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073B1 -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073B1
KR101127073B1 KR1020080102711A KR20080102711A KR101127073B1 KR 101127073 B1 KR101127073 B1 KR 101127073B1 KR 1020080102711 A KR1020080102711 A KR 1020080102711A KR 20080102711 A KR20080102711 A KR 20080102711A KR 101127073 B1 KR101127073 B1 KR 101127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oth muscle
vascular smooth
muscle cell
essential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615A (ko
Inventor
김택중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0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포 정유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창포,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혈관재협착,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

Description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preventing or treating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essential oil}
본 발명은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포 정유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등의 심장질환과 뇌졸중, 말초혈관 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과 더불어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하여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이 급 격히 증가되고 있어, 관상동맥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는 약물요법, 유전자 치료법,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and stenting), 외과적으로 수술하는 관동맥우회술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의 재관류요법 (revascularization therapy) 등이 있다.
최근에는,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PTCA)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3 내지 6개월이 경과한 후에는 약 40% 가량의 환자들에 있어서 혈관재협착 (restenosis)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Ryan et al., J. Am. Coll. Cardiol., 22. 2033-2054, 1993). 이러한 혈관재협착은 풍선도자에 의해 손상된 혈관내피 세포, 활성화된 혈소판 또는 대식세포로부터 여러 가지의 사이토카인이 생성, 분비되면서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migration) 및 증식이 촉진되고, 이에 따라 세포외간질 (ECM: 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 및 분비가 촉진되어 혈관내막의 비후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dfried et al, Am. Heart J., 129, 203-210, 1995).
한편, 정상적인 상태의 혈관 평활근 세포는 증식을 하지 않지만, 스텐트 시술 등을 통하여 내피세포의 중막이 손상되면서 여러 단계의 신호전달을 거쳐 혈관 평활근 세포의 분열, 이동 및 증식이 유발된다.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기전으로는 정상적인 내피세포의 손상에 의한 증식억제인자의 제거와 증식유발인자의 활성 화, 혈관 평활근 세포 표면의 수용체를 통한 증식유발신호의 전달, 혈관 평활근 세포의 핵 내로 전달된 증식유발신호에 의한 세포 주기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정상적인 내피세포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는데, 내피세포가 손상되면 이들의 분비가 억제되고, 활성화된 혈소판에서 분비되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혈장 중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사이토카인 (cytokine) 등에 의해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텐트 시술후의 혈관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르데 (Herdeg) 등은 택속이 스텐트 시술후에 발생하는 혈관재협착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고 (Herdeg et al., Zeischrift fur Kardiologie, 89, 390-397, 1999), 대한민국 특허 제478671호에는 클로트리마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516026호에는 3'-디옥시아데노신(3'-deoxyadenosine)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0793호에는 Rho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협착증의 예방 및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46314호에는 항트롬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식 혈관병, 재협착증, 인-스텐트 재협착증 (in-stent restenosis) 및 폐 고혈압과 같은 혈관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23249호에는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작용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관내 스텐트를 사용한 경 피적 관상동맥 혈관형성술 후의 혈관재협착 및/또는 재폐색 등 혈관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43183호에는 커큐민 (curcumin)을 포함하는 혈관재협착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관재협착 억제제는 혈관재협착을 방지하는 것 이외에 상처재생억제, 혈관손상, 간독성, 신장손상, 혈소판응집억제에 의한 출혈량 증가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사람에 대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혈관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별다른 연구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동맥경화는 동맥벽의 탄력이 손실되고 그 벽이 두꺼워져서 경화되는 질환으로, 침범된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세를 나타내지만, 공통적으로 혈액공급의 부족으로 인한 허혈에 기인한 증세가 가장 많고 탄력성 상실로 인해 파열출혈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심장관상동맥이 동맥경화를 일으켜서 혈류가 줄어들면, 운동 시 흉부통을 느끼는 협심증이 생기고, 더욱 줄어들면 휴식 시에도 통증을 느끼는 불안정협심증 (unstable angina)이 되며, 아주 막히면 심근이 썩는 심근경색이 되어 생명이 위험하게 되기도 한다.
그 동안 이러한 동맥경화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970년대에 비로소 심장으로 관을 넣어 혈관촬영을 하여 병소를 발견하였고, 여기에 풍선을 넣어 물리적으로 넓히는 시술법의 아이디어가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약물코팅 스텐트를 이용하여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보다 광범위한 상황에서의 시술 성공률이 높 아져 심장병의 치료에 전기를 맞고 있다. 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에 대한 시술기법은 이렇듯 많은 발전을 낳았으나, 한편으로는 동맥경화 자체를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한 학문적인 성과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으며, 동맥경화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연구, 혈전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항 혈전 및 항응고제의 탐색 및 응용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는 천남성과 (Araceae)에 속하며, 주로 한국, 일본, 중국의 연못가나 도랑에 서식하는 식물로서 근경, 잎 및 뿌리 등 전체에 방향성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방향성 정유 물질은 근경 (Rhizome)에 3 내지 5%, 잎에 0.1 내지 0.5%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정유의 주요 성분은 아사론 (asarone)이 70 내지 80%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 카라메온 (calameone), 유게놀 (eugenol) 등이 포함되어 있고 비타민 (Vitamin C), 탄닌, 알카로이드, 아코틴 등도 대체로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건위, 진정, 진통, 해소, 거담, 항진균제, 두통, 혈액순환 등에 사용하였고, 구경의 가루는 상처 치유효과도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서양에서도 류마티즘, 구충제, 강장제, 향료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그 외 과학적인 연구에 의해 창포의 에탄올 추출물이 ① 저 지방 활성 효과 (Parab RS, Mengi SA., Fitoterapia., 73, 451-455, 2002) ② 항산화 효과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 1481-1484, 1994;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 1679-1681, 1994; Zhang Y, et al., Biol. Pharm. Bull., 17, 866-868, 1994; Acuna UM, et al., Phytotherapy Research., 16, 63-65, 2002) ③ 염증치료 효과 (P.S Vaidyaratnam.,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1994, 51,9,1.) ④ 정신 질환에 관한 효과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 1481-1484, 1994;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 1679-1681, 1994; P.S Vaidyaratnam.,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1994, 51,9,1.) ⑤ 항암 효과 (P.S Vaidyaratnam., Oriental Longman Ltd, Arya Vaidya Sala, Kottakal, 1994, 51,9,1.) ⑥ 신경안정 효과 (Zanoli P, et al., Phytotheraphy Research., 12, 114-116, 1998) ⑦ 혈압을 낮추는 효과 (Zhang Y, et al., Biol. Pharm. Bull., 17, 866-868, 1994) ⑧ 세포와 면역의 억제 효과 (Mehrotra S, et al., Int. Immunophamacol., 3, 53-61, 2003) ⑨ 항 응고작용 (Rubio-Poo C, et al., Proc. West. Pharmacol. Soc., 34, 107-112, 1991)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창포의 주요 구성성분인 아사론 또는 물 추출물의 ⑩ 불면증, 간질 및 기억상실에 대한 효과 (Agarwal SL, J. Am. Pharm. Assoc., 45, 655-656, 1956; L. V. Asolkar, et al., CSIR, 18, 1992; Nishiyama N, et al., Biol. Pharm. Bull., 17, 1481-1484, 1994) ⑪ 살충 효과, 항균 효과 및 항진균 효과 (Ciccia G, et al., J. Ethnopharmacol., 72, 185-189, 2000; L. V. Asolkar, et al., CSIR, 18, 1992)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창포 정유의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포 정유(essential oil)를 이용하여 혈관 평활근 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의 증식을 억제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포 정유를 이용하여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정유(essential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포 정유가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성 질환인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 착증 등의 질환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정유(essential oi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증식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포 정유는 통상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수증기 증류법, 또는 극성 용매를 이용한 직접 추출법 등을 통해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포 정유는 창포의 근경, 뿌리, 또는 잎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창포 정유를 얻는 경우,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채취하여 10일 내지 20일간 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건조하고, 창포 잎은 5월 중순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을 채취하여 10일 내지 20일간, 바람직하게는 12일 내지 15일간 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마쇄기로 마쇄한 다음, 이를 정유 (essential oil)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하방으로부터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향유 성분을 냉각 분리하여 본 발명의 창포 정유를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창포 정유를 추출하는 경우, 건조한 창포의 근경, 뿌리 및 잎을 중량비로 5 내지 10배의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헥산 또는 이들의 혼 합 용매와 같은 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1일 내지 14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또는 1시간 내지 5시간 가온 추출하는 극성용매 직접추출법에 의하여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법을 통해 얻은 창포 정유는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 30 내지 50 중량부의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10 내지 30 중량부의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포 정유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창포 정유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B)로 유도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창포 정유는 PDGF-BB로 유도된 흰 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 증식 시 [3H]티미딘이 DNA로 혼입 (incorporation) 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평활근” 은 관 모양의 기관 (organ), 방광, 복강, 자궁, 생식도관, 위장관, 호흡기관, 맥관구조, 피부 및 모양체근 (ciliary muscle), 눈의 홍채 등의 기관 (organ)의 벽 (wall) 내에서 발견되는 비-줄무늬근 (non-striated muscle)을 의미한다. 상기 평활근은 방추형 (spindle shaped)이며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다. 상기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인 “평활근 세포”는 단핵세포로서, 시트 (sheet)나 다발 (bundle)의 형태로 배열되어 갭정션 (gap junction)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혈관 평활근 세포 (vascular smooth muscle cell, VSMC)”는 혈관 벽의 평활근을 구성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포 정유는 통상의 다양한 추출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어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수증기 증류법, 또는 극성 용매를 이용한 직접 추출법 등을 통해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법을 통해 얻은 창포 정유는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 30 내지 50 중량부의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10 내지 30 중량부의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포 정유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며, 이는 창포 정유에 포함된 상기의 유효성분,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의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VSMC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이란 혈관 평활근 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기인하여 발생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의미한다. 또한, 스텐트 시술, 혈관 풍선 성형술, 관동맥 우회술, 또는 동정맥 문합술 등을 포함하는 혈관 손상을 동반하는 시술 후 발생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의 질환으로 부터 이차적으로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으로는 혈관 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또는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협착증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유발되는 심혈관계 질환인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선천성 심장질환증, 뇌졸중, 또는 말초혈관협착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또는 혈관협착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제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경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인 창포 정유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의 주사제, 액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연질캅셀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창포 정유(essential oil)의 제조
창포의 근경 및 뿌리는 3월 초 잎이 나기 전의 것을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후 사용하였으며, 잎은 5월 중순 과 7월 말 2회에 걸쳐 자라난 잎(Leaf)을 채취하여 보름간 선선한 바람이 부는 음지에서 말린 다음, 마쇄기로 분말화하여 정유(精油, essential oil) 추출장치(동경제작소, 일본)를 이용하여 분말 시료를 추출 장치에 넣은 후, 하방으로부터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비등되어 나오는 향유 성분을 냉각 분리하여 창포 정유(1.5~2mL/500g)를 수득하였다.
또한, 정유 성분은 HP5-MS(30m×0.25mm, 두께 0.25㎛)인 모세관 컬럼과 질량분석기 (Beckman社 기기명 DU-530, 미국)가 장착된 Hewlett Packard社의 기기명 6890 GC를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로 검출하기 위해 전자이온화기기는 70eV의 이온화 에너지 상태로 사용되었다. 운반기체(이동상)로는 분당 1mL의 속도로 헬륨 기체를 이용하였다. 주입기와 검출기 온도는 220℃에서 290℃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했다. 컬럼 온도는 처음에 50℃에서 150℃까지 분당 3℃씩 점차 온도를 증가시킨 후, 10분 동안 유지시킨 뒤, 분당 10℃씩 섭씨 250℃까지 증가시켰다. 디에틸에테르로 1/10로 희석된 시료 1㎕를 자동시료주입기를 사용 해 주입시켰다. 추출물의 성분에서 정유와 헥산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장치의 정유와 헥산의 기본 스펙트럼을 토대로 추출물의 질량 스펙트럼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상기 창포 정유의 구성성분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2769430-pat00001
<실험예 1> 창포 정유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 증식에 대한 효과 조사
창포 정유가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3.0×104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서 0.5% (V/V)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 농도의 창포 정유(1, 5, 10㎍/mL)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50ng/mL의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B, Sigma Chem. Co., USA)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각 배양세포에 트립신을 처리하여 배양된 세포를 분산시키고, 세포계수기로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도 1은 흰쥐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에 창포 정유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음성 대조군으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처리하지 않는 세포 (도 1의 첫 번째 "0"로 표시됨), 양성 대조군으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처리하되, 창포 정유를 처리하지 않는 세포를 사용하였다(도 1의 두 번째 "0"로 표시됨).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포 정유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 수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창포 정유가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처리에 따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창포 정유의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DNA 합성에 대한 억제 효과 조사
상기 실험예 1에서 나타난 창포 정유의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DNA의 합성과 관련된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처리하고, 20시간 동안 배양한 후 1㎕의 [3H]티미딘을 배양액에 가하고 다시 4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동맥 평활근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500㎕의 TCA (trichloroacetic acid)를 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TCA를 제거하고, 세척용액 (에탄올/에테르, 1:1(v/v))으로 세척한 다음, 500㎕의 NaOH를 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용해물에 5mL의 섬광계수용 혼합액(scintillation cocktail)을 가하고,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합성된 DNA의 상대적인 양을 비교하였다.
도 2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가 처리된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DNA 합성에 대한 창포 정유의 처리 농도에 따른 DNA 합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음성 대조군으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처리하지 않는 세포 (도 2의 첫 번째 "0"로 표시됨), 양성 대조군으로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처리하되, 창포 정유를 처리하지 않는 세포를 사용하였다(도2의 두 번째 "0"로 표시됨).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포 정유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대동맥 평활근 세포의 DNA 합성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혈소판유래성장인자에 의한 대동맥 혈관 평활근 세포의 이상증식에 대한 창포 정유의 처리농도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혈소판유래성장인자가 처리된 대동맥 혈관 평활근 세포의 DNA 합성에 대한 창포 정유의 처리 농도에 따른 DNA 합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창포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의 근경, 뿌리 또는 잎을 수증기 증류법 또는 극성 용매를 이용한 직접추출법을 통해 얻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창포 정유는 창포 정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 30 내지 50 중량부의 메틸 아이소 유게놀 (methyl-isoeugenol) 및 10 내지 30 중량부의 사이클로헥사논 (cyclohexano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스텐트 시술, 혈관 풍선 성형술, 관동맥 우회술 및 동정맥 문합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혈관 손상을 동반하는 시술 후 발생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 (vascular smooth muscle cell hyper-proliferative disorder)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 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이 혈관재협착증, 혈관협착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심근경색증, 협심증, 부정맥증, 고혈압성 심장질환증, 선천성 심장질환증, 뇌졸중 및 말초혈관협착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캅셀, 액제, 주사제, 연질캅셀제, 과립제, 또는 정제 중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80102711A 2008-10-20 2008-10-20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7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11A KR101127073B1 (ko) 2008-10-20 2008-10-20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711A KR101127073B1 (ko) 2008-10-20 2008-10-20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615A KR20100043615A (ko) 2010-04-29
KR101127073B1 true KR101127073B1 (ko) 2012-03-23

Family

ID=4221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711A KR101127073B1 (ko) 2008-10-20 2008-10-20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6959B2 (ja) * 2016-04-07 2020-06-1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プロテオグリカン産生促進剤
KR101986882B1 (ko) * 2017-01-06 2019-06-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시멘, 유게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21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50030258A (ko) * 2003-09-25 2005-03-30 함평군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50117024A (ko) * 2004-06-09 2005-12-14 퓨리메드 주식회사 허혈성 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721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50030258A (ko) * 2003-09-25 2005-03-30 함평군 창포추출물의 제조방법,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50117024A (ko) * 2004-06-09 2005-12-14 퓨리메드 주식회사 허혈성 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 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대한본초학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615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8258B2 (en) Composition for suppressing cyclooxygenase and/or 5-lipoxygenase
EP0873131B1 (en) Processes for preparation of rg3 and rg5 ginsenosides
Bhandare et al. Evaluation of anti-migraine potential of Areca catechu to prevent nitroglycerin-induced delayed inflammation in rat meninges: Possible involvement of NOS inhibition
Wu et al. Beneficial effects of the extract from Corydalis yanhusuo in rats with heart failure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KR101977954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18099216A1 (zh) 一种治疗动脉粥样硬化高血压病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127073B1 (ko)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arcía-Cerrillo et al. Antioxidant effects of Eryngium carlinae in diabetic rats
KR20130131265A (ko) 과민성 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63875B2 (ja) ウチワサボテン植物の部分および/またはそれからの抽出物を含むうつ病治療剤
KR20190084927A (ko) 흑무(Raphanus sativus L. var nig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0820B1 (ko) 꾸지뽕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15016A (ko) 자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87174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포함하는 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Sukanya et al. A detailed review on Siegesbeckia orientalis
CN104435067B (zh) 一种具有心肌保护作用的杜仲组分组合物及其制剂
KR20190030052A (ko) 흑무(Raphanus sativus L. var nige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9820B1 (ko)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2305273B1 (en) Use of icariside II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CN112220827A (zh) 桑树叶水提物粉末,其制备,抗血栓作用及应用
Jin Bo et al. Protective effect of the total flavonoids from Carya cathayensis leaves on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rough anti-oxidative and anti-apoptotic activities.
TWI804469B (zh) 用於重量管理之以植物為基礎的組成物及使用方法
KR102142060B1 (ko) 소목 초단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070113532A (ko) 베르바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제
KR101232184B1 (ko)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협착 예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