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571A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571A
KR20070103571A KR1020060035310A KR20060035310A KR20070103571A KR 20070103571 A KR20070103571 A KR 20070103571A KR 1020060035310 A KR1020060035310 A KR 1020060035310A KR 20060035310 A KR20060035310 A KR 20060035310A KR 20070103571 A KR20070103571 A KR 20070103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vehicle
sliding member
panel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to KR102006003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571A/ko
Publication of KR2007010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컵홀더와,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상기 개구부에 힌지수단으로 회동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요동에도 컵홀더가 수평을 유지하여 컵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컵홀더를 패널에 인ㆍ출입시킬 수 있다.
차량, 컵홀더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가 패널 내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 장치가 패널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에 구비된 컵홀더가 패널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에 구비된 개폐부재가 패널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가 차량의 패널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수용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의 컵홀더를 패널에서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의 컵홀더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가 패널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의 컵홀더가 패널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되는 탈착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되는 탈착수단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차량이 요동됐을 때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에 구비된 수용체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11 : 개구부
12 : 수용부 13 : 지지턱
100 : 슬라이딩부재 110 : 가이드부
111 : 홈 112 : 돌기
120 : 수용홈 150 : 구동수단
151 : 랙기어 152 : 피니언기어
152a: 주동기어 152b : 종동기어
153 : 모터 160 : 탈착수단
161 : 홈부 162 : 조임부재
163 : 돌기부 164 : 탄성스프링
165 : 지지부재 166 : 회동부재
167 : 걸림부 168 : 안내공
200 : 컵홀더 210 : 지지체
211 : 좌우회동축 212a,212b : 전후회동축
220 : 수용체 221 : 회동홈
230 : 미끄럼방지부재 240 : 무게중심부재
300 : 조작부 400 : 개폐부재
410 : 힌지축 420 : 걸림돌기
430 : 복원스프링 440 : 안내부재
500 : 받침부재 510 : 안착부
600 : 전면커버 700 : 용기, 컵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컵 홀더를 패널에 인ㆍ출입시킬 수 있고, 차량이 요동되어도 컵홀더가 수평을 유지하여 컵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주행중에 음료수가 수용된 컵 또는 캔 등의 음료용기를 놓아둘 수 있는 컵홀더가 구비된다.
상기 컵홀더는 컵을 지지하는 몸체가 수납몸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필요시에만 컵지지몸체를 눌러서 밖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컵지지몸체를 눌러서 수납몸체 내부로 인입하여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장치는 첨부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이 반원형으로 개구된 끼움공간부(3)가 형성된 컵지지몸체(2)와, 끝단이 반원형 지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간부(3)와 교차되게 형성되고, 타단은 힌지(5)에 의해 컵지지몸체(2)에 고정되어 회동되게 이루어진 회동바(4)(4')와, 상기 컵지지몸체(2)에 내장되는 수납몸체(1)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끼움공간부(3)와 교차되게 형성되는 회동바(4)(4') 사이에는 스프링(6)이 체결되어 상기 회동바(4)(4')를 내측으로 잡아당기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납몸체(1)의 전방으로는 태엽식 작동구의 끝단이 고정되며, 작동구는 컵지지몸체(2)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공간(미도시)에 끼워지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컵홀더장치에 다양한 크기의 컵 또는 캔을 안착고정하 기 위해서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컵지지몸체(2)는 걸림구(미도시)에 의해 수납몸체(1)에 내장되어 밖으로 나오지 않게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컵지지몸체(2)를 밀면 걸림구가 해지되면서 후단부의 걸림공간(미도시)에 걸린 태엽식 작동구(미도시)의 감김력에 의해 컵지지몸체(2)를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양한 크기의 컵 또는 캔(8)을 안착지지하기 위해서는 컵지지몸체(2)에 내장된 회동바(4)(4')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회동바(4)(4')가 스프링(6)을 잡아당기면서 힌지(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끼움공간(3)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끼움공간(3)의 면적이 넓어진 상태에서 끼움공간(3)에 컵을 안착시킨 후 다시 회동바(4)(4')를 놓게되면 회동된 회동바(4)(4')를 내측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놓여진 컵 또는 캔(8)을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컵홀더 장치는 컵 또는 캔(8)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컵 또는 캔(8)의 직경 만큼 회동바(4)를 잡아당겨 끼움공간(3)을 형성한 후 컵 또는 캔(8)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다양한 사이즈의 컵 또는 캔(8)을 고정하기가 매우 불편한 점이 있다.
그리고, 운전도중 운전자가 컵 또는 캔(8)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핸들을 잡고 다른 한 손을 컵을 잡은 상태로 회동바(4)(4')를 잡아당겨 컵 또는 캔(8)을 안착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선이 컵홀더장치로 향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행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게 마련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제공된 컵홀더는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이 요동되면 컵홀더에 수용된 컵이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컵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요동되어도 컵홀더는 수평을 유지하게 때문에 컵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한 번의 누름으로 인해서 컵홀더가 인ㆍ출입되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컵홀더;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상기 개구부에 힌지수단으로 회동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 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컵홀더; 상기 컵홀더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면커버; 및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컵홀더가 인ㆍ출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구비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인ㆍ출입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호의 형상을 갖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연결되고, 컵이 수용되는 링 형상의 수용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좌ㆍ우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수용체는 전ㆍ후방향으로 회동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내 원주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내 원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슬라 이딩부재에 각각 홈과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무게중심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에 연결되는 컵홀더; 상기 컵홀더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의 가압에 따라 상기 컵홀더와 상기 받침부재가 인ㆍ출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홈과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상기 패널과 탈착수단으로 고정/분리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연결되고, 호의 형상을 갖는 조임부재;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홈부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조임부재와 탈착되고,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의 가압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조임부재에 위치되어 상호간에 고정/분리되고,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홈부의 탈착으로 인해서 상기 컵홀더가 인ㆍ출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는, 슬라이딩부재(100), 구동수단(150), 컵홀더(200), 조작부(300), 개폐부재(4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위치에 패널들이 구비된다. 특히, 차량의 실내 전방에 위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덕트 및 오디오와 글로브박스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부분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와 연통되어 상기 패널(10) 내부로 수용부(1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상기 패널(10)에 구비된 상기 수용부(12)에 위치되고, 상기 개구부(11)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부재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와 상기 패널(10)에는 가이드부(110)가 구비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10)를 갖는 홈(111)은 슬라이딩부재(100)에 형성되고, 돌기(112)는 상기 패널(10)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홈(111)은 상기 패널(10)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112)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상기 가이드부(110)를 따라서 패널(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패널(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전방 중심부에는 수용홈(12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0)은 후술되는 컵홀더(200)가 연결되고, 상기 컵홀더(2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50)은 랙기어(151), 피니언기어(152), 모터(153)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랙기어(151)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설치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랙기어(151)의 위치를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하측에 위치시켰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상측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152)는 회전비가 상이하게 구성된 주동기어(152a)와 종동기어(152b)로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152b)는 상기 랙기어(151)와 맞물리고, 상기 주동기어(152a)는 상기 종동기어(152b)에 일측이 맞물린다. 또한, 상기 주동기어(152a)의 타측은 상기 모터(153)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53)와 상기 종동기어(152b)는 패널(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151)와 상기 피니언기어(152), 그리고, 상기 모터(153)의 위치는 도시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152)와 상기 모터(153)가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결합되고, 상기 랙기어(151)가 상기 패널(10)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컵홀더(200)는 지지체(210)와 수용체(2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210)는 호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210)에는 2가지 형태의 회동축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은 상기 지지체(210)의 외측에 형성되는 좌우회동축(211)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회동축은 상기 지지체(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전후회동축(212a,212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회동축(211)은 호의 형상을 갖는 그 중심부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좌우회동축(211)은 앞서 언급한 상기 수용홈(12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전후회동축(212a,212b)은 호의 형상을 갖는 상기 지지체(210)의 내측에 마주보며 위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210)는 좌우 방향으로 360°회전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양측 방향으로 각각 30°정도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동각의 설정수단은 상기 지지체(21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각각 걸림돌기(미도시)와 걸림턱(미도시)을 형성시켜 상기 지지체(210)의 최대 회동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용체(22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체(220)의 양측에는 회동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홈(221)은 상기 좌우회동축(211)이 삽입되고, 상기 수용체(220)가 상기 지지체(2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회동축(211)은 상기 수용체(220)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120)은 상기 지지체(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체(220)의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는 직경이 상이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개구부에서 상기 하부개구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다.
상기 수용체(220) 내 원주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30)는 고무, 우레탄과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230)의 내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미도시) 및 그 표면이 거칠게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체(220)에 컵과 음료수 캔과 같은 용기(700)가 수용됐을 때,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첨부된 도 9a와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220)의 하측에는 무게중심부재(2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무게중심부재(240)는 상기 수용체(220)의 상부개구부와 하부개구부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수용체(2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개구부가 하부개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체(220)에 용기(700)를 올려놓을 때, 상기 상ㆍ하부개구부의 위치를 유지시켜 용기(700)가 상부개구부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무게중심부재(240)는 상기 수용체(220)의 하측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수용체(220)의 하측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400)에는 힌지축(410)과 걸림돌기(420), 복원스프링(43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400)는 전술한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400)의 두께는 약 2~10mm 까지 다양하게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410)은 상기 개폐부재(400)의 하측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패널(10)에는 상기 힌지축(410)이 삽입되는 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10)의 개구부(11)에는 지지턱(1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13)은 상기 개구부(1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20)는 측면에서 봤을 때 'ㄷ'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 고, 상기 걸림돌기(420)에는 상기 복원스프링(430)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430)의 타단은 상기 패널(1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1)의 하측에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부재(400)의 내측면에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 안내부재(4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440)는 상기 개폐부재(400)가 회동되어 개구부(11)가 개방됐을 때, 그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440)는 전술된 상기 컵홀더(200)가 상기 수용부(12)로 인입될 때, 상기 컵홀더(200)의 하측과 마찰되어 상기 컵홀더(200)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패널(10)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모터(153)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300)의 조작에 상기 모터(153)에 인가되는 전원을 ON/OFF 시켜 상기 컵홀더(200)가 상기 패널(10)에서 인ㆍ출입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의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첨부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컵홀더가 패널(10)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300)를 조작하게 되면 첨부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컵홀더(200)가 외측으로 인출된다. 즉, 모터(153)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동기어(152a)와 종동기어(152b)가 회전되고, 상기 종동기어(152b)와 맞물린 랙기어(151)가 패널(10)의 전방으로 위치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상기 수용부(12)를 따라 인출되는데, 이때, 개폐부재(400)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컵홀더(200)는 개구부(11)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컵이나 캔과 같은 용기(700)를 상기 컵홀더(200)에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 중 차량이 요동을 하게 되면 컵홀더(2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부재(100)와 연결된 좌우회동축(211)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컵홀더(200)에 구비된 지지체(210)에는 수용체(220)에 구비된 전후회동축(212a,212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체(220)는 상기 지지체(2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차량이 요동되면 슬라이딩부재(100)를 포함한 차량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요동되지만, 상기 컵홀더(200)는 좌우회동축(211)과 전후회동축(212a,212b)으로 인해서 완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미세한 요동만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7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0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2실시예는, 슬라이딩부재(100), 구동수단(150), 컵홀더(200), 조작부(300), 받침부재(500), 전면커버(5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 상기 구동수단(150), 상기 컵홀더(200), 상기 조작부(300)는 앞서 언급한 제 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 다. 다만, 패널(10)에 구비된 개구부(11)와 수용부(12)의 공간이 확장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받침부재(500)는 상기 컵홀더(200)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받침부재(500)는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500)에 별도의 가이드부(1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500)의 상면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510)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510)는 컵이나 캔보다 큰 부피를 갖는 물통(PET)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앞서 언급한 제 1실시예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컵(700)의 경우 내용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 2실시예에서의 차량용 컵홀더는 앞서 언급한 바의 목적, 뿐만 아니라 큰 부피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지 않은 물통(PET)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600)는 상기 받침부재(500)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컵홀더(200)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1)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상기 전면커버(600)는 상기 컵홀더(200)가 패널(10) 내부로 인입됐을 때 상기 컵홀더(2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부재(100), 컵홀더(200), 받침부재(500), 전면커버(500), 탈착수단(1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와 상기 컵홀더,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500)와 상기 전면커버(600)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에 구비되는 랙기어(151)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 3실시예에서는 제외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와 상기 패널(10)은 상기 탈착수단(160)에 의해서 고정/분리된다.
상기 탈착수단(160)은 패널(10)에 형성된 수용부(12)에 홈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61) 내에는 조임부재(162)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500)에는 돌기부(163)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162)와 탈착된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162)와 상기 홈부(161) 사이에 탄성스프링(164)이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162)는 상기 탄성스프링(164)의 내측에 지지부재(165)가 결합된다. 상기 조임부재(162)에는 회동부재(166)가 연결되고, 상기 회동부재(166)는 상기 조임부재(16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166)의 끝단부에는 걸림부(167)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161)의 후방에는 안내공(168)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공(168)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로 형성된 장공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안내공(168)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면커버(600)를 가압하면 상기 받침부재(500)는 패널(10) 에 형성된 수용부(12)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63)가 상기 조임부재(1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재(162)는 상기 돌기부(163)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부재(162)는 상기 홈부(161) 내부로 위치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167)는 상기 지지부재(165)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안내공(168)을 따라 위치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받침부재(500)는 패널(10)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는 각종 음료를 섭취하고, 음료가 수용된 부재를 차량용 컵홀더에 올려놓을 때 사용하게 된다. 즉, 종이컵, 음료수 캔, 물통 등 음료가 수용된 부재를 차량의 패널 일측에 위치되는 전면커버(600)를 누름에 따라 상기 부재들을 올려놓을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전면커버(600)를 누르게 되면, 받침부재(500)와 수용부(12)에 위치된 탈착수단(160)에 의해서 상기 패널(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컵홀더(200)가 외부로 인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걸림부(167)가 안내공(168)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재(500)가 상기 패널(10)에 고정된다. 이때, 돌기부(163)가 조임부재(162)를 일시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면커버(600)를 또다시 누르게 되면 상기 걸림부(167)가 상기 안내공(168)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전면커버(600)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탄성스프링(164)에 의해서 상기 조임부재(162)가 홈부(161)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162)는 상기 돌기부(163)를 감싼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재(162)와 상기 돌기부(163)가 분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컵홀더(200)의 자동 인출 거리는 탄성스프링(164)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6에서 두 개의 가상선은 차량의 패널(10) 일부분을 절개 도시한 부분이다. 즉, 차량이 요동되어도 컵홀더(2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 17은 컵홀더(20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차량의 패널(10)은 생략됐으며 차량이 요동될 때, 컵홀더(200)가 유동되는 것이 아니다. 즉, 컵홀더(200)에 대해서 차량이 요동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제 3실시예에서는 종이컵, 음료수 캔, 물통(PET) 등 부피와 형상에 상관없이 컵홀더(200)가 지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컵홀더(200)를 패널(10)에 대하여 자동으로 인ㆍ출입시킬 수 있고, 상기 컵홀더(200)가 패널(1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컵홀더(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이 요동되면 컵홀더(200)가 수평방향과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차량이 요동되어도 컵홀더(200)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컵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컵홀더는, 구동수단으로 인해서 컵홀더가 패널에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또한, 조작부로 인해서 상기 컵홀더의 인ㆍ출입 상태를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와 전면커버로 인해서 컵홀더가 패널 내부에 위치됐을 때 상기 컵홀더가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받침부재로 인해서 물통(PET)과 같이 큰 부피를 갖는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동기어와 종동기어가 감속기어로 구비되어 슬라이딩부재와 컵홀더의 인ㆍ출입 동작 속도를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컵홀더를 갖는 지지체는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수용체는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차량이 요동되어도 상기 컵홀더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상기 컵홀더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체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진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컵과 음료수 캔, 물통과 같이 직경이 상이한 각종 용기들을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 내 원주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용기가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를 가압함에 따라 컵홀더를 패널의 내ㆍ외측으로 인ㆍ출입시 킬 수 있다. 즉, 구동수단이 구비되지 않아도 차량용 컵홀더를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딩부재와 받침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구동수단 및 전면커버의 가압 유무에 따라 컵홀더를 인ㆍ출입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컵홀더;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고, 힌지수단으로 회동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2.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을 따라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컵홀더;
    상기 컵홀더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전면커버; 및
    상기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컵홀더가 인ㆍ출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구비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인ㆍ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에 연결되고, 호의 형상을 갖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연결되고, 컵이 수용되는 링 형상의 수용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대하여 좌ㆍ우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수용체는 전ㆍ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내 원주면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내 원주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상기 수용체에 수용된 용기가 하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무게중심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게중심부재는,
    상기 수용체의 회동 속도를 저감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8. 제 4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홈과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9. 차량 내부에 구비된 패널에 개구부 및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서 전ㆍ후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방에 연결되는 컵홀더;
    상기 컵홀더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부 내부로 인ㆍ출입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의 가압에 따라 상기 컵홀더와 상기 받침부재가 인ㆍ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홈과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는 상기 패널과 탈착수단으로 고정/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기 차량용 컵홀더.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에 연결되고, 호의 형상을 갖는 조임부재;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홈부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조임부재와 탈착되고,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커버의 가압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상기 조임부재에 위치되어 상호간에 고정/분리되고,
    상기 조임부재와 상기 홈부의 탈착으로 인해서 상기 컵홀더가 인ㆍ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
KR1020060035310A 2006-04-19 2006-04-19 차량용 컵홀더 KR20070103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10A KR20070103571A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310A KR20070103571A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571A true KR20070103571A (ko) 2007-10-24

Family

ID=3881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310A KR20070103571A (ko) 2006-04-19 2006-04-19 차량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198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718A (en) * 1994-10-13 1997-09-09 Vine; Michael P. Drink holder
KR1998005320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컵홀더
KR19990033324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컵홀더
KR19990028509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컵홀더
JP2005022629A (ja) * 2003-06-12 2005-01-27 Nifco Inc 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718A (en) * 1994-10-13 1997-09-09 Vine; Michael P. Drink holder
KR1998005320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컵홀더
KR19990033324A (ko) * 1997-10-24 1999-05-15 양재신 차량의 컵홀더
KR19990028509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컵홀더
JP2005022629A (ja) * 2003-06-12 2005-01-27 Nifco Inc 移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198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컵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7826B1 (en) Headrest for conveyance
KR101144383B1 (ko) 차량의 컵 홀더
KR20070103571A (ko) 차량용 컵홀더
WO2008152263A1 (fr) Console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130058826A (ko) 차량용 센터 콘솔
KR101787949B1 (ko)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
KR20200025474A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0077700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43958B1 (ko) 차량용 컵홀더 가이드 구조
KR101296261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구조
KR20180083508A (ko) 홀더
KR200412704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JP532925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432006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405793Y1 (ko) 자동차용 컵홀더장치
JP2004217145A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146753Y1 (ko) 컵 홀더
KR0177432B1 (ko)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수납백
JP5707196B2 (ja) 車両用飲料容器ホルダ
KR100531944B1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20180000995U (ko) 자동차용 쓰레기 보관 용구
KR100552159B1 (ko) 컵홀더 인너 케이스의 착탈 구조
KR20010055591A (ko) 자동차용 컵홀더
JP3639031B2 (ja) 冷却飲料供給装置を備える冷蔵庫
FR3095619A1 (fr) Distributeur de boisson avec enrouleur integre dans la console centrale d’un ve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