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063A -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063A
KR20070111063A KR1020060043918A KR20060043918A KR20070111063A KR 20070111063 A KR20070111063 A KR 20070111063A KR 1020060043918 A KR1020060043918 A KR 1020060043918A KR 20060043918 A KR20060043918 A KR 20060043918A KR 20070111063 A KR20070111063 A KR 2007011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powder
seasoning powder
laver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571B1 (ko
Inventor
김기문
Original Assignee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빙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7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조미김제조법에서 기름을 도포하여 조미용 분말을 부착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자연조미용 분말의 색상이 그대로 반영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할 수 있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김의 표면에 조미용 분말을 살포한 후, 상기 김을 불에 굽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조미김 가공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좌우측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서 눌러줌에 의해 상기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이 일부만 녹아 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분말부착부 및 상기 분말부착부에 의해 조미용 분말이 부착되는 김을 이송시킬 수 있게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된 이송벨트로 이루어진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미분말, 조미김, 양념김, 색상김, 가공김

Description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adhesion apparatus of seasoning powder for processing la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도 4d는 본 발명에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따른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실시예에 대한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분말부착부 111 - 히터
112 - 하부플레이트 113 - 상부플레이트
114 - 가이드봉 115 - 스프링
116 - 작동축 117 - 회전판
118 - 제2모터 120 - 이송부
122 - 제1모터 124 - 이송벨트
본 발명은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할 수 있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미김 가공에 사용하는 조미분말이 갖는 다양한 색과 향이 그대로 김에 반영될 수 있게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조미분말을 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에는 영양소가 풍부하고 독특한 향미가 좋아 일반인들이 즐겨먹는 식품의 하나로 애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김은 통상 기름을 바르고 소금을 살포한 후 구워서 식용함은 물론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한 제품도 널리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김을 1차 구워 기름을 도포한 후 조미하여 2차 굽는 가공방식이 대부분이며,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조미용 분말에 따라 멸치맛김, 클로렐라김, 와사비맛김, 김치맛김, 양파맛김, 매운맛김, 인삼맛김, 버섯맛김 등의 다양한 맛을 내는 조미김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미김은 상기 조미용 분말을 김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즉,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조미용 분말을 살포하기 전에 반드시 기름을 김에 전반적으로 도포해 주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기름의 식용 유지나 지방질성분이 공기와 접촉이 있는 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자연발생적으로 산소를 흡수하여 서서히 산화가 일어나며, 높은 온도(140-200℃)에서는 자연 산화와 가열 반응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산화가 가속화 된다.
따라서 지방의 산패 변화는 맛과 냄새가 나빠질 뿐만 아니라 영양가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나아가서는 유독 성분의 생성도 가져오므로 식품 저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유지는 단백질 및 탄수화물과 함께 식품의 3대 영양소의 하나로서 에너지원이면서 동시에 필수 지방산과 각종 지용성 비타민을 공급하는 성분으로 영양적인 면에서는 우수한 반면 식품의 품질 면에서는 산패가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유지는 식품의 처리과정 중에 산소의 존재 하에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가열 산화와 가열 중합이 일어나고, 저장 중에는 저온에서도 산소에 의해 자동 산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 결과 식품의 색의 변화, 유리지방산의 증가, 과산화물가의 증가 및 맛과 향미가 나빠지는 등의 변화를 초래하여 결국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더욱이, 산패된 유지를 쥐에게 급여한 결과 성장저해, 식이효율의 감소, 그리고 기관비대 등의 현상이 나타났고 암을 유발시켰다는 보고도 있다.
이처럼, 유지의 변질은 산패에 의하여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곧 산패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유지의 변질 또는 산패현상은 식품화학상 매우 중요한 화학변화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조미김제조법에서 기름을 도포하여 조미용 분말을 부착하는 방법을 탈피하여,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자연조미용 분말의 색상이 그대로 반영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할 수 있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김의 표면에 조미용 분말을 살포한 후, 상기 김을 불에 굽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조미김 가공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좌우측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서 눌러줌에 의해 상기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이 일부만 녹아 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분말부착부 및 상기 분말부착부에 의해 조미용 분말이 부착되는 김을 이송시킬 수 있게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된 이송벨트로 이루어진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접착부는 김의 상면 전체를 눌러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히터가 내장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와 상기 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강에 의한 소정 압이 발생시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상하부플레이트가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1사이클의 주기로 작동되게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는 작동 축과 상기 작동축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할 수 있게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축이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축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가 소정 직경의 원을 1사이클의 주기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작동축과 회전판의 결합부에 설치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접착부는 내부에 히터가 내장되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이 통과될 수 있게 상하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100)는, 선단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미용 분말을 김의 표면에 살포하기 위한 살포장치(200)가 설치되고, 후단에 김을 굽기 위한 가열장치(300)가 설치된다. 상기 살포장치(200)는 조미용 분말이 수용되는 호퍼(202)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202)의 하부로 조미용 분말이 낙하되게 하여 김의 표면에 골고루 살포하는 것이고, 상기 가열장치(300)는 김을 굽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100)는 상기 조미용 분말을 살포하는 살포장치(200)와 상기 김을 굽는 가열장치(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열에 의해 상기 살포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조미분말의 부착장치(100)는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된 좌우측프레임(102a,102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말을 김에 부착하기 위한 분말부착부(110)와 김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말부착부(110)는 내부에 히터(111)가 내장되어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서 눌러줄 수 있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이 일부만 녹아 김에 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이송부(120)는 제1모터(122)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된 이송벨트(124)에 의해 상기 조미용 분말이 부착되는 김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벨츠(124)의 하면에는 스프링(128)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는 지지판(126)이 설치되어 상기 분말부착부(11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분말부착부(110)가 이송벨트(124)를 타고 이동되는 김의 상면을 눌러줄 때 상기 스프링(128)에 의해 소정 텐션을 갖도록 설치된 지지판(126)에 받혀지게 되어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분말부착부(110)는 김의 상면 전체를 눌러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히터(111)가 내장된 하부플레이트(112)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12)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플레이트(113)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3)와 하부플레이트(112)의 사이에는 하부플레이트(112)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봉(114)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114)에는 하부플레이트(112)의 하강에 의해 김의 상면을 눌러줄 때 발생하는 소정 압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게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15)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플레이트(112)로 김의 상면을 눌러줄 때 상기 스프링(115)에 의한 텐션력으로 하부플레이트(112)가 김의 상면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플레이트(112)와 상부플레이트(113)는 소정 직경의 원을 이루는 한 사이클을 주기로 작동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상부플레이트(113)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게 작동축(116)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축(116)은 소정 직경의 직경을 이루며 운동할 수 있게 제2모터(118)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117)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축(116)은 회전판(117)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되어 상기 회전판(1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축(116)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된다.
특히, 상기 회전판(1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축(116)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3,112)가 소정 직경의 원을 이루는 한 사이클의 주기를 이루며 작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회전판(117)과 작동축(116)의 결합부에 베어링(119)을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19)에 의해 회전판(117)이 회전되어도 상기 작동축(116)은 자체적으로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판(117)과 편심된 거리를 반지름으로 한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13,112)가 소정 직경의 원을 한 사이클로 하는 주기를 이루며 작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는, 살포장치(200)를 통해 김의 표면에 조미용 분말이 골고루 살포된 김이 공급되면, 상기 김은 이송 부(120)의 이송벨트(124)에 의해 이송되면서 소정 직경의 원을 한 사이클의 주기로 작동하는 상기 분말부착부(110)에 의해 김의 상면을 소정 온도로서 눌러줌에 의해 조미용 분말이 일정량만 녹도록 하여 김에 부착되게 하며, 이와 같이 부착된 김은 후 공정인 가열장치(300)에 의해 완전히 굽게 되어 김의 가공이 완료되는 것으로, 상기 분말부착부(110)에 의한 작동 상태를 도 4a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상기 분말부착부(110)가 최상점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분말부착부(110)가 소정 직경의 원을 1사이클의 주기로 작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이 이송벨트(124)를 타고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상기 분말부착부(110)가 소정 직경의 1사이클을 주기로 작동하여 최하점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때 상기 이송벨트(124)를 타고 이송되는 김의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말부착부(110)의 하부플레이트(112)가 김의 상면을 눌러줄 때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2)에 내장된 히터(111)에 의해 소정 온도로서 상기 김의 상면을 눌러주게 되므로,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의 일부만을 녹여주게 되어 부착된다.
도 4d는 상기 분말부착부(110)가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1사이클 주기로 작동하여 최상점으로 복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김은 이송벨트(124)에 의해 후 공정인 가열장치(30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되게 하기 위해 서는 대략 조미용 분말의 20% 정도만 녹여 주면 조미용 분말이 김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조미용 분말을 20% 정도만 녹여주기 위해 소정 온도를 유지하는 하부플레이트(112)로 김의 표면을 잠시 동안 눌러줄 때, 이송되는 김을 정지시키기 않은 상태로 눌러줄 수 있어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의하면, 조미용 분말을 부착시키기 위해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미용 분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미용 분말은 소정 색을 갖는 원재료를 분쇄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원재료는 조미용 분말의 맛과 색에 따라 붉은색 재료(예; 당근, 토마토, 김치, 고추 등), 녹색 재료(예; 녹차, 클로렐라, 쑥, 솔잎, 시금치 등), 갈색 재료(예; 상황버섯, 표고버섯, 홍삼 등) 및 노란색 재료(예; 카레, 비타민, 마늘, 생강, 양파 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재료의 선택에 의해 조미김의 맛과 색이 결정되는데, 그 예로서 클로레라맛김, 비타민맛김, 상황버섯맛김, 매운맛김 등 각자의 입맛과 건강에 맞는 다양한 맛을 갖는 조미김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재료를 분쇄한 후에는 소량의 레몬즙, 설탕, 녹말, 식염을 넣어 혼합한 다음 가열하고 응고시켜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1차 건조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몬즙, 설탕, 녹말, 식염의 첨가물을 더 혼합함으로 인해 조미용 분말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단하는 크기는 건조하기 알맞은 크기로 절단 하면 된다.
또한, 상기 1차 건조된 재료는 롤러를 이용하여 얇게 펴준 다음 다시 분쇄하여 2차 건조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원재료 및 첨가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완전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재료를 얇게 펴주기 위해 사용하는 롤러는 통상의 압축 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건조를 마친 재료에 감자전분을 혼합한 다음 잘게 갈아 조미용 분말을 완성한다. 상기 감자전분이 갖는 특징에 의해, 조미용 분말을 김에 살포 후 상기 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감자전분에 의해 기름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실시예에 대한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을 부착하기 위한 분말부착부(110a)의 구성을 간단히 한 것으로,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을 상하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112a,112b)를 통과되게 하여 간단하게 조미용 분말을 김에 부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 롤러(112a,112b)의 내부에는 히터(111a)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112a,112b)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롤러들(112a,112b)의 측단에 기어(116a,116b)들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116a,116b)들을 제3모터(118a)에 의해 회전되게 함에 의해 간단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분말부착부(110a)는 상기 이송벨트(124a)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되게 설치함이 좋은데, 이는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을 2번에 걸쳐서 눌러줌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조미용 분말의 부착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분말의 부착장치(100)는, 상기 조미용 분말에 소정의 열을 가함과 동시에 김을 눌러주어 조미용 분말이 김에 부착되게 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조미용 분말이 김의 표면에 부착되게 함에 의해 조미용 분말에 의한 맛과 향을 그대로 김에 접목할 수 있으며, 그 조미용 분말의 색상에 의해서도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미분말의 부착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조미김은, 기름을 전혀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저칼로리의 웰빙식품이다, 즉, 기름에 의해 인체에 끼치는 유해환경을 차단함은 물론 김의 우수한 영양소와 풍미가 손상되지 않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웰빙식품으로, 상기 조미용 분말의 맛과 향 및 색에 따라 각자의 입맛과 건강에 맞는 다양한 제품의 조미김을 가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색을 갖는 조미용 분말을 기름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김에 부착되게 함에 의해 장기간 동안 보관하여도 산패가 방지되어 김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김의 표면에 조미용 분말을 살포한 후, 상기 김을 불에 굽는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진 조미김 가공장치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되는 좌우측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상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의 표면을 소정 온도로서 눌러줌에 의해 상기 김의 표면에 살포된 조미용 분말이 일부만 녹아 김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분말부착부; 및
    상기 분말부착부에 의해 조미용 분말이 부착되는 김을 이송시킬 수 있게 모터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된 이송벨트로 이루어진 이송부를 포함하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접착부는 김의 상면 전체를 눌러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히터가 내장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강에 의한 소정 압이 발생시 텐션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상하부플레이트가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1사이클의 주기로 작동되게 상부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할 수 있게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상기 작동축이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축이 소정 직경의 원을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상하부플레이트가 소정 직경의 원을 1사이클의 주기로 작동할 수 있게 상기 작동축과 회전판의 결합부에 설치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접착부는 내부에 히터가 내장되며, 조미용 분말이 살포된 김이 통과될 수 있게 상하로 배치되게 설치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1020060043918A 2006-05-16 2006-05-16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10080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18A KR100800571B1 (ko) 2006-05-16 2006-05-16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18A KR100800571B1 (ko) 2006-05-16 2006-05-16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63A true KR20070111063A (ko) 2007-11-21
KR100800571B1 KR100800571B1 (ko) 2008-02-04

Family

ID=3909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18A KR100800571B1 (ko) 2006-05-16 2006-05-16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701B1 (ko) * 2009-12-30 2010-04-13 김기문 구이김 누름장치
CN101664224B (zh) * 2008-09-04 2012-02-22 王行安 用于紫菜一次加工机组脱水段的延压式脱水装置
KR20210028849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동양수산 조미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870A (en) 1979-06-15 1981-01-10 Toshiro Tabata Device for preparing toasted laver sheet
JPS60190288U (ja) 1984-05-23 1985-12-17 朝日 七郎 とろろ昆布加工装置
KR910003313B1 (ko) * 1989-04-13 1991-05-27 김공언 김 조리장치
JPH0616549Y2 (ja) * 1990-11-08 1994-05-02 株式会社ザ鈴木 シート状海苔の味付装置
KR0138537B1 (ko) * 1994-11-19 1998-04-25 국립수산진흥원남해수산연구소 참깨를 배합한세절 조미김의 제조방법
JPH1132738A (ja) 1997-07-18 1999-02-09 Kawashima Seisakusho:Kk 味付焼海苔の製造装置
KR100521799B1 (ko) * 2003-03-24 2005-10-17 박남철 김 구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4224B (zh) * 2008-09-04 2012-02-22 王行安 用于紫菜一次加工机组脱水段的延压式脱水装置
KR100952701B1 (ko) * 2009-12-30 2010-04-13 김기문 구이김 누름장치
KR20210028849A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동양수산 조미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71B1 (ko) 200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669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RU2597187C2 (ru) Закусочный продукт из красных водорослей, изготовленный из пластин красных водорослей и зерновых,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RU24741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олезного для здоровья закусочн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RU2462047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кусочн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здорового питания
KR101663872B1 (ko) 김 스낵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5661263B2 (ja) ごぼう茶葉、これを用いたごぼう茶葉抽出液及びごぼう茶葉含有食品、並びにごぼう茶葉製造方法
Ibrahim et al. Effect of microwave heating on flavour generation and food processing
KR100800571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US7413757B2 (en) Method of making a colored, flour-based food product and product thereof
Serna-Saldivar et al. Industrial production of maize tortillas and snacks
Nelluri et al.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jackfruit) processing equipment: Research insights and perspectives
US6365213B1 (en) Method and combination for producing supplement-enhanced solid food product
KR102090023B1 (ko) 김 스낵의 제조방법
JP2010526534A (ja) 焼いたジャガイモ製品およびその製法
KR100849486B1 (ko) 조미김 가공용 조미분말의 부착장치
KR101997835B1 (ko) 김 스낵 및 그 제조방법
RU2475042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обжаренного сыпучего продукта на основе ядер орехов или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KR20170018286A (ko) 스틱 오징어 버터구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097315B1 (ko)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20000038729A (ko) 원적외선, 대나무 죽염을 이용한 돈육 조리시스템.
KR20200027104A (ko) 김스낵 제조방법 및 김스낵 제조장치
JPS621693B2 (ko)
KR20190043724A (ko) 조미김 제조 방법
JP2575334B2 (ja) 揚げ菓子の製造方法
KR20030054089A (ko) 솔잎맛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