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140B1 -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140B1
KR100757140B1 KR1020060037391A KR20060037391A KR100757140B1 KR 100757140 B1 KR100757140 B1 KR 100757140B1 KR 1020060037391 A KR1020060037391 A KR 1020060037391A KR 20060037391 A KR20060037391 A KR 20060037391A KR 100757140 B1 KR100757140 B1 KR 10075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bag door
crash pad
air bag
ba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 실내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 향상을 위해 각각 면접촉되는 부위를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여 에어백 도어부의 회동에 따른 접합 강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를 일체 사출 성형하여 접합라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며, 상기 크래시패드와 에어백 도어부가 면접촉된 하측에 슈트부를 진동 융착에 의해 고정시켜 상기 에어백 도어부가 크래시패드의 외측으로 작동될 때 이탈 및 파단으로 인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하여 사용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크래시패드, 에어백 도어부, 슈트부, 절개홈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The structure All injection Invisible Air-Bag Do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상,하부금형 10 : 크래시패드
12 : 제 2경사부 20 : 에어백 도어부
22 : 제 1경사부 30 : 슈트부
32 : 장착홀
본 발명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차 실내로 회동 작동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 향상을 위해 각각 면접촉되는 부위를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여 에어백 도어부의 회동 작동에 따른 접합 강성을 증대시키고, 서로 다른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를 일체 사출 성형하여 접합라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며 상기 크래시패드와 에어백 도어부가 면접촉된 하측에 슈트부를 진동 융착에 의해 고정시켜 상기 에어백 도어부가 크래시패드의 외측으로 작동될 때 이탈 및 파단으로 인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하여 사용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안전에 대한 요구 조건의 증대와 함께 이와 관련된 법규 강화로 인해 운전석 에어백 및 조수석 에어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에어백은 차량 충돌 발생시 운전자의 머리 부분이 핸들에 부딪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핸들 내부에 설치되거나, 탑승객까지 보호하기 위해 조수석 전방의 크래시패드 내측에 별도의 에어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백 구조는 크래시패드의 내측에 에어백이 구비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방에 구비되어 크래시패드상에 설치되며 회전부가 구비된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크래시패드에 결합시키기 위한 슈트와, 상기 크래시패드의 전면에 구비되는 도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슈트는 도어 플레이트의 단부에 볼팅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에어백 구조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 작동되면서 도어 플레이트에 압력이 가해지고, 도어커버에 형성된 티어라인(Tear Line)을 찢으면서 에어백이 전개 작동된다.
상기 작동 과정 중에 회전부의 길이가 짧거나 두꺼워서 도어 플레이트가 회 전될 때 충분히 확장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도어커버의 단부가 접히면서 파단 되어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객을 향해 파편이 날아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부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상기 도어커버의 회전 작동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들의 간섭을 회피하여 레이아웃을 재배치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조를 변경하고 에어백 도어 작동에 따른 파단을 방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는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가 형성된 도어바디, 상기 도어바디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제 1경사부와 각각 면접촉되는 제 2경사부가 형성되되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 및 상기 크래시패드와 에어백 도어부와의 접합면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에어백 하우징과 연결 설치되되, 진동 융착 공법에 의해 상기 크래시패드 및 에어백 도어부에 상호 긴밀하게 융착 고정되는 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형태 또는 “H”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 슈트부는 에어백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 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22)가 형성된 도어바디(21)와, 상기 도어바디(21)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24)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1)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4)은 단면 형상이“∧”형태 또는“H”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4)이 원할 하게 찢어지기 위해서이다.
상기 절개홈(24)은 에어백(1) 작동시에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에 가해지는 팽창력에 의해 원할 하게 파단 가능한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크래시패드(10)는 PPF(Thermo Plastic Olefin)재질로 형성되고, 에어백 도어부(20)는 연성이 높은 TPO(Polypropylene Filled)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가 TPO재질로 형성되는 이유는 온도 변화에 대한 물성 변화가 적으며 온도 산포 변화가 발생해도 에어백 도어부(20)의 작동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부(20)는 별도의 후면 지지구조 없이 탑승객의 머리부에 의한 헤드 임팩트(Head Impact)시 찢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TPO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제 1경사부(22)와 각각 면접촉되는 제 2경사부(12)가 형성되되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10)가 구비된다.
상기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와의 접합면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에어백 하우징(6)과 연결 설치되는 슈트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슈트부(30)는 진동 융착 공법에 의해 상기 크래시패드(10) 및 에어백 도어부(20)에 상호 긴밀하게 융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슈트부(30)에는 에어백 하우징(6)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 되도록 장착홀(3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성형 과정 과,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를 성형하기 위해 상하부금형(2,4)이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사출기(미도시)를 통해 크래시패드(10)에 재료가 주입되어 상기 크래시패드(10)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시패드(10)의 재료가 주입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슬라이드 금형(4a)이 에어백 도어부(20)가 성형 되는 거리만큼 하부 방향으로 후퇴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백 도어부(20)의 재료가 주입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된다.
상기와 같이 크래시패드(10)의 재료와 에어백 도어부(20)의 재료가 시간차를 두고 상하부금형(2,4)상에 주입되면 상기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의 면접촉된 경계부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보이지 않게 성형되며 견고한 상태로 접합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2c를 참조하면, 도 2b에서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4)을 각각 후퇴시키고, 슈트부(30)를 크래시패드(10)와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 접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진동 융착 공법에 의해 융착 시킨다. 상기와 같이 슈트부(30)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 1경사부(22)(도 1참조)와 제 2경사부(12)(도 2참조)의 접합에 따른 강도 저하를 방지 및 보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에 의한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면, 차량이 도로를 따라 주행하다가 전방 또는 마주 오는 차량과 충돌하게 되면, 차체에 구비된 감지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1)이 전개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백(1)은 별도로 구비된 인플레이터(미도시)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6)의 전방으로 전개되면서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에 팽창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첨부된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부(20)의 하측면에 팽창력이 가해지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절개홈(24) 부분에 파단이 발생되고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 에어백 도어부(20)는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에어백 도어부(20) 전체가 외측으로 회동 작동된다.
첨부된 도 3c를 참조하면, 도 3b의 상태에서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부(20)는 크래시패드(10)의 외측으로 각각 회동 작동되되,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경사부(22)(도 1참조)가 제 2경사부(12)(도 1참조) 및 슈트부(30)에 대해 힌지 역할을 하게 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크래시패드(10) 및 슈트부(30)와 융창된 에어백 도어부(20)의 양단부는 에어백(1)의 팽창력에 의해 완전히 회동될때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아서 조수석에 착석한 탑승객이 상기 에어백 도어부(20)의 파단된 파편에 의해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탑승객을 보 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는 에어백 도어부와 크래시패드의 접합 구조를 경사진 구조로 함으로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차실 내부에서 크래시패드와 결합된 에어백 도어부와의 접합 라인이 보이지 않도록 일체 사출로 성형하여 금형 단일화에 따른 비용 절감과 조립시 발생 되었던 갭 및 단차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에어백 도어부의 파단 현상이 발생 되지 않아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탑승객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의도한 방향으로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금속 플레이트 및 링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과 하중이 감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길이 방향의 양단이 하향 절곡된 제 1경사부가 형성된 도어바디, 상기 도어바디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며 도어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고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하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에어백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 되는 에어백 도어부;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제 1경사부와 각각 면접촉되는 제 2경사부가 형성되되 면접촉된 부위의 접합라인이 외측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도어부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크래시패드; 및
    상기 크래시패드와 에어백 도어부와의 접합면 하측에 밀착 설치되어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에어백 하우징과 연결 설치되되, 진동 융착 공법에 의해 상기 크래시패드 및 에어백 도어부에 상호 긴밀하게 융착 고정되는 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부의 절개홈은 단면 형상이“H”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는 에어백 하우징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결합 되도록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20060037391A 2006-04-25 2006-04-25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75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91A KR100757140B1 (ko) 2006-04-25 2006-04-25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391A KR100757140B1 (ko) 2006-04-25 2006-04-25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140B1 true KR100757140B1 (ko) 2007-09-10

Family

ID=3873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391A KR100757140B1 (ko) 2006-04-25 2006-04-25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314B1 (ja) 2021-08-16 2022-03-23 マレリ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58A (ja) * 1992-08-13 1995-11-14 Davidson Textron Inc エアバッグ式拘束安全装置のための隠れドア組立体
JPH101012A (ja) 1996-06-12 1998-01-06 Inoac Corp 車室側部材と一体成形するためのエアバッグドア部材の構造
JP2002370599A (ja) 2001-06-18 2002-12-2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080852B2 (en) 2002-09-09 2006-07-25 Takata Corporation Airbag apparatus and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058A (ja) * 1992-08-13 1995-11-14 Davidson Textron Inc エアバッグ式拘束安全装置のための隠れドア組立体
JPH101012A (ja) 1996-06-12 1998-01-06 Inoac Corp 車室側部材と一体成形するためのエアバッグドア部材の構造
JP2002370599A (ja) 2001-06-18 2002-12-2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080852B2 (en) 2002-09-09 2006-07-25 Takata Corporation Airbag apparatus and co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1314B1 (ja) 2021-08-16 2022-03-23 マレリ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2023026931A (ja) * 2021-08-16 2023-03-01 マレリ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52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805468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10081283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EP1068106A1 (en) Roofliner for a motor vehicle
JP2006001326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787645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747866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757140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527766B1 (ko) 에어백 도어의 보강구조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1052988B1 (ko) 에어백 어셈블리
JP391603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408826B2 (ja)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KR100803065B1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737563B1 (ko) 차량의 후방 필라 보강 구조
KR101549661B1 (ko) 에어백 모듈용 슈트
JP200311259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品
KR20100056311A (ko) 인비저블 에어백 도어
KR102546930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KR100778589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20070096355A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054718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77817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의 구조
JP2000264158A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10107208A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