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721A -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 Google Patents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721A
KR20020087721A KR1020010026688A KR20010026688A KR20020087721A KR 20020087721 A KR20020087721 A KR 20020087721A KR 1020010026688 A KR1020010026688 A KR 1020010026688A KR 20010026688 A KR20010026688 A KR 20010026688A KR 20020087721 A KR20020087721 A KR 2002008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orus gramineus
seokchangpo
group
gramineus so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철
김용식
김선여
석경호
김영옥
임강현
백지훈
Original Assignee
김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철 filed Critical 김호철
Priority to KR1020010026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7721A/ko
Publication of KR2002008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Acorus gramineusSoland)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뇌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신경 세포가 고사하는 것을 저해하는 작용이 탁월할 뿐 아니라 독성이 없으므로 신경세포의 고사에 의해 발생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Extract of Acorus gramineus Soland having neuroprotective effe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Acorus gramineusSoland)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뇌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석창포는 천남성과(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아코루스 그라미네우스 솔란드(Acorus gramineusSoland)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개규활담(開竅豁痰), 성신익지(醒神益智), 화습개위(化濕開胃)의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석창포는 간장, 비장, 심장에 작용하는데 진정, 건위, 진통, 이뇨, 항진균의 약리 작용을 가지며, 임상에서는 발열, 의식몽롱상태, 의식장해, 번조, 불안, 호흡촉박, 안면홍조, 안충혈, 두훈, 난청등의 열성진환에 사용되고 있고, 신선품이 고열의 의식장해에 대해 강한 효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평활근 해경작용이 있어 내복시 소화액분비를 촉진하며 위장의 이상발효를 억제하고 장관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전술한 석창포의 약리 작용에 기초하여 다양한 용도가 연구되어 왔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757호에서는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용 조성물의 한 성분으로 사용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58133호 및 제1997-058134호에서는 석창포를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효과가 있음을 기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85202호에서는 인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석창포가 소량 첨가되었으나, 석창포 자체가 치매 효과가 있음은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까지 석창포 추출물을 뇌졸중 및 치매 예방 및 치료의 용도로 사용한 예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석창포가 신경세포 괴사를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뇌질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석창포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석창포 추출물은 석창포를 물,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제조한다.
도 1a 및 b는 전뇌허혈을 유발시키지 않은 정상 대조군(sham) 쥐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 관상(coronal)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c 및 d는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1시간 30분 후에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고, 7일 후에 대조군 쥐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관상(coronal)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 (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e 및 f는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1시간 30분 후에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하고, 7일 후에 처치군 쥐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의 뇌 관상(coronal)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 (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정상 대조군과 10분간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다음 1시간 30분 후에 생리 식염수 또는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하고, 7일 후에 각 군 쥐의 뇌 해마 CA1 영역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석창포 추출물은 물,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얻을 수 있는데,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메탄올이 수득율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석창포 추출물 제조시 추출 과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추출및/또는 감압 농축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및 동결과정 역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은 뇌허혈 등의 원인에 의해 신경 세포가 고사하는 것을 저해하는 작용이 탁월하기 때문에 신경세포 고사에 의해 발생되는 뇌질환 치료 및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풍 치료 효과 관찰을 목적으로 1979년 펄시넬리 (Pulsinelli)가 개발한 4-혈관폐색(4-Vessel Occlusion)모델을 사용하였다. 상기 모델은 뇌허혈로 인한 신경세포 고사의 대표적인 동물 모델로서 랫트의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들을 일시적으로 차단한 후 재관류하게 되면 주로 뇌해마부분의 신경세포가 손상을 입게 되는 원리를 사용한 것으로써, 차단후 약 5∼7일 이후에 세포 손상이 일어나고 세포 손상의 양상이 세포자연사(apoptosis)와 비슷하여 이를 지연성 세포괴사라고 한다. 상기 모델에서 신경세포 괴사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약물들은 사람의 중풍 모델과 유사한 국소허혈의 동물 모델에는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상 효과도 상당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중풍 실험을 위한 바람직한 동물 모델로 여겨지고 있다. 상기 모델 중에서도 최근 전뇌허혈(前腦虛血, forebrain ischemia)모델이 각광을 받고있는데, 이는 랫트에게 4-혈관폐색(4-vessel occlusion)을 유발시키는 방법으로써 후뇌의 혈류가 영향을 받지 않아 호흡과 체순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을 가져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랫트에 유도한 뇌허혈로 인하여 가장 손상 받기 쉬운 부분은 뇌 해마(hippocampus)의 CA1 추체 신경세포(pyramidal neuron)이며, 상기 세포들은 재관류후 72시간이 지나면 죽기 시작한다(Pulsinelli WA 등,Ann Neurol 1982;11: 491-498). 따라서,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이 랫트 뇌 해마(hippocampus)의 CA1 부위에서 지연성 신경원세포 고사(delayed neuronal death)를 저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랫트의 뇌허혈을 유발하고 석창포 추출물을 복강 투여한 다음 신경세포의 손상이 거의 완전히 일어난 시점인 재관류 1주일후에 해마 조직 절편을 제조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도 1a, b, c, d, e 및 f 참조).
어떤 외부자극이나 내부자극에 의해 고사(apoptosis)가 유도된 세포의 경우 우선 세포가 수축하여 분화된 세포의 고유한 모양을 잃어버리고 이 수축에 의하여 주변 세포들과의 연결이 파괴되어 세포 간의 상호작용이 중단된다. 그리고 수축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세포막이 수포 모양을 형성하면서 괴사체(apoptotic body)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괴사체는 뇌허혈 유도후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군의 해마 조직 절편에서는 높은 빈도로 발견된 반면,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석창포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많은 수의 세포들이 세포고사 (apoptosis)로부터 방어되어 정상적인 추체(pyramidale) 형태를 이루었으며 주변 세포들과의 연결(junction)을 계속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뇌허혈 유도 및 석창포 추출물 투여후 인위적으로 정상 체온을 유지시키면서 상기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세포 고사 저해 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실험한 랫트의 해마 조직 절편을 관찰한 결과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4배 내지 7.5배 증가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정상 체온에서도 신경세포 고사 저해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석창포 추출물의 독성 여부를 랫트를 대상으로 경구 투여 및 복강 투여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결과들을 통하여 확인된 상기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세포 고사 저해 효과는 매우 뛰어난 것이다. 그 근거로는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약물 즉, LY231617이 25∼30%, 엘-네임(L-NAME)이 23%, 3-브로모-7-니트로인다졸이 20%, MK-801(2 ㎎/㎏, i.p.)이 24%, 엘리프로딜(eliprodil; 20 ㎎/㎏, i.p.)이 25%, NBQX (30 ㎎/㎏, i.p.)이 42%, 7-NI이 17.5%, GYKI52466이 11%, 그리고 LY300168이 23%의 신경세포 고사 저해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O'Neill MJ 등,Eur J Pharmacol1996; 310)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석창포의 측정 결과인 82.3% 보다 낮다. 한약재의 경우 천마(天麻)가 17.8%(1,200 ㎎/㎏) 및 15.6%(600 ㎎/㎏), 대승기탕(大承氣湯)이 18.4% (1,000 ㎎/㎏) 및 16.6 %(500 ㎎/㎏)의 신경세포 고사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나(本草學會誌 Kor. J. Herbology vol.14, No.1, 1999) 이 또한 석창포 추출물 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뇌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제제는 실제 임상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석창포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창포 추출물의 유효 용량은 환자의 성별, 나이, 체중, 및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0∼5000 mg/㎏을 하루에 1∼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100∼250 mg/㎏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은 뛰어난 신경세포 고사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임상에서 뇌졸증 환자를 위한 치료제 및/또는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석창포 추출물의 제조
석창포는 동경 물산에서 구입하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의 검증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건조된 석창포 1 kg에 85% 메탄올 수용액 2 ℓ를 가한 다음 초음파 처리기 (sonicator)를 사용하여 초음파로 15분간 2회 추출한 후 3 ℓ의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45 ℃ 0.98 기압에서 감압농축시켰다. 얻어진 농축물은 동결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평균 수득율은 5% 이상이었다.
실시예 2
석창포 현탁액의 분획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석창포 추출물을 100 ㎖의 물에 현탁시킨 다음 용매 분리 방법으로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 초산 에틸과 물분획물을 얻었다. 얻은 분획물은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과 동일하게 하기의 실시예에서 임상 실험과 기전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랫트 뇌허혈 유발
랫트에서 가장 적합한 허혈유발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먼저, 5주령, 170 g 내외의 위스터계(Wistar) 수컷 랫트(SLC, Japan) 8마리를 1주일간 실험 환경에 적응시켰다. 랫트를 질소와 산소의 혼합가스(질소 70%, 산소 30%)에 포함된 5% 이소플루레인(isoflurane)으로 마취시킨 다음 정위고정장치 (stereotaxic apparatus)에 수평면으로 머리를 기준으로 하여 꼬리를 아래로 30°경사지게 고정시켰다. 코와 입 주위는 플라스틱 원추흡입기(cone)로 마취기 (Ohameda V.M.C./Boc Health Care, Cyprane, UK)에 연결시키고 마취는 1.5 % 이소플루레인으로 계속 유지시켰다.
꼬리를 수술대에 고정하고 경추를 신전시킨 상태로 실험하였다. 먼저 인후(咽喉)부위를 수술하기 위하여 총경동맥에 실리콘 튜브로 고리를 만들어 허혈을 유발하고 재관류할 수 있도록 장치하였다. 그리고 허혈유발시 미세혈관의 순환을 봉쇄하기 위하여 실로 뒤쪽으로는 기관(氣管, trachea), 식도(esophagus), 외부 경정맥(external jugular vein), 총경동맥(common carotid arteries)들이 위치되고 앞쪽으로는 경부(cervical), 척추주위(paravertebral) 근육들이 지나가도록 꿰뚫은 다음 수술용 클립으로 상처를 봉합하였다.
그 다음 랫트를 돌려서 목 정중선 절개를 하여 후두골 하단의 1번 경추부를 수술확대경을 이용하여 근육이 다치지 않게 수술하고, 1 ㎜ 이하의 미세한 전기소작침을 1번 경추의 우상공(alar foramina)을 통하여 밑으로 척추동맥이 통과하고 있는 터널로 집어넣어, 간헐적인 전류를 통전시켜 척추동맥을 소작하였다. 수술 현미경을 이용하여 뼈 속으로 지나가는 터널에 존재하는 척추동맥이 완전히 소작되어서 폐쇄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다음 수술용 클립으로 봉합하였다. 봉합후 24시간이 지난 다음 수술용 클립을 제거한 다음 총경동맥을 동맥류(動脈瘤, aneurysm) 클립으로 각각 5분, 10분, 20분 및 30분 동안 조여서 허혈을 유발하였다. 만약 1분 이내에 대광반사(對光反射)가 소실되지 않으면 경부봉합을 단단하게 하였고 이 때 대광반사가 소실되지 않은 랫트들은 완전한 양측 평행적인 CA1 신경손상이 유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시켰고, 경련을 일으키는 랫트들도 제외시켰다. 허혈 유발 후 각각 5분, 10분, 20분 및 30분 후 최종적으로 선택된 4마리의 랫트의 총경동맥에서 동맥류 (aneurysm) 클립을 떼어 내어 허혈을 중지시키고 재관류시켰다.
허혈 유발 1주일 후에 랫트를 클로랄 하이드레이트(35.0 ㎎/㎏, i.p.)로 마취시켜 개흉한 다음, 심장 우심이를 절개하여 좌심실에 바늘을 주입한 후 헤파린 처리한 5% 질산 나트륨 생리식염수를 각각 10분, 심장에 관류시키고, 4.0 % 포르말린 고정액으로 관류시켰다. 그 후 랫트의 뇌부분을 떼어내어 2시간 동안 0.1 M 인산 완충된 포르말린 고정액에 후고정 시킨 다음, 30 % 수크로오즈 용액에 담가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고정된 뇌에서 정수리점(Bregma) -2.5 ㎜와 -4.0 ㎜사이의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us) 부위에 있는 관상조각(coronal block)을 절개하고 -70℃에서 동결한 후 슬라이딩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30 ㎛ 간격으로 절단하여 해마를 포함하는 조직 절편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절편을 크레실 바이올렛에 염색하여 고정시킨 다음 등쪽 해마(dorsal hippocampal) CA1 중 지연성 신경원세포 사망(delayed neuronal death)에 의해 가장 손상받기 쉬운 부분인(Crain BJ 등.,Neuroscience1988; 27: 387-402) 중간대(middle zone) 1,000 ㎛ 부분내에 존재하는 손상된 신경 세포수를 관찰하였다. 세포수의 관찰은 고배율(×250)에서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는 추체세포(pyramidal cell)의 수를 3인의 관찰자가 한 개의 뇌조직에서 3개의 다른 조직절편의 좌우양측 2개, 총 6부위에서 관찰한 값을 평균하였다.
실시예 4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능 관찰
해마(hippocampus)의 CA1 부위에서 지연성 신경세포 고사(delayed neuronal death)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랫트에서 10분간 뇌허혈을 유발한 다음 90분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창포 추출물을 0.89 % 생리식염수에 용해한 다음 랫트 체중 당 2.0 ㎖ 씩, 각각 100, 250, 및 500 ㎎/㎏의 양을 각각 복강에 주사 투여하였다. 다음으로, 1주일 후에 랫트를 사망시켜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해마 조직 절편을 제조하고, 제조된 조직을 광학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도 1a, b, c, d, e, 및 f 참조). 정상 대조군으로는 뇌허혈이 유발되지 않은 랫트의 뇌 해마 조직을, 무첨가 대조군으로는 상기 과정에서 석창포 추출물 대신 생리 식염수를 주사 투여한 랫트의 뇌 해마 조직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sham operated)에서는 해마(hippocampal) 신경세포들이 정상적으로 관찰되었으며(도 1a,및 b 참조), 무첨가 대조군 신경세포의 경우 정상 신경세포와는 다르게 조직이 이완되면서 세포들이 주변 세포로부터 유리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세포체(cell body) 역시 본래의 추체상(pyramidal) 형태를 잃고 응축되어 단일 세포의 형태로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핵 염색질이 농축되고 핵막이 붕괴되는 현상이 관찰됨으로써 세포고사(apoptosis)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c,및 d 참조).
석창포 추출물을 투여한 군의 신경세포는 정상 세포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잘 뻗어나가는 핵주위질 (perikaryon)과 중앙에 위치하는 둥근 핵으로 인하여 쉽게 구별되었으며 비교적 건강한 상태로 주위의 호중구(neutrophil)와는 명확하게 구별되었다. 또한, 대다수의 세포들이 세포고사(apoptosis)로부터 방어되어 정상적인 추체(pyramidale) 형태를 이루었으며 주변세포들과의 연결(junction)을 계속하여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세포손상 방어효과
먼저 실험을 위하여 랫트를 각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는데, 제1군은 정상대조군(sham group)으로 수술 과정과 생리 식염수 투약은 같게 하였지만 뇌허혈(brain ischemia)은 일으키지 않았으며, 제2군은 무첨가 대조군으로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랫트의 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0분 및 90분 경과 후에 생리식염수 2.0 ㎖/㎏ 만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제3, 4, 5군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창포 추출물을 0.89%의 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각각 2.0 ㎖/㎏의 부피와 100, 250, 500 ㎎/㎏의 용량을 뇌허혈 유발후 0분 및 90분에 랫트 복강내 주사 투여하였다.
체온 유지를 위해서 뇌온도를 반영하는 직장 온도를 이용한 자동 온도 조절 전열기를 37℃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12시간 지속하였으며, 체온은 직장 속으로 소식자(消息子, probe)를 최소한 6 ㎝ 들어가게 삽입함으로써 측정하였다(Miyazawa T 등,J. Cereb. Blood Flow Metat.1992; 12:817-822).
다음으로, 상기 랫트의 해마 조직 절편을 상기 실시예 3에서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절편의 가로, 세로 각각 1 ㎜ 면적내에서 정상형 CA1 추체신경원 세포수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신경 보호 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이며, 각 군에 대한 자료값은 대조군과 각 시료군을 비교하여 스튜던트 t-검정법으로 분석하였고(** p<0.01; 도 2 참조),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석창포 추출물의 신경보호 효과.
정상 대조군 무첨가 대조군 석창포 추출물 투여군
100 (㎎/㎏) 250 (㎎/㎏) 500 (㎎/㎏)
평균 세포수 287 32 124 225 241
표준편차 8.2 9.7 37.1 26.0 4.0
측정횟수 5 5 4 3 2
p-수치(p-value) 0.02 0.00 0.00
신경세포보호율 (%) 0.0 36.3 75.7 82.3
p-수치: 신뢰 구간
신경세포보호율(%)=(석창포 추출물 투여군 신경세포수 - 무첨가 대조군 신경세포수)/(정상 대조군 신경세포수 - 무첨가 대조군 신경세포수) × 1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온을 37℃로 조정한 정상 대조군(sham)의 경우 가로×세로 1 ㎟당 세포수 평균은 287±8.2 인 반면, 무첨가 대조군에서는 32±9.7로 나타나 신경세포 고사가 많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창포 추출물을 100, 250 및 500 ㎎/㎏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수 평균이 각각 124±37.1 세포수/㎜, 225±26.0 세포수/㎜ 및 241±4.0 세포수/㎜로 무첨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36.3%, 75.7% 및 82.3% 정도의 신경 세포가 살아있음을확인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p<0.01; 도 2 참조).
실시예 6
급성독성 실험
1. 경구투여
ICR계 마우스(25±5 g, 중앙실험동물)와 SD 마우스(Sprague Dawley)를 각각 10 마리씩 4군으로 나눈 다음 본 발명의 석창포추출물을 각각 500, 725, 1000 및 50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경구 투여후 2주간 독성 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한 마리도 사망하지 않았으며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25±5 g, 중앙실험동물)와 SD 마우스(Sprague Dawley)를 각각 10 마리씩 4군으로 나눈 다음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을 각각 25, 250, 500 및 725 mg/k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였다. 복강 투여후 24시간 동안 독성 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한 마리도 사망하지 않았으며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을 찾아볼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
실시예 1의 석창포 추출물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3.0 ㎎
메틸파라벤0.8 ㎎
프로필파라벤0.1 ㎎
주사용 멸균증류수적량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한 후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실시예 1의 석창포 추출물200 ㎎
유당100 ㎎
전분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실시예 1의 석창포 추출물100 ㎎
유당50 ㎎
전분50 ㎎
탈크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실시예 1의 석창포 추출물1000 ㎎
설탕20 g
이성화당20 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는 뇌허혈 등의 원인에 의해 신경 세포가 고사하는 것을 저해하는 작용이 탁월할 뿐 아니라 독성이 없으므로 신경세포의 고사에 의해 발생되는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4)

  1. 석창포(Acorus gramineusSoland)를 물,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한 석창포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창포 추출물.
  3. 석창포(Acorus gramineusSoland)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적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질환은 뇌졸증, 파킨슨 및 노인성 치매, 및 무도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제제.
KR1020010026688A 2001-05-16 2001-05-16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20087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88A KR20020087721A (ko) 2001-05-16 2001-05-16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88A KR20020087721A (ko) 2001-05-16 2001-05-16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721A true KR20020087721A (ko) 2002-11-23

Family

ID=2770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688A KR20020087721A (ko) 2001-05-16 2001-05-16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77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735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석산터메디칼 신경성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실험용 동물에 신경성 질환을 일으키는 방법
KR100697316B1 (ko) * 2004-06-22 2007-03-20 황의완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27073B1 (ko) * 2008-10-20 2012-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526383A (zh) * 2011-12-27 2012-07-04 浙江中医药大学 一种石菖蒲提取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355483B1 (ko) * 2011-06-15 2014-02-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3681B1 (ko) * 2012-08-16 2014-09-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변성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17607B1 (ko) * 2020-06-01 2021-02-18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735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석산터메디칼 신경성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및,실험용 동물에 신경성 질환을 일으키는 방법
KR100697316B1 (ko) * 2004-06-22 2007-03-20 황의완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27073B1 (ko) * 2008-10-20 2012-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창포 정유를 포함하는 혈관 평활근 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5483B1 (ko) * 2011-06-15 2014-02-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검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2526383A (zh) * 2011-12-27 2012-07-04 浙江中医药大学 一种石菖蒲提取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443681B1 (ko) * 2012-08-16 2014-09-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변성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17607B1 (ko) * 2020-06-01 2021-02-18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96272B1 (ko) * 2020-06-01 2021-08-31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383B1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황금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제제
RU2500416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US10172895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ceptridium japonicum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stroke or degenerative brain diseases
KR20020087721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CN112370496A (zh) 枸杞叶有效成分在制备预防或治疗肝纤维化药物中的应用
KR20010103341A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조구등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100458131B1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20087723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대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20078850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당귀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제제
KR100781581B1 (ko) 신경보호 활성을 갖는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고미신 a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0554079B1 (ko) 금은화의 진통효과 검증방법 및 금은화 진통 제제
KR100554082B1 (ko) 연자육의 진통효과 검증방법 및 연자육 진통 제제
KR20180126231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KR101023171B1 (ko)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359760B1 (ko) 노루오줌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20087724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후박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100886948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노다케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06006750A1 (en) A method for preparing purified extract from wild ginseng showing anticancer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0644773B1 (ko) 신경세포보호 활성이 있는 밀몽화의 추출물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107150A1 (ko)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40088804A (ko) 신경보호 작용을 갖는 한약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적제제
KR20020087722A (ko)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제제
CN116173096B (zh) 一种治疗脑卒中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207952B1 (ko) 실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치매, 뇌졸증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855741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갈근 추출물 및 다이드제인을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