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360B1 -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360B1
KR101655360B1 KR1020160021203A KR20160021203A KR101655360B1 KR 101655360 B1 KR101655360 B1 KR 101655360B1 KR 1020160021203 A KR1020160021203 A KR 1020160021203A KR 20160021203 A KR20160021203 A KR 20160021203A KR 101655360 B1 KR101655360 B1 KR 10165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passenger
guide memb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림기업
Priority to KR102016002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F21V29/0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37/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노약자나 장애인의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한 승하차는 물론이고 신속한 승하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의 바닥면에 발광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의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한 승하차는 물론이고 신속한 승하차를 가능하게 하되, 특히 카의 이동 중에는 상기 발광가이드부재의 밝기를 줄이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안한 탑승을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Elevator for disabled person}
본 발명은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노약자나 장애인의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한 승하차는 물론이고 신속한 승하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이 구축되는 각종 건물 및 이동통로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층 건물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으면 층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편의 기능이 구비된 운영 장치가 요구되며,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휠체어 사용자들의 탑승이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탑승이 가능하도록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을 포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315816호(2013.10.08, 공고)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을 통해서 장애인은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게 되고, 이 관리수단에서 호출될 경우 엘리베이터 내에 스피커를 구비하여 장애인 탑승을 알려 미리 공간 확보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은 장애인전용콜관리수단 및 스피커를 통해서 장애인 탑승을 미리 알려 탑승객이 미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장애인의 신속한 탑승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될 것이므로 적용이 쉽지 않고, 나아가 탑승하고 있는 일반인들은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줘야 되는지 막연하여 때로는 공간 확보가 많이 되거나 덜 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노약자나 장애인의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한 승하차는 물론이고 신속한 승하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통로에 설치되며 탑승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탑승공간을 개폐하는 카 도어가 구비되며, 바닥면 가운데 부분에는 한 쌍의 장착공이 이격 형성된 카; 상기 건물의 각 층 탑승장에 설치되어 상기 카에 설치되어 카 도어와 같이 개폐 작동되는 홀 도어; 상기 건물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카를 원하는 각 층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수단; 상기 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 도어와 홀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각각 설치되어 장애인 탑승구역을 형성하되, 전원인가에 의해 발광되면서 탑승객들로 하여금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인지하게 하는 발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건물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카의 운행에 관한 제어 및 상기 발광가이드부재의 발광 작동에 관한 것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 내에 설치되는 LED조명; 상기 장착공의 상면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 혹은 측면에는 상기 장착공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하면은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가장자리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LED조명에서 발산되는 빛이 수직선상으로 투과되는 투과율을 줄이도록 하여 밝기가 최대인 상태에서도 탑승객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어 발광가이드부재에서 발상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통합제어부의 제어로 인해 상기 카의 층간 이동 중에는 탑승객의 눈부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밝기를 줄이고, 멈출 때에는 밝기를 최대로 하여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명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카의 바닥면에 발광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의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안전한 승하차는 물론이고 신속한 승하차를 가능하게 하되, 특히 카의 이동 중에는 상기 발광가이드부재의 밝기를 줄이도록 구성함으로써 편안한 탑승을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를 보인 개략적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탑승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차 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카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를 보인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크게 카(10), 홀 도어(20), 승하강수단(30), 개폐수단(40), 발광가이드부재(50) 및 통합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카(1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0)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통로에 설치되며 전측으로 개방된 탑승공간(12)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탑승공간(12)을 개폐하는 카 도어(14)가 구비되며, 바닥면 가운데 부분에는 상측으로 개방된 한 쌍의 장착공(16)이 일정거리 이격된 채 형성된다. 이때, 도 2의 "나"의 확대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카 바닥면(10)에는 상기 장착공(16)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로(18)가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발광가이드부재(5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10)의 내부 일측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탑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미도시 하고 있으나 숫자버튼, 열림 및 닫힘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버튼부가 구비되고, 건물(100)의 각층마다 구비된 탑승장의 벽면 일측에는 카(10)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버튼(110)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홀 도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100)의 각 층 탑승장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탑승장과 카(10)가 이동하는 통로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카 도어(14)의 개폐 작동과 같이 개폐 작동되면서 탑승장의 사람이 카(10) 내부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카(10)를 원하는 각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물(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인양기(32), 상기 인양기(32)에 권취되며 일단이 상기 카(10)와 연결되는 와이어(34) 및 상기 와이어(34)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웨이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승하강수단(30)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수단(40)은 도 1에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 도어(14) 및 홀 도어(2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1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카 도어(14)와 홀 도어(20)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와 같은 구성 또한 널리 공지되어 있어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가이드부재(50)는 도 1 및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16)에 각각 설치되어 장애인 탑승구역을 형성하되, 전원인가에 의해 발광되면서 탑승객들로 하여금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인지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발광가이드부재(50)는 상기 카(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16) 내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조명을 발산하는 LED조명(52) 및 상기 장착공(16)의 상면을 밀폐하는 투명 아크릴 소재의 커버(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54)의 하면 혹은 측면에는 그 형상을 따라 패킹(56)을 구비하여서 결합부분을 통해 장착공(16)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2의 일부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4)의 하면은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가장자리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LED조명(52)에서 발산되는 빛이 수직선상으로 투과되는 투과율을 줄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밝기가 최대인 상태에서도 탑승객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커버(54)의 가운데 부분을 두껍게 하면서도 그 부분에 색상을 입혀 투과율을 더 낮출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럴 경우에는 색상에 의해 조명의 미려감이 향상될 것이다.
즉, 탑승객의 하측에서 수직선상으로 조명이 발산되면 탑승객의 눈부심이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직선상으로는 투과율을 줄이는 방안이 제안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통합제어부(6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건물(100)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카(10)의 운행에 관한 제어 및 상기 발광가이드부재(50)의 발광 작동에 관한 것을 포함하여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수단(30), 개폐수단(40)과 연결되어서 이의 작동을 제어함은 물론이고, 발광가이드부재(50)로 전원을 인가하여 조명을 발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통합제어부(60)는 밝기조절부(62)를 더 구비하여 이를 매개로 상기 발광가이드부재(5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합제어부(60)는 상기 카(10)의 층간 이동 중에는 발광가이드부재(50)의 밝기를 줄여 탑승객의 눈부심을 최소화하고, 탑승장에 멈출 때에는 밝기를 최대로 하여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선명하게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카(10)의 이동 중 탑승객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는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탑승 과정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차 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탑승장으로 접근하여 호출버튼(110)을 누르면 이 신호는 통합제어부로(60) 전달되고, 이 신호를 받은 통합제어부(60)는 신호가 발생된 층으로 카(10)를 이동시킨다. 상기 카(10)가 호출된 탑승장에 멈추게 되면 통합제어부(60)에서는 바닥면에 설치된 발광가이드부재(50)의 LED조명(52)의 밝기를 최대화시키게 된다. 그러면 카(10) 내부에 미리 탑승하고 있는 승객들은 발광가이드부재(50)의 LED조명이 밝아지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고 한 쌍의 발광가이드부재(50)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승객도 곧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장애인 탑승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LED조명(52)이 최대로 밝아지더라도 커버(54)는 가운데 부분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수직선상으로는 투과율이 낮아져 눈부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합제어부(60)의 제어를 매개로 홀 도어(20) 및 카 도어(14)가 열리면 장애인은 미리 확보된 장애인 탑승공간 즉, 한 쌍의 발광가이드부재(50) 사이로 탑승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이 완료되면 상기 통합제어부(60)가 상기 홀 도어(20) 및 카 도어(14)를 닫게 되는데, 도어가 닫히면 이 신호를 매개로 통합제어부(60)는 발광가이드부재(50)의 LED조명(52) 밝기를 줄여 은은하게 함으로써 다음 멈출 때까지 즉, 카(10)의 이동 중에는 눈부심을 최소화하여 탑승객의 불편을 줄이게 된다.
결국, 카(10) 내부에 미리 탑승하고 있는 탑승객들은 발광가이드부재(50)의 발광으로 인해 장애인 탑승공간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탑승 과정에 발생될 수 있는 혼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노약자는 물론이고 장애인 탑승이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고, 나아가 안전한 탑승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애인 탑승공간을 안내하는 발광가이드부재(50)의 조명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은 물론이고 탑승객의 눈부심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발광가이드부재(50)의 조명이 밝아질 경우 장애인 탑승공간임을 비장애인들이 인식하고 비켜 설 수 있도록 카 내부에 안내 문구를 부착하거나 나아가 공익캠페인 형태의 홍보 활동이 필요하게 될 것이나, 약간의 홍보 노력이 더해지면 장애인의 탑승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장애인의 탑승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나아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이용객 모두가 편리하고 신속한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카 12 : 탑승공간
14 : 카 도어 16 : 장착공
20 : 홀 도어 30 : 승하강수단
32 : 인양기 34 : 와이어
36 : 웨이트 40 : 개폐수단
50 : 발광가이드부재 52 : LED조명
54 : 커버 56 : 패킹
60 : 통합제어부 62 : 밝기조절부
100 : 건물 110 : 호출버튼

Claims (3)

  1. 건물에 형성되는 수직 방향의 통로에 설치되며 탑승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탑승공간을 개폐하는 카 도어가 구비되며, 바닥면 가운데 부분에는 한 쌍의 장착공이 이격 형성된 카;
    상기 건물의 각 층 탑승장에 설치되어 상기 카에 설치되어 카 도어와 같이 개폐 작동되는 홀 도어;
    상기 건물의 상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카를 원하는 각 층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수단;
    상기 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 도어와 홀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각각 설치되어 장애인 탑승구역을 형성하되, 전원인가에 의해 발광되면서 탑승객들로 하여금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인지하게 하는 발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건물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카의 운행에 관한 제어 및 상기 발광가이드부재의 발광 작동에 관한 것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장착공 내에 설치되는 LED조명;
    상기 장착공의 상면을 밀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하면 혹은 측면에는 상기 장착공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의 하면은 가운데 부분을 볼록하게 형성하여 가장자리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LED조명에서 발산되는 빛이 수직선상으로 투과되는 투과율을 줄이도록 하여 밝기가 최대인 상태에서도 탑승객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장착공과 연통되어 발광가이드부재에서 발상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가이드부재는 통합제어부의 제어로 인해 상기 카의 층간 이동 중에는 탑승객의 눈부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밝기를 줄이고, 멈출 때에는 밝기를 최대로 하여 장애인 탑승구역임을 명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21203A 2016-02-23 2016-02-23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165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203A KR101655360B1 (ko) 2016-02-23 2016-02-23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203A KR101655360B1 (ko) 2016-02-23 2016-02-23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360B1 true KR101655360B1 (ko) 2016-09-08

Family

ID=5695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203A KR101655360B1 (ko) 2016-02-23 2016-02-23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39A (ko) 2019-09-06 2021-03-16 오봉석 휠체어용 리프트
KR102393293B1 (ko) 2022-02-18 2022-05-03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34316B1 (ko)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081A (ja) * 1998-10-29 2000-05-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車椅子エレベータ装置
JP2009113981A (ja) * 2007-11-09 2009-05-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天井照明装置
JP2009173381A (ja) * 2008-01-23 2009-08-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09266780A (ja) * 2008-04-30 2009-11-1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081A (ja) * 1998-10-29 2000-05-1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車椅子エレベータ装置
JP2009113981A (ja) * 2007-11-09 2009-05-2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天井照明装置
JP2009173381A (ja) * 2008-01-23 2009-08-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09266780A (ja) * 2008-04-30 2009-11-1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発光体および照明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39A (ko) 2019-09-06 2021-03-16 오봉석 휠체어용 리프트
KR102393293B1 (ko) 2022-02-18 2022-05-03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을 위한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34316B1 (ko) 2022-11-29 2023-05-26 주식회사 한림기업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승강기 탑승시 및 이용시에 따른 안전과 편리성의 기술적 성능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60B1 (ko) 장애인 편의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JP2008087949A (ja) エレベータの音声案内装置
JP2010275102A (ja) エレベータの戸開制御装置
CN108861916B (zh) 用于具有至少两个轿厢门的电梯轿厢的轿厢操作面板
JP2011046468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安全装置
JP5840289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549346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20050034930A1 (en) Emergency safeguard system for elevator
KR20120058707A (ko)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JP4421008B2 (ja) 特殊運転機能付きエレベータ
KR20170110197A (ko)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JP2011184122A (ja) エレベータ
JP2000255953A (ja) エレベータ
KR20190055563A (ko) 엘리베이터 카의 호출장치
CN215755787U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JPH1077168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装置及び乗りかご出入口装置
JP201721417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66147Y2 (ja) エレベ−タの出入口照明装置
JP736709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避難運転方法
JP7476946B1 (ja) エレベータ
KR20220026849A (ko) 살균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의 버튼장치 및 그의 살균제어방법
CN113086784A (zh) 电梯呼叫系统和包含该电梯呼叫系统的电梯
JP201208203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222545Y2 (ko)
JP2009292600A (ja) 車イス兼用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