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449A -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449A
KR20070106449A KR1020070041381A KR20070041381A KR20070106449A KR 20070106449 A KR20070106449 A KR 20070106449A KR 1020070041381 A KR1020070041381 A KR 1020070041381A KR 20070041381 A KR20070041381 A KR 20070041381A KR 20070106449 A KR20070106449 A KR 2007010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light source
floor
elevat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117B1 (ko
Inventor
알렉스 오베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0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와 승강실 안에 있는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층을 포함한 고층 건물이라도 목적지 층에 도달하는데 있어서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승객과 소통하는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과 승객들을 위한 층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용의 본 발명에 의한 조명 장치 (9) 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조명 장치 (9) 는 층 안내에 관한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 광원 (4) 과 이 광원의 제어 장치 (5) 를 갖는다. 이 조명 장치는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을 갖춘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의 구성 요소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LIGHTING EQUIPMENT OF A LIFT CAGE, AND METHOD FOR GUIDANCE OF PERSONS IN A LIFT}
도 1 은 n + 3 층 이상을 가진 건물에서 층의 색상 특성을 향해 배향된 색상 프로필과 사람들을 위한 안내로서의 조명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용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시 형태 부분의 개략적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색상 프로필의 프로그래밍 입력을 위한 단말기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강실용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시 형태 부분의 개략적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색상 프로필을 고정하기 위한 센서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강실용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시 형태 부분의 개략적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승강실을 타기에 앞서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의 전달을 위한 색상 효과 표시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강실용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실시 형태 부분의 개략적인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하나 이상의 환승층, 둘 이상의 층 구역과 이러한 환승층 중 하나의 층에 있는 사람을 위한 안내로서 조명 장치를 가진 건물에서의 색상 프로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승강실 2 : 승강로
3 : 엘리베이터 문 4 : 광원
5 : 제어 장치 6 : 전압 공급 장치
7 : 단말기 8 : 컬러 센서
9 : 조명 장치 10 : 버튼
11 : 키보드 12 : 색상 효과 표시 장치
U : 환승층 E : 진입층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안에 있는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문 (前文) 에 기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각기 다른 층으로 이동하기 원하는 승객들을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승강실로 구성된다. 승객은 하나 이상의 승강실 문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출입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기본 요소는 조명 장치이다. 조명 장치의 본래의 기능은 승객들이 있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조명하는 것이다.
유럽의 엘리베이터 시방서 (EN 81-1:1998, 17.1.1) 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승강실은 각 층 및 명령 전달 장치에서 50lux 이상의 광도를 보장하는 영구적으로 설치된 전기 조명 장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게다가, 승강실 내에 있는 승객들이 그 엘리베이터 승강실이 멈춘 그 층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식별 가능한 안내 또는 층 표시가 있어야 한다 (EN 81-1:1998. 15.9).
따라서, 그 즉각적인 층의 위치 표시는 승객들에게는 중요하다. 승강실 안에 있는 동안, 승객들의 관심은 다시 그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떠나서 의도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목적지 층에 도달하는 것을 향하고 있다. 층 표시의 통상적인 해결 방안은 이러한 기능을 빛이 나는 문자 표시 장치, 청각적인 신호, 버튼 표시 장치, 이미지 스크린 표시 장치와 그 층의 위치에 관한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데이터와 소통할 수 있는 추가의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결 방안들의 문제점은, 승객들이 그 모든 여정 동안 그 층 표시에 집중해야만 한다는 것, 또는 단지 청각적 신호만으로, 그 목적지 층과 확실한 관계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매우 많은 층을 갖춘 건물에서 특히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데, 이는 예컨대 50 또는 그 이상의 층에서 승객은 엘리베이터 승강실 안에 더 오랜 기간 머물러야 하고, 그 시간 동안 층 표시에 집중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들을 위한 층 표시와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수많 은 층을 가진 높은 건물에서도 목적지 층에 도달하는, 승객과 소통하는 승객의 안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정의에 따른 발명에 의해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는 광원 (光源) 과 층 표시를 위해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 광원의 제어 장치를 갖는다. 이 조명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갖춘 엘리베이터 내에 있는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본 조명 장치의 이점은 조명 장치의 색상 효과로 목적지 층과 소통할 수 있다는데 있다. 따라서, 승객용의 건물 안내를 용이하게 하는, 조명 장치에 의해 승객들을 위해 미리 결정된, 색상 프로필이 있다. 이 색상 프로필은 몇몇 색상 효과의 연속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연속에 따라 바람직하게 층 특유의 색상 효과에 의해, 층이 바람직하게 특징지어지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 색상 효과는 색의 불을 켜는 것, 색의 조합 또는 반짝임이나 깜빡임 등과 같은 시간에 따라 작동하는 색 설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색상 프로필의 설정은 실제로 있는 그대로의 층 색상이나, 테마 (theme) 전달 또는 분위기 전달 관련, 사업이나 문화적 색상 코드 또는 단순히 개인이나 공동의 기호와 같은 상이한 기준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색상 부호화 (coding) 의 더 많은 예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색상 프로필에서 원하는 목적지 층에 도달했을 때 승객들이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인지하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객들이 엘리베이터 승강실을 나서야 하는 시점을 아는 것은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명백하다. 이 조명 장치는 각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고정되어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조명 장치에 의한 층 표시 덕택에 추가적인 층 표시 장치들은 불필요하고 따라서 승강실 시스템의 비용은 감소 된다. 마찬가지로 승객들은 개인적으로 설정 가능한 색상 효과 덕분에 승강실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즐거움을 가진다.
상기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단말기를 가지며, 광원의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한다. 이 제어 장치는 단말기를 통해 광원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이 단말기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 또는 제어 장치를 프로그래밍하도록 허락하는 모든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실현될 수 있다. `
마지막에 언급된 조명 장치는 다음의 부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a) 제어 장치는 색상 프로필에 따라 단말기에 의하여 프로그램된다.
(b) 색상 프로필은 제어 장치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다.
(c) 제어 장치는 색상 프로필에 따라서 상기의 광원을 제어한다.
만약 이 조명 장치가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갖는다면, 또 다른 이점들이 생긴다. 번갈아 사용하는 회의실의 경우 색상 프로필이 쉽게 바뀔 수 있는 것은 이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의 실례 (實例) 는 하기 "색상 프로필"참조). 게다가 사람들이 승강실별 설명서 없이 그런 색상 프로필을 만들거나 바꿀 수 있다면 자주 필요하거나 유용하다. 이러한 경우에 광원의 제어 장치의 간단한 프로그래밍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 게다가 컴퓨터를 갖춘 단말기가 제공되는 것처럼, 그러한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이러한 제어 장치에 전달되는 현재의 색상 효과의 업데이트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조명 장치가 모듈형 구성인 경우일 때,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 그 예로 단말기와 같은 것은 가장 최근의 기술 발전 사항을 고려하고 이러한 것들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조명 장치는 단말기 대신에 제어 장치에 색상 프로필을 배치한 컬러 센서를 가진다. 이 컬러 센서는 그 층에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층 색을 찾아내고 광원의 제어 장치에 의해서 그 층 표시의 색상 효과를 조절한다. 조명 장치는 또한 다음의 부분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의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a) 색상 프로필이 컬러 센서에 의하여 제어 장치에 전달된다.
(b) 제어 장치는 색상 프로필에 따라서 광원을 제어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갖는 광원의 제어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컬러 센서에 의해 프로그램된다. 하나 이상의 컬러 센서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자체 혹은 각 층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컬러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문 영역에 위치되어서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엘리베이터 로비를 조사할 수 있다.
컬러 센서를 갖춘 조명 장치의 가장 큰 이점은 컬러 센서에 의해서 색상 프로필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광원의 제어장치의 손으로 하는 프로그래밍은 이 때문에 불필요하다.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컬러 센서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설치되어진 컬러 센서의 수가 최소라는 이점, 또는 컬러 센서와 광원의 제어 장 치 간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각 층에 센서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이미 존재하는 빌딩 정보 시스템의 센서들 간의 통합의 이점을 인지하는 것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는 승객들이 승강실을 사용하기 전의 색상 효과 표시 장치에 의한 층 특유의 색상 효과의 전달인데, 그래서 승객들은 목적지 층에 도달했을 때 신빙성을 가지고 알아차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와 도면의 예로 인해 명백해지고 더 잘 설명될 수 있다.
많은 공공 건물들에서 각 층들은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진다. 그 예로, 주차 건물에서 각 층을 고유의 색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도 1 은 n + 3 개의 층과 각각 엘리베이터 승강실 (1a, 1b) 을 포함하는 두 승강실 통로 (2a, 2b) 를 갖는 건물들을 나타낸다. 모든 각 층들은 고유의 색상을 갖는다 : n층은 파란색, n + 1 층은 녹색, n + 2 층은 노란색 그리고 n + 3 층은 붉은색이다. 도시된 예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실 (1b) 의 조명 장치 (9) 는 자동차를 녹색 층 (n + 1층) 에 주차시키고 다시 그 차로 돌아가기 원하는 승객에게 녹색 조명으로 신호를 하고 있다. 예들은 병원 건물이나 다른 빌딩의 실질적으로 뚜렷한 건물 층들의 색상 프로필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9) 의 기본 구성이 도 2 에 나타나 있다. 이 조명 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광원 (4), 광원 (4) 의 제어 장치 (5) 그리 고 광원 (4) 의 전압 공급장치 (6) 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 (4) 이 색상 효과를 내는 것은 제어 장치 (5) 에 의해서 제어되고 전압 공급장치 (6) 는 광원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3 에서 단말기 (7) 가 기본 구성에 추가되어 있다. 단말기 (7) 는 명령 신호로서 제어 장치에 전달되고 색상 프로필을 프로그래밍하는 역할을 하는 입력 코드의 입력장치의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도 4 에 따라 색상 프로필은 바람직하게는 문 영역에 위치되고, 건물 층의 색상을 인식하고 색을 제어 장치 (5a, 5b) 에 센서 데이터로서 전달하는 컬러 센서 (8) 에 의해 또한 사용된다.
도 5 에서 색상 효과 표시 장치가 도 3 의 조명 구성에 추가되어 있다. 이 색상 효과 표시 장치는 승객들에게 목적지 층의 선택시에 색상 프로필에 따라 목적지 층에 어느 색상 효과가 할당되어있는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승강실이 출발하기 전에 승객들이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조명 장치 (9) 의 색상 효과에 근거하여 목적지 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은 많은 층을 갖는 건물에서의 환승층 (U) 내부에 있는 승객들을 안내하는 조명 장치 (9) 를 나타낸다. 이러한 건물에서 건물의 진입층 (E) 과 층구역 (Z1, Z2) 에 있는 층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환승층 (U) 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왕복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승강실 (1c) 에서 나올 때, 대기중인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1e) 의 조명 장치 (9) 는 승객들에게 계속된 이동을 위해 준비된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을 발견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향제시를 제공한다. 대기중인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의 조명 장치 (9) 는 승객들에게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 신호를 보내고 이런 경우 승객들이 다음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을 발견하는 것을 도와준다.
색상 프로필 ( COLOUR PROFILE)
색상 프로필은 바람직하게는 층 고유의 색상 효과의 배열로써 정의된다. 따라서 각 건물은 보통 그들 자신의 색상 프로필을 갖는다. 이 색상 프로필은 다양한 측면에 의해서 작성될 수 있다. 확실한 것은 도 1 의 예에서 이미 나타낸 것과 같이 색상 프로필은 층 색상의 물리적인 형성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개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을 결정하는 변수로서의 층 색상과는 별개로, 테마별로 색상을 할당하는 것도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예로 접견을 위한 층은 통신적인 노랑-주황으로 표시되고, 세미나 실은 지적인 푸른색, 세일즈 활동이 일어나는 층은 진취적인 붉은색, 정기적으로 축구 경기를 생방송 해주는 술집이 위치한 층은 녹색 또는 손님 일행들과의 협상 회의가 열리는 층은 그것에 관한 색으로 표시된다. 마지막에 언급된 색상은 색상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 또한 전적으로 일리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점은 환경-전달 색상에 의한 층 색상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승강실 조명의 색은 식당, 스포츠 트레이닝 센터, 웰빙 시설 또는 나이트클럽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진 환경과 층 특성의 조합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 예로 조명 장치 (9) 는 나이트클럽이 있는 층에 도착한 것을 주기적으로 깜빡이는 밝은 색상의 톤으로 알려줄 수 있고, 웰빙 시설은 차분한 적 갈색 톤으로 알려줄 수 있고, 식당은 손님을 환영하는 맛좋은 보르도 포도주의 붉은색을, 그리고 트레이닝 센터는 방문자들을 다양한 문화와 기업에서 발전 되어온 색상 프로필의 디자인이 사용될 수 있는 색상 코드에 의해 다음 트레이닝 레슨을 위한 분위기로 둘 수 있다. 서구 문화에서는, 예를 들면 성별로 분리되어 있는 지역을 포함하는 사우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별 층은 파란색과 붉은색으로 나타내어진다. 여성 사우나 방문자들은 붉은 조명 색에 대응해서 그들의 사우나 층을 인식할 것이고 남성 사우나 사용자들은 푸른 조명 색이 있는 층을 그들의 층으로 인식할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문화적 사업적 집단으로부터의 수많은 다른 배색의 예들이 있을 것이다.
조명 장치 (9) 의 색상 프로필은 또한 순수하게 주관적으로, 개인적으로 혹은 공동적으로 착수한 색상 선에 의해서 명백히 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주택 건물의 색상 프로필에 의해 명백해진다: 옥상 가옥에 사는 뮐러씨는 녹색을 선호하고, 슈나이더 가족은 주황색에 동의하고 그리고 슈미츠 부인은 그녀의 층을 분홍색으로 나타내기를 원한다.
광원 ( LIGHT SOURCE)
다양한 빛의 색상을 내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형광등 또는 컬러 필터 등 많은 기술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빛의 생성이나 빛의 조합의 특정한 양식에 제한받지 않는다. 발광 다이오드는 특히 적합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실 건설에 특히 유용한 몇몇의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발광 다이오드의 중요한 이점은 380 - 740nm 범위의 가시파장의 RGB 제어를 통해 전체 색상 스펙트럼의 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성은 색상 프로필 구상에 있어 상당한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였다. 요구되는 색상, 예로 붉은색 (625 - 740nm), 주황색 (590 - 625nm), 노란색 (565 - 590nm), 녹색 (520 - 565nm), 청록색 (500 - 520nm), 푸른색 (450 - 500nm), 남색 (430 - 450nm), 그리고 보라색 (380 - 430nm) 은 쉽게 설정될 수 있다.
저렴한 에너지 비용과 긴 사용 수명은 이러한 조명 장치 (9) 의 작동 비용에 유리한 효과를 주고 따라서 승강실 설비의 저렴한 작동 비용에 기여한다. 소형 구성의 발광 다이오드는 승강실 설계에 부여된 증가 되는 가치를 추가적으로 고려하고 상당한 설계의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온도가 낮고 또한 진동과 충격에 민감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에서 광원 (4) 의 위치를 정하는 것은 어떠한 특정 전제조건에도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은 승강실 천장, 옆 벽, 바닥, 각 코너 혹은 모서리 그리고 문이나 제어 패널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키보드 조명과 승강실 조명의 조합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키보드 조명은 조명효과를 주게 된다.
광원 (4) 은 다수의 개별적인 부분 광원으로 구성되거나 상이한 조명 기술의 부분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개별적인 부분 광원은 따라서 광원의 일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지 광원 (4) 의 일부 영역만이 층 표시를 위한 색상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광원 (4) 의 일부 영역은 엘 리베이터 승강실 (1) 의 간접 조명으로 설계될 수 있고, 그 예로 스포트라이트를 통하여 제어 패널을 조명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으로, 색상 효과가 나타날 때 단지 스포트라이트만으로 색상 효과를 나타내고 광원 (4) 의 나머지 부분은 흰색 빛으로 남겨두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예와 유사하게, 단지 광원 (4) 의 일부 영역만이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 많은 상이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광원의 제어 ( CONTROL OF THE LIGHT SOURCE)
광원 (4) 의 제어 장치 (5) 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따라서 프로그램 가능하다. 그 예로 메모리 장치는 색상 프로필을 비트 양식으로 저장한다. 프로세서는 이 비트 양식을 판독하고 현재의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위치에 근거하여 광원 (4) 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음 광원 (4) 은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색상 효과를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색상 효과를 만들기 위한 제어 장치 (5) 는 단지 광원 (4) 의 일부 영역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광원 (4) 의 제어 장치 (5) 는 일반적으로 승강실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지만 개별적인 제어 장치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승강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통로 데이터, 승강실 구동장치의 각도 회전량 또는 거리 데이터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의 도움을 받아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현재 위치를 계산한다. 조명 장치 (9) 는 특정층에 도달하면 이미 결정된 색상 프로필에 의해서 색상 효과를 상응하게 설정하고 승객들에게 목적지 층에 이른 것을 알린다.
특히 컬러 센서 (8) 와의 조합에서 광원 (4) 의 제어 장치 (5b) 는 국소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에 위치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b) 에 의존하여 또는 그에 독립적으로 색상 프로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색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제어 명령문들은 이러한 경우에 소통되는 컬러 센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발생된다.
제어 장치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단말기 ( TERMINAL FOR PROGRAMMING THE CONTROL)
조명 장치 (9) 의 중요한 기능은 색상 프로필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말기 (7) 로 명명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서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말기 (7) 는 입력 코드를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명령 신호를 광원 (4) 의 제어 장치 (5) 에 전달한다. 상기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기는 키보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키보드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따라서 입력코드의 입력에 적합은 모든 버튼 시스템의 형태로 이해된다. 이 키보드는 컴퓨터의 구성요소,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의 키보드, 이동 무선 전화 또는 휴대전화기일 수도 있고 또한 다른 형태도 포함한다.
광원의 제어장치에 간단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제어 장치가 독립된 엔진실에 있다면, 키보드는 제어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하지만 키보드 없는 형태의 단말기, 예컨대 터치 스크린이나 음성 인식과 협력하는 마이크로폰도 가능하다. 키보드 없는 다른 형태의 단말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제어 장치 설정을 위한 컬러 센서 ( COLOUR SENSOR FOR SETTING THE CONTROL)
입력 코드의 입력을 위한 단말기 (7) 의 대안으로서, 예를 들면 건물의 층 색상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것 같은 물리적으로 구성된 색상 프로필은 컬러 센서 (8) 와 조명 장치의 제어 장치 (5a, 5b) 에 전달되는 대응 센서 신호들에 의해 인지된다. 이러한 경우 센서는 다른 전압의 센서 신호들을 생성한다. 센서 신호에 근거해서 제어 장치 (5a, 5b) 는 대응 색상 효과의 설정, 이러한 경우에는 명백히 확인된 층 색상을 결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 (8) 는 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센서 (8) 가 엘리베이터 문 (3) 의 뒤에 위치한다면, 건물 층의 색상 결정은 문의 개방시에만 실행된다. 마이크로 초 범위의 응답 시간을 갖는 현대의 컬러 센서 (8) 는 조명 장치의 색상 효과에 의한 층 표시가 충분히 즉시 일어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컬러 센서 (8) 는 문 (3) 의 상태에 상관없이 층의 로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위치되고, 문 (3) 의 개방 전에 제어 장치 (5a, 5b) 에 층 색상을 전달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문 영역의 바깥쪽에 컬러 센서를 위치하게 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센서 (8) 는 원리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구성품이 될 수 있고 그 승강실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각각의 컬러 센서는 원하는 위치에서 각 층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건물 정보 시스템을 통하여 광원 (4) 의 제어 장치 (5) 에 연결될 수 있다.
조명 장치의 기본 요소들의 연결 ( LINKING OF THE BASIC ELEMENTS OF THE LIGHTING EQUIPMENT )
단말기 (7) 또는 컬러 센서 (8), 제어 장치 (5a, 5b) 와 광원 (4) 간의 데이터 전달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서 실행된다. 이 네트워크는 연결 케이블이나 적외선, 블루투스, 무선 랜, 이동 통신 기술, 전자기파, NFC 또는 광파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축될 수 있고, 상기 명시된 통신 기술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색상 효과 표시 장치 ( COLOUR EFFECT DISPLAY)
원리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여러번 또는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나 색상 프로필의 일부 영역 혹은, 전체 색상 프로필마저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활용은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앞서, 엘리베이터나 목적지 층을 처음으로 또는 드물게 이용하는 경우 또는 단순히 생각을 돕는 것으로서의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승객들에게 알려주는 경우 성취될 수 있다.
목적지 층의 선택은 보통 키보드 (11) 와 터치 스크린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하여서 실행된다. 승객들은 이러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목적지 층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알려준다. 이는 승객들에게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전달하기 위한 유리한 시점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5) 는 이런 방식으로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를 통하여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는 승객들이 목적지 층을 선택할 때 일반적으로 승객들의 시야 범위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는 색상 효과의 전달 표시 장치와 승강실 호출의 승인 표시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의 구현의 다른 형태와 위치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는 입력 수단 키보드 (11) 의 일체화된 구성품이 될 수 있다. 승객이 목적지 층의 버튼 (10) 을 누른다면 버튼 (10) 아래 혹은 버튼 (10) 주위에 있는 버튼 조명이 제어 장치 (5) 에 의해 작동될 것이고 이런 식으로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가 전달된다. 터치 스크린도 입력 수단과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로서 이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목적지 층을 선택하면 터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전달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색상 효과 표시 장치는 입력 수단의 근처에 있는 이미지 스크린을 포함한다. 입력 수단의 작동시 이미지 스크린이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나타낸다. 이미지 스크린 대신 램프가 색상 효과 표시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모든 예들에서 기본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경우: 승객이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을 부를 때 이미 목적지 층과 통신하는 목적지 호출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그리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승강실 (1) 내부에서만 목적지 층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전통적인 승강실 호출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간에 차이가 있다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형상 ( LIFT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9) 는 그 형상에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모든 승객 엘리베이터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길이의 색상 프로필이라 도 깜빡임, 반짝임, 빛의 세기의 변화 또는 색상 변화의 움직임과 같은 다양한 색상, 색상의 조합, 시간의 흐름에 의한 색상 효과에 의해서 프로그램되거나 또는 설정되기 때문에 특별히 고층 건물의 층 표시에 적합하다. 색상 프로필의 부분 지역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반복하는 것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환승층 (U) 은 종종 많은 층을 포함하는 건물에 만들어 진다. 이러한 환승층 (U) 까지는 건물 진입층 (E) 에서 고속 엘리베이터가 직접 운행된다. 환승층 (U) 에 도착한 후에 정해진 층 구역 (Z1, Z2) 을 운행하고 국소 운행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1e) 로 갈아타고 이런 식으로 목적지 층으로 승객들의 적절한 분배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층 구역 (Z1) 에서 다른 층 구역 (Z2) 으로 가기를 원하거나 건물에서 나가기를 원하는 승객들은 마찬가지로 환승층 (U) 으로 가면 된다.
대기중인 엘리베이터 승강실 (1c, 1d, 1e) 의 조명 장치 (9) 는 환승층 (U) 에 도착한 승객들의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유리하게 표시한다. 고속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승강실 (1c) 을 타고 환승층 (U) 으로 이동하는 승객들은 목적지 층의 조명 장치의 색상 효과로 대기중인 국소 운행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을 확인한다. 환승층 (U) 에서의 목적지 층의 표시는 색상 효과 표시 장치 또는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데 적합하고 엘리베이터 승강실 외부에 위치한 다른 장치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6 의 구체적인 경우에는, 승객들은 색상 프로필에 의하여 색상 프로필에 의하여 붉은색으로 특징지어진 구역 Z1 층의 U + 2 층으로 가기 원한다. 승객 들은 엘리베이터 승강실 (1c) 을 통하여 환승층 (U) 에 도착한다. 대기중인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은 승객들을 태우고 목적지 층 (U + 2) 으로 간다. 이동 중 승객들의 안내를 돕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실 (1d) 의 조명 장치 (9) 는 이동 과정 중에 붉은색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런 방식으로 승객들의 안내의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들을 위한 층 표시와 간단하고 명확한 방법으로, 많은 층을 가진 높은 건물에서도 그 혹은 그녀의 목적지 층에 도달하는, 승객과 소통하는 승객의 안내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광원 (4) 과 광원의 제어 장치 (5) 를 갖춘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에 있어서, 광원은 층 표시를 위한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말기 (7)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 (5) 는 단말기 (7) 에 의하여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7) 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컬러 센서 (8) 는 제어 장치 (5a, 5b) 와 소통하고, 상기 컬러 센서 (8) 에 의해 색상 프로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 (5a, 5b) 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 (5a, 5b) 는 컬러 센서 (8) 에 의하여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센서 (8) 는 문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센서 (8) 는 층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효과는 색상 프로필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효과는 하나 이상의 색상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효과는 시간 동적 효과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4) 은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측벽, 천정 또는 바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4) 은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또는 형광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실 (1) 의 조명 장치 (9).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장치 (9) 의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에 있어서, 목적지 층의 선택 시 목적지 층의 색상 효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의 색상 효과 표시 장치 (12).
  14. 승강실 (1) 과 조명 장치 (9) 를 갖춘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조명 장치 (9) 는 광원 (4) 과 이 광원의 제어 장치 (5) 를 가지며,
    목적지 층의 도착은 광원 (4) 의 색상 효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 (9) 는 제어 장치 (5) 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단말기 (7) 를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 (5) 는 메모리 유닛과 프로세서를 가 지며,
    (a) 상기 제어 장치 (5) 는 색상 프로필에 따라 단말기 (7) 에 의하여 프로그램되며,
    (b) 상기 색상 프로필은 제어 장치 (5) 의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며,
    (c) 상기 제어 장치 (5) 는 색상 프로필에 따라 광원 (4) 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 (9) 는 제어 장치 (5) 의 설정을 위한 컬러 센서 (8) 를 가지며,
    (a) 컬러 센서 (8) 를 통하여 색상 프로필이 제어 장치 (5) 에 전달되며,
    (b) 제어 장치 (5) 는 상기 색상 프로필에 따라 광원 (4) 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 안내를 위한 방법.
KR1020070041381A 2006-04-28 2007-04-27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KR101351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3306.2 2006-04-28
EP06113306 2006-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449A true KR20070106449A (ko) 2007-11-01
KR101351117B1 KR101351117B1 (ko) 2014-01-14

Family

ID=3719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381A KR101351117B1 (ko) 2006-04-28 2007-04-27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793761B2 (ko)
EP (1) EP1849737B1 (ko)
JP (1) JP2007297213A (ko)
KR (1) KR101351117B1 (ko)
CN (1) CN101062743B (ko)
AR (1) AR060715A1 (ko)
AT (1) ATE552200T1 (ko)
AU (1) AU2007201853B2 (ko)
BR (1) BRPI0702323A (ko)
CA (1) CA2586429C (ko)
ES (1) ES2383228T3 (ko)
HK (1) HK1113918A1 (ko)
MX (1) MX2007005036A (ko)
MY (1) MY143338A (ko)
NZ (1) NZ554200A (ko)
RU (1) RU2007116066A (ko)
SG (1) SG136913A1 (ko)
ZA (1) ZA2007031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1396B (zh) * 2005-12-15 2014-11-26 奥蒂斯电梯公司 与呼梯相关的电梯轿厢标识
US8776954B2 (en) * 2009-03-10 201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ar destination floor indication device
JP5289147B2 (ja) * 2009-04-06 2013-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1037580A (ja) * 2009-08-11 2011-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US9505586B2 (en) * 2011-03-30 2016-11-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ssigned car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for elevators
TWI414476B (zh) * 2011-04-26 2013-11-11 Golden Friends Gfc Ltd Corp Elevator lift control and floor display method
FI124033B (fi) * 2012-06-07 2014-02-14 Kone Corp Hissin kutsupaneeli
WO2015124826A1 (en) * 2014-02-20 2015-08-27 Kone Corporation Displaying information in elevator arrangement
WO2015169372A1 (en) * 2014-05-08 2015-11-12 Kone Corporation Semiotic light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emiotic lighting patterns
US9485838B2 (en) 2014-12-12 2016-11-01 Osram Sylvania Inc. Lighting system for contained environments
CN107735347A (zh) * 2015-06-08 2018-02-2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
CN107709210B (zh) * 2015-07-03 2019-11-29 三菱电机株式会社 目的地楼层显示装置、信息显示控制装置以及电梯系统
DE102015213102A1 (de) * 2015-07-13 2017-01-19 Eckhard Feddersen Fahrstuhlsystem zur Personenbeförderung
JP6837583B2 (ja) * 2018-02-15 2021-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19171530A1 (ja) * 2018-03-08 2019-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09693981B (zh) * 2019-02-28 2021-10-0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发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20181014A1 (en) * 2020-12-08 2022-06-09 Mitchell Weiss Wireless digital treatment and warning system and display for veterinarian animal cages
KR20230028852A (ko) * 2021-08-23 202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빌리티 배차 시스템 및 방법
CN113860103B (zh) * 2021-09-27 2022-12-20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提醒系统与方法
KR102469665B1 (ko) * 2022-07-15 2022-11-22 최정일 엘리베이터카의 승객안전지킴용 조명장치
JP7315085B1 (ja) 2022-12-05 2023-07-26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案内装置、エレベータ案内システム、エレベータ案内方法、及びエレベータ案内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854A (ja) * 1992-08-11 1994-03-0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表示装置
US5485897A (en) * 1992-11-24 1996-01-23 Sanyo Electric Co., Ltd. Elevator display system using composite images to display car position
JPH06223976A (ja) * 1993-01-27 1994-08-12 Nakamura Hiroharu 多灯放電ランプの光色切替え装置を併設してなる、放電灯照明 器具
US5559681A (en) * 1994-05-13 1996-09-24 Cnc Automation, Inc. Flexible, self-adhesive, modular lighting system
JPH09286571A (ja) 1996-04-25 1997-11-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監視盤のかご位置表示装置
JP2000335839A (ja) * 1999-04-22 2000-12-05 Inventio Ag 輸送システムと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
JP2001302128A (ja) * 2000-04-18 2001-10-31 Otis Elevator Co 乗り場ボタンの表示入力切り替えシステム
EP1291311B1 (en) * 2000-06-16 2011-0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perating board for elevator
DE20019698U1 (de) * 2000-11-20 2001-03-01 Thyssen Fahrtreppen Gmbh Fahrtreppe oder Fahrsteig
US6472823B2 (en) * 2001-03-07 2002-10-29 Star Reach Corporation LED tubular light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WO2004022470A1 (en) * 2002-09-06 2004-03-18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Lighting system of elevator
CN1720188A (zh) * 2002-12-30 2006-01-11 奥蒂斯电梯公司 位置基准系统
TWI282773B (en) * 2003-10-31 2007-06-21 Toshiba Elevator Kk Lighting apparatus of elevator
CN1874949A (zh) 2004-08-30 2006-12-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目标楼层登记装置
US7322446B2 (en) * 2004-11-05 2008-01-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ll assignment indications for multiple elevators in each of a plurality of elevator hoistw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9737A1 (de) 2007-10-31
KR101351117B1 (ko) 2014-01-14
BRPI0702323A (pt) 2008-03-11
CA2586429A1 (en) 2007-10-28
US20070251766A1 (en) 2007-11-01
MY143338A (en) 2011-04-29
ZA200703152B (en) 2008-11-26
RU2007116066A (ru) 2008-11-10
JP2007297213A (ja) 2007-11-15
AU2007201853A1 (en) 2007-11-15
NZ554200A (en) 2008-11-28
US7793761B2 (en) 2010-09-14
HK1113918A1 (en) 2008-10-17
AU2007201853B2 (en) 2012-02-09
CA2586429C (en) 2014-09-02
CN101062743A (zh) 2007-10-31
MX2007005036A (es) 2008-12-01
AR060715A1 (es) 2008-07-10
ATE552200T1 (de) 2012-04-15
ES2383228T3 (es) 2012-06-19
EP1849737B1 (de) 2012-04-04
CN101062743B (zh) 2010-12-08
SG136913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117B1 (ko) 엘리베이터 승강실의 조명 장치와 엘리베이터 내 사람들의안내를 위한 방법
US10669120B2 (en) Passenger transport system
JP513206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1727163B (zh) 用于具有目标呼叫控制器的电梯设备的成本低廉的电梯伺服装置
US4972926A (en) Hall information system for elevator
WO2016199187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655360B1 (ko)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WO2001079101A3 (en) Boarding hall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its device
AU2016239825A1 (en) Dynamic ambience management system for use in stations and other public spaces
JP2005263362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の利用者乗車誘導装置
CN112357705A (zh) 一种电梯候梯时长显示方法
CN215755787U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WO2020194368A1 (ja) エレベータホール照明装置兼誘導到着報知装置
FI94122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utsutiedon välittämiseksi hississä
KR20200132477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3086784A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JP6657299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およびその点灯方法
KR20220021336A (ko) 엘리베이터 카의 조명제어장치
JPH0433807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721417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108844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230058632A (ko) 제한된 이동성을 갖는 승객들을 위한 엘리베이터 동작 디바이스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11116521A (ja) エレベータの表示装置
KR20050005895A (ko) 엘리베이터의 조명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