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466A -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466A
KR20070106466A KR1020070041544A KR20070041544A KR20070106466A KR 20070106466 A KR20070106466 A KR 20070106466A KR 1020070041544 A KR1020070041544 A KR 1020070041544A KR 20070041544 A KR20070041544 A KR 20070041544A KR 20070106466 A KR20070106466 A KR 2007010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tensioning means
brake
cage
coup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700B1 (ko
Inventor
발터 빈들린
슈테판 후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8432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0646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0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기 승강실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유닛 (15),
- 그 일 단부가 승강기 승강실 (5) 의 이동 경로에 평행하게 이어지고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요소 (16) 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승강기 승강실 (5) 에도 연결되어, 정상 운행시 승강기 승강실과 동시에 이동하는, 2 개의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둘레를 지나는 가요성 인장 수단 (17),
- 적어도 승강기 승강실 (5) 의 과속시에는, 인장 수단 (17) 을 제동하고, 그 결과 작동 요소 (16) 를 통해 인장 수단이 브레이크 유닛 (15) 을 작동시키게 하는 블록킹 장치 (20) 를 구비하는 승강기 승강실 (5) 의 브레이크 장치 (2) 가 인장 수단 (17) 과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을 감지하는 감시 장치 (29)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OF AN ELEVATOR CA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있는 도 1 에 따른 승강기 시스템의 확대 절취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승강기 시스템 2 브레이크 장치
3 승강기 통로 4 승강실 안내 레일
6 승강실 안내 슈 7 승강실 프레임
8 승강실 본체 9 평형추 안내 레일
10 평형추 11 구동 장치
12 가요성 지지 수단 15 브레이크 유닛
16 작동 레버 17 인장 수단
18 상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20 블록킹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승강기 승강실이 수용할 수 없는 빠른 속도로 이동할 시에는, 승강기 승강실을 제동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JP 06092568 에는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로프 도르래를 구비하는 과속 조절기가 과속 조절기 로프를 통해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유닛을 작동시킨다. 폐루프 형태로서, 과속 조절기 로프는 그 일단부가 승강실 이동 경로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과속 조절기의 로프 도르래 둘레를 지나고, 그 타단부가 승강실 이동 경로의 하부 영역에 있는 로프 전환 도르래 둘레를 지나며, 로프 루프의 일단부는 승강기 승강실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 요소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승강기 승강실에도 연결된다. 하부 로프 전환 도르래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져, 하부 로프 전환 도르래에 의해 로프 루프가 인장된다. 감지기를 구비하는 감시 장치가 하부 로프 전환 도르래의 위치를 감시하여, 과속 조절기 로프의 파손 또는 과도한 신장이 있을 경우, 승강기 제어 시스템이 반응하게 한다.
종래 기술의 상기 상태에 있어서, 감지기에 의해 과속 조절기 로프의 파손 또는 과도한 신장이 감지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대응하는 안전 대책이 개시된다. 그러나, 승강기 운행 중에 과속 조절기 로프와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이 고장나면 이는 감시 장치에 의해 감지되지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의 고장시, 승객의 안전에 극히 중요한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가 기능을 하지못함에도 불구하고, 승강기 시스템은 계속 운행된다.
과속 조절기 로프와 브레이크 유닛 및 이에 따른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이 고장나는 원인으로는, 예컨대, 연결 나사의 탈락이나 파열,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 레버 (작동 요소) 의 파열, 또는 작동 레버를 브레이크 유닛 및 승강기 승강실에도 연결시키는 작동 축의 파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장치의 단점을 갖지않는 유형의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과속 조절기와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유닛 사이의 연결이 고장나면, 수용할 수 없는 안전 조건에서의 운행이 승강기 시스템에 의해 멈추는, 승강기 승강실용 브레이크 장치가 만들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승강기 승강실용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에 의해 충족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이하의 특성,
- 승강기 승강실에 장착되며 작동 요소를 가지는 1 개 이상의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
- 하나는 승강실 이동 경로의 상단부 영역에 설치되고, 하나는 상기 경로의 하단부 영역에 설치되는, 2 개 이상의 인장수단 전환도르래를 포함,
-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둘레를 지나는 가요성 인장 수단으로서, 이 인장 수단의 1 이상의 일단부는 승강기 승강실의 이동 경로에 평행하게 이어지고,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 요소에 연결되어 승강기 승강실에도 연결되며, 정상 운행시 승강기 승강실과 동시에 이동하는 가요성 인장 수단을 포함함,
- 적어도 승강기 승강실의 과속시에는 인장 수단을 제동하고, 그 결과, 인장 수단이 작동 요소를 통해 브레이크 유닛을 작동시키게 하는 블록킹 장치를 포함,
- 인장 수단과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의 고장을 감지하는 감시 장치를 포함, 을 지닌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주로 승강기 시스템의 운행 안전성이 증대되고, 인장 수단과 승강기 승강실 및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유닛 사이의 연결 (운행 상호작용) 의 고장으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상기 보호를 더 이상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승강기 승강실에 의해 운송되는 운행 상태가 회피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다른 양태가 종속 청구항 및 이하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의 인장 수단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둘레를 지나는 폐루프를 형성하고, 이 인장 수단의 양 단부는 인장 수단을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 요소에 동시에 연결하는 커플링 요소에 체결된다. 인장수단 단부의 연결 및 단일 요소에의 상기 연결의 조합은, 2 가지 기능이 동일한 구성품에 의해 충족되고, 무게가 단일 구성품에 집중되며, 이에 따라 인장수단 전환도르래의 배치가 최대한 자유롭게 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커플링 요소는, 인장 수단과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이 고장나는 경우, 인장 수단을 인장수단 전환도르래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커플링 요소를 낙하시키기에 충분한 무게를 갖는 것이 좋다.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영역에 장착되며, 인장 수단과 브레이크 유닛 및 이에 따른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의 고장으로, 커플링 요소가 감지기 높이까지 낙하하면, 커플링 요소를 감지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시 장치를 통해 특히 간단하면서도 비용이 많이 들지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며 기능적으로 안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감시 장치는, 승강기 승강실에 장착되고, 정상 운행시 커플링 요소가 승강기 승강실에 대한 그 정상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며, 커플링 요소를 더 이상 감지하지 않게 되자마자, 인장 수단과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의 고장을 송신하는 감지기를 포함한다.
특히 비용이 많이 들지않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기는 기계적인 감지 요소의 도움으로 커플링 요소의 존재를 감지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자를 구비한 전환기이다.
커플링 요소의 존재를 무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기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으며 설치가 간단한 브레이크 유닛이 획득된다. 이를 위해, 유도 센서, 용량 센서, 또는 광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인장 수단과 브레이크 유닛 및 이에 따른 승강기 승강실 사이의 연결의 고장이 감지된 경우, 승강기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장치의 감지기가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승강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연결의 고장이 감지되고 나서, 승강기 승강실이 1 층에 도달한 때에만, 승강기의 운행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구상된다. 이로써, 승객은 승강기 승강실에 불필요하게 가두어지고, 또한 제 3자의 도움으로 나와야만 하는 것을 회피하게 된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2) 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 (1) 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승강기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다음의 구성품들,
- 승강실 안내 레일 (4) 이 체결되는 승강기 통로 (3),
- 승강실 안내 레일 (4) 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승강실 안내 레일 (4) 에서 승강실 안내 슈 (6) 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실 프레임 (7) 을 구비하며, 승강실 프레임에 체결되는 승강실 본체 (8) 를 구비하는 승강기 승강실 (5),
- 도시되지않은 평형추 안내 레일 (9) 상에 안내되는 평형추 (10),
- 1 개 이상의 가요성 지지 수단 (12) 을 통해 승강기 승강실 (5) 및 평형추 (10) 를 지지하며 구동하는 구동 장치 (11), 및
- 승강기 승강실 (5) 양측의 승강실 프레임 (7) 에 체결되는 2 개의 브레이크 유닛 (15), 브레이크 유닛이 작동되게 하는 작동 레버 (16), 상부 인장수단 전환 도르래 (18) 및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위에 안내되는 이동형 가요성 인장 수단 (17), 인장 수단 (17) 의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블록킹 장치 (20), 인장 수단을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레버 (16) 에 연결하는 커플링 요소 (23), 및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고 전환도르래를 통해 인장 수단 (17) 을 인장시키는 인장수단 인장 장치 (24), 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유닛 및 그 작동 방식을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한다.
승강기 승강실 (5) 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유닛 (15) 은 통상의 승강기 안전 기어로서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기어에 있어서, 작동 레버 (16) 및 기계적인 레버 시스템 (비도시) 을 통해, 예컨대, 브레이크 쐐기 또는 편심 디스크가 승강실 안내 레일 (4) 과 마찰 접촉하게 되고, 이후에, 브레이크 쐐기 또는 편심 디스크와 승강실 안내 레일 사이의 상대 이동 및 마찰 효과의 결과로, 브레이크 쐐기 또는 편심 디스크는, 그들 또는 사이에 있는 브레이크 본체가 차량 안내 레일에 너무 세게 가압되어 승강기 승강실이 파손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예컨대, 브레이크 유닛 (15) 은, 브레이크 플레이트를 승강실 안내 레일에 가압하여 승강기 승강실을 제동하는 유압 작동식 브레이크 피스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따라, 작동 레버 (16) 가 압력 유체를 브레이크 피스톤에 압력 유체를 적용하는 단계를 제어하는 밸브에 작용하여, 브레이크 플레이트가 안내 레일에 가압된다.
브레이크 유닛의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 유닛은 한쪽 이동 방향만으로 또는 양쪽 이동 방향으로 승강기 승강실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다.
작동 시스템은, 수용할 수 없는 빠른 속도 (이하, "과속" 이라 함) 의 경우, 또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 (30) 에 의해 검출되는 다른 상황으로서 승강기 승강실의 즉각적이고도 안전한 제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브레이크 유닛 (15) 을 작동시킨다. 작동 시스템은, 승강기 승강실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2 개의 인장수단 단부를 구비하는 인장 수단 (17) 을 포함하며, 이 인장 수단은 1 개 이상의 상 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및 1 개의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위를 지나고 그 양 단부가 커플링 요소 (23) 에 체결된다. 이 커플링 요소는, 승강기 승강실 (5) 에 장착되고, 정상 운행시, 중심맞춤 장치 (25) 에 의해 그 정상 위치에 해방적으로 유지되는 브레이크 유닛의 작동 레버 (16) 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정상 운행시, 이동형 인장 수단 (17) 의 일 단부는 승강기 승강실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된다. 상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영역에는, 인장 수단 (17) 및 승강기 승강실의 과속이 검출되거나 승강기 제어 시스템 (30) 에 의해 발생한 블록킹 신호가 있을시, 인장 수단을 막는 블록킹 장치 (20) 가 있는데, 블록킹은 실시예에 따라 인장 수단 (17) 을 직접 제동하는 단계 또는 상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를 막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달성된다.
예컨대, 브레이크 장치 (2) 용 인장 수단 (17) 으로 와이어 로프, 평 벨트, 톱니 벨트, 또는 모든 유형의 롤러 체인이 유용하다.
수용할 수 없는 빠른 속도 (이하, 과속이라 함) 의 발생시, 또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는 다른 상황으로서, 승강기 승강실 (5) 의 즉각적이고도 안전한 제동이 필요할 시에도 블록킹 장치 (20) 에 의해서 인장 수단 (17) 이 막히며, 그 결과, 커플링 요소 (23) 는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레버 (16) 를 그 작동 레버가 중심맞춤 장치 (25) 에 의해 해방적으로 중심맞춤되는 위치 밖으로 해방시켜, 브레이크 유닛을 작동시킨다.
인장 수단 (21) 의 커플링 요소 (23) 와 승강기 승강실 (5) 및 이에 따른 승강기 승강실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유닛 (15) 사이의 연결이 상기와 같이 고장나는 경우, 커플링 요소와 커플링 요소에 체결된 인장 수단의 단부는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방향으로 낙하한다. 이를 위해, 마찰 손실에도 불구하고, 커플링 요소의 무게에 의해 인장 수단이 2 개의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커플링 요소 (23) 는 충분히 무겁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2) 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커플링 요소 (23) 가 도달할 수 있는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바로 위의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 감지기 (27) 에 의해 커플링 요소가 감지된다. 이러한 상황이 도 1 의 최하부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감지기 (27) 는 기계적인 감지 요소 (27.1) 를 구비하는 전기 전환기로 도시되었으며, 낙하한 커플링 요소 (23) 는 점선으로 도시되어있다. 감지기 (27) 는, 커플링 요소의 그 낙하 위치에의 존재, 및 이에 따른 인장 수단 (21) 의 커플링 요소 (23) 와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상기 연결의 고장을, 승강기 승강실이 바닥에 도달하자마자 승강기 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정지하게하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 (30) 에 송신한다.
도 2 는 승강기 승강실 (5) 에 대한 커플링 요소 (23) 의 위치가 승강실에 연결된 감지기 (28) 에 의해 감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2) 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를 무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즉, 예컨대 유도 또는 용략 작동식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기가 사용된다. 커플링 요소 (23) 와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시, 커플링 요소가 감지기 (28) 의 감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자마자, 이 실시예에서도, 감지기 (28) 는, 승강기 승강실이 1 층에 도달할 때만 승강기 시스템을 바람직하게 정지시 키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에 상기 연결의 고장을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시스템에 대한 책임이 있는 서비스 업체에서 동시에 경보를 받게 된다.
도 2 에서는 도 1 과 관련하여 이미 기술한 중심맞춤 장치 (25) 를 특히 쉽게 인식할 수 있는데, 이 중심맞춤 장치는 승강기 시스템의 정상 운행시 승강기 승강실 (5) 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레버 (16) 를 그 정상 위치에 해방적으로 고정하여, 정상 운행시 이동형 인장 수단 (17) 의 일단부가 승강기 승강실과 동시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작동 레버 (16) 를 그 정상 위치에 중심맞춤하는 단계는, 작동 레버 (16) 와 일체로 공통 레버 축 (26) 을 선회할 수 있는 디스크의 노치 (notch) 에 압축 스프링으로 가압되면서, 천공 구멍에 안내되는 볼 (ball) 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주로 승강기 시스템의 운행 안전성이 증대되고, 인장 수단과 승강기 승강실 및 이에 따른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유닛 사이의 연결의 고장으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상기 보호를 더 이상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승강기 승강실에 의해 운송되는 운행 상태가 회피된다.

Claims (10)

  1. - 승강실 (5) 에 장착되고 작동 요소 (16) 를 구비하는 1 개 이상의 브레이크 유닛 (15),
    - 하나는 승강실 이동 경로의 상단부 영역에 설치되고, 하나는 상기 경로의 하단부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2 개 이상의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둘레를 지나는 가요성 인장 수단 (17) 으로서, 그 일단부는 승강기 승강실 (5) 의 이동 경로에 평행하게 이어지고,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요소 (16) 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승강기 승강실 (5) 에도 연결되며, 정상 운행시 승강기 승강실과 동시에 이동하는 가요성 인장 수단 (17),
    - 적어도 승강기 승강실 (5) 의 과속시에는, 인장 수단 (17) 을 제동시키고, 그 결과, 작동 요소 (16) 를 통해, 브레이크 유닛 (15) 을 작동시키는 블록킹 장치 (20) 를 포함하는 승강기 승강실 (5) 의 브레이크 장치 (2) 에 있어서,
    인장 수단 (17) 과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을 감지하는 감시 장치 (29) 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 (5) 의 브레이크 장치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 (17) 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둘레를 지나가는 폐루프를 형성하고, 이 인장 수단 (17) 의 양 단부는 인장 수단을 브레이크 유닛 (15) 의 작동 요소 (16) 에 연결하는 커플링 요소 (23) 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 (23) 는, 인장 수단 (17) 과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이 고장나는 경우, 인장 수단을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8, 19) 를 따라 움직이게 하여 커플링 요소 (23) 를 낙하시키기에 충분한 무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4. 제 3 항에 있어서,
    감시 장치 (29) 는, 하부 인장수단 전환도르래 (19) 영역에 장착되고, 인장 수단 (17) 과 브레이크 유닛 (15) 및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에 따라 커플링 요소가 감지기 (27) 높이까지 낙하했을 때, 커플링 요소 (23) 를 감지하는 감지기 (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승강기 승강실 (5) 에 장착되고, 정상 운행시 커플링 요소 (23) 가 승강기 승강실 (5) 에 대한 그 정상 위치에 있는 지를 감지하며, 커플링 요소 (23) 가 더 이상 그 정상 위치에 있지않음을 감지할 때, 인장 수단 (17) 과 브레이크 유닛 (15) 및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을 송신하는 감지기 (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27, 28) 는 전기 전도성 접촉자를 구비한 전환기이며, 상기 커플링 요소 (23) 의 존재가 기계적인 감지 요소 (27.1) 의 도움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 (27, 28) 는 커플링 요소 (23) 의 존재를 무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 (29) 의 감지기 (27, 28) 는, 인장 수단 (17) 과 브레이크 유닛 (15) 및 승강기 승강실 (5) 사이의 연결의 고장이 감지된 경우, 승강기 시스템 (1) 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승강기 제어 시스템 (30) 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제어 시스템 (30) 은 승강기 승강실 (5) 이 1 층에 도달하자마 자 승강기 시스템 (1) 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2).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 (2) 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
KR1020070041544A 2006-04-28 2007-04-27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KR101343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3302.1 2005-04-28
EP06113302A EP1849734B1 (de) 2006-04-28 2006-04-28 Bremseinrichtung einer Aufzugska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466A true KR20070106466A (ko) 2007-11-01
KR101343700B1 KR101343700B1 (ko) 2013-12-20

Family

ID=368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44A KR101343700B1 (ko) 2006-04-28 2007-04-27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05328B2 (ko)
EP (2) EP1849734B1 (ko)
KR (1) KR101343700B1 (ko)
CN (1) CN101085661B (ko)
BR (1) BRPI0702007A (ko)
DE (1) DE502006004792D1 (ko)
HK (1) HK1113920A1 (ko)
ZA (1) ZA200703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9982B (fi) * 2007-10-18 2009-05-29 Kone Corp Tarrausjärjestelyllä varustettu hissi
EP2221269A1 (de) * 2009-02-20 2010-08-2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m Mehrdeckfahrzeug
US8869946B2 (en) * 2009-10-28 201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FI125134B (fi) * 2010-04-12 2015-06-15 Kone Corp Hissi
JP5827321B2 (ja) * 2010-05-18 2015-12-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1973474B (zh) * 2010-11-08 2012-07-18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电梯超速保护装置
US8720262B2 (en) * 2011-03-09 2014-05-13 Inventio Ag Testing a speed limiting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FI20125046L (fi) * 2012-01-16 2013-07-17 Kone Corp Hissi
DE112013006610B4 (de) * 2013-02-07 2022-07-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CN105473487B (zh) * 2013-07-12 2018-04-06 通力股份公司 超速调节器张力滑轮组件
KR101920546B1 (ko) 2014-04-09 2018-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CN106219352B (zh) * 2016-10-09 2018-08-03 重庆能源职业学院 一种电梯坠落抱紧装置
CN106185531B (zh) * 2016-10-09 2018-07-31 重庆能源职业学院 一种防坠落电梯抱紧机构
DE102018009620A1 (de) 2018-12-07 2020-06-10 Chr. Mayr Gmbh + Co. Kg Bremse, Ventilanordn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Bremse
CN110422720A (zh) * 2019-08-20 2019-11-08 武汉市云竹机电新技术开发有限公司 垂直提升全程超速保护系统
DE102019133376A1 (de) 2019-12-06 2021-06-10 Chr. Mayr Gmbh + Co Kg Bremse,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Bremse
CN114829283A (zh) * 2019-12-17 2022-07-29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的防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697A (en) * 1947-12-12 1950-06-13 William C Clift Elevator safety apparatus
US2581297A (en) 1949-07-20 1952-01-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afety device
JP3178110B2 (ja) * 1992-09-17 2001-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5217091A (en) * 1992-10-20 1993-06-08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overspeed safety device
US5299661A (en) * 1992-11-03 1994-04-05 Otis Elevator Company Mechanical overspeed safety device
JPH07206309A (ja) * 1994-01-13 1995-08-0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ガバナ誤動作防止装置
DE19906073C2 (de) * 1999-02-12 2003-03-27 Inventio Ag Vorrichtung zum Verhindern unkontrollierter Beschleunigungen eines Fahrkorbs einer Aufzugsanlage
JP2001270666A (ja) * 2000-03-24 2001-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ガバナロープ異常検出装置
US6318506B1 (en) * 2000-05-22 2001-11-20 Otis Elevator Company Single rope elevator govern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703438B (en) 2009-07-29
EP1849734A1 (de) 2007-10-31
CN101085661B (zh) 2010-06-02
US7905328B2 (en) 2011-03-15
HK1113920A1 (en) 2008-10-17
DE502006004792D1 (de) 2009-10-22
KR101343700B1 (ko) 2013-12-20
CN101085661A (zh) 2007-12-12
EP1849735A1 (de) 2007-10-31
EP1849734B1 (de) 2009-09-09
US20070221453A1 (en) 2007-09-27
BRPI0702007A (pt)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700B1 (ko) 승강기 승강실의 브레이크 장치
US9169104B2 (en) Activating a safety gear
US7819229B2 (en) Elevator safety system
EP2380841A1 (en) Elevator device
WO2007144456A1 (en) Arrangement for detecting slack rope of an elevator
US20150251877A1 (en) Elevator apparatus
US11261055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systems
EP2389333A1 (en) Elevator safety device
US20140202797A1 (en) Reducing over-traction in an elevator
KR20170037849A (ko) 승강형 구조체용 제동 시스템 및 승강형 구조체 제동 제어 방법
EP1749785B1 (en) Elevator controller
WO2018033902A1 (en) Elevator brake monitoring and control
WO2012140720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WO20051056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00135114A (ko) 엘리베이터용 조속 장치
EP1663837B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US20210371240A1 (en) Emergency terminal stopping systems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7420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5460730A (zh) 一种用于曳引式电梯的监控制动系统及方法
CN113844978A (zh) 具有滑轮的安全连结件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H0118168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9535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