청력을 높여 준다.
유럽에서는 일찍이 창포의 가치를 인식하여 널리 재배하고 있다. 창포에서 방향성 건위 성분을 추출하여 의약품을 제조해 내기 때문이다. 또 최근에는 창포에서 향료를 뽑아 화장수, 고급향수를 제조하기도 한다. 동양의 자원식물이 자생지에서는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지만 그 식물을 갖고 간 나라에서는 생활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창포성분 조성(표 1)
분명 실험식 함유율 (%)
β-asarone C12H16O3 59.8
α-asarone 16
cis-methylisoeugenol (메틸이소오이게놀) C11H14O2 4.8
trans-methylisoeugenol (메틸이소오이게놀) 1.1
shyobunone (쉬오부논) C15H24O 1.25
isoshyobunone (이소쉬오부논) 1.34∼7.3
epishyobunone (에피쉬오부논) C15H24O 4∼4.8
linalool (리날로올) C10H18O 0.3
칼라메넨 C15H24O 0.1
β-구르유넨 C15H24 0.4
δ-카디넨 C15H24 0.8
※ 기타 : 칼라멘디올(calamendiol), 이소칼라멘디올(isocalamendiol), 프레이소칼라멘디올, 아코로넨(acoronene), 아코론(acorone), 아코라몬(acolamone), 아 코라게르마크론, 이소아콜라몬(isoacolamon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창포(근경, 및 잎)를 40℃ 조건에서 2일간 완전 건조시킨 후 잘게 절단한 후에 창포: 메탄올을 중량대비 1 : 6.5 (시료가 메탄올에 완전히 잠기는 양)의 비율로 침지한 다음, 실온 암실에서 일주일간 방치한 다음, 상기 침지된 창포와 메탄올을 통상의 여과기의 여과용지를(Whatman filter paper No. 2) 통해 여과 한 후에,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0℃)한 다음, 상기에서 획득한 조 추출물에 증류수와 n-헥산을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두 용매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한 후에, 통상의 분액깔대기로 헥산 분획을 뽑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5℃)하여 창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창포와 석창포로부터 분리한 메탄올 추출물의 살충효과(표 2)
해충의 종류 살충활성 (%)
창포 석창포
농업 해충 벼멸구 성충 5,000 ppm 100 100
배추좀나방 유충 60 100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46.7 100
점박이응애 성충 50 73.3
저장물 해충 쌀바구미 성충 50 mg 100 (72시간 후) 83
팥바구미 성충 100 (48시간 후) 100
권연 벌레 100 (48시간 후) 53.3
이와 같이 창포와 석창포의 메탄올 추추물 (분리·동정 결과 β-asarone의 효과임이 입증됨)은 농업해충과 저장물해충에 대하여 탁월한 살충효과를 가지며, 접촉독과 훈증효과 두 가지의 살충활성을 보여 실제 포장에서의 이용가능성이 기대된다.
실험예2
창포 추출물의 정성 분석
실험조건(표 3)
분석기기 6890 GC/5973N MSD (USA)
Column HP-5MS (30m×0.25mm×0.25㎛)
Injector Temp. 250℃
Injection Mode Split (10:1)
Injection Vol. 1 ㎕
Oven Temp. 80℃ (2 min) ↓ 150℃ ↓ 280℃ (10 min) 10℃/min 5℃/min
분석 Mode Scan mode
실험결과
창포 추출물의 주요 성분 조성표(표 4)
Peak No. Retention Time (min) % of Total 성분명 Quality (%)
1 20 13.563 19.99 Asarone 99
2 11 11.869 19.02 Pyrrolidine 50
3 31 15.148 9.97 1-vinyl-1,2,3,4-tetra- hydroisoquinoline 47
4 19 13.442 9.75 8-(1-pentenyl)carbonyl) bicyclo〔6.1.0〕nonane 53
5 8 11.517 9.09 Cyclohexanone 47
6 28 14.745 8.20 (+)-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96
7 12 11.967 2.84 delta.-Cadinene 99
8 18 12.883 2.41 1,6-Germacradien-5-ol 90
9 35 16.941 2.02 2(3H)-Naphthalenone 50
10 13 12.042 1.97 Calacorene 72
11 29 14.923 1.55 2-Butenal 38
12 9 11.592 1.01 bicyclogermacrene 99
13 기타 12.18 기타
합계 100
실험예 3
메탄올 (MtOH) 침지 시간에 따른 성분 변화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질량 변화(표 5)
분류 메탄올 침지 시간 (day)
4 6 8 10
질량 변화 창포건조중량 (mg) 200 200 200 200
메탄올 첨가량 (ℓ) 1.3 1.3 1.3 1.3
메탄올 추출 양 (ℓ) 1.072 1.040 1.053 1.050
메탄올 농축 양 (g) 15.2 16.7 18.5 19
n-헥산 농축 양 (㎖) 1.7 2.2 2.9 2.8
창포 건조물이 메탄올에 침지되는 시간이 길수록 얻어지는 최종 산물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탄올 침지 시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함량 변화(표 6)
No. Peak No. Retention Time (min) % of Total (day)
4 (도2참조) 6 (도3참조) 8 (도4참조) 10 (도5참조)
1 20 13.563 19.99 20.88 19.98 19.64
2 11 11.869 19.02 19.93 18.77 18.15
3 31 15.148 9.97 10.28 9.94 9.84
4 19 13.442 9.75 9.29 9.15 8.67
5 8 11.517 9.09 9.23 8.57 8.4
6 28 14.745 8.20 8.56 8.16 7.98
7 12 11.967 2.84 2.81 2.72 2.73
8 18 12.883 2.41 2.46 2.47 2.38
9 35 16.941 2.02 2.28 1.74 2.32
10 13 12.042 1.97 2.18 2.11 2.1
11 29 14.923 1.55 1.57 1.49 1.53
12 9 11.592 1.01 1.16 1.37 1.34
13 기타 12.18 9.37 13.53 14.92
합계 100 100 100 100
실험예4
저장 기간에 따른 창포 추출물의 성분 변화(표 7)
No. Peak No. Retention Time (min) % of Total (day)
1 (도6 참조) 30 (도7 참조)
1 20 13.563 20.88 19.19
2 11 11.869 19.93 12.92
3 31 15.148 10.28 9.31
4 19 13.442 9.29 16.38
5 8 11.517 9.23 5.76
6 28 14.745 8.56 7.6
7 12 11.967 2.81 2.26
8 18 12.883 2.46 2.53
9 35 16.941 2.28 4.48
10 13 12.042 2.18 0.82
11 29 14.923 1.57 1.45
12 9 11.592 1.16 1.57
13 기타 9.37 15.73
합계 100 100
실험예5 창포 추출물의 항균 효과 검증
1. 적용하는 실험: Disk Diffusion Method: 일정수의 균액이 도포된 평판 배지상에서 균이 자라지 않는 범위 안의 지름 (억제 환)을 측정하여 시료 (제품)의 살균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① 실험방법은 Disk diffusion test위한 평판배지 제조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판배지에서 24시간 배양된 균주에 5 ㎖ 완충식염펩톤수를 분주한 다음, 균액을 15 ㎖ conical tube에 옮긴 후에, 균액을 vortexing하여 완전히 풀어지도록 한 다음, 멸균된 면봉을 균액에 충분히 적시어 평판배지에 spreading한다.
Plate counting 배지 제조는 conical tube에 있는 균액을 1/10 dilution하고, (10-7까지) 상기 평판배지에 희석한 각각의 균액을 20 ㎕씩 떨어뜨린 후에, 떨어뜨린 균액이 완전히 마르면 30℃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한다.
Disk 제작은 filter paper (ADVANTEC)를 직경이 12mm가 되도록 만든 다음, 70% ethanol에 30분간 담궈 멸균한 후에, 여분의 ethanol을 증발시켜 건조한 다음, 멸균된 D.W.에 1시간동안 담궈 수화시킨 후에, 수화된 disk는 거름종이로 물기를 제거 한 다음, Sample을 농도별로 희석한 후에, 수화된 disk를 희석한 각각 용액에 3분 동안 담궈 흡착시킨 다음, 흡착된 disk를 거름종이 사이에 넣어 여분의 항생제를 제거한 후에, 일반세균과 비듬균이 접종된 각각의 평판배지에 올려놓고 핀셋으로 밀착시킨 다음, 4℃에서 16∼18시간 동안 확산시킨 후에,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한 다음, 억제 환 크기를 측정하였다.
② 실험결과
균 농도 일반세균: 3.5×108, 살모넬라균: 2.8×108, 비듬균: 6×108
창포 추출물의 항균 효과(표 8)
억제환 지름 (cm)
창포 oil Asarone (1 M) Eugenol (1 M)
원액 50%
일반세균 1.65 1.3 1.4 4.1
살모넬라 1.3 0 0 3.85
비듬균 2.35 2 1.8 3.8
창포 추출물은 일반세균 (3.5×108)에 대해 억제 환 1.65 cm의 살균 효과를 가지며, 살모넬라균 (2.8×108)에 대해 억제 환 1.3 cm의 살균 효과를 가지고, 비듬균 (6×108)에 대해 억제 환 2.35 cm의 살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① 실험조건 비듬균 (P. ovale, KTCT7743), 살모넬라균
② 실험방법은 Plate counting으로 서, 평판배지에서 24시간 배양된 균주에 5㎖ 완충식염펩톤수를 분주한 다음, 균액을 15 ㎖ conical tube에 옮긴 후에, 균액을 vortexing하여 완전히 풀어지도록 한 다음, conical tube에 있는 균액을 1/10 dilution한 (10-7까지) 후에, 상기 평판배지에 희석한 각각의 균액을 20 ㎕씩 떨어 뜨린 다음, 떨어뜨린 균액이 완전히 마르면 30℃ incubator에 24시간 배양하였다.
본 실험은 대조군으로 평판배지에 일정양의 균을 50 ㎕ 도말이며, 비교군으로는 평판배지에 창포 oil (20 ㎕)을 도말하여 건조시킨 후, 일정양의 균을 50 ㎕ 도말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듬균에 대한 창포 추출물의 항균 효과(표 9)
비듬균 (P. ovale)
균 수 Inhibition rate of control (%)
균 접종 양 8×105 ·
대조군 1,632 ·
비교군 창포 10% 1,026 37
창포 원액 657 60
살모넬라균에 대한 창포 추출물의 항균 효과(표 10)
S. typhimurium S. galinarum S. paratyphi
균 접종 양 1.4×104 2.6×105 2.2×105
대조군 485 1,820 1,935
비교군 창포 10% 40 1,713 1,824
창포 원액 3 35 62
창포 추출물의 항균 활성(표 11)
Inhibition rate of control (%)
S. typhimurium S. galinarum S. paratyphi
비교군 창포 10% 91.7 5.9 5.7
창포 원액 99.4 98 96.8
창포 추출물은 헤어 케어 제품군(비듬 예방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아로 마 테라피 제품군(천연 허브 향 치료), 목용 용품 제품군(보습 강화 바디샴푸, 바디오일), 미용 비누 제품군(여드름 예방) 및 살충성 조성물 제재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 (창포 샴푸제조)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창포추출물 2중량%, 정제수 16.13중량%, EDTA-2Na 0.03중량%, Sunbet-C 3중량%, Glycerine 1중량%, Sunfom-T 15중량%, EGMS 1중량%, ES-430(Sunfome E) 35중량%, LDE 3중량%, XANTAN GUM (1%) 20중량%, Aqualose L 75A 1중량%, Citric Acid 0.09중량%, Nacl 0.7중량%, Kethon CG 0.05중량%, SOLESⅡ, 250 2중량%를 혼합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창포 샴푸 성분 조성표(표 12)
원료명 함 량 (%) 원료명 함 량 (%)
정제수 16.13 XANTAN GUM (1%) 20
EDTA-2Na 0.03 Aqualose L 75A 1
Sunbet-C 3 Citric Acid 0.09
Glycerine 1 Nacl 0.7
Sunfom-T 15 Kethon CG 0.05
EGMS 1 SOLESⅡ, 250 2
ES-430(Sunfome E) 35 실시예1(창포추출물) 2
LDE 3
실시예3(창포 바디 로션제조)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창포추출물 0.5중량%, DI-Water 44.65중량%, 1.3-BG 5중량%, Glycerin 7중량%, Methyl paraben 0.2중량%, DL-panthenol 0.1 중량%, Keltrol F(1%) 20중량%, Tegocare PS 2중량%, Lanette O 0.8중량%, GMS 105 0.5중량%, Spualane 7중량%, Shea butter 3.5중량%, Stearic acid 0.5중량%, Cholesterol 0.5중량%, Ceramide 0.5중량%, Ethanol 1중량%, Silicone 200 0.6중량%, Propyl paraben 0.1중량%, Phytosphingosine 0.05중량%, Sepigel 305 0.5중량%, Beta-glucan 5중량%를 혼합하여 창포 바디 로션을 제조하였다.
창포 바디 로션 성분 조성표(표 13)
원료 함 량 (%) 원료명 함 량 (%)
DI-Water 44.65 Stearic acid 0.5
1.3-BG 5 Cholesterol 0.5
Glycerin 7 Ceramide 0.5
Methyl paraben 0.2 Ethanol 1
DL-panthenol 0.1 Silicone 200 0.6
Keltrol F(1%) 20 Propyl paraben 0.1
Tegocare PS 2 Phytosphingosine 0.05
Lanette O 0.8 Sepigel 305 0.5
GMS 105 0.5 실시예1(창포추출물) 0.5
Spualane 7 Beta-glucan 5
Shea butter 3.5
실시예4 (창포 바디 샤워젤 제조)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창포추출물 2중량%, 정제수 24.7중량%, SLES 20중량%, MITAIN CA 15중량%, MACKANATE 디 20중량%, AMISOFT LS-11 10중량%, COCAMIDE MEA 0.5중량%, Methyl paraben 0.2중량%, CROTHIX 0.5중량%, EDTA-2Na 0.1중량%, GLYCERIN 5중량%, SODIUM LACTATE 2중량%를 혼합하여 창포 바디 샤워젤을 제조하였다.
창포 바디 샤워젤 성분 조성표(표 14)
원료명 함량 (%)
정제수 24.7
SLES 20
MITAIN CA 15
MACKANATE 디 20
AMISOFT LS-11 10
COCAMIDE MEA 0.5
Methyl paraben 0.2
CROTHIX 0.5
EDTA-2Na 0.1
GLYCERIN 5
SODIUM LACTATE 2
실시예1(창포추출물) 2
실시예5 (창포 비누 제조)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창포추출물 2중량%, Coconut fatty acid 18중량%, Palm fatty acid 20중량%, NaOH(49.5%) 10중량%, TEA 20중량%, Tocolpherol 20중량%, Glycerine 5중량%, Jojoba oil 2중량%, 현미유 2중량%, 향 1중량%를 혼합하여 창포 비누를 제조하였다.
창포 비누 성분 조성표(표 15)
원료명 함량 (%)
Coconut fatty acid 18
Palm fatty acid 20
NaOH(49.5%) 10
TEA 20
Tocolpherol 20
Glycerine 5
Jojoba oil 2
현미유 2
1
실시예1(창포추출물) 2
실시예6 (입욕제(Bath Powder)제조)
상기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창포추출물 2중량%, Bergamot orange 1중량%, manderin orange 1중량%, lemon grass 2중량%, rose essential oil 1중량%, sweet almond oil 1중량%, citric acid 5중량%, corn starch 30중량%, turmeric powder 57중량%를 혼합하여 입욕제(Bath powder)를 제조하였다.
입욕제 조성표(표 16)
성분명 함량(%)
Bergamot orange 1
manderin orange 1
lemon grass 2
rose essential oil 1
sweet almond oil 1
citric acid 5
corn starch 30
turmeric powder 57
실시예1(창포추출물) 2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창포(Acorus calamus) 뿌리로부터 창포 추출물을 획득하여 그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34 종류의 정유 물질이 발견되었으며, 창포 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임상실험을 통해 그 효능을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항균·항생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천연 원료인 창포를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개발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창포(근경, 및 잎)를 40℃ 조건에서 2일간 완전 건조시킨 후 잘게 절단한 다음, 창포: 메탄올을 중량대비 1 : 6.5 (시료가 메탄올에 완전히 잠기는 양)의 비율로 침지한 후에, 실온 암실에서 4일 내지 일주일간 방치한 다음, 상기 침지된 창포와 메탄올을 통상의 여과기의 여과용지를(Whatman filter paper No. 2) 통해 여과 한 후에,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0℃)한 다음, 상기에서 획득한 조 추출물에 증류수와 n-헥산을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두 용매가 잘 섞이도록 흔들어 물층과 헥산층으로 분리한 후에, 통상의 분액깔대기로 헥산 분획을 뽑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 (45℃)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2.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 ,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 (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 (bicyclogermacrene) 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
  3.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의 용도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bicyclogermacrene)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된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을 샴푸에 사용하는 방법
  4.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의 용도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bicyclogermacrene)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된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을 바디로션에 사용하는 방법.
  5.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의 용도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 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bicyclogermacrene) 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된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을 바디샤워젤에 사용하는 방법.
  6.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의 용도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bicyclogermacrene)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된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을 비누에 사용하는 방법.
  7.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의 용도에 있어서, 아사론(Asarone) 19.99중량%, 피롤리딘(Pyrrolidine)19.02중량%, 1-비닐-1,2,3,4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vinyl-1,2,3,4-tetra-hydroisoquinoline)9.97중량%, 8-(1-펜테닐)카보닐)바이시클로[6.1.0]노난(8-(1-pentenyl)carbonyl)bicyclo〔6.1.0〕nonane) 9.75중량%,사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9.09중량%, (+)-3,8-디메틸-5-(1-메틸에틸리덴)-1,2,3,4,5((+)-3,8-Dimethyl-5-(1-methylethylidene)-1,2,3,4,5) 8.20중량%, 델타-카디넨(delta.-Cadinene) 2.84중량%, 1,6-저마크라디엔-5-올(1,6-Germacradien-5-ol) 2.41중량%, 2(3H)-나프탈레논(2(3H)-Naphthalenone) 2.02중량%, 칼라코레넬(Calacorene) 1.97중량%, 2-부테날(2-Butenal) 1.55중량%, 바이사이클로저마그레넬(bicyclogermacrene)1.01중량%, 기타 12.18중량%으로 조성된 창포추출물의 조성물을 입욕제(Bath Powder)에 사용하는 방법.
KR1020030066449A 2003-09-25 2003-09-25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54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449A KR100546263B1 (ko) 2003-09-25 2003-09-25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449A KR100546263B1 (ko) 2003-09-25 2003-09-25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258A KR20050030258A (ko) 2005-03-30
KR100546263B1 true KR100546263B1 (ko) 2007-04-12

Family

ID=3738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449A KR100546263B1 (ko) 2003-09-25 2003-09-25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66B1 (ko) * 2011-02-25 2011-12-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틸―이소유게놀 또는 사이클로헥사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13086C (zh) * 2005-05-30 2007-05-02 许群 一种注射用细辛脑制剂及制备方法
KR101127073B1 (ko) * 2008-10-20 2012-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166B1 (ko) * 2011-02-25 2011-12-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틸―이소유게놀 또는 사이클로헥사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258A (ko) 200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46263B1 (ko)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282642B1 (ko) 5가지 방향성 식물과 5가지 생약소재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5222B1 (ko) 모낭충 제거, 냄새 제거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8146B1 (ko) 화이트윌로우바크(White Willow Bark), 북미사시나무껍질(Aspen Bark), 님잎(Azadirachta Indica Leaf), 청호(Atremisia Annua)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조성물
KR100529542B1 (ko)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