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917A -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 Google Patents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917A
KR20070113917A KR1020060047808A KR20060047808A KR20070113917A KR 20070113917 A KR20070113917 A KR 20070113917A KR 1020060047808 A KR1020060047808 A KR 1020060047808A KR 20060047808 A KR20060047808 A KR 20060047808A KR 20070113917 A KR20070113917 A KR 20070113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nes
data lines
sca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3813B1 (ko
Inventor
유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81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패널상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는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스캔 라인들이 형성된 기판; 기판의 상부 영역 상에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들; 기판의 하부 영역 상에 제1 데이터 라인들과 동일 선상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는 제2 데이터 라인들; 일부분이 제2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들; 및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제2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데이터 패드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 패널, 데드 스페이스, 듀얼 스캔, 데이터 패드

Description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DUAL SCAN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12: 상부 영역
114: 하부 영역 120: 스캔 라인
130: 제1 데이터 라인 140: 제2 데이터 라인
150: 제1 데이터 패드 155: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
160: 제2 데이터 패드 165: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
170, 180: 절연막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데이터 패드를 가지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PM 방식의 OLED 패널 구동시 고해상도로 갈수록 많은 패널 사이즈 증가와 함께 스캔라인의 저항 증가와 이로 인한 전압강하 등으로 인해 소비전력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는 패널을 데이터라인과 스캔라인으로 나누어 몇 개의 IC를 사용하여 패널을 두 구역으로 분리하여 구동하는 듀얼 스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패널 사이즈 증가로 인한 스캔 라인(14, 14')의 저항 증가를 1/2로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듀얼 스캔 구동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 방식은 패널(10, 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12, 12')이 패널(10, 10') 중앙에서 분리되어 있다. 즉, 패널(10, 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10)과 하부 영역(10')에 각각 데이터 라인(12, 12')이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프레임(frame)의 데이터를 반으로 나누어 두 개의 메모리에 각각 저장한 다음, 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부 영역(10)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12)과, 하부 영역(10')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12')에 공급하고, 스캔 라인(14, 14')을 동시 또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스캐닝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라인(12, 12')의 부하를 1/2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캐닝 신호가 스캔 라인(14, 14')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는 데이터 구동 IC(20, 20')를 데이터 라인(12, 12')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16, 16')가 패널(10, 10')의 상부 영역(10)과 하부 영역(1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10, 10')의 상부와 하부에 걸쳐 여전히 넓은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패드를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패널상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있는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는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스캔 라인들이 형성된 기판; 기판의 상부 영역 상에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들; 기판의 하부 영역 상에 제1 데이터 라인들과 동일 선상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는 제2 데이터 라인들; 일부분이 제2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들; 및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제2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데이터 패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은 기판(110), 스캔 라인들(120), 제1 데이터 라인들(130), 제2 데이터 라 인들(140), 제1 데이터 패드들(150) 및 제2 데이터 패드들(16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유리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으로서, 듀얼 스캔을 위해 상부 영역(112)과 하부 영역(114)으로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영역(112)은 기판(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의 영역을 가리키고, 하부 영역(114)은 기판(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의 영역을 가리킨다.
스캔 라인들(120)은 기판(110) 상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데이터 라인들(130)은 기판(110)의 상부 영역(112) 상에 스캔 라인들(120)과 수직 교차하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 데이터 라인들(140)은 기판(110)의 하부 영역(114) 상에 제1 데이터 라인들(130)과 동일 선상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데이터 라인들(140)은 제1 데이터 라인들(130)과 마찬가지로 스캔 라인들(120)과 수직 교차하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들(130)과 제2 데이터 라인들(140)은 기판(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나의 라인으로 이어져 있지 않고 중앙 부분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데이터 라인들(130)의 폭은 제2 데이터 라인들(14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데이터 라인들(140) 사이의 공간에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은 제1 데이터 라인들(130)을 제1 데이터 패드 들(150)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으로서, 그 일부분은 제2 데이터 라인들(14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제1 데이터 라인들(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기판(110) 외부(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의 하측 외부)로 연장되어 제1 데이터 패드들(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데이터 패드들(150)은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의 일부분, 즉 제2 데이터 라인들(14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을 통해 제1 데이터 라인들(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데이터 패드들(160)은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165)을 통해 제2 데이터 라인들(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165) 상에는 제1 데이터 패드(150)와 인접하는 부분에 제1 데이터 패드들(150) 사이에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막(17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데이터 라인들(140)과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 사이에는 절연막(180)이 형성되어 있어 제2 데이터 라인들(140)과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155)이 절연되도록 한다. 이 때, 절연막(180)은 일반적인 유기 발광 소자의 절연막 공정 시 함께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는 데이터 라인들(130, 140) 사이의 공간을 데이터 패드(150, 160)에 연결되는 배선의 경로로 사용하여 데이터 라인들(130, 140)과 데이터 구동 IC(도시하지 않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150, 160)를 패널의 상측 또는 하측에 하나만 형성함으로써 패널상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데이터 패드를 한 쪽에만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구동 IC의 갯수도 줄어들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에 의하면 데이터 라인 및 데이터 패드의 구조를 변경하여 데이터 패드를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만 구성함으로써 패널상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데이터 패드를 한 쪽에만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패드에 연결되는 데이터 구동 IC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정의되며, 서로 평행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스캔 라인들이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상부 영역 상에 상기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들;
    상기 기판의 상기 하부 영역 상에 상기 제1 데이터 라인들과 동일 선상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캔 라인들과 수직 교차하는 제2 데이터 라인들;
    일부분이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들; 및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라인용 배선 상에는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와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제1 데이터 패드들 사이에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들의 폭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들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이 절연되도록 상기 제2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용 배선 사이에 절연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KR1020060047808A 2006-05-26 2006-05-26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KR100783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08A KR100783813B1 (ko) 2006-05-26 2006-05-26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808A KR100783813B1 (ko) 2006-05-26 2006-05-26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917A true KR20070113917A (ko) 2007-11-29
KR100783813B1 KR100783813B1 (ko) 2007-12-07

Family

ID=3909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808A KR100783813B1 (ko) 2006-05-26 2006-05-26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8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77A1 (ko) * 2013-04-29 2014-11-06 크루셜텍 주식회사 터치 검출 장치
US9171505B2 (en) 2012-06-28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Scan driving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275574B2 (en) 2013-03-25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378693B2 (en) 2012-07-05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US9837010B2 (en) 2014-10-24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outputting scan signals in first and second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814A1 (zh) * 2021-08-31 2023-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7081A (ja) 2000-02-02 2001-08-10 Sharp Corp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0387722B1 (ko) * 2001-03-19 2003-06-18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이중 픽셀 구조를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KR100394006B1 (ko) * 2001-05-04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류구동 표시소자의 더블 스캔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40083882A (ko) * 2003-03-25 2004-10-06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1505B2 (en) 2012-06-28 2015-10-27 Samsung Display Co., Ltd. Scan driving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78693B2 (en) 2012-07-05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US9275574B2 (en) 2013-03-25 2016-03-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O2014178577A1 (ko) * 2013-04-29 2014-11-06 크루셜텍 주식회사 터치 검출 장치
US9837010B2 (en) 2014-10-24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outputting scan signals in first and second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813B1 (ko) 200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3835B (zh)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屏
TWI555000B (zh) 顯示面板
CN108878482B (zh) 一种显示面板及电子装置
KR100783813B1 (ko) 듀얼 스캔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 패널
CN100480787C (zh) 半导体芯片和利用其的显示设备
CN106098727A (zh) 显示装置
KR20180041301A (ko) 표시 장치
CN109950297B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及装置
KR20200052486A (ko) 표시 장치
CN103715183A (zh) 半导体器件
KR20170081105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80029721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8053358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
KR101763107B1 (ko) 발광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234568A1 (en) Display device
JP2006202924A (ja) 半導体集積回路
US6784458B1 (en) Random partitionable dot matrix LED display
KR20060030440A (ko) 패널 구동을 위한 듀얼 스캔 방식의 스캔라인 배선 방법
CN100386879C (zh) 半导体器件及单元
CN101937912A (zh) 基于单元的集成电路内的电源单元的布置
JP2008309825A (ja) 液晶表示装置
JP6483308B1 (ja) 表示装置
KR101883152B1 (ko) 반도체 장치
KR20100078299A (ko) 에프엘엠 신호배선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어레이기판
TW201735337A (zh) 顯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