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255A -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 Google Patents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255A
KR20070107255A KR1020060039518A KR20060039518A KR20070107255A KR 20070107255 A KR20070107255 A KR 20070107255A KR 1020060039518 A KR1020060039518 A KR 1020060039518A KR 20060039518 A KR20060039518 A KR 20060039518A KR 20070107255 A KR20070107255 A KR 20070107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support plate
electrostatic chuck
density plasma
high den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739B1 (ko
Inventor
이수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3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739B1/ko
Priority to US11/618,553 priority patent/US20070258184A1/en
Publication of KR2007010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에서 웨이퍼 내의 열 편차를 줄여, 웨이퍼 상의 박막의 벗겨짐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은, 정전기에 의해 웨이퍼가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퍼의 저면에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헬륨 공급구; 상기 지지판의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실링턱; 및 상기 실링턱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의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퍼 리프트 핀을 포함한다.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 정전척, 실링턱, 웨이퍼 리프트 핀

Description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ELECTROSTATIC CHUCK OF HIGH DENSITY PLASMA DEPOSI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에서 웨이퍼 내의 열 편차를 줄여, 웨이퍼 상의 박막의 벗겨짐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배선과 배선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고 배선의 높이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또한, 반도체 기판의 소자 분리막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점점 공정마진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고밀도 플라즈마(high density plasma; HDP) 증착 장치를 이용해, 산화막 등의 절연막을 증착하는 공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를 이용한 절연막 증착 공정에서는, 절연막의 증착과 식각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증착되는 갭(gap)을 열어줄 수 있어, 종래의 다른 증착 공정에 비해 매립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한편, 고속화 및 고집적화의 추세에 있는 반도체 소자에서는 보다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500℃ 이상의 고온에서 배선 등을 매립하기 위해 절연막의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절연막으로 둘러싸인 하부막에 대해 고온에서의 절연막의 전류 밀도 상승을 일으키며, 웨이퍼의 저면(back side)을 통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에 플라즈마 유발 결함(Plasma Induced Damage; PID)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플라즈마 유발 결함으로 인해, 상기 게이트 절연막의 항복 전압 특성이 변화되어 소자의 불량이 초래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 350℃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을 진행하여 절연막의 전류 밀도를 낮추고 플라즈마 유발 결함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저온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과 이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는, 정전기에 의해 웨이퍼가 상면에 장착, 고정되는 지지판(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00) 상에는 헬륨 공급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헬륨 공급구(102)를 통해, 상기 지지판(100) 상에 장착된 웨이퍼의 저면에 헬륨 가스가 공급되어,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 중에 상기 웨이퍼의 온도가 약 350℃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00) 상에는 상기 지지판(100)의 에지부를 따라 소정 높이의 실링턱(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턱(104)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헬륨 공급구(102)에서 공급된 헬륨 가스가 상기 지지판(1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헬륨 가스에 의해 상기 웨이퍼 저면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00) 상에는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밖에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웨이퍼 리프트 핀(106)은 상기 지지판(100)과 수직하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00) 상에 웨이퍼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한다.
이러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사용하면, 상기 헬륨 공급구(102)를 통해 헬륨 가스를 상기 웨이퍼의 저면에 공급하여 약 350℃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서는,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밖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된 영역에는 상기 헬륨 가스가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차단되어 이르지 못한다.
이 때문에,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웨이퍼의 일부 영역에서는 국부적으로 500℃ 이상의 고온 조건이 초래되는 한편, 웨이퍼의 나머지 영역에서는 상기 헬륨 가스에 의해 약 350℃ 이하의 저온 조건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 중에 상기 웨이퍼 내에 열적 편차가 발생함으로서, 박막에 큰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져 웨이퍼 상의 박막이 벗겨지거나 상기 웨이퍼 상에 파티클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 소자의 각종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에서 웨이퍼 내의 열 편차를 줄임으로서 웨이퍼 상의 박막의 벗겨짐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해 웨이퍼가 상면에 장 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퍼의 저면에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헬륨 공급구; 상기 지지판의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실링턱; 및 상기 실링턱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의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퍼 리프트 핀을 포함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은, 상기 웨이퍼의 저면과 상기 지지판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은, 상기 실링턱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실링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서, 상기 실링턱은 0.5mm 이하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서, 상기 실링턱은 상기 지지판의 에지부에서 2m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웨이퍼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서,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은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된 리프트 핀 홀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프트 핀 홀은 2mm 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 실시예들을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는, 정전기에 의해 웨이퍼가 상면에 장착, 고정되는 지지판(1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100)에는 소정의 전력이 인가되고 이러한 전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00) 상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기장에 의해 웨이퍼가 상기 지지판 상에 장착되어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00) 상에는 상기 지지판(100) 상에 장착된 웨이퍼의 저면에 냉각을 위한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헬륨 공급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헬륨 공급구(102)를 통해 상기 지지판(100) 상에 장착된 웨이퍼의 저면에 헬륨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 중에 상기 웨이퍼의 온도가 약 350℃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된다. 이로서, 절연막의 전류 밀도를 낮추고, 게이트 절연막에 플라즈마 유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에서는 또한, 상기 지지판(100) 상에 상기 지지판(100)의 에지부를 따라 소정 높이의 실링턱(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링턱(104)이 상기 지지판(100)의 에지부를 따라 형성됨으로서, 상기 헬륨 공급구(102)에서 공급된 헬륨 가스가 상기 지지판(1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상기 헬륨 가스에 의해 상기 웨이퍼 저면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턱(104)은 상기 헬륨 가스가 상기 지지판(1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범위 하에서, 가능한 작은 폭, 예를 들어, 0.5mm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웨이퍼와 실링턱(104)이 접촉하는 부분에 헬륨 가스가 제대로 가해지지 못하여 상기 웨이퍼 내에 열 편차가 생기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턱(104)은 상기 지지판(100)의 에지부로부터 가능한 작은 거리, 예를 들어, 2m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실링턱(104) 밖의 영역을 가능한 줄여, 상기 웨이퍼 내에 열 편차가 생기는 것을 보다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에서, 상기 지지판(100) 상에는 또한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에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웨이퍼 리프트 핀(106)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판(100) 상의 리프트 핀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100)과 수직하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판(100) 상에 웨이퍼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한 다. 이 때, 상기 리프트 핀 홀은 이를 통해 헬륨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되도록 줄이기 위해,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능한 작은 직경, 예를 들어, 2m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실시예의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에서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웨이퍼의 일부 영역에도 헬륨 가스가 효과적으로 공급되어 이러한 영역에서도 약 350℃ 이하의 저온 조건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 중에 웨이퍼 내의 열 편차가 줄어들게 되어, 소자의 각종 불량을 초래하는 웨이퍼 상의 박막의 벗겨짐 또는 파티클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는, 상술한 각 구성 요소 외에, 상기 지지판(100) 상에 형성된 엠보싱(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108)에 의해 상기 웨이퍼의 저면과 상기 지지판(100) 표면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상기 웨이퍼의 저면이 헬륨 가스의 영향을 최대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는 또한, 상기 실링턱(104)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실링 가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가드(110)에 의해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106)이 형성된 리프트 핀 홀을 통해 상기 헬륨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되도록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공정 중에 웨이퍼 내의 열 편차를 줄여 웨이퍼 상의 박막이 벗겨지거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막의 벗겨짐 또는 파티클 등에 의해 소자의 각종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여, 소자의 공정 수율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정전기에 의해 웨이퍼가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웨이퍼의 저면에 헬륨 가스를 공급하는 헬륨 공급구;
    상기 지지판의 에지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실링턱; 및
    상기 실링턱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내의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웨이퍼 리프트 핀을 포함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저면과 상기 지지판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을 더 포함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에 의해 포괄되는 영역 중에서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실링 가드를 더 포함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은 0.5mm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턱은 상기 지지판의 에지부에서 2m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웨이퍼와 접촉하는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리프트 핀은 상기 지지판 상에 형성된 리프트 핀 홀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 핀 홀은 2mm 이하의 직경을 가진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KR1020060039518A 2006-05-02 2006-05-02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KR100842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18A KR100842739B1 (ko) 2006-05-02 2006-05-02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US11/618,553 US20070258184A1 (en) 2006-05-02 2006-12-29 Electrostatic chuck of high density plasma deposi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518A KR100842739B1 (ko) 2006-05-02 2006-05-02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255A true KR20070107255A (ko) 2007-11-07
KR100842739B1 KR100842739B1 (ko) 2008-07-01

Family

ID=3866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518A KR100842739B1 (ko) 2006-05-02 2006-05-02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58184A1 (ko)
KR (1) KR100842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328B1 (ko) * 2013-08-02 2015-01-0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처리장치
KR101480322B1 (ko) * 2012-12-28 2015-01-0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5594B (zh) 2008-05-19 2015-03-01 Entegris Inc 靜電夾頭
CN102449754B (zh) 2009-05-15 2015-10-21 恩特格林斯公司 具有聚合物突出物的静电吸盘
US8861170B2 (en) 2009-05-15 2014-10-14 Entegris, Inc. Electrostatic chuck with photo-patternable soft protrusion contact surface
US9025305B2 (en) 2010-05-28 2015-05-05 Entegris, Inc. High surface resistivity electrostatic chuck
CN103943450B (zh) * 2013-12-24 2016-05-18 成都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干刻设备的电极和干刻设备
CN104752303A (zh) * 2013-12-31 2015-07-01 北京北方微电子基地设备工艺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举升装置、反应腔室及等离子体加工设备
KR102507283B1 (ko) * 2015-12-22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척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합 시스템
CN110896045B (zh) * 2018-09-12 2022-12-30 中微半导体设备(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升举顶针组件,静电夹盘及其所在的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0479A (en) * 1992-12-02 1994-09-27 Applied Materials, Inc. Electrostatic chuck for high power plasma processing
US5762714A (en) * 1994-10-18 1998-06-09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guard for chamber equipped with electrostatic chuck
US6170428B1 (en) * 1996-07-15 2001-01-09 Applied Materials, Inc. Symmetric tunable inductively coupled HDP-CVD reactor
JP3859937B2 (ja) * 2000-06-02 2006-12-20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静電チャック
US6628503B2 (en) 2001-03-13 2003-09-30 Nikon Corporation Gas cooled electrostatic pin chuck for vacuum applications
KR100541447B1 (ko) * 2003-07-23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용 정전척
KR100512745B1 (ko) * 2003-07-24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척
KR20050014412A (ko) * 2003-07-31 2005-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22B1 (ko) * 2012-12-28 2015-01-0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처리장치
KR101479328B1 (ko) * 2013-08-02 2015-01-0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58184A1 (en) 2007-11-08
KR100842739B1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739B1 (ko) 고밀도 플라즈마 증착 장치의 정전척
JP6001529B2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及び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
US6549393B2 (en)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119004A (ko) 기판 배치대 및 플라즈마 처리 장치
US20080138535A1 (en) Substrate dam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20210305022A1 (en) Edge ring, substrate support, plasm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replacing edge ring
KR20090033247A (ko) 온도 제어 장치 및 웨이퍼 온도 제어 방법
JP2008199017A (ja) チャ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高密度プラズマ装置
JP2009070915A (ja) サセプタ、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方法
JP6010296B2 (ja) 静電チャック
KR100765539B1 (ko) 화학기상 증착장비
KR20230152638A (ko) 플라즈마 식각 장치 및 방법
JPH0622213B2 (ja) 試料の温度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353157B1 (ko) 정전 척
US20220189748A1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0820592B1 (ko) 피처리물 수용부가 형성된 서셉터 및 그러한 서셉터를구비한 화학 기상증착 장치
JP2580791B2 (ja) 真空処理装置
KR10203047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210398783A1 (en) Plasma processing system,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edge ring
KR100555236B1 (ko) 반도체 및 lcd 제조용 정전척 구조
KR101490415B1 (ko) 플라즈마 처리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방법
KR20200058766A (ko) 디스플레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TW202029263A (zh) 靜電夾盤及其所在的電漿處理裝置
KR20230023426A (ko) 기판 처리 방법
JPH02110927A (ja) 真空処理装置の試料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