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621A -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621A
KR20070109621A KR1020060042870A KR20060042870A KR20070109621A KR 20070109621 A KR20070109621 A KR 20070109621A KR 1020060042870 A KR1020060042870 A KR 1020060042870A KR 20060042870 A KR20060042870 A KR 20060042870A KR 20070109621 A KR20070109621 A KR 20070109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oor
airbag
passenger seat
crash pad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644B1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64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a soft material and a rigid material, e.g. making articles with a seal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28Moulds with mould parts forming holes in or through the moulded article, e.g. for bear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 실내로 회동 작동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 및 접합면적의 증대를 위해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경사부를 엠보 결합시켜 에어백 도어부의 회동에 따른 접합 강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를 일체 사출 성형하여 접합라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며 에어백 도어부가 크래시패드의 외측으로 작동될 때 이탈 및 파단으로 인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하여 사용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크래쉬패드, 도어커버부, 절개홈, 제 1,2엠보부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The Structure All Injection Invisible Air-Ba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상,하부금형 10 : 크래쉬패드
12 : 제 2엠보부 14 : 제 2경사부
22 : 제 1엠보부 24 : 제 1경사부
20 : 도어커버부 26 : 절개홈
28 : 마운팅부 30 : 제 3엠보부
40 : 무엠보 구간
본 발명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 실내로 회동 작동되 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 및 접합면적의 증대를 위해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경사부를 엠보 결합시켜 에어백 도어부의 회동 작동에 따른 접합 강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를 일체 사출 성형하여 접합라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사용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안전에 대한 요구 조건의 증대와 함께 이와 관련된 법규 강화로 인해 운전석 에어백 및 조수석 에어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에어백은 차량 충돌 발생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에 부딪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핸들 내부에 설치되거나, 탑승객까지 보호하기 위해 조수석 전방의 크래시패드 내측에 별도의 에어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백 구조는 크래시패드의 내측에 에어백이 구비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어 크래시패드상에 설치되며 회전부가 구비된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크래시패드에 결합시키기 위한 슈트와, 상기 크래시패드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슈트는 도어 플레이트의 단부에 볼팅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에어백 구조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 작동되면서 도어 플레이트에 압력이 가해지고, 도어커버에 형성된 티어라인(Tear Line)을 찢으면서 에어백이 전개 작동된다.
상기 작동 과정 중에 회전부의 길이가 짧거나 두꺼워서 도어 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충분히 확장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도어커버의 단부가 접히면서 파단 되 어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객을 향해 파편이 날아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부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상기 도어커버의 회전 작동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의 간섭을 회피하여 레이아웃을 재배치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 및 접합 면적이 증대 되도록 구조를 변경하고 에어백 도어 작동에 따른 파단을 방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는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의 내측으로 제 1엠보부가 요입 형성된 도어바디와, 상기 도어바디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제 1엠보부와 밀착 결합 되도록 제 2엠보부가 구비된 제 2경사부가 형성되되 각각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후면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백 하우징과 연결 설치되는 마운팅부가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형태 또는 “H”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는 상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제 3엠보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엠보부는 차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굴절시켜 차 실내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는 양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 3엠보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엠보 구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24)의 내측으로 제 1엠보부(22)가 요입 형성된 도어바디(21)와, 상기 도어바디(21)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26)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1)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후면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백 하우징(6)과 연결 설치되는 마운팅부(28)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6)은 단면 형상이“∧”형태 또는 “H”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4)이 원할 하게 찢어지기 위해서이다.
상기 절개홈(24)은 에어백(1) 작동시에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에 가해지는 팽창력에 의해 원할 하게 파단 가능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래시패드(10)는 PPF재질로 형성되고, 에어백 도어부(20)는 연성이 높은 TPO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가 TPO재질로 형성되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대한 물성 변화가 적으며 온도 산포 변화가 발생해도 에어백 도어부(20)의 작동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부(20)는 별도의 후면 지지구조 없이 탑승객의 머리부에 의한 헤드 임팩트(Head Impact)시 찢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TPO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제 1엠보부(22)와 밀착 결합 되도록 제 2엠보부(12)가 구비된 제 2경사부(14)가 형성되되 각각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1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와 크래시패드(10)는 상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제 3엠보부(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는 양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 3엠보부(30)가 형성되지 않은 무엠보 구간(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 과,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를 성형하기 위해 상,하부금형(2,4)이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사출기(미도시)를 통해 재료가 주입되어 상기 크래시패드(1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10)의 재료가 주입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슬라이드 금형(4a)이 에어백 도어부(20)가 성형 되는 거리만큼 하부 방향으로 후퇴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백 도어부(20)의 재료가 주입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는 마운팅부(28)와 일체 형성되어 에어백 도어부(2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와 같이 크래쉬패드(10)의 재료와 에어백 도어부(20)의 재료가 시간차를 두고 상하부금형(2,4)상에 주입되면 상기 크래쉬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가 면접촉된 경계부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보이지 않게 되며, 견고한 상태로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제 1엠보부(22)와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크래쉬패드(10)의 제 2엠보부(12)는 일반적인 면접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보다 접합 면적이 증대되고, 제 2엠보부(12)가 제 1엠보부(12)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접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가 증대된다.
상부금형(2)과 슬라이드 금형(4a)이 면접촉되는 무엠보 구간(40)은 서로 다 른 이종 재질이 면접촉되는 곳이기 때문에 엠보를 형성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크래쉬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의 접합라인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성형된다.
상기 슬라이드 금형(4a)은 크래쉬패드(10) 성형시에 에어백 도어부(20)의 영역으로 재료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활을 하게 되며, 도면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슬라이드 금형(4a)이 위치한 최초의 위치 상태이고, 상기 크래쉬패드(10)의 재료가 모두 주입된 이후에는 하부 방향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슬라이딩 금형(4a)의 후퇴량만큼 접합면적이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제 1,2엠보부(12,22)의 결합에 의해 면접합이 이루어지면 별도의 슈트부(미도시)를 설치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c를 참조하면,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의 성형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상,하부 금형(2,4)을 후퇴시킨 상태에서 마운팅부(28)와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6)을 별도로 구비되는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성형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면, 차량이 도로를 따라 주행하다가 전방 또는 마주 오는 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차체에 구비된 감지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1)이 전개 작동된다.
상기 에어백(1)은 별도로 구비된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6)의 전방으로 전개되면서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에 팽창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첨부된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면에 팽창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4) 부분에 파단이 발생되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에어백 도어부(20)는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부(20) 전체가 외측으로 회동 작동된다.
첨부된 도 3c를 참조하면, 도 3b의 상태에서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20)는 크래쉬패드(10)의 외측으로 각각 회동 작동되되,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제 1엠보부(22)와 크래쉬패드(10)의 제 2엠보부(12)가 밀착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외측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엠보부(22,24)가 결합된 부위는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완전히 회동 작동될 때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서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객이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파단된 파편에 의해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며, 안전하게 탑승객을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구조를 엠보 결합을 통해 각각 결합 함으로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차실 내부에서 크래시패드와 결합된 에어백 도어부와의 접합 라인이 보이지 않도록 일체 사출로 성형하여 금형 단일화에 따른 비용 절감과 조립시 발생 되었던 갭 및 단차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의 파단 현상이 발생 되지 않아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탑승객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의도한 방향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금속 플레이트 및 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과 하중이 감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의 내측으로 제 1엠보부가 요입 형성된 도어바디, 상기 도어바디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 및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제 1엠보부와 밀착 결합 되도록 제 2엠보부가 구비된 제 2경사부가 형성되되 각각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후면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에어백 하우징과 연결 설치되는 마운팅부가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H”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는 상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제 3엠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는 양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 3엠보부가 형성되지 않은 무엠보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20060042870A 2006-05-12 2006-05-12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78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870A KR100787644B1 (ko) 2006-05-12 2006-05-12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2870A KR100787644B1 (ko) 2006-05-12 2006-05-12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621A true KR20070109621A (ko) 2007-11-15
KR100787644B1 KR100787644B1 (ko) 2007-12-21

Family

ID=3906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870A KR100787644B1 (ko) 2006-05-12 2006-05-12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4330A1 (en) * 2022-02-09 2023-08-17 Yanfeng International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519A (ja) 1997-03-17 1998-09-22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JP2003252081A (ja) 2002-02-28 2003-09-09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ドア一体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527766B1 (ko) * 2003-11-20 200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JP2005153232A (ja) 2003-11-21 2005-06-16 Toyoda Gosei Co Ltd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644B1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468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10076752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81283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909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구조
KR100717453B1 (ko)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구조
US6164685A (en) Deployment door for air bag module
KR100787645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US7484754B2 (en)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irbag device
KR100527766B1 (ko)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747866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1052988B1 (ko) 에어백 어셈블리
KR100757140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1010819B1 (ko) 무릎 에어백 모듈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JP200311259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品
KR101406608B1 (ko) 차량 글로브박스의 무릎에어백
JP405115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3146170A (ja) エアバッグドア付車両用内装品
GB2330117A (en) Protective structures around airbag deployment door.
KR100569414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의 조립구조
JP4604898B2 (ja)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3146169A (ja) エアバッグドア
KR100521034B1 (ko) 조수석 에어백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KR10073598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