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316B1 -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316B1
KR100697316B1 KR1020040046628A KR20040046628A KR100697316B1 KR 100697316 B1 KR100697316 B1 KR 100697316B1 KR 1020040046628 A KR1020040046628 A KR 1020040046628A KR 20040046628 A KR20040046628 A KR 20040046628A KR 100697316 B1 KR100697316 B1 KR 10069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mentia
composition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484A (ko
Inventor
황의완
Original Assignee
황의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완 filed Critical 황의완
Priority to KR102004004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316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9Polygalaceae (Milk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 증상 개선 작용을 하며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증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매 환자에게 투여시 우수한 학습효과 향상 작용을 나타내므로,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Extract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Dementia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실험 장치의 배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국제 표준 10-20 시스템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 ; 전방, C ; 중앙, P ; 정수리, O ; 후두부, T ; 측두부
도 3a는 F3 및 F4 영역에서의 ERP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P3 및 P4 영역에서의 ERP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 증상 개선 작용을 하며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증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란 뇌의 만성적 진행성 변성질환에 의해 흔히 기억장애 및 기타 지적기능의 상실이 일어나는 임상 증후군을 말하며, 좀 더 넓은 의미로는 지적 황폐화뿐만 아니라 행동 이상 및 인격 변화를 초래하며, 정서적 기능 상실 및 진행성 지적 황폐화가 사회적 혹은 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는 주로 노년기에 많이 생기며, 현재 심장병, 암, 뇌졸중에 이어 4대 주요 사인으로 불릴 정도로 중요한 기질성 장애 중 하나로서, 유병률이 65세 이상 노년 인구에서 2.2 내지 8.8%에 이른다고 알려져 있다(서국희, 노인정신의학 4(2), 173-185, 2000).
치매의 원인을 살펴보면 일차성 변성질환, 뇌혈관질환, 그 밖의 원인 질환들로 분류될 수 있고(홍원직 편, 정교황제내경소문,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pp.11-13, pp.57-64, 1985), 치매를 병리적인 면으로 분류하면 대뇌 피질에 현저한 병리적 변화를 나타내는 피질성 치매와 대뇌 피질에는 병리적 현상이 거의 없이 신경학적 질환에서 기인되는 피질하 치매로 구분될 수 있다. 질병 종류별 분포를 보면 미국의 경우 알츠하이머형(Alzheimer) 치매가 전체 치매 환자의 50-60%, 혈관성 치매가 15-20%,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를 함께 갖는 경우가 15-20%, 기타가 약 10-20%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홍순용 등, 사상의학원론, 서울, 행림출판사, p.344, pp.350-357, 1977).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단독으로나, 혹은 혈관계질환과 병합되어 치매의 가장 흔한 유형이 되는 신경정신 질환으로, 주로 대뇌 피질 손상이 발생하며 대뇌기저핵 혹은 시상 등을 포함한 피질하 구조물에도 일시적,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함으로써 사회적 기능이나 직업 활동 및 일상생활유지 등에 현저한 곤란을 초래할 정도의 기억장애, 언어장애, 인식장애, 실행장애를 포함한 주요 신경인지기능 장애증상과 망상, 환각, 우울증을 포함한 다양한 행동 및 정신증상을 동반하는 질병군을 말하며, 또한 임상적으로는 신경심리학적, 신경정신의학적, 신경학적 장애를 나타내면서 병리학적으로 조직학적, 신경화학적 변화를 보이는 만성 퇴행성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는 1907년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에 의해 기억장애, 지남력 상실 그리고 고등기능의 전반적인 와해를 보이고 사망한 55세의 여성환자에게서 노인반과 신경섬유덩어리, 아밀로이드 혈관이 발견됨으로써 처음으로 보고되었는데(연병길 등, 알츠하이머병, 계명의대논문집, 16(3), 301-305, 1997), 초기에는 주로 65세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만을 알츠하이머 치매라 하고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노인성 치매라 하여 이를 구별하였으나, 발병 연령 이외에는 임상적 양상이나 병리소견의 차이가 없어 최근에는 이를 하나의 질환으로 간주하고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Alzheimer Type, 이하 "DAT"라 약칭함)라 부르게 되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병인론에 대하여는 아직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알루미늄 중독설, 면역기능 장애설, 유전학적 가설, 아세틸콜린 대사 장애설 등이 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채정호 등, 신경정신의학, 38(1), 190-200, 1999), 이러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인자로는 연령과 치매의 가족력을 제외하고는 아직 확립된 것은 없지만, 파킨슨 병이나 다운증후군의 가족력, 환자 출생시의 부모연령, 우울증의 병력, 알루미늄, 낮은 교육수준, 두부외상 및 흡연 등이 관련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다(나덕렬, 가정의학회지, 18(3), 236-248, 1997). 서 등의 연구에서는 85세 이상의 고령, 무학, 알콜 남용, 흡연, 치매의 가족력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고하였다(서국희 등, 신경정신의학, 39(5), 809-824, 2000).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단일 임상적 검사방법은 아직 없는 상태이며, 확진을 위해서는 뇌의 생검이나 사후 부검을 통하여 신경원섬유농축체와 노인반을 확인하여야 한다. 검사 소견을 보면, 대개의 경우 CT나 MRI에서 뇌위축이 나타나고, 정상적인 노화일 때보다 심한 피질구 확장과 확대된 뇌실이 보이게 되며, SPECT 및 PET에서 측두 두정엽의 뇌혈류량 감소와 당 대사의 감소가 현저하게 관찰된다(곽용태 등, 신경정신의학, 40(3), 496-502, 2001). EEG의 검사 상 전반적으로 알파파와 베타파가 감소하며, 세타파와 델타파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미경 검사에서는 대개 노인반, 신경매듭섬유, 과립공포성 퇴행, 신경원 손실, 성상교세포성 신경교종, 그리고 아밀로이드 혈관 등을 포함하는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난다(손윤경, 계명의대논문집, 16(3), 323-338, 1997).
현재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치료 방법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의 변화를 교정함으로써 그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병의 진행을 막아보려는 연구가 있어 왔으며, 현재도 진행중에 있으나 아직 그 결과는 불확실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우행원, 계명의대논문집, 16(3), 365-374, 1997). 대증치료로서 향정신성약물을 사용하는 것은 치매환자의 불안, 충동성, 과운동성, 우울 및 망상적 사고에 도움이 되며, 약물치료 이외에 심리, 인지, 행동, 작업, 재활치료 등의 의학적 치료는 물론 지속적인 간호, 가족 치료 등이 사회 복지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장애를 진단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는 신경심리검사가 있으며(Kertez A, Arch. Neurol., 51, 1226-1231, 1994; Peavy GM. et al., Arch. Neurol., 53, 367-372, 1996), 그중 한국판 치매검 사(Korean dementia rating scale: 이하 "K-DRS"라 약칭함)는 매티스(Mattis)의 DRS (Dementia rating scale) 검사(Mattis 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를 표준화하여 만들어졌다(최진영 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16(2), 423-433, 1997). 상기 DRS 검사는 치매를 평가하기 위해서 고안되었고 특히 DAT에 민감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Monsch AU 등, Arch. Neurol., 52, 899-904, 1995).
또한, 사상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이하 "ERP"라 약칭함)는 뇌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뇌의 전기적 활동으로서, 기억, 언어, 학습, 정서 등과 같은 인지심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김명선, 환국심리학회지, 임상14, 253-263, 1995), 최근 치매에 대한 침과 한약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치료 후P300의 잠재기가 짧아지고 진폭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Gao H. et a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1(2), 103-109, 2001).
한편, 한방에서는 이러한 치매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의이인, 건률, 신곡, 원지, 오미자, 백자인 및 석창포 등의 14가지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을 사용해 왔다(김보균,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년 2월; 조성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년 2월).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어느 정도 치매 환자의 인지기능 감퇴 억제 효과를 보이기는 하지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서 경제성이 없다는 큰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조위승청탕의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노 력한 결과,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감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치매 예방 및/또는 증상완화 방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치매 증상 및 인지기능의 저하를 방지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매 증상의 개선 작용을 하며,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증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修治)"는 식물, 동물 또는 광물 등의 원생약(原生藥)을 채취하여 약으로 쓰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생약을 수치해야 하는 경우로는 약으로 쓰이는 부분에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할 때, 부피가 너무 크거나 질이 단단할 때, 독성이나 자극성이 있어서 직접 복용하면 오히려 해를 끼치게 될 때, 변질되기 쉬워 장기간 보존하기 어려울 때, 좋지 못한 냄새나 맛이 날 때, 약물의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거나 그 효능 자체를 다른 것으로 변화시키고자 할 때 등이 있다.
또한, "거심(去心)"은 자연에서 채취한 약물 중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또한 그 부분이 독성이 있거나 해독작용을 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한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약물의 중심부를 제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거심을 해야하는 약재로는 맥문동, 목단피, 파극 등이 있다.
또한, "미초(微炒)"는 약재를 약한 불로 가열하여 표면이 미황화색이 되거나 또는 원약재보다 색을 더 짙게 볶되 조금 부풀거나 혹은 터지는 소리가 나고 고유의 향기가 날 정도로 볶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매 증상의 개선 작용을 하며,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구성 비율은 각각 25 내지 50 wt% : 25 내지 50 wt% : 25 내지 50 wt% 이며, 30 내지 40 wt% : 30 내지 40 wt% : 30 내지 40 wt%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비율의 약재를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되며, 상기에서 추출용매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C1-C4의 저급 알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물질로 사용하는 원지는 대한약전(大韓藥典)의 식물명으로는 폴리갈라 테누이폴리아 윌드나우(Polygala tenuifolia Willdenow)이며, 약용성분으로는 주로 뿌리를 이용하고 있다. 원지는 주로 진정약(鎭靜藥), 거담약(祛痰 藥)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약효는 강심익지요약(强心益智要藥)으로서 정충, 거담(祛痰), 진정(鎭靜), 부인실음(婦人失音), 신적분돈(腎積奔豚), 피부중열(皮膚中熱), 면목황(面目黃), 안혼정백(安魂定魄), 정심기(定心氣) 및 경계(驚悸) 등에 유효하다. 또한, 한방에서는 탕약으로 귀비탕(歸脾湯), 가미귀심탕(加味歸心湯),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및 인삼양영탕(人蔘養營湯) 등에 배합되어 처방되어 오고 있다.
원지는 독성은 없지만 고춧가루처럼 쏘는 맛이 있어서 약제로 사용하기 이전에 수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원지를 탕 또는 가루로 사용할 경우에는 목이 마비되는 증상이 생기며, 환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소화가 되지 않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데, 종래에는 그 수치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원지는 수치를 시켜야 하며, 본 발명의 원지의 수치 방법은
1) 감초를 물에 넣고 달여 감초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감초수에 원지를 침지시킨 후 꺼내 음건시키는 단계;
3) 생강즙을 제조한 후 물과 혼합하여 생강즙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생강즙물에 단계 2에서 음건한 원지를 비벼서 미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에 있어서, 감초는 원지의 1/4 내지 1/6 wt%를 사용하며, 1/5 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달이는 시간은 1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시간 30분 이상 충분히 달여야 한다.
단계 2에 있어서, 원지는 거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지는 8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상 충분히 담근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계 3에 있어서, 생강즙은 원지의 1/4 내지 1/8 wt%를 사용하며, 1/6 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생강 200 g을 즙을 내면 100 g 정도의 즙이 나오는데, 보통 봄의 생강과 가을의 생강은 그 즙의 양이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하지만 어쨋든 원지에 대하여 생강즙은 상기 기재된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생강즙과 물은 1:1의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하면 무방하지만 반드시 상기 비율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원지를 수치시키지 않으면 환자에 적용시 거부감이 생겨서 장기적이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증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 라틴 등을 섞어서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건강 식품의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들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원료에 대하여 0.01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wt%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추출물의 유효용량은 0.1∼500 ㎎/㎏ 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100 ㎎/㎏ 이며, 하루 1 내지 6회, 바람직하게는 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매 환자에 대한 적용 시험에서 학습효과(기억)가 26% 증가되는 등 알츠하이머에 대한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조위승청탕에 비하여 가격이 1/3 수준으로도 우수한 치매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에서는 초기 DAT 환자군 및 일반 대조군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를 검사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신경심리검사로서 한국판 치매검사인 K-DRS 검사와 더불어 ERP 검사를 사용하였다.
신경심리검사는 알츠하이머와 같은 다른 인지기능장애를 진단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그 중 DRS는 치매를 평가하기 위해서 고안된 신경심리검사로 검사 수행 시간이 짧고, 채점이 간편하며, 난이도가 낮은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Mattis S, Dementia Rating Scal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또한, 전반적인 인지기능들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인 평가검사로 대뇌피질의 손상이 있는 사람들, 특히 퇴행성 장애인 DAT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우주영 등,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8(1), 69-79, 1997), 임상과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K-DRS는 DRS를 한국 언어와 문화에 맞게 번안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치매환자들에게 손상될 수 있는 인지기능들을 검사하기 위하여 주의력, 관리기능, 구성, 개념화, 기억 등의 5개 소검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소검사의 점수들과 총점으로 인지기능 쇠퇴여부를 계량적으로 평가한다(Jacobs DM. et al.,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9(3), 331-339, 1997). 총점은 144점으로 각각의 소검사 중 주의력은 모두 8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은 37점으로 과제들은 청각이나 시각적으로 또는 언어나 비언어적으로 제시되는데, 숫자 외우기, 두 개의 연속된 지시, 단일 지시, 그리고 모방에 관련된 것들로 뇌의 전반적인 손상 정도를 살피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관리기능은 11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37점을 차지하고 과제들은 복잡한 언어 유창성, 단순한 언어 유창성, 자음 보속성, 모음 보속성, 2가지의 양손 교대 동작, 번갈아 두드리기, 그리고 4가지의 그리기에 관한 것으로 대뇌의 전전두엽의 손상여부를 유추할 수 있다. 시지각기능과 손 운동 반응을 필요로 하는 구성 소검사 과제들은 6개의 도형을 그리는 것으로 총점의 6점에 해당된다. 기본적인 목적은 우뇌의 두정엽의 운동 영역 및 그 피질하 구조의 이상을 살피는 데 있다. 개념화는 동질성과 이질성, 유사성, 점화이론 추론, 상이성, 유사성, 2가지의 언어적 회상 등 6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점에서 39점을 차지한다. 고등 인지기능을 살피는 과제이므로 개념화의 능력 감퇴는 대뇌의 전전두엽은 물론 다른 대뇌 영역의 결함을 추론케 한다. 기억은 지남력, 간섭된 셈, 언어적 회상, 언어적 재인, 시지각, 시각적 기억 등 5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고, 총점에서 25점을 차지하며 대뇌의 내측 측두엽의 해마, 그 인접 부위 그리고 전두엽 체계의 활성화의 손상을 유추할 수 있는 소검사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 K-DRS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증가하여서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집단 간 증가한 점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DAT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가 정상 집단의 변화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초기 DAT 환자에게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지기능 감퇴 방지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다(실험예 1 참조).
한편, 뇌파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ERP는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인 뇌파와는 달리, 자극 혹은 사상(event)의 제시와 관련되어 일정 시간 동안 나타나는 뇌의 전기적인 활동으로, 제시된 자극이나 사상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전기적 활동을 의미한다. ERP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피험자가 항상 깨어 있고, 제시되는 자극이나 사상에 주의를 주어야만 한다. 인지과정의 결과만을 측정하는 행동적 평가와는 달리 ERP는 인지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기 때문에 행동적 평가보다는 더 직접적으로 인지작용을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ERP는 기억, 언어, 학습 및 정서 등 인지심리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박은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ERP는 내인성 전위(endogenous potential)라고도 불리는데, 자극의 유형이나 물리적인 속성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반면에 피험자의 심리적 상태에는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즉, 피험자의 주의, 동기, 기대, 이전의 학습 경험 등에 따라서 ERP는 피험자와 자극 및 사상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것으로 믿어진다.
ERP는 여러 개의 부적(negative) 혹은 정적(positive) 정점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점은 서로 다른 심리적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점점은 나타나는 잠재시간(latency)과 극(polarity)에 따라서 이름이 붙여지는데, 예를 들면 자극 제시 후 대략 100 msec 전후에 나타나는 부적 정점을 N100이라 하고, 300 msec 전후에 나타나는 정적 정점을 P300이라고 한다. 여러 정점들 중에서 인지과정과 연관되어 가장 활발하게 연구된 것은 P300이다.
P300은 제시확률이 낮은 자극에서, 그 자극이 피험자의 과제와 관련이 있을 때, 그리고 피험자가 그 자극에 주의를 줄 때에만 나타난다. P300의 구성성분은 한 자극이 다른 자극과 차이를 보일 때마다 생길 수 있으며, P300의 측정은 주로 "양자극 방안(oddball paradigm)"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양자극 방안에서는 적어도 두 종류의 자극들이 사용되며, 이 중에서 제시확률이 높은 자극을 표준자극(standard stimulus)이라 하고, 제시 확률이 낮은 자극을 목표자극(target stimulus)이라 한다. 피험자의 과제는 목표자극이 전체 시행 중에서 몇 번 제시되었는가를 세는 것으로 이 경우 피험자들은 드문드문 제시하는 자극이나 목표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자주 제시되는 자극이나 표준자극에는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게 된다. 대부분의 임상연구는 P300 ERP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청각자극을 사용하고 있다. 청각자극은 상대적으로 쉽게 만들 수 있고 과다한 눈동자의 움직임이 포함되는 뇌파가 아닌 가공물에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피험자의 주의집중을 모을 수 있기 때문에 P300 현상에 관한 대부분의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이용되어 왔다.
ERP P300은 특정 맥락에서 작업 기억의 유지가 필요할 때 일어나는 뇌 활동의 지표로 여겨져 왔으며(Kramer AF. et al., Biol. Psychol., 26:231-267, 1988), 돈친(Donchin) 등은 P300을 유발하는 다양한 인지적 활동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기능이 "정보 처리"라고 주장하였고 그의 맥락 최신화 가설(context updating hypothesis)에 의하면 새로 유입된 자극이 피험자가 작업 기억 안에 가지고 있는 환경 맥락에 대한 모델과 맞지 않으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환경 모델을 최신화시켜야 하며, P300은 이 최신화 과정의 결과로 나타나며 P300의 잠재기는 이러한 과정이 처리되는데 걸린 시간, 즉 자극 평가 시간(stimulus evaluation time)을 나타낸다고 한다(Donchin E. et al., Behavioral and Brain Science, 11, 357-374, 1988). 그리고, P300의 진폭은 작업기억과 관련된 뇌활동의 지표로 여겨져 왔고 주어진 과제에 관여하는 주의 자원의 양과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심리검사들이 P300 잠재기와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피험자가 주의 할당 능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이 떨어질수록 P300의 잠재기가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DAT와 같이 주의기능 및 인지기능의 결함을 나타내는 질환에 있어서는 인지기능과 정보처리기능의 감퇴와 더불어 P300의 잠재기는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잠재기는 비록 요소의 크기(진폭)가 뇌손상 정도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더라도 치매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체계적으로 증가한다.
구딘(Goodin) 등은 노인성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ERP를 측정하여 환자들의 P300이 동일 연령대의 정상인에 비해 늦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으며(Goodin DS. et al., Ann. Neurol., 21, 90-94, 1987), 폴리취(Polich) 등은 P300이 치매 증세가 심해지는 것에 비례하여 특정한 유형을 가지고 길어진다고 하였다(Polich J. et al.,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63, 138-144, 1986). 이런 결과들은 치매환자들의 P300이 나타나는 잠재기가 정상인에 비해 더 길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치매 환자들에게 P300과 관련되는 인지적 정보처리가 느려졌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유형의 노인성 치매와 청각 ERP 간의 관련성을 탐구한 연구에서는 연구된 모든 노인의 치매에서 P300의 진폭이 감소된다고 하였다. 정보 처리과정을 반영하는 P300의 잠재기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진폭은 감소하고 잠재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icton TW. et al., Psychophysiology, 21, 312-325, 1984). 또한, 박은 청각 ERP에서 P300은 초기 DAT를 구분해 낼 수 있는 지표로 고려될 수 있다고 하였다(박은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가오(Gao) 등은 노년 혈관성 치매환자의 임상연구에서 사신총, 인중, 내궐, 삼음교, 풍륭 등에 침(針)자극을, 백회, 신문, 신궐, 족삼리 등에 구(灸)자극을 가한 치료 후 P300의 잠재기가 짧아지고 진폭은 증가하였다고 하였고(Gao H. et a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1(2), 103-109, 2001), 얀(Yan) 등은 지령탕을 복용한 노인성 치매 환자에게서 P300의 잠재기와 파장은 짧아지고 진폭은 증가하였다 보고하였다(Yan L. et al.,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2), 83-86, 2000).
본 발명에서는 ERP P300의 잠재기에서 정상노인 집단의 경우 2차 측정에서 1차보다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초기 DAT 환자 집단의 경우에는 회기 효과가 없었다. 정상노인 집단의 경우 1차 측정 9개월 후 2차 측정시 P300의 잠재기가 증가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초기 DAT 집단이 9개월 후 P300의 잠재기가 증가하지 않은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환자집단의 인지기능 감퇴방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환자집단의 인지기능이 바닥수준으로 저하하여 연령증가에 관계없이 P300의 잠재기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결과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의 DAT 환자를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나, DAT 진단 후 2년 이상된 환자들의 경우에 P300의 평균 잠재기가 629-640 msec 정도인 것이 관찰되었다. 상기 수치는 초기 DAT 환자에서 관찰된 P300의 평균 잠재기보다 50 msec 이상 긴 것으로서, 치매 정도가 진행되면 P300의 잠재기가 더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의 DAT 환자에게 있어서 P300의 잠재기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것은 한약물의 복용에 의해서 정보처리 효율성의 감퇴가 방지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이 초기 DAT의 진행저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함으로써 초기 DAT 환자의 ERP 및 K-DRS 검사에 있어서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성물의 제조
<1-1> 원지의 수치(修治)
감초 120 g을 5 ℓ의 물에 넣고 약 1시간 30분동안 달여 감초수를 완성하였다. 상기 감초수에 거심(去心)한 원지 600 g을 12시간 정도 담근 후 꺼내 음건(陰乾)시켰다. 이후, 100 g의 생강즙을 만들어서 생수와 1:1의 비율로 섞어 200 g의 생강즙물을 제조한 후, 감초수에 침지시켜 음건한 원지 600 g을 비벼서 미초(微炒)하였다. 원지의 수치에 사용된 약재의 비율을 요약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약제 원지 : 감초 원지 : 생강즙 원지 : 생강즙 + 생수
비율 5 : 1 6 : 1 6 : 2(1+1)

<1-2>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수치된 원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의 구성 성분 및 분량은 표 2와 같으며, 경희의료원 한방처방집에 있는 조위승청탕(HH122, 한국, 서울, 경희의료원 한방병원약제부)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
보타니칼 명(Botanical)
석창포 Acori Rhizoma 4.0 g
신곡 Massa medicata Fermentata 4.0 g
원지 Polygalae Radix 4.0 g
합계 12.0 g

<1-3> 치매 증상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매 증상 개선용 엑스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K-DRS 검사
2002년 10월부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설 한방병원 신경정신과에 내원한 초기 DAT 환자 중 임상시험 대상자 30명과 이와 연령이 찍지워진 집단인 종로구 소 재 H 경로당의 정상 노인 17명을 대상으로 K-DRS를 측정하였다. 초기 DAT 환자 집단은 9개월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하였고, 9개월 후 초기 DAT 환자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K-DRS를 재측정하였다. 32명의 환자중 환자 혹은 보호자의 비협조로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다른 질환의 발생으로 치료가 지속적이지 못한 경우, 이사나 주거지 변경과 같은 환경의 갑작스런 변화가 있는 환자를 제외하고, 각 검사에 모두 참여한 초기 DAT 환자 21명과 정상노인 1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초기 DAT 환자 집단은 생화학 검사, 소변 검사, 일반혈액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심전도 등의 검사와 Br-MRI 등을 시행하여 혈관성 clai, 우울증, 중증 치매환자들을 배제하고 초기 DAT의 임상증상에 부합되며 임상심리학자와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의 소견에 부합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환자 집단은 초기 DAT 환자 집단으로 남자 8명, 여자 13명으로 평균 연령은 70.1세 였으며(표 3), 대조군 집단은 평균 연령 69.66세의 건강한 정상 노인들로 남자 2명, 여자 8명으로 구성되었고 환자 집단과 대조군 집단간의 연령 차이는 통계적으로 없었다.
[표 3]
대조군 (n=10) DAT (n=21)
성별 남성 2 8
여성 8 13
연령(평균±SD) 69.66(±3.78) 70.1(±5.09)

K-DRS 검사는 국내 치매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서 Mattis의 DRS (Dementia Rating Scale) 검사를 한국에서 재표준화한 것으로, 검사의 타당도는 각 규준 집단 별로 0.76-0.87이고 검사-재검사의 신뢰도는 0.96이다(박선희 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17(1), 247-258, 1998). K-DRS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진단에 중요한 인지기능들을 5개의 소검사로 측정하였다. 각 소검사는 주의(attention) 8개, 관리기능(initiation & perseveration) 11개, 구성(construction) 6개, 개념화(conceptualization) 6개, 기억(memory) 5개 과제를 포함하여 총 36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최진영, 한국판 치매 평가 검사 K-DRS 전문가 요강, 서울, 학지사, 1998).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검사 시간은 30 내지 60분 정도 소요되었다.
그 결과, 1차 K-DRS 점수는 초기 DAT 환자 집단이 정상 노인 집단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낮았다(df=23, t=2.89, p < 0.05)(표 4). 2차 검사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증가한 경향이 보였으나, 1차 결과를 공변인으로 놓고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기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df=1, F=2.006, p=0.171)(표 4).
[표 4]
1차 2차
대조군 123.9(±7.04) 133.7(±6.6)
DAT 121.1(±7.11) 121.7(±13.3)

상기에서, 모든 수치는 평균±SD이다.
상기 결과로부터, K-DRS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증가하였으며, 공변량 분석을 한 결과 집단간 증가한 점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DAT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가 정상 집단의 변화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초기 DAT 환자에게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인지기능 감퇴 방지 효과를 보 인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ERP 장치 및 절차
뇌전도(EEG)는 Biopac EEG100B 모델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실험기기의 배치는 도 1에 나타나 있다. Ag/AgCl 전극을 국제표준 10-20 체계에 근거해 두피의 4 위치(F3, F4, P3, P4)에 부착하였다(도 2). 눈 깜짝임을 탐지하기 위해서 왼쪽 눈 위와 아래 약 2 ㎝에 각각 전극을 부착하여 수직 방향으로 안전도(EOG)를 측정하였고, 기준 전극은 피험자의 양쪽 귓볼에 부착하고 접지 전극은 이마의 중앙에 부착하였다. 총 EEG 기록 시간은 자극 제시 전 100 ms를 포함하여 1,000 ms이었으며, 각 시행의 EEG는 0.1-35Hz에서 대역 여파한 후 5만배 증폭하였다. EEG 측정 도중 EOG가 250 ㎶ 이상인 경우는 그 시행을 기각하였다.
피험자는 외부 소음이 차단된 전자기 차폐실의 안락한 의자에 앉은 후, 나이, 시력, 청력 등에 관한 간단한 질문에 답하였고, 이어서 전극이 부착되었다. 5분 정도 EEG를 측정하면서 충분히 안정시킨 후, 양자극 방안을 이용한 청각 ERP를 측정하였으며, 피험자의 과제는 제시되는 85 dB, 1,000 Hz의 표준자극과 1,500 Hz의 목표자극 중에서 목표자극의 개수를 세는 것이었다.
각각의 자극 제시 시간은 300 ms이고, 시행간 간격은 1,000 ms이었으며, 전체 시행 중 목표 자극은 25%이고, 전체는 100 시행으로 구성되었다. 두 자극의 제시 순서는 무선적으로 배열하였다. 전체 시행 시간 동안 목표 자극의 회수를 세어서 측정 종료 후 구두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각 ERP 측정 결과는 F3, F4, P3, P4에서 측정한 결과로 각 영역의 결과를 평균으로 처리하여 도 3a 및 도 3b에 제시하 였다.
<2-1> P300의 진폭
F3, F4, P3, P4 영역에서 잠재기를 추출하여 회기와 전극위치를 반복요인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한 결과, 회기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전극 위치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F (3,69)=4.48, p < 0.05)(표 5).
[표 5]
F3 F4 P3 P4
대조군 1차 8.22±6.28 10.74±14.23 9.97±11.92 12.02±11.04
2차 6.70±5.11 8.80±4.70 6.33±6.21 9.46±5.35
DAT 1차 8.05±4.81 9.44±10.35 10.22±8.08 14.24±11.26
2차 5.84±5.02 9.27±6.04 9.45±6.49 9.88±6.72

상기에서, 모든 수치는 평균±SD이다.
<2-2> P300의 잠재기
F3, F4, P3, P4 영역에서 잠재기를 추출하여 회기와 전극위치를 반복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회기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호기 집단간 상호작용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F (1,23)=9.75, p < 0.001). 이에, 각 집단별로 나누어 반복 측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상 노인 집단에서 잠재기의 회기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 (1,9)=36.33, p < 0.001). 즉, 2차 측정시에 잠재기가 더 증가되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초기 DAT 환자 집단에서는 회기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표 6).
[표 6]
F3 F4 P3 P4 p 수치
대조군 1차 380±20.96 404±75.42 378.80±53.56 374.40±59.63 < 0.001
2차 519.68±53.73 510.97±51.68 507.60±48.65 506.44±52.51
DAT 1차 586±132.75 589.33±146.60 596.73±121.83 591.20±133.70 유의하지 않음
2차 564.06±82.50 562.32±32 552.11±89.16 555.75±90.39

상기 결과로부터, ERP P300의 잠재기에서 정상노인 집단의 경우 2차 측정에서 1차보다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초기 DAT 환자 집단의 경우에는 회기 효과가 없었다. 정상노인 집단에서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잠재기가 증가한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한 초기 DAT 집단의 경우 잠재기가 증가하지 않은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용이 치매에서 나타나는 인지기능의 감퇴 방지에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제조예 1>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사카린, 당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사카린, 향미료, 에탄올, 소르브산 및 증류수로 이루어진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 ㎖이 되게 하였다.
상기 시럽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추출물 ···················2 g
사카린 ····· ·················0.8 g
당 ························ 25.4 g
글리세린······················ 8.0 g
향미료 ······················ 0.04 g
에탄올 ·······················4.0 g
소르브산 ······················0.4 g
증류수 ·······················정량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 15 ㎎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mesh)의 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상기 정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추출물 ················ 250 g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콜로이드성 규산 ················ 32 g
10% 젤라틴 용액
감자전분 ····················160 g
활석 ······················ 5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 5 g
<제조예 3> 식품 및 음료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하, %는 중량%(wt%)를 나타낸다.
<3-1>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0 %
설탕 76.36 ∼ 76.76 %
본 발명의 추출물 0.24 ∼ 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2> 캔디의 제조
설탕 50 ∼ 60 %
물엿 39.26 ∼ 49.66 %
본 발명의 추출물 0.24 ∼ 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3-3> 비스켓의 제조
박력1급 88 ㎏
중력1급 76.4 ㎏
정백당 16.5 ㎏
식염 2.5 ㎏
포도당 2.7 ㎏
팜쇼트닝 40.5 ㎏
암모 5.3 ㎏
중조 0.6 ㎏
중아황산나트륨 0.55 ㎏
쌀가루 5.0 ㎏
비타민 B1 0.003 ㎏
비타민 B2 0.003 ㎏
밀크향 0.16 ㎏
물 71.1 ㎏
전지분유 4 ㎏
대용분유 1 ㎏
제일인산칼슘 0.1 ㎏
살포염 1 ㎏
분무유 25 ㎏
본 발명의 추출물 0.1 ∼ 0.5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3-4> 아이스크림의 제조
유지방 10.0%
무지유고형분 10.8%
설탕 12.0%
물엿 3.0%
유화안정제(스팬,span) 0.5%
향료(스트로베리) 0.15%
물 63.31 ∼ 62.91%
본 발명의 추출물 0.24 ∼ 0.64%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3-5>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본 발명의 추출물 0.48 ∼ 1.28 ㎎
물 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3-6> 소세지의 제조
돈육 63.6%
계육 27.5%
전분 3.5%
대두단백 1.7%
식염 1.62%
포도당 0.5%
기타첨가물(글리세린) 0.94 ∼ 1.34%
본 발명의 추출물 0.24 ∼ 0.64%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3-7> 쵸코렛의 제조
설탕 34.36 ∼ 34.76%
코코아 버터 34%
코코아 매스 15%
코코아 파우다 15%
레시틴 0.5%
바닐라향 0.5%
본 발명의 추출물 0.24 ∼ 0.64%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초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매 환자에게 투여시 우수한 학습효과 향상 작용을 나타내므로,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치매 증상에 대한 개선 작용을 하며,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제조되는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구성 비율은 25 내지 50 wt% : 25 내지 50 wt% : 25 내지 5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제 2항에 있어서, 원지, 석창포 및 신곡의 구성 비율은 각각 30 내지 40 wt% : 30 내지 40 wt% : 30 내지 4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는
    1) 감초를 물에 넣고 달여 감초수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감초수에 원지를 침지시킨 후 꺼내 음건시키는 단계;
    3) 생강즙을 제조한 후 물과 혼합하여 생강즙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생강즙물에 단계 2에서 음건한 원지를 비벼서 미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치(修治)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감초는 원지의 1/4 내지 1/6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7.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생강즙은 원지의 1/4 내지 1/8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8.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3)의 생강즙물은 생강즙과 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9. 제 1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증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1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증상 개선용 식품.
KR1020040046628A 2004-06-22 2004-06-22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9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28A KR100697316B1 (ko) 2004-06-22 2004-06-22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28A KR100697316B1 (ko) 2004-06-22 2004-06-22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84A KR20050121484A (ko) 2005-12-27
KR100697316B1 true KR100697316B1 (ko) 2007-03-20

Family

ID=3729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28A KR100697316B1 (ko) 2004-06-22 2004-06-22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76B1 (ko) 2013-05-20 2015-03-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창포 및 바이칼레인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91B1 (ko) * 2019-10-29 2021-02-22 김득수 총명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차
KR102218990B1 (ko) * 2019-10-29 2021-02-22 김득수 총명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쌍화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49A (ko) * 2000-05-03 2001-11-14 서유헌 원지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020022342A (ko) * 2000-09-20 2002-03-27 최병학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KR20020087721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40064240A (ko) * 2003-01-09 2004-07-16 학교법인 인제학원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49A (ko) * 2000-05-03 2001-11-14 서유헌 원지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020022342A (ko) * 2000-09-20 2002-03-27 최병학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스트레스제 조성물
KR20020087721A (ko) * 2001-05-16 2002-11-23 김호철 신경보호작용을 갖는 석창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약학적 제제
KR20040064240A (ko) * 2003-01-09 2004-07-16 학교법인 인제학원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076B1 (ko) 2013-05-20 2015-03-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석창포 및 바이칼레인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484A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fferberth The efficacy of EGb 761 in patients with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n different levels of investigation
Fogelholm et al. Tizanidine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placebo 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Stevinson et al. Valerian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Valensi et al. A multicenter, double-blind, safety study of QR-333 for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a preliminary report
Langade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pharmacological impact of ashwagandha root extract on sleep in healthy volunteers and insomnia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parallel-group, placebo-controlled study
RU2371173C2 (ru) Мемантин для лечения болезни альцгеймера легкой и от легкой до умеренной степени тяжести
JP2015038131A (ja) 機敏さのためのオレガノ抽出物
Hauner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cathine (nor-pseudoephedr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zed dose-finding study
Mahady Ginkgo biloba: a review of quality, safety, and efficacy
Arazi et al. Changes in pain following an interaction period of resistance training and green tea extract consumption in sedentary hypertensive women: impact of blood pressure swings
KR100697316B1 (ko)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060177530A1 (en) Method of treating diabetes type II
CN107773580A (zh) 用于预防或治疗痴呆症或神经退行性疾病的生药组合物
WO2020233459A1 (zh) 一种改善记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Werner et al. D-camphor-crataegus berry extract combination increases blood pressure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the elderly–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study
JP2018505908A (ja) 加齢男性における心理的な、肉体の、および性的な状態を向上させるコロハ抽出物の使用
JP2020103172A (ja) 睡眠の質改善剤
Kharat et al. Ocimum Sanctum Linn Extract As An Adjuvant Therapy For Effective Glycaemic Control In Type II Diabetes Mellitus
KHALAF et al. The Comparison Impacts of Ginkgo Biloba and Clonazepam on Tinnitus Intensity Improvement in Individuals with Subjective Tinnitus
Singh et al. Kava: Clinical studie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Soofi et al.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n Evaluation Of Safety And Efficacy Of Niruryadi Gulika Ayurvadic Therapy In Type Ii Diabetic Neuropathy Patients
Al Wasiq et al. Pengaruh Terapi Murrotal terhadap Tingkat Kecemasan pada Lansia dengan Hipertensi di RT 003/007 Sawangan Baru Tahun 2023
Saroj et al. A randomized, parallel-group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Nidana parivarjana to augment effectiveness of ayurvedic formulation in Vyanbala vaishamya with special reference to primary hypertension
Chaiworn Treatment effects of amitriptyline on pain symptoms, quality of lif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burning mouth syndrome patients
Lake Integrative management of anxi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