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488A -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488A
KR20070110488A KR1020077016896A KR20077016896A KR20070110488A KR 20070110488 A KR20070110488 A KR 20070110488A KR 1020077016896 A KR1020077016896 A KR 1020077016896A KR 20077016896 A KR20077016896 A KR 20077016896A KR 20070110488 A KR20070110488 A KR 2007011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nter
seat back
sea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2801B1 (en
Inventor
유키오 오타니
마사토시 오시마
Original Assignee
레카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카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카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86Side-rests
    • B60N2/99Side-rest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A seat back frame of a seat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frame base structure (2) having an upper frame (52),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brackets (53, 54), and a lower cross frame (55) and standard structures (3A, 3B) formed by fixing the rear face of a panel body (7) to a pair of right and left center pipes (4a, 4b) of a center support body (4) with a prescribed height dimension and a side view shape. The panel body is formed by extending, to a prescribed dimension, right and left side-support panels (7b, 7c) from the lateral both ends of the center panel (7a) to a forward diagonal outer side. Since the frame base structure (2) is integrated with the standard structures (3A, 3B), a specified seating performance can be provided even if the seat back frame is applied to any vehicle model by assembling shared standard structures to the base structure in a main configuration forming the outer peripheral skeleton of an existing frame.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Seat back frame of car seat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양한 차종에 이용되고 있는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의 외주(外周)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을 프레임의 기본 구조체로 이용하고, 이 프레임 기본 구조체에 공통의 표준 구조체를 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어떤 차종에서도 착석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는 구조로 한 시트 백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ack frame forming a frame of a seat back of an automobi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of a main structure of an outer frame of an existing seat back frame used in various vehicle mode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ack fram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eat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n any vehicle model by integrating and combining a standard structure common to the frame basic structure.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front seat, 운전석 및 조수석, 40)는 탑승자(H)가 걸터앉는 시트 쿠션(41)의 후단부(後端部)에 리클라이닝 어저스터(reclining adjuster) 기구(42)를 통해서 시트 백(43)이 리클라이닝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시트 백(43)의 상단부(上端部)에 헤드 레스트(head rest, 44)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front seat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40 of the vehicle is a reclining adjuster at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41 in which the occupant H sits down. The seat back 43 is mounted so that the seat back 43 can be reclined via the mechanism 42, and a head rest 44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back 43.

도 9는 상기 프런트 시트(40)의 골격이 되는 시트 프레임(45)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시트 프레임(45)은 도 10의 시트 쿠션(41)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 쿠션 프레임(46)과 시트 백(43)의 골격을 이루는 시트 백 프레임(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46)은 자동차의 전후방향(FR)에 따른 배 치에서 앞쪽(F)에서 보아서 좌우(L-Ri)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48) 및 우측 사이드 프레임(49)과, 이 양 사이드 프레임(48, 49)에 대하여 그 전방(F) 측 단부 사이 및 후방(R) 측 단부 사이에 각각 가로질러서 각각의 양 단면이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된 프런트 크로스 멤버(50) 및 리어 크로스 멤버(51)를 구비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seat frame 45 serving as the skeleton of the front seat 40. The seat frame 45 is composed of a seat cushion frame 46 forming a frame of the seat cushion 41 of FIG. 10 and a seat back frame 47 forming a frame of the seat back 43. The seat cushion frame 46 has a left side frame 48 and a right side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L-Ri) directions as viewed from the front side (F) in the arrangement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R of the vehicle. Both cross sections are secured by means of welding or the like, respectively, across the frame 49 and between the front (F) side ends and the rear (R) side ends with respect to both side frames (48, 49). It is provided with the front cross member 50 and the rear cross member 51, and is comprised in the rectangular frame shape by planar view.

또, 시트 백 프레임(47)은 금속 파이프를 대략 역 U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상부 프레임(upper frame)(52)과, 이 상부 프레임(52)의 양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사이드 브래킷(53, 54)과, 이 양 사이드 브래킷(53, 54)의 각각의 하단 근방 개소 사이를 가로지르는 배치로 양단부가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착된 보강용의 하부 크로스 프레임(lower cross frame)(55)과, 양 사이드 브래킷(53, 54)의 각각의 상단 근방 개소에 가로질러서 장착된 와이어(56)와, 양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중간 부분 사이를 가로지르는 배치로 설치되어서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4개의 S 스프링(5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프레임(52)의 상부에는 도 10의 헤드 레스트(44)가 장착되는 2개의 헤드 레스트 장착 브래킷(58)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 차종에 따라서는 상기 S 스프링(57)에 대신하여 콘투어 매트(contour matt)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he seat back frame 47 includes an upper frame 52 formed by bending a metal pipe in a substantially inverted U shap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brackets 53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52. 54 and a lower cross frame 55 for reinforcement in which both ends are fixed by means of welding or the like in an arrangement intersecting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s of each of the side brackets 53 and 54, respectively. And an electric wire 56 mounted across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both side brackets 53 and 54 and disposed between the middle portions of the both side brackets 53 and 54 so as to be impacted from the front. It is comprised with four S springs 57 which absorb and relieve water. In addition, two headrest mounting brackets 58 on which the headrest 44 of FIG. 10 is mounted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frame 52 by welding.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a contour matt may be used in place of the S spring 57.

그러나 종래의 프런트 시트(40)에는, 예를 들어 비용의 절약이나 각 차종에 대한 부품 공통화 등과 같은 제조상의 다양한 제약이 있다는 이유 등에 기인하여, 착석 성능이 좋다고는 할 수 없는 것들이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시트 백 프레 임(47)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개의 부재의 헤드 레스트(44)가 장착되는 헤드 레스트 분할 타입의 경우, 상부 프레임(또는 차종에 따라서는 어퍼 크로스 멤버)(52)에서의 헤드 레스트 장착 브래킷(58)이 고착된 상단부까지의 프레임 높이 (HF2)가 양호한 착석 성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부족한 것이 존재한다. 이 프레임 높이(HF2)가 부족한 시트 백 프레임(47)에서는 헤드 레스트 장착 브래킷(58)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헤드 레스트(44)의 장착 높이가 결정되므로, 착석 성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어, 후속 차량에 의한 후면 추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시트 백(43)이 뒤로 기울어질 때에 상기 높이 치수의 부족에 의해 탑승자(H)의 허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까지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없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ront seat 40, there exist many things which cannot be said that a seating performance is good, for example, because of the various manufacturing restrictions, such as saving of a cost and common parts for each vehicle model. For example, in the seat back frame 47, in the case of the headrest split type in which the headrest 44 of the separate member is mounted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frame (or upper cross member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There is a slight lack of frame height H F2 to the upper end to which the headrest mounting bracket 58 is fixed at) 52 than the minimum height dimension needed to obtain good seating performance. In the seat back frame 47 that lacks the frame height H F2 , the mounting height of the head rest 4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ead rest mounting bracket 58, which may cause a significant deterioration in seating performance. It may be. In addi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ar collision by a subsequent vehicle, when the seat back 43 is inclined backward, the lack of the height dimension reliably restrains the waist to the head of the occupant H. Can not.

또, 도 9에 도시한 시트 백 프레임(47)에서의 탑승자 지지부품인 S 스프링(57)이나 와이어(56)는 그 장착 위치나 구조를 매우 정확하게 설정하여 장착하였다고 해도 탑승자(H)를 원하는 착석 자세로 확실하게 계속해서 유지하기가 어렵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간의 척추(Hs)는 그 측면에서 봤을 때 S자 커브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인간공학적 견지에서 보면, 측면에서 봤을 때 승차시에는 탑승자(H)의 척추(Hs)가 항상 S자 커브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착석 자세로 탑승자(H)를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S 스프링(57)이나 와이어(56)는 자동차의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한 하중을 받아서 항상 변형하는 탄성을 가지므로, 그 장착 위치나 구조를 개선하여도 탑승자(H)를 상술한 착석 자세로 계속해서 유지하기 가 어렵다.Moreover, even if the S spring 57 and the wire 56 which are occupant support parts in the seat back frame 47 shown in FIG. Difficult to keep firmly in posture. That is, as shown in Figure 10, the human spine (Hs) has an S-shaped curve when viewed from the side, from an ergonomic point of view,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pine of the occupant (H) (w)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occupant H in a sitting position where Hs) can always be maintained in an S-curve shape. However, since the S spring 57 or the wire 56 has elasticity that always deforms in response to a load caused by vibration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mounting position or structure is improved, the occupant H is placed in the seated position described above. Difficult to maintain

또, 종래의 시트 백 프레임(47)에서는 주행시의 동적 평가에서 중요한 좌우방향의 지지성능에 대하여, 양 사이드 브래킷(53, 54)에서의 S 스프링(57)에서 전방으로의 돌출 길이(D2)(도 10)가 대체로 부족한 것이 많다. 이 돌출 길이(D2)가 부족한 사이드 브래킷(53, 54)에서는 탑승자(H)의 상체의 비뚤어짐이나 흔들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없으므로, 탑승자의 척추(Hs)나 그 주변의 근육에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양 사이드 브래킷(53, 54)에 대하여 이것을 피복하는 상태로 장착하는 패드를, 그 일부를 비교적 견고한 부재로 구성하여 전방에 진출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상기 돌출 길이(D2)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한 시트 백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패드에 의해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성능을 얻는 구성에서는, 탑승자(H)로부터의 하중을 반복해서 받음에 따라서 패드가 서서히 변형되어버려서 필요한 서포트 성능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다.Moreover, in the conventional seat back frame 47, the protruding length D2 from the S spring 57 in both side brackets 53 and 54 to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erformance of the left-right direction important for dynamic evaluation at the time of driving ( 10 is largely lacking. In the side brackets 53 and 54 lacking the protruding length D2, it is impossible to reliably suppress the skew or shaking of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H, thereby stressing the occupant's spine Hs and the muscles around it. do. Therefore, in the past, the pads to be mounted on both side brackets 53 and 54 in a state of covering them are formed by forming a part of the relatively rigid member so as to move forward. A seat back is also proposed to make up for the shortage of the protruding length D2. 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ide support performance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by such a pad is acquired, a pad will deform gradually as it receives the load from the occupant H repeatedly, and it cannot continue to maintain required support performance.

또, 상기 시트 백 프레임(47)에서는, S 스프링(57)이나 와이어(56) 등의 탄성 변형하는 탑승자 지지부품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장시간의 운전에 의한 피로에 의해 탑승자(H)의 자세가 흐트러지기 시작하면, 설정된 초기의 이상적인 착석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탑승자(H)를 지지할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seat back frame 47 employs an occupant support part that elastically deforms, such as the S spring 57 and the wire 56, the posture of the occupant H is disturbed due to long-term fatigue. When starting to lose, the occupant H cannot be supported so that the initial ideal sitting position is not disturb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착석 성능의 문제가 발견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차종별로 설계한 원하는 형상을 갖는 착석 성능 향상용의 보조 패널을 장착하거나, 스포츠 타입의 자동차에서는, 도 9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백 프 레임(47)의 양 측부에 사이드 서포트 와이어(59)를 용접에 의해 장착해서 수정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종별로 전용의 수정부품을 설치하는 수정 수단에는 개발까지에 장시간을 요하는 동시에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blem of seating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is found, for example, the auxiliary panel for improving seating performance having a desired shape designed for each vehicle type is attached, or in a sports type vehicle,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9 is shown in Fig. 9. As shown in the drawing, a method of mounting and modifying the side support wires 59 by welding on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47 is also attempt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rrection means for installing the dedicated modified parts for each vehicle type takes a long time to develop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the cost.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존의 다양한 차종의 각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을 프레임 기본 구조체로 하고, 이 프레임 기본 구조체에 공통의 표준사양 구조체를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것만으로도, 어떠한 차종에 적용한 경우에도 소기의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main structure constituting the outer frame in each seat back frame of various existing vehicle models is used as a frame base structure, and a common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is assembled to the frame base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back frame for an automobile seat which can obtain desired seating performance even when applied to any vehicle model, by merely integrating 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은, 외주 골격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upper frame)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래킷 및 하부 크로스 프레임(lower cross frame)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기본 구조체와, 인체의 허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까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 치수와,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체의 상반신을 원하는 착석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센터 파이프를 적어도 갖는 센터 지지체와, 인체의 척추의 요추에서부터 골반에 걸친 부분을 원하는 착석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센터 패널의 좌우 양단부에서 좌우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외 측을 향해 소정의 치수로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패널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양 센터 파이프의 하부에 상기 센터 패널의 후면이 고착되어서 이루어지는 표준사양 구조체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센터 파이프가 그 각 상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착되고, 또한, 상기 하부 크로스 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센터 파이프의 각 하단부가 고착되어서, 상기 프레임 기본 구조체와 상기 표준사양 구조체가 일체화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at back frame of the automobil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consisting of an upper frame constituting the outer fram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brackets and a lower cross frame At least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er pipes having a basic structure, a height dimen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waist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human body in a desired sitting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anels are inclined forwardly at predetermined dimensions toward the outside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panel having a center support and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a portion from the lumbar spine of the spine of the human body to the desired sitting posture. The cent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both center pipes while having a panel body extending. The rear surface of the null has a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formed by being fixed, and the pair of center pipes are arranged in the upper frame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protrudes from the upper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further,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center pipes is fixed to a lower cross frame, and the frame base structur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are integrat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프레임 기본 구조체에서의 기존의 상부 프레임의 시트 높이 치수의 부족에 관계없이 헤드 레스트의 장착 위치를 센터 지지체의 좌우의 센터 파이프의 높이에 의해 보충하여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체의 센터 패널이 인체의 척추의 요추에서부터 골반에 걸친 부분을 원하는 착석 자세로 지지하므로 이상적인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S 스프링이나 와이어와 같은 탄성 변형하는 탑승자 지지부품을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센터 패널이 양호한 착석 자세로 일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시트 백 프레임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에서는 장시간의 운전에 의한 피로에 따라 탑승자의 자세에 흐트러짐이 생기려고 하는 것을 어느 정도 강제적으로 억제하면서 탑승자가 항상 양호한 착석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능 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supplemented by the height of the center pipe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supporter and set to a desired value regardless of the lack of the seat height dimension of the existing upper frame in the frame basic structure. The center panel of the panel body supports the part of the human spine from the lumbar spine to the pelvis in the desired sitting position, so that the ideal sea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nd also using the elastically deformed occupant support parts such as the existing S spring or wire. Alternatively, the center panel can be integrally supported in a good sitting position. As a result, in the automobile seat using this seat back frame, the occupant always maintains a good seating posture while forcibly suppressing the disturbance in the posture of the occupant due to fatigue caused by long driving.

또,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의 사이드 서포트 성능의 부족을 보충하고, 탑승자의 상체의 흐트러짐이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척추나 그 주변의 근육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도록 작용하므로, 고차원의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 중 시트 쿠션 프레임에 연결할 수 있는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을 프레임 기본 구조체로 활용하므로, 형상이나 사이즈가 각각 다른 거의 모든 차종에 대하여 프레임 기본 구조체를 개조하지 않고 그대로 탑재하면서도 이상적인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ide support panel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ork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the side support performance of the existing seat back frame and to minimize the stress on the spine and the muscles around it while suppressing the disorder and shaking of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Therefore, a high dimensional sea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structure that forms the outer fram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of the existing seat back frame is used as the frame base structure, the frame base structure is not modified for almost all models having different shapes or sizes.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ideal sea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while being mounted as it is.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센터 지지체는, 1개의 파이프체를 구부려서 형성되어서, 역 U자형의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의 양단부에서부터 좌우 일체의 센터 파이프가 연속해서 연장하는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하면, 1개의 파이프체에 의해 센터 지지체를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Moreover, the center support body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automobile seat of this invention is formed by bending one pipe body, and has the shape which the center pipe of right and left integral continuously extends from the both ends of the inverted U-shaped headrest bracket part. If it is set as the structure, a center support body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by one pipe body.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센터 지지체가 좌우 한 쌍의 센터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그 한 쌍의 센터 파이프의 각 상단 개구부에 헤드 레스트가 그 한 쌍의 장착 각부(脚部)를 삽입하여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표준사양 구조체의 제작이 용이하며, 염가로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하다.Moreover, the center support body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automobile seat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er pipes, The head restraint is a pair of mounting angle part in each upper opening of the pair of center pipes, When the structure is installed by inserting the structu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and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at low cost.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그 적절한 위치에 장착된 쿠션 스페이서 부재를 통해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후속 주행차량으로부터 후면 추돌을 받았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탑승자의 상반신에 의해 센터 패널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사이드 브래킷의 안쪽으로 끌어 당겨질 때에 센터 패널에 대하여 안쪽을 향해 휘어지는 상태로 변위하고, 이 안쪽으로 변위하는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탑승자를 좌우에서 마치 감싸는 것과 같이 구속하여 보호할 수 있는 큰 부차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anels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automobil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elastical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pair of side brackets through cushion spacer members mounted at appropriate positions thereof. When the center panel is loaded by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moving rearward by the impact, when the rear panel collides with the next traveling vehicle, the side support panel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ulled into the side bracket. Large side effects can be obtained in which the side support panel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are displaced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nel and are inwardly displaced, can be restrained and protected as if the passengers are wrapped from side to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ack frame of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표준사양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다른 표준사양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and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도 3은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와 표준사양 구조체의 하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base structur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도 4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한 프런트 시트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front sheet constructed using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도 5A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한 시트 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B는 쿠션 스페이서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C는 그 쿠션 스페이서 부재의 장착 개소의 확대 횡단면도이고, 도 5D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의 후면 추돌 발생시의 횡단면도이다.Fig. 5A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eat back constructed using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spacer member, Fig. 5C is an enlarged cross sectional view of a mounting location of the cushion spacer member, and Fig. 5D is the sam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time of back collision of the seat back of an Example.

도 6A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B는 그 시트 백의 측면 충돌 발생시의 횡단면도이다.Fig. 6A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t back of the same embodiment, and Fig. 6B is a cross sectional view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of the seat back.

도 7A 및 도 7B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와 표준사양 구조체의 상부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본 사시도이다.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upp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base structur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도 8A 및 도 8B는 동 실시 예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와 표준사양 구조체의 상부 연결구조의 또 다른 2 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other two examples of the uppe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base structur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in the seat back frame of the embodiment.

도 9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 frame for a vehicle.

도 10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런트 시트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Fig. 10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r front sea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시트 백 프레임(1)은, 구성을 대별하면, 프레임 기본 구조체(2)에 표준사양 구조체(3A)를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기본 구조체(2)로는, 예를 들어 도 9의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47) 중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인 상부 프레임(52)과, 좌우 양측의 사이드 브래킷(53, 54) 및 하부 크로스 프레임(55)만이 사용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인 프레임 기본 구조체(2)로는, 본 실시 예에서 도시한 것 외에 기존의 다양한 차종의 시트 백 프레임에서의 외주 골격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하부 크로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주요 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차종에 기존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2)를 개조하지 않고 그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ack frame 1 of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ack frame 1 is constructed by attaching a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to the frame base structure 2, when the structure is roughly classified. As the frame basic structure 2, for example, the upper frame 52, which is a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isting seat back frame 47 of FIG. 9, the side brackets 53 and 54 and the lower cross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nly the frame 55 is used. In addition, as the frame basic structure 2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upper fram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and a bottom cross forming a peripheral frame in a seat back frame of various existing vehicle models The main structure is composed of a frame, and is installed in various vehicles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frame basic structure (2).

상기 표준사양 구조체(3A)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금속 파이프를 대략 역 U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센터 지지체(4)의 하부에 금속제의 패널체(7)가 후술하는 연결수단에 의해 고착된 일체 구조물이다. 상기 센터 지지체(4)는 좌우 양측의 센터 파이프(4a, 4b)와 상단 굴곡부로 이루어지는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4c)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표준사양 구조체(3A)로 헤드 레스트 일체 타입을 예시하고 있고,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4c)에 커버(도시생략)로 피복된 패드(도시생략)를 덮도록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헤드 레스트가 일체 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 2A,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is formed by connecting means which the metal panel body 7 is described later o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support 4 formed by bending a single metal pipe in a substantially inverted U shape. It is a fixed unitary structure. The center supporter 4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head rest bracket portion 4c composed of center pipes 4a and 4b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an upper bent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d rest integral type is illustrated as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and the head rest is joined and fixed to cover the pad (not shown) covered with the cover (not shown) to the head rest bracket portion 4c. Is installed integrally.

한편,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 분할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B)로 할 수도 있으며, 이 표준사양 구조체(3B)에서는 좌우 양측의 센터 파이프(9A, 9B) 만으로 센터 지지체(8)가 구성되어 있고, 별도의 헤드 레스트(44)가 헤드 레스트(44)의 한 쌍의 장착 각부(44a, 44b)를 상기 좌우 양측의 센터 파이프(9A, 9B)의 각 상단 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 패널체(7)는 양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 3A, 3B에 대해서 공통으로 이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B, it can also be set as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B of a headrest division type | mold, and in this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B, the center support body 8 only consists of the center pipes 9A and 9B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separate head rest 44 is mounted by inserting a pair of mounting leg portions 44a and 44b of the head rest 44 into the upper end openings of the center pipes 9A and 9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The panel 7 is commonly used for both types of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s 3A and 3B.

상기 패널체(7)는 센터 패널(7a)과 좌우 양측의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센터 패널(7a)의 후면에 센터 지지체(4)의 좌우 양측의 센터 파이프(4a, 4b)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은 센터 패널(7a)의 좌, 우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경사지게 외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센터 패널(7a)에는 그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문양의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준사양 구조체(3A, 3B)에서의 센터 지지체(4, 8) 및 패널체(7)의 치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panel body 7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center panel 7a and a pair of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and on both rear sides of the center supporter 4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nter panel 7a. Center pipes 4a and 4b are fixed by welding.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rotruded toward the outside inclined for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panel 7a, respectively. Further, the center panel 7a is formed with a pattern of irregularities that can reinforce its strength. The dimensions of the center supports 4 and 8 and the panel body 7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s 3A and 3B will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헤드 레스트 일체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A) 및 헤드 레스트 분해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B)는 기존의 다양한 차종의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기본 구조체(2)에 대하여 모두 공통으로 사용하여 부착된다. 표준사양 구조체(3A, 3B)와 프레임 기본 구조체(2)는 이하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일체화된다.The aforementioned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f the head rest integral typ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B of the headrest disassembly type are both common to the frame basic structure 2 composed of the main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outer frame of various existing vehicles. Is attached using.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s 3A and 3B and the frame base structure 2 are integrated by the following structure.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사양 구조체(3A 또는 3B)에서의 센터 지 지체(4)의 좌우의 센터 파이프(4a, 4b 또는 9A, 9B)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장착 브래킷(10)이 가로지르는 배치로 접촉하고, 그 장착 브래킷(10)의 좌우 양단에서 돌출한 장착 편(10a, 10b)을 각각의 후부를 감싸는 상태로 접촉시켜서 용접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다. 그 장착 브래킷(10)은 프레임 기본 구조체(2)에서의 하부 크로스 프레임(55)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11)를 하부 크로스 프레임(55)의 삽입 구멍(55a, 55b)에 삽입하여 장착 브래킷(10)의 나사 구멍(10c, 10d)에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하부 크로스 프레임(55)에 고착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attached to each lower end of the center pipes 4a, 4b or 9A, 9B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support member 4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r 3B. The brackets 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intersecting arrangement, and the mounting pieces 10a and 10b protruding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ounting bracket 10 are mounted by contacting and welding each rear part in a state of wrapping. The mounting bracket 10 is fixed to the insertion holes 55a and 55b of the lower cross frame 55 with the fixing screw 11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ross frame 55 in the frame base structure 2. It is fixed to the lower cross frame 55 by inserting and screwing into the screw holes 10c and 10d of the mounting bracket 10. FIG.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사양 구조체(3A 또는 3B)에서의 센터 지지체(4)의 좌우의 센터 파이프(4a, 4b 또는 9A, 9B)의 각각의 상단 근방 부분은 프레임 기본 구조체(2)의 상부 프레임(52)의 소정의 2개소(종래에 헤드 레스트 장착 브래킷(58) (도 9)이 장착되어 있는 개소)에 용접되어서, 이 용접에 의한 접합부(12)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upper vicinity of each of the center pipes 4a, 4b or 9A, 9B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support 4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r 3B is a frame base structure ( It is welded to predetermined 2 places (point where the headrest mounting bracket 58 (FIG. 9) is conventionally attached) of the upper frame 52 of 2), and is fixed by the joining part 12 by this welding. .

도 4는 도 2A의 헤드 레스트 일체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A)를 구비한 시트 백 프레임(1)을 이용하여 시트 백(14)이 구성된 프런트 시트(13)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본 도면에서, 도 10과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프런트 시트(13)의 시트 백 프레임(1)(도 1)에서는, 표준사양 구조체(3A)의 양 센터 파이프(4a, 4b)에서의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4c)와의 경계인 상단부까지의 프레임 높이(HF1)가 도 10의 종래의 프레임 높이 (HF1)에 비하여 상부 프레임(52)에서부터 양 센터 파이프(4a, 4b)가 상방으로 돌출 하는 돌출 길이 E만큼 높게 설정되어 있고, 이 양 센터 파이프(4a, 4b)에서 연속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4c)에 패드를 덮어씌우도록 삽입하여 설치되는 헤드 레스트(44)의 장착 높이도 상기 돌출 길이 E만큼 높게 되어 있다.FIG. 4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front seat 13 in which the seat back 14 is formed by using the seat back frame 1 having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f the headrest integral type of FIG. 2A. In FIG. 10,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in FIG. 10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In the seat back frame 1 (FIG. 1) of this front seat 13, the frame height to the upper end part which is a boundary with the headrest bracket part 4c in both center pipes 4a and 4b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H F1 ) is set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frame height (H F1 ) in FIG. 10 by the protruding length E from which both center pipes 4a and 4b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frame 52, and both center pipes The mounting height of the head rest 44 inserted and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pad in the head rest bracket portion 4c that extends continuously upwards at 4a and 4b is also as high as the protruding length E.

따라서, 이 시트 백 프레임(1)은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의 주요 구성인 프레임 기본 구조체(2)의 형상의 차이에 관계없이, 이들 프레임 기본 구조체(2)의 프레임 높이 HF2의 부족분을 양 센터 파이프(4a, 4b)에서 보충하여 항상 원하는 프레임 높이 HF1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양 센터 파이프(4a, 4b)는,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체의 흉추(胸椎)에서 요추(腰椎)에 걸친 척추의 S자 커브(Hs)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시트 백 프레임(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후면 추돌 발생에 의해 시트 백(14)이 뒤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탑승자(H)의 허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까지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헤드 레스트 분할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B)의 양 센터 파이프 9A, 9B는 상기 센터 파이프 4a, 4b와 동일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헤드 레스트 분할 타입의 표준사양 구조체(3B)를 이용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is seat back frame 1 is not limited to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frame base structure 2 which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seat back frame, and the center of the shortage of the frame height H F2 of these frame base structures 2 is centered. By supplementing in the pipes 4a and 4b, the desired frame height H F1 can always be obtained. In addition, both center pipes 4a and 4b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urve Hs of the spine from the thoracic spine of the human body to the lumbar spine when viewed from the side. As a result, when the seat back frame 1 is used, good sea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and when the seat back 14 is inclined backward due to rear collision, the head is held at the waist of the occupant 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rt can be restrained reliably. In addition, both center pipes 9A and 9B of the headrest split typ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B are set to the same dimensions as the center pipes 4a and 4b, so that the headrest split typ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B is used.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또, 표준사양 구조체(3A 또는 3B)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센터 지지체(4 또는 8)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의 흉추에서 요추에 걸친 S자 커브(Hs)에 따른 기본 골격을 확보하고 있음은 물론, 이에 더하여, 센터 지지체(4, 8)에 일체화된 금속제의 패널체(7)에서의 센터 패널(7a)이 장시간의 승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요통 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중요한 요추에서 골반에 걸친 자세가 이상적이 되는 착석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동시에, 기존의 S 스프링(57)이나 와이어(56) 또는 콘투어 매트와 같이 탄성 변형하는 탑승자 지지부품과는 달리, 금속제로서 탄성을 갖지 않는 것이므로, 상기 양호한 착석 자세로 일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탑승자(H)를 일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장시간의 운전에 의한 피로에 따라서 탑승자(H)의 자세가 흐트러지려고 하는 것을 어느 정도 강제적으로 억제하면서, 탑승자(H)가 항상 양호한 착석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r 3B secures the basic skeleton along the S-curve Hs from the thoracic spine of the human body to the lumbar spine as described above by the center support 4 or 8 made of a pipe.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the center panel 7a in the metal panel body 7 integrated with the center supports 4 and 8 is the posture from the lumbar spine to the pelvis, which is most importan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low back pain caused by long-term riding. It has a shape that can be supported to maintain a seating posture that is ideal, and, unlike the existing S spring 57, the wire 56 or the contour mat,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such as a passenger supporting part, it is elastic as a metal. Since it does not have, it can support integrally with the said favorable seating attitude. Since this structure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occupant H integrally, the occupant H is always restrained while forcibly restraining the attitude of the occupant H from disturbing due to fatigue caused by long driving. It will function to maintain a good sitting posture.

또, 상기 시트 백 프레임(1)에서는, 표준사양 구조체(3A 또는 3B)에서의 패널체(7)의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에서 도 4에 도시한 전방 돌출 길이 D1이 필요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기본 구조체(2)의 좌우 양측의 사이드 브래킷(53, 54)이 크기 치수가 부족한 경우에도, 이 치수 부족에 의한 사이드 서포트 성능의 부족을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이 보충하여, 탑승자(H)의 상체의 흐트러짐이나 흔들림을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이 충분히 억제하므로, 탑승자의 척추나 그 주변의 근육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고차원의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seat back frame 1, the front protrusion length D1 shown in FIG. 4 is required for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nel body 7 in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or 3B. It is set to a value. Therefore, even when the side brackets 53 and 54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basic structure 2 lack the size dimension,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rovided for the lack of the side support performance due to the lack of these dimensions. In addition, since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sufficiently suppress the disorder and shaking of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H, the stress generated in the backbone of the occupant and the muscles around the occupant can be minimized to a high degree. The seating performance of can be obtained.

상기 프레임 기본 구조체(2)는, 기존의 시트 백 프레임 중의 주요 구성으로서,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기구(42, 도 9)를 통해서 시트 쿠션 프레임(46, 도 9)에 연결할 수 있는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이다. 또, 상기 시트 백 프레임(1)은, 필요로 하는 일체 구조물인 표준사양 구조체(3A)를 서로 다른 차종의 다양한 프레임 기본 구조체(2)에 공통으로 조립하여, 이상적인 착석 성능이 얻어지는 시트 백 프레임(1)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 백 프레임(1)은 프런트 시트의 형상이나 사이즈가 각각 다른 거의 모든 차종에 대하여 그들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2)를 개조하지 않고 그대로 탑재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며,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이상적인 착석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매우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rame basic structure 2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existing seat back frame, and constitutes a main structure that forms an outer circumferential skelet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46 (FIG. 9) through the reclining adjuster mechanism 42 (FIG. 9). to be. The seat back frame 1 is a seat back frame in which a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which is a required integral structure, is commonly assembled to various frame basic structures 2 of different vehicle types, thereby obtaining an ideal seating performance ( 1) Therefore, the seat back frame 1 has a versatility to be mounted as it is without modification of the frame base structure 2 for almost all model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izes of the front seats, and suppresse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t the same time, a very remarkable effect of achieving the ideal seat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또, 상기 시트 백 프레임(1)은 후면 추돌 발생시나 측면 충돌 발생시에 탑승자(H)를 충분하게 구속할 수 있는 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으며, 이 기능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A는 도 4의 프런트 시트(13)의 시트 백(14)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 시트 백(14)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1)에서의 앞쪽 및 좌우 양측의 전체부분에 패드(17)를 덮어씌우는 상태로 장착하고, 이 패드(17)의 뒤쪽 양단부 사이에 커버(18)를 가로지르는 배치로 재봉하여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at back frame 1 also has a function of sufficiently restraining the occupant H when a rear collision occurs or a side collision occurs, and this fun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FIG. 5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back 14 of the front seat 13 of FIG. 4, wherein the seat back 14 has pads 17 in the entire portions of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1. ) Is mounted in a covering state, and is sewn and mounted in an arrangement crossing the cover 18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pad 17.

패널체(7)의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에는, 프레임 기본 구조체(2)의 좌우 양측의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전단부에 대향하는 개소에 받침 면(7d)이 굴곡에 의해 형성되고, 이 부분의 확대 단면인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받침 면(7d)에는 쿠션 스페이서 부재(19)가 장착 구멍(7e)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구성요소의 이해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의 상기 받침 면(7d)을 생략하여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상기 쿠션 스페이서 부재(19)는, 그 확대 사시도인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스페이서부(19a)와, 받침 면(7d)의 장착 구멍(7e)에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장착 축 부(19b)와, 원추 형상의 압입부(壓入部)(19c)와, 삽입 가이드 핀부(19d)가 상기 순서로 하방에서부터 연접(連接)된 일체 형상으로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nel body 7, the supporting surface 7d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brackets 53 and 5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basic structure 2. As shown in Fig. 5C, which is formed by bending and is an enlarged cross section of this portion, a cushion spacer member 19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7e on this support surface 7d. In FIG. 1 and FIG. 2, the said support surface 7d of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is abbreviate | omitted briefly for the purpose of easy understanding of a component. As shown in Fig. 5B, which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the cushion spacer member 19 has a small diameter mounting shaft inserted into the disc-shaped spacer portion 19a and the mounting hole 7e of the support surface 7d. The portion 19b, the conical press-fit portion 19c, and the insertion guide pin portion 19d are formed of rubber in an integral shape which is connected from below in the above order.

상기 쿠션 스페이서 부재(19)는 이하의 순서로 받침 면(7d)에 장착되어 있다. 즉, 쿠션 스페이서 부재(19)는 삽입 가이드 핀부(19d)를 받침 면(7d)의 장착 구멍(7e)에 하방에서 삽입하여 위치결정을 한 후에, 장착 구멍(7e) 내에 밀어넣도록 가압을 함으로써 원추형상의 압입부(19c)를 압박하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장착 구멍(7e)을 통과시키면, 압입부(19c)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장착 구멍(7e) 내에 삽입된 장착 축 부(19b)의 양단에 위치하는 압입부(19c)와 스페이서부(19a)가 받침 면(7d)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위치하는 상태로 받침 면(7d)에 고착된다.The cushion spacer member 19 is attached to the support surface 7d in the following order. That is, the cushion spacer member 19 is inserted below the insertion guide pin portion 19d into the mounting hole 7e of the support surface 7d to position it, and then pressurized to be pushed into the mounting hole 7e. When the conical press-fitting portion 19c passes through the mounting hole 7e while elastically deforming into a pressing shape, the press-fitting portion 19c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nd the mounting shaft portion 19b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7e is inserted. The press-fitting portion 19c and the spacer portion 19a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c) are fixed to the supporting surface 7d with the supporting surface 7d interposed therebetween.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은 쿠션 스페이서 부재(19)의 스페이서부(19a)를 통해서 좌우 양측의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전단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되게 되어 있다. 기존의 프레임 기본 구조체(2)에서의 사이드 브래킷(53, 54)은 차종별로 형상이나 크기가 약간 다르고, 표준사양 구조체(3A)는 각 차종에 대하여 공통으로 이용하므로,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의 받침 면(7d)과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전단부와의 간극은 차종의 차이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서로 다르지만, 그 간극의 약간의 차이는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부(19a)를 갖는 복수의 쿠션 스페이서 부재(19) 중에서 이 차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받침 면(7d)에 장착하거나, 또는 스페이서부(19a)의 고무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elastically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side brackets 53 and 54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rough the spacer portions 19a of the cushion spacer member 19. It is to be supported by contact with Since the side brackets 53 and 54 in the existing frame base structure 2 are slightly different in shape or size by vehicle typ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is commonly used for each vehicle type,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are used. The gap between the support surface 7d of the side wall) and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brackets 53 and 54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difference of the vehicle type, but the slight difference in the gap has a spacer portion 19a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mong the plurality of cushion spacer members 19, a suitable one that can cope with this difference can be selected and mounted on the support surface 7d or absorb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ubber of the spacer portion 19a.

후방 주행차량으로부터 추돌을 당한 때에, 도 5A의 구조를 갖는 시트 백(14)은 그 충격에 의한 관성에 의해 탑승자(H)로부터 표준사양 구조체(3A)의 패널체(7) 및 센터 지지체(4)에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하중이 인가됨에 따라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체(7)의 센터 패널(7a) 및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이 상기 하중을 받아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좌우 양측의 사이드 브래킷(53, 54)은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기구를 통해서 시트 쿠션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질 뿐, 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은, 쿠션 스페이서 부재(19)가 사이드 브래킷(53, 54)에서 이탈하여 앞쪽 부분이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안쪽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때에 사이드 브래킷(53, 54)의 전단부에 접촉하면서 안쪽으로 누르는 힘을 받으므로, 도 5D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패널(7a)에 대해 안쪽을 향해서 구부러지는 상태로 변형해간다.In the event of a collision from the rear traveling vehicle, the seat back 14 having the structure of FIG. 5A is moved from the occupant H to the panel body 7 and the center support 4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by the inertia caused by the impact. As a load to move rearward to () is applied, as shown in FIG. 5D, the center panel 7a of the panel body 7 and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receive the load and move backwards. Is moved. At this time,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 brackets 53 and 54 are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through the reclining adjuster mechanism, the side brackets 53 and 54 are inclined slightly backwards and are not moved backwards. Accordingly,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sides move backward while the cushion spacer member 19 is separated from the side brackets 53 and 54 and the front portion is pulled into the side brackets 53 and 54. At this time, since it receives a pressing force inward while contacting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brackets 53 and 54,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5D, it is deformed to be bent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nel 7a. Do it.

상기 안쪽을 향해서 변형되는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은 탑승자(H)에 대하여 좌우에서 감싸도록 구속하여 보호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은, 상술한 통상 주행시의 탑승자(H)의 상체의 흐트러짐이나 흔들림을 충분하게 억제하는 사이드 서포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능에 더하여, 후면 추돌의 발생시에 탑승자(H)를 좌우에서 구속하여 보호하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다.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deformed inwardly have a function of restraining and protecting the passenger H from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have the function of ensuring the side support performance that sufficiently suppresses the disorder and shaking of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H at the time of normal driving described above. It also has the function of restraining and protecting the occupant H from side to side at the time of occurrence.

또, 측면 충돌 발생시에는, 도 6A의 정상 상태의 시트 백(14)에서, 예를 들 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봤을 때 좌측면에서 충돌된 경우에, 그 충돌한 자동차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패드(17) 및 쿠션 스페이서 부재(19)를 통해서 패널체(7)의 좌측 사이드 서포트 패널(7b)의 전반부(前半部)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도 6B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서포트 패널(7b)은 센터 패널(7a)에 대하여 안쪽을 향해서 휘어지는 상태로 변형해간다. 이 안쪽을 향해 변형되는 좌측 사이드 서포트 패널(7b)은 탑승자(H)를 감싸도록 구속하여 보호하는 동시에, 좌측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자체가 갖는 탄성에 의해 충돌 차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므로, 탑승자(H)에게 가해지는 장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event of a lateral collision, in the seat back 14 in the steady state of FIG. 6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vehicle from the crashed vehicle Since a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half of the left side support panel 7b of the panel 7 through the pad 17 and the cushion spacer member 19 by the impact,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6B. The left side support panel 7b deforms in a state of being bent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nel 7a. The left side support panel 7b, which is deformed inward, restrains and protects the occupant H, and absorbs the impact of the crash vehicle by the elasticity of the left side support panel 7b itself. It can reduce the obstacles to (H).

상기 실시 예에서는, 장착 브래킷(10)과 하부 크로스 프레임(55)을 고정 나사(11)에 의해 고착하는 하부 연결수단과, 좌우의 센터 파이프(4a, 4b 또는 9A, 9B)를 상부 프레임(52)에 용접하는 상부 연결수단에 의해서, 프레임 기본 구조체(2)와 표준사양 구조체(3A, 3b)를 연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연결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 ~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양단부를 구부려서 걸림 후크부(20a, 20b)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20)를 이용하여, 이 걸림 부재(20)를 상부 프레임(52)의 상부 후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좌우의 센터 파이프(4a, 4b)를 후방에서 감싸는 상태로 양단의 걸림 후크부(20a, 20b)를 걸어서, 이 각 걸림 후크부(20a, 20b)를 상부 프레임(52)에 용접하여, 이 용접에 의한 접합부(21)에 의해서 고정한다. 이 상부 연결수단에서는 좌우의 센터 파이프(4a, 4b)와 상부 프레임(52)을 직접 용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합 강도가 높아진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wer connecting means for fixing the mounting bracket 10 and the lower cross frame 55 by the fixing screw 11, and the left and right center pipes 4a, 4b or 9A, 9B, the upper frame 52 The case where the frame base structure 2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s 3A and 3b are connected by the upper connecting means welded to the above) is described. However, other means may be used for this conn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7A to 7B, the locking member 20 is formed by using the locking member 20 formed by bending both ends of the wire to form the locking hook portions 20a and 20b. While engaging the upper back of the 52, the hook hooks 20a and 20b at both ends are hook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center pipes 4a and 4b from the rear, so that the hook hooks 20a and 20b are fastened. It is welded to the upper frame 52 and fixed by the joining part 21 by this welding. In this upper connecting means, the joining strength is high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left and right center pipes 4a and 4b and the upper frame 52 are directly welded.

또, 다른 상부 연결수단으로는, 도 8A ~ 도 8B에 각각 도시한 수지제의 연결구(22, 23)를 이용한다. 도 8A의 연결구(22)는 1개의 밴드체의 일단 및 타 단에 각각 결합 홈(22a) 및 결합 톱니부(22b)를 형성한 것으로, 센터 파이프(4a, 4b)의 상하 2개소와 상부 프레임(52)을 연결하도록 감싸는 상태로 결합 톱니부(22b)를 결합 홈(22a)에 삽입시킨 후, 결합 톱니부(22b)를 결합 홈(22a)으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센터 파이프(4a, 4b)와 상부 프레임(52)을 서로 동여매는 상태로 고정한다.As other upper connecting means, resin connectors 22 and 23 made of resin shown in Figs. 8A to 8B, respectively, are used. The connector 22 in Fig. 8A is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22a and coupling teeth 22b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band body,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two places and the upper frame of the center pipes 4a and 4b. The center pipe 4a by inserting the engaging teeth 22b into the engaging grooves 22a in a wrapped state so as to connect the 52, and then pulling the engaging teeth 22b in the direction of drawing out from the engaging grooves 22a. , 4b) and the upper frame 52 are fixed while being tied together.

한편, 도 8B의 연결구(23)는 경질합성수지에 의해 상하 2개의 압입 구멍(23a, 23b)과 중앙 만곡부(23c)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2개의 압입 구멍(23a, 23b)에 각각 센터 파이프(4a, 4b)를 압입(壓入)하고, 또한 중앙 만곡부(23c)에 상부 프레임(52)을 압입함으로써 센터 파이프(4a, 4b)와 상부 프레임(52)을 상호 고정하여 연결한다. 이들 수지제의 연결구(22, 23)를 이용하는 연결수단에서는 용접공정을 삭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23 of Fig. 8B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wo indentation holes 23a and 23b and the central curved portion 23c are integrally formed by hard synthetic resin, and the two indentation holes 23a and 23b are formed. ) Center pipes 4a and 4b are press-fitted in the center pipes 4a and 4b, respectively, and the center frames 4c and the upper frame 52 are press-fitted in the center bent portion 23c. Connect. The connecting means using these resin connector 22, 23 has the advantage that a welding process can be elimin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머리 부분에서 허리 부분까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 치수, 및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체의 상반신을 원하는 착석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센터 지지체와, 인체의 척추에서 요추에서부터 골반에 걸친 부분을 원하는 착석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센터 패널의 좌우 양단부에서 각각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부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외측을 향해 원하는 치수로 일체적으로 연장되어서 이루어지는 패널체 를 일체화한 표준 개조 구조체를, 다른 차종의 각 시트 백 프레임의 외주 골격을 이루는 주요 구성인 다양한 프레임 기본 구조체에 조립한 구성으로 한 점에서, 큰 비용상승을 초래하지 않고도, 다양한 차종에 대하여 소기의 착석성능을 얻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enter support having a height dimen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head to the waist of the human body, and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human body in a desired sitting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reof, 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panel, which has a shape that can support the part from the lumbar spine to the pelvis in the spine of the human body in a desired sitting position, the side support panel portion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inclined forward and integrally in the desired dimension toward the outside. The standard reconstructed structure incorporating the extended panel body is assembled to various frame basic structure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forming the outer frame of each seat back frame of different vehicle models, so that various costs can be increased without incurring significant cost increase. Seat back of car seats to obtain desired seating performance for the car model It can realize the frame.

Claims (4)

외주 골격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upper frame)(52)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래킷(53, 54) 및 하부 크로스 프레임(lower cross frame)(55)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기본 구조체(2)와,An upper frame 52 constituting the outer frame, a frame base structure 2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brackets 53 and 54 and a lower cross frame 55, 인체의 허리 부분에서 머리 부분까지를 지지할 수 있는 높이 치수와,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인체의 상반신을 원하는 착석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센터 파이프(4a, 4b)를 적어도 갖는 센터 지지체(4)와, 인체의 척추의 요추에서부터 골반에 걸친 부분을 원하는 착석 자세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센터 패널(7a)의 좌우 양단부에서 좌우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외 측을 향해 소정의 치수로 각각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패널체(7)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양 센터 파이프(4a, 4b)의 하부에 상기 센터 패널(7a)의 후면이 고착되어서 이루어지는 표준사양 구조체(3A)를 가지며,At least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er pipes 4a and 4b having a height dimens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waist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human body in a desired sitting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reof The left and right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enter supporter 4 having the support and the center panel 7a having a shape capable of supporting a portion from the lumbar spine of the human spine to the desired sitting posture. Standard having a panel body (7)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mension toward the outside inclined forward, and the rear of the center panel (7a)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er pipe (4a, 4b) Has a specification structure 3A, 상기 상부 프레임(52)에 상기 한 쌍의 센터 파이프(4a, 4b)가 그 각 상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52)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착되고, 또한, 상기 하부 크로스 프레임(55)에 상기 한 쌍의 센터 파이프(4a, 4b)의 각 하단부가 고착되어서, 상기 프레임 기본 구조체(2)와 상기 표준사양 구조체(3A)가 일체화되어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The pair of center pipes 4a and 4b are arranged and fixed to the upper frame 52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ir upper ends protrude from the upper frame 52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lower cross A seat back frame for an automobile seat, wherei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center pipes (4a, 4b) are fixed to the frame (55) so that the frame base structure (2)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structure (3A) are integra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센터 지지체(4)는, 1개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형성되어서, 역 U자형의 헤드 레스트 브래킷부(4c)의 양단부에서부터 좌우 일체의 센터 파이프(4a, 4b)가 연속해서 연장하는 형상을 갖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The center supporter 4 is formed by bending one pipe, and has an automobile seat having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ntegral center pipes 4a and 4b extend continuously from both ends of the inverted U-shaped headrest bracket portion 4c. Seat back fram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센터 지지체(8)가 좌우 한 쌍의 센터 파이프(9A, 9B)로 이루어지고, 그 한 쌍의 센터 파이프(9A, 9B)의 각 상단 개구부에 헤드 레스트(44)가 그 한 쌍의 장착각부(脚部)(44a, 44b)를 삽입하여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The center support 8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er pipes 9A and 9B, and a head rest 44 is provided at each top opening of the pair of center pipes 9A and 9B. A seat back frame for an automobile seat in which 44a and 44b are inserted.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7b, 7c)이 그 적절한 위치에 장착된 쿠션 스페이서 부재(19)를 통해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래킷(53, 5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백 프레임.Automobile seats in which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ide support panels 7b and 7c are elastical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pairs of side brackets 53 and 54 through cushion spacer members 19 mounted at appropriate positions thereof. Seat back frame.
KR1020077016896A 2005-03-11 2005-06-03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KR1011628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8830A JP4728669B2 (en) 2005-03-11 2005-03-11 Seat back frame for automobile seat
JPJP-P-2005-00068830 2005-03-11
PCT/JP2005/010221 WO2006095455A1 (en) 2005-03-11 2005-06-03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488A true KR20070110488A (en) 2007-11-19
KR101162801B1 KR101162801B1 (en) 2012-07-05

Family

ID=3695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896A KR101162801B1 (en) 2005-03-11 2005-06-03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28669B2 (en)
KR (1) KR101162801B1 (en)
CN (1) CN100532157C (en)
WO (1) WO200609545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00A (en) * 2014-06-20 2015-12-31 현대다이모스(주) Seat surpport and seat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7929B1 (en) * 2008-10-20 2016-04-13 NHK Spring Co., Ltd. Seat back fram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and seat for vehicle with seat back frame structure
JP5639367B2 (en) * 2010-02-24 2014-12-1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Vehicle seat
JP5861217B2 (en) 2010-09-02 2016-0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seat device
WO2012172674A1 (en) 2011-06-16 2012-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eat backboard and car seat
JP5387635B2 (en) * 2011-08-29 2014-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eat backboard and vehicle seat using the same
EP2871093B1 (en) * 2012-07-06 2018-11-14 TS Tech Co., Ltd. Seat device for vehicle
EP3339090B1 (en) * 2013-09-18 2020-08-1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20180126882A1 (en) * 2015-08-04 2018-05-10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6530822B2 (en) 2015-10-29 2019-06-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Skeletal structure and vehicle seat
DE102016123681B4 (en) 2016-12-07 2018-11-29 Faurecia Autositze Gmbh Fastening means for pivotally securing a seat pan of a vehicle seat, vehicle seat and method for pivotally attaching a seat pan to a vehicle seat
US10737053B2 (en) 2016-12-09 2020-08-11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Occupant comfort system
CN107462194A (en) * 2017-08-08 2017-12-12 上海机动车检测认证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Automobile three-dimensional H point measurement apparatus
JP6484307B2 (en) * 2017-08-31 2019-03-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Vehicle seat
US10710479B2 (en) 2017-12-19 2020-07-14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Occupant comfort system
US10493878B2 (en) 2017-12-22 2019-12-0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Motion sickness mitigation
US10391899B2 (en) 2017-12-22 2019-08-2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Motion sickness mitigation
US10377275B2 (en) 2017-12-28 2019-08-1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Motion sickness mit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226A (en) * 1985-07-25 1987-02-03 Ricoh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hape of wave front
JPS6225226U (en) * 1985-07-30 1987-02-16
JP3330304B2 (en) * 1997-04-21 2002-09-3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Automotive seat frame
JP3799823B2 (en) * 1998-06-17 2006-07-19 マツダ株式会社 Vehicle seat structure
JP3519644B2 (en) * 1999-09-07 2004-04-1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Car seat
JP2001270358A (en) * 2000-03-24 2001-10-02 Araco Corp Light alloy seat back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00A (en) * 2014-06-20 2015-12-31 현대다이모스(주) Seat surpport and sea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95455A1 (en) 2006-09-14
CN101142106A (en) 2008-03-12
KR101162801B1 (en) 2012-07-05
CN100532157C (en) 2009-08-26
JP4728669B2 (en) 2011-07-20
JP2006248414A (en)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01B1 (en) Seat back frame of seat for automobile
EP2727765B1 (en) Vehicle seat
JP6367406B2 (en) Vehicle seat
JP4836422B2 (en) Sheet
CN104781105B (en) Auto use chair
CN107662528B (en) Composite one-piece gasket projection
JP4728670B2 (en) Automotive seat backrest frame
JP5956592B2 (en) Vehicle seat
CN110525297A (en) Vehicle seat
WO2018025796A1 (en) Seat
US9254763B2 (en) Vehicle seat
JP7132533B2 (en) vehicle seat
JP3744210B2 (en) Vehicle seat back
JP3695161B2 (en) Automotive headrest structure
JP6867262B2 (en) Vehicle seat
JP2747192B2 (en) Spring structure for seat
JP5956594B2 (en) Vehicle seat
JP2747189B2 (en) Spring structure for seat
JP2014008841A (en) Vehicle seat
JP2854779B2 (en) Spring structure for seat
JP7099268B2 (en) Vehicle seat frame
JP6254642B2 (en) Vehicle seat
JP2747190B2 (en) Spring structure for seat
JP2024025079A (en) Seat spring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seat
JP2793118B2 (en) Spring structure fo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