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991A - 층간산재된 점토 - Google Patents

층간산재된 점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991A
KR20070102991A KR1020077008066A KR20077008066A KR20070102991A KR 20070102991 A KR20070102991 A KR 20070102991A KR 1020077008066 A KR1020077008066 A KR 1020077008066A KR 20077008066 A KR20077008066 A KR 20077008066A KR 20070102991 A KR20070102991 A KR 20070102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algae
extract
intercalat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246B1 (ko
Inventor
에르베 드메
조셀린 브렝들
데잇 에르베 르
앙카 루시아 라자
뤽 뤼르똥
도미니끄 브롤뜨
Original Assignee
올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믹스 filed Critical 올믹스
Publication of KR2007010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94Inorganic additives, e.g. si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1/00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토 및 층간산재 성분으로서 이용되는 해초 추출물, 특히 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층간산재된 점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상기 층간산재된 점토를 포함하는 식량 및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산재된 점토{INTERSPERSED CLAYS}
본 발명은 점토 및 조류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점토(clay)는 다소간 수화된 판상 실리케이트(필로실리케이트(phyllosilicate))로 주로 구성되는 암석이다. 필로실리케이트는 오르토실리케이트 음이온의 화합물로서, 여기에서 4면체들은 그들 사이에 3개의 산소를 공유하며, 4번째는 이 방식으로 형성된 판(sheet)의 같은 쪽을 항상 향하고 있다. 그 구조는 8면체와 4면체의 두 가지 유형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2차원 조립체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3가지 유형의 필로실리케이트가 정의된다:
- 소위 1:1 필로실리케이트, 그 판은 4면체층과 8면체층의 병치로 구성된다. 이 유형의 판의 두께는 0.70nm이다. 카올리나이트가 이 군의 가장 대표적인 화합물이다.
- 소위 2:1 필로실리케이트, 그 판은 2개의 4면체층 사이의 8면체층으로 구성된다. 이 유형의 판의 두께는 0.96nm이다.
- 소위 2:1:1 필로실리케이트, 그 판은 층상 공간(interlamellar space) 내 브루사이트 Mg(OH)2 또는 깁사이트 Al(OH)3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 유형의 판의 두 께는 1.4nm이다.
2:1 필로실리케이트가 그 구조에 기인하여 가장 유리한 성질을 갖는다. 판의 4면체층의 공동은 실질적으로 실리콘 이온을 함유하며 8면체층의 공동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이온을 함유한다. 그러나, 다수의 치환이 상이한 층 내에 일어날 수 있다. 실리콘 이온은 3가 양이온에 의해 치환된다.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이온은 3가 또는 2가 이온에 의해 치환된다. 이들 치환은 판 내에 과량의 음전하를 도입한다. 이는 엽간 공간(interfoliar space) 내 양이온의 존재에 의해 보상된다. 이들 양이온은 무기 또는 유기 기원의 다른 양이온으로 교환될 수 있다. 따라서 엽간 공간의 두께는 목적하는 응용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필로실리케이트의 구조를 변경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되어 왔다:
- 가교 방법 : 먼저 엽간 양이온을 폴리양이온으로 대체하고(알루미늄 [Al13O4(OH)24(H2O)12]7+ (Diddams P.A., Thomas, J.M., Jones, W., Ballantine, J.A. and Purnell, J. (1984), Chem. Soc. Chem. Commun., 106, 1340), 지르코늄 [Zr4(OH)12(H2O)12]4+ (Yamanaka S. and Brindley, G.W. (1979) Clays and Clay Minerals, 27, 119) 에 기반함), 다음으로 이 얻어진 화합물을 폴리양이온을 유사 산화물(pseudo oxide) 입자로 변형시키는 데 충분한 온도에서 하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두 단계 공정. 이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가교 필로실리케이트(주상 필로실리케이트라고도 지칭)는 2차원 다공성 고체로서, 이는 판 및 주상 모두의 산 부위와 관련되는 상당한 촉매 활성 및 넓은 범위(1.5 내지 10.0nm)를 커버하는 미공(pore) 반경을 갖는다.
- 친수성 필로실리케이트의 친유기성(organophilic) 필로실리케이트로의 변형(A. Weiss (1963) Angew. Chem. Internat. Edit., 2, 134). 이 공정은 유기 양이온(예컨대 화학식 CH3-(CH2)n-NH3 +, n은 1 내지 20 을 갖는 알킬암모늄 이온)을 이온 교환에 의해 엽간 공간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엽간 공간의 두께는 필로실리케이트의 속성, 전하의 위치 및 탄소쇄에 존재하는 탄소 원자의 개수 모두에 좌우된다. 이 친유기성 필로실리케이트는 중합체 기재(matrix)와 조화되며, 중합체 내에서 전하로서 이용된다. 필로실리케이트/중합체 유형의 조성에는 3가지 부류가 현재 존재한다(Alexandre, M. and Dubois, P. (2000), Mater. Sci. En., 28, 1).
­ 마이크로복합체로 지칭되는 복합체. 여기에서 중합체는 필로실리케이트의 엽간 공간 내에 침투하지 않는다. 이는 강화물로서 작용한다.
­ 층간개재된(intercalated)(층간산재된(interspersed)) 나노복합체. 여기에서 중합체는 판 사이에 삽입된다.
­ 박리된(exfoliated) 나노복합체. 여기에서 나노미터 크기의 판은 중합체 기재 내에 완전히 분산되어, 미시 규모에서 일체형(monolithic) 구조를 형성한다.
박리된 나노복합체는 필로실리케이트/중합체 상호작용이 최대가 되어 판의 전체 표면적이 이용가능한 한,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기계적, 내화성, 열적 안정 성 및 장벽 성질(기체 및 탄화수소에 대한 투과성)의 관점에서의 성질이 개선될 수 있다.
나노복합체를 얻는 주요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장(in situ) 중합에 의해 (Okada, A. Kawasumi, M., Usuki, A. Kojima, Y., Kurauchi, T. and Kamigaito (1990) Mater. Res. Soc. Pro., 171, 45.): 먼저 친유기성 필로실리케이트를 단량체 용액 내에서 팽윤시키고, 다음으로 여기에 중합을 개시하기 위해 처리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2단계 방법. 팽윤 동안, 극성 단량체 분자는 판들 사이로 확산하게 된다. 엽간 공간에 존재하는 알킬암모늄 이온은 단량체와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판에 대해 수직으로 향하게 된다. 처리제의 첨가는 중합을 일으키고 이는 필로실리케이트의 박리를 유도한다.
­ 판상 실리케이트의 현장(in situ) 형성에 의해 (Carrado, K. and Xu, L.Q; (1998) Chem. Mater., 10, 1440-1445): 이 최근의 방법은 헥토라이트와 같은 판상 실리케이트의 수성 중합체 겔 내에서의 현장 수열 결정화 수행을 포함한다.
­ 용액 내: 이 경우, 친유기성 층상 화합물을 중합체가 용해되는 적절한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박리한다. 용매 분자의 탈착(desorption)에 의해 얻어지는 엔트로피 이득은 중합체 쇄가 점토 판들 사이로 확산하도록 할 것이다. 다음으로, 용매는 증발된다.
­ 융합에 의해 (Vaia, R.A. Ishii, H. and Giannelis, E.P. (1993) Chem. Mater., 5, 1694): 이 경우에서 친유기성 필로실리케이트는 중합체와 혼합된다. 다음으로, 이 전체를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및 어닐링하는데, 이 공정은 나노복합체의 형성으로 이어진다.
이들 방법과 함께, 광화학적 수단을 이용한 방법도 이용되어 왔다 (Koch, T., Menning, M. and Schmidt, H. (1999) Adv. Sci. Technol., 17, 681, Zahouily, K., Benfahri, S., Bendaikha, T., Baron, J. and Decker, C. (2001) Proc. RadTech Europe, 583). 이는 단량체(예컨대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 광개시제, 반응성 희석제 및 친유기성 필로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UV하에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이용한 수지 단독의 경우보다 강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또한 갖는 투명 무색의 나노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주위 온도에서 그리고 용매 없이 수행되며, 구현이 간편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다공성 이종구조(heterostructure)의 형성: 스멕타이트(smectite)의 엽간 공간 내 실리콘성 실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얻는 새로운 방법(Galarneau, A., Barodawalla, A. and Pinnavaia, T.J. (1995) Nature, 174, 529.)은 실제 엽간 공간 내 계면활성제의 마이셀(micelle) 주위의 실리카 조립체를 기반으로 한다. 저자들이 제안한 형성 메커니즘은 MCM-41 유형의 중다공성(mesoporous) 고체를 유도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 방식으로 형성되는 화합물의 장점은 주상 화합물에 대해 요구되는 것보다 큰 미공 크기 및 비표면적을 갖는다는 점이다. 작업 방법은 다음의 3단계를 필요로 한다:
­ 1단계는 알킬암모늄 이온(예컨대,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이온, C16TMA 라 명명됨)을 이온 교환에 의해 엽간 공간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 2단계는 1차 아민(예컨대 도데실아민) 및 실리카 전구체(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OS)를 혼입하기 위한 것이다;
­ 마지막 단계는 산성화된 용매 내 계면활성제의 추출에 의해 또는 하소에 의해 다공성을 배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첫째 경우에서, 유기 물질의 산화는 틀의 전기적 중성에 필요한 양성자의 형성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 물질은 내인성 산성을 가지며, 이는 다수의 촉매 응용의 상도를 가능케 하는 성질이다(EP 1044721, J. A. Martens, E. Benazzi, J. Brendle, S. Lacombe and R. Le Dred, Surf. Sci. Catal., 2000, 130, 293).
둘째 경우에서, Si-OH 기가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이 화합물을 그래프팅(grafting)에 의해 작용기화할 수 있다 (Mercier, L. and Pinnavaia, T.J. (1998)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20, 101).
그 양이온 교환 성질 이외에도 필로실리케이트는 흡착 성질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엽간 공간 내 유기 또는 물 분자의 삽입에 의해 층상 복합물을 용이하게 형성한다. 이 현상은 팽윤이라고도 지칭되는데, 판의 전하, 그 위치(4면체층 또는 8면체층), 및 보상 양이온의 속성에 좌우된다. Mg2+ 및 Ca2+와 같은 2가 양이온은 거대 양이온을 형성함으로써 엽간 공간 내 물의 흡착을 용이하게 한다.
유기 분자의 흡착은 필로실리케이트에 친수성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떤 필로실리케이트는 산성을 갖는데, 이 산성은 예컨대 4면체 층의 실리콘 이온의 알루미늄 이온에 의한 치환과 연관되어 있다. 브뢴스테드 산성으로 지칭되는 제1산성은 엽간 공간 내 양성자의 존재, 또는 보상 양이온을 둘러싸는 수화 물 분자의 해리로부터 유래한다. 루이스 산성으로 지칭되는 제2산성은 더 드물다: 이는 판의 구조 내 결함 또는 균열선의 존재로부터 발생한다.
필로실리케이트의 산성은 그 촉매적 성질의 이유이다. 이는 그 촉매 활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전 처리를 겪을 수 있다: 산 처리에 의해, 또는 시판되는 몬모릴로나이트 K10의 경우에는 양이온 교환에 의해.
몬모릴로나이트는 현재 가장 많이 연구되고 가장 많이 이용되는 2:1 필로실리케이트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실리콘,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 원소를 함유한다. 이는 스멕타이트 군 및 이중 8면체(dioctahedric) 아군의 일부이다.
그 이론적 구조식은
C+ 4x[(M3+ 4(1-x)M2+ 4x□2)VI(Si4+ 8)IVO20(OH)4]이다.
(C+ : 엽간 공간의 보상 양이온, M3+ : Al3+, Fe3+와 같은 3가 양이온, M2+ : Mg2+, Cu2+, Co2+, Zn2+, Fe2+, Ni2+와 같은 2가 양이온, x : 8면체 치환의 수준).
실제로는 천연 몬모릴로나이트는 8면체 치환뿐 아니라 4면체 치환을 종종 함유한다.
C+ (4x+8y)[(M3+ 4(1-x)M2+ 4x□2)VI(Si8(1-y)M3+ 8y)IVO20(OH)4]
(y : 4면체 치환의 수준).
순수한 상의 합성이 최근에 기술된 바 있다 (M. Reinholdt, J. Miehe-Brendle, L. Delmotte, A.-M. Flank, R. Cortes, M.-H. Tuilier. and R. Le Dred, Eur. J. Inorg. Chem., 2001, 11, 2831).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개재 화합물(층간산재 화합물)로서 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층간개재된(층간산재된) 점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점토/중합체 나노복합체 및 동물을 위한 식량의 제조를 특히 위한 층간개재된 점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용어 "조류"는 수용성인 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하는 모든 해조 식물류 그리고 특히 갈파래(ulva) 유형의 조류(갈파래 조류(ulvas algae))를 지칭하고자 한다. 이 조류는 연안, 특히 대서양 및 지중해 연안에서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녹조 현상(green tide)으로 지칭된다. 이는 입수가능하고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며, 그 가치가 연구되고 있는 원료를 구성한다.
더 나아가, 이 조류로부터 추출되는 어떤 성분, 특히 수용성 폴리사카라이드는 영양분으로서 그리고 화장료 및 의약에서의 중합체 물질로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이용되는 조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갈파래 조류의 추출물이다. 조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얼베인(ulvane)을 특히 80 중량% 초과로 포함한다. 이 얼베인 폴리사카라이드의 화학적 구조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램노스, 자일로스, 글루코스, 글루코론산 및 황산염 단위의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점토"는 화합물의 층간개재(층간산재)를 위해 적절한 구조를 갖는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필로실리케이트를 지칭하고자 한다. 이 점토는 바람직하게는 판상 구조를 갖는 점토, 예컨대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lite), 사포나이트(saponite), 일라이트(illite), 글로코나이트(glauconite), 클로라이트(chlor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섬유성 점토이다. 점토는 팽윤성(스멕타이트)을 갖는 것 특히 몬모릴로나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물론, 복수의 점토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점토와 조류 추출물간의 층간산재는 점토와 조류 추출물을 수상에서 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의 점토/조류 추출물의 중량비(건조 추출물)로 혼합하여 바람직하게 수행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i) 조류 추출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추출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적절한 용매 내에서 점토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ii) 얻어진 층간개재된 점토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층간개재된 점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토/조류 추출물 혼합물의 교반 시간은 30초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6시간 그리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24시간이다. 혼합 후에, 현탁액의 고체상을 분리, 예컨대 원심분리한다. 수집한 고체를 세척 및 건조한다.
이 방식으로 조류 추출물로 층간개재되는 점토는 최대 30Å이 될 수 있는 판들 사이의 간격을 갖는다. 이 큰 간격은 많은 수의 응용에 대해 이를 매우 유리하게 만든다.
특히, 이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물질들이 잡기 어려운 방대한 수의 화합물의 흡수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의 화합물은 특히 일종의 독소, 예컨대 마이코톡신(mycotoxin)을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기술한 층간개재된 점토는 동물 또는 인간 식량에서의 보충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동물 및 인간 식량, 화장료, 의약, 플라스틱 기술에서의, 도로 포장 및 식량용이거나 아닐 수 있는 겉포장(packaging)에서의 층간개재된 점토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성질은 식량 내 0.01 내지 1 중량% 수준의 층간개재된 점토의 혼입으로 식량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 식량에서 특히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그리고 특히 0.05 내지 1 중량%의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층간개재된 점토를 포함하는 동물 식량에 관한 것이다.
판의 간격은 또한 예컨대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라디칼의 그래프팅과 같은 다른 기능성이 엽간 간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발명으로부터 기원하는 생성물은 접근가능한 엽간 공간을 가지며, 이는 다른 중합체에 의한 층간개재의 경우에 관찰될 수 있는 것과 대조된다(Intercalation of chitosan or extract of crustacean shells in a clay, M. Darder et al., Chem. Mater. 2003, 15, 3774-3780). 따라서, 다른 화합물을 구조 내로 유입하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 및 인간 식량, 화장료, 의약, 플라스틱 기술, 식량용이거나 아닐 수 있는 겉포장, 도로 포장 등등과 같은 다수의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나노복합체의 합성을 특히 가능케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술한 층간개재된 점토 및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4면체 치환 수준 0.4를 갖는 Na 몬모릴로나이트의 제조(M. Reinholdt, J. Miehe-Brendle, L. Delmotte, A.-M. Flank, R. Cortes, M.-H. Tuilier. and R. Le Dred, Eur. J. Inorg. Chem., 2001, 11, 2831).
화학식 Na0 .4[Al1 .6Mg0 .4]Si4O10(OH1 .8F0.2)를 갖는 몬모릴로나이트를 다음 방식으로 제조한다:
5% 불산(HF, Fluka) 수용액 8.1g을 자석 교반과 함께 PTFE의 비이커 내에 위치한 증류수 685.86g에 첨가한다. 아세트산 마그네슘(Mg(CH3COO)2, Aldrich) 8.64g, 아세트산 나트륨 1.74g(NaCH3COO, Fluka), 수도보마이트(pseudobohmite)(Al2O3, Condea) 10.53g 및 실리카(SiO2 Aerosil 130, Degussa) 24.3g을 교반과 함께 반응 매질에 차례로 첨가한다. 전체를 2시간 동안 대기 온도에서 교반하며 성숙시킨 후, PTFE로 코팅된 압력 용기 내에 붓고 220℃에서 72시간 동안 오븐 내에 두었다. 다음으로, 압력 용기를 대기 온도로 냉각시키고 반응 생성물을 뷰흐너를 통해 여과하였다.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뒤, 생성물을 24시간 동안 60℃에서 건조한다.
실시예 2
얼베인(ulvane)의 제조
얼베인의 추출방법(Lahaye, M., Birnalendu R., Baumberger, S., Quernener, B. and Axelos, M. (1996) Hydrobiologia, 326/327, 473).
건조 및 분쇄한 갈파래(ulva) 34.4g의 물 500mL 내 현탁액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현탁액을 원심분리하고(10.24xg, 20분) 불용물을 회수한 뒤, 앞과 같은 조건하에서 다시 추출한다. 현탁액을 원심분리한다. 이들 두 추출물의 두 상층액을 조합하고 여과한 뒤, 용액 내 얼베인을 95℃에서 알코올 내에서 침전시킨다. 생성물을 건조한다.
실시예 3
합성 Na-몬모릴로나이트의 엽간 공간 내 얼베인의 혼입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Na-몬모릴로나이트의 1g을 증류수 100mL 내 현탁액에 위치시킨다(용액 A). 전체를 자석 교반하에서 대기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둔다. 이와 함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얼베인 5g을 증류수 50mL 내에 자석 교반과 함께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분산시킨다(용액 B). 다음으로, 용액 A를 용액 B와 혼합하고, 전체를 자석 교반하에서 주위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둔다. 다음으로, 현 탁액을 10분간 원심분리한다(20000rpm의 속도로). 다음으로, 수집한 고체를 증류수 20mL 내 현탁액에 위치시킨 뒤, 원심분리로 분리한다. 이 세척을 2회 반복한다. 다음으로, 고체를 공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다. 이 방식으로 형성한 생성물은 유기 물질을 29% 함유한다. 엽간 공간은 3.8nm이다.

Claims (12)

  1. 점토(clay) 및 층간개재(intercalation) 화합물로서 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층간개재된 점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물은 갈파래 조류(ulva algae) 추출물인
    점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물은 얼베인(ulvane)을 포함하는
    점토.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물은 80 중량% 초과의 얼베인을 포함하는
    점토.
  5.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판상(sheet) 점토인
    점토.
  6.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팽윤성을 갖는
    점토.
  7.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토는 몬모릴로나이트인
    점토.
  8. 제1항 내지 제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의 점토/조류 추출물 중량비로 상기 점토 및 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점토.
  9. i) 조류 추출물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ii) 상기 추출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적절한 용매 내에서 점토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iii) 얻어진 층간개재된 점토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층간개재된 점토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따른 층간개재된 점토의
    동물 및 인간 식량, 화장료, 의약, 플라스틱 기술에서의, 도로 포장 및 식량용이거나 아닐 수 있는 겉포장에서의
    용도.
  11.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따른 층간개재된 점토를
    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의 포함하는
    동물 식량.
  12. 제1항 내지 제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따른 층간개재된 점토 및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KR1020077008066A 2004-09-09 2005-01-21 층간산재된 점토 KR101201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9583 2004-09-09
FR0409583A FR2874912B1 (fr) 2004-09-09 2004-09-09 Argiles intercalees
PCT/FR2005/000145 WO2006030075A1 (fr) 2004-09-09 2005-01-21 Argiles intercal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991A true KR20070102991A (ko) 2007-10-22
KR101201246B1 KR101201246B1 (ko) 2012-11-14

Family

ID=3494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066A KR101201246B1 (ko) 2004-09-09 2005-01-21 층간산재된 점토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758691B2 (ko)
EP (1) EP1786862B1 (ko)
JP (1) JP4690413B2 (ko)
KR (1) KR101201246B1 (ko)
CN (1) CN101068873B (ko)
AU (1) AU2005284051A1 (ko)
BR (1) BRPI0515704B1 (ko)
CA (1) CA2578986A1 (ko)
DK (1) DK1786862T3 (ko)
EA (1) EA010363B1 (ko)
ES (1) ES2751054T3 (ko)
FR (1) FR2874912B1 (ko)
HU (1) HUE047219T2 (ko)
MX (1) MX2007002828A (ko)
PL (1) PL1786862T3 (ko)
UA (1) UA84960C2 (ko)
WO (1) WO2006030075A1 (ko)
ZA (1) ZA2007019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7397A1 (en) * 2006-11-13 2008-06-04 Süd-Chemie Ag Absorbent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ment
FR2932188B1 (fr) * 2008-06-06 2010-09-17 Olmix Procede de methanisation a partir de biomasse vegetale
WO2009147305A1 (fr) * 2008-06-06 2009-12-10 Olmix Procede de methanisation par co-digestion de matiere algale
IT1391965B1 (it) * 2008-08-08 2012-02-02 Univ Degli Studi Salerno Materiali polimerici per l'ottenimento di imballaggi alimentari attivi in grado di proteggere e valorizzare gli alimenti contenuti e di ridurre i trattamenti per la conservazione degli stessi
FR2991978B1 (fr) * 2012-06-15 2015-07-17 Olmix Procede de preparation d'une argile organophile intercalee et/ou exfoliee a partir d'argile et de macroalgues, produit fertilisant, complement alimentaire pour animaux, aliment pour poisson et charge pour ceramique correspondants.
FR2997078B1 (fr) 2012-10-18 2015-10-23 Melspring Procede de traitement des digestats, engrais obtenu par ce procede et unite de traitement correspondante
EP2840074A1 (de) * 2013-08-23 2015-02-25 Biotensidon GmbH Zubereitung zur Förderung des Pflanzenanbaus,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JP6197019B2 (ja) * 2015-12-11 2017-09-13 株式会社ホージュン 有機粘土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976A (en) * 1972-03-20 1975-08-26 Dow Chemical Co Thixotropic liquid feed supplements for ruminants of carbohydrates, npn and clay
FR2406395A1 (fr) * 1977-10-24 1979-05-18 Dudrap Jean Adjuvant alimentaire compose
US4888185A (en) * 1986-06-27 1989-12-19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Animal feed supplement suspension
JPH0823013B2 (ja) * 1991-05-23 1996-03-06 前田製管株式会社 土壌改良活性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213219A1 (en) * 1995-02-16 1996-08-22 Maple Leaf Foods Inc. Particulate feed supplement
US5578672A (en) * 1995-06-07 1996-11-26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rcalates; exfoliates; process for manufacturing intercalates and exfoliates and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same
US6287575B1 (en) * 1997-10-03 2001-09-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Vaccine against papillomatous digital dermatitis (PDD)
RU2125460C1 (ru) * 1997-11-17 1999-01-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Новь" Биостимул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WO2005068364A1 (en) * 2004-01-13 2005-07-28 Indian Petrochemicals Corporation Limited Exfoliated nanoc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68873A (zh) 2007-11-07
CN101068873B (zh) 2013-06-05
ES2751054T3 (es) 2020-03-30
MX2007002828A (es) 2007-09-14
US20080213455A1 (en) 2008-09-04
UA84960C2 (ru) 2008-12-10
DK1786862T3 (da) 2019-10-21
PL1786862T3 (pl) 2020-02-28
FR2874912A1 (fr) 2006-03-10
WO2006030075A1 (fr) 2006-03-23
BRPI0515704B1 (pt) 2019-01-22
EA200700581A1 (ru) 2007-10-26
HUE047219T2 (hu) 2020-04-28
JP4690413B2 (ja) 2011-06-01
US7758691B2 (en) 2010-07-20
ZA200701998B (en) 2008-09-25
EP1786862B1 (fr) 2019-08-07
KR101201246B1 (ko) 2012-11-14
EP1786862A1 (fr) 2007-05-23
CA2578986A1 (fr) 2006-03-23
EA010363B1 (ru) 2008-08-29
FR2874912B1 (fr) 2007-01-26
BRPI0515704A (pt) 2008-07-29
AU2005284051A1 (en) 2006-03-23
JP2008512339A (ja)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246B1 (ko) 층간산재된 점토
Mintova et al. Nanosized microporous crystals: emerging applications
Zhou et al. like composites of cellulose acetate–organo-montmorillonite for removal of hazardous anionic dye in water
Rahmani et al. Removal of cationic methylene blue dye using magnetic and anionic-cationic modified montmorillonite: kinetic, isotherm and thermodynamic studies
Basahel et al. Nanostructured Mg–Al hydrotalcite as catalyst for fine chemical synthesis
JPH0351651B2 (ko)
Halina et al. Non-hydrothermal synthesis of mesoporous materials using sodium silicate from coal fly ash
Fukushima et al. Synthesis of 2: 1 Type 3-(Methacryloxy) propyl Magnesium (Nickel) Phyllosilicate.
Mokhtar et al. CuNPs-magadiite/chitosan nanocomposite beads as advanced antibacterial agent: Synthetic path and characterization
Baldassari et al. Microwave versus conventional preparation of organoclays from natural and synthetic clays
KR101309450B1 (ko) 수용성 유기점토를 이용한 유해조류 제어방법
KR102150317B1 (ko) 착색 실리케이트 미네랄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착색 실리케이트 미네랄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Jaber et al. Formation of organoclays by a one step synthesis
Machida et al. A facile method of generating aluminosilicate nanoparticles: complete fragmentation of kaolinite nanoscrolls via manual grinding
Peng et al. Precursors of TAA-magadiite nanocomposites
Saad et al. Advances in Bio-Nanohybrid Materials
JP4688386B2 (ja) 触媒特性を有する微多孔質酸性酸化物itq−18
JPH03163172A (ja) 改質粉体
Gomes et al. General Data on Clay Science, Crystallochemistry and Systematics of Clay Minerals, Clay Typologies, and Clay Properties and Applications
JP2009007253A (ja) 不飽和脂肪酸を選択的に吸着する化粧料配合用粉体
Nicola et al. Smectite clay nanoarchitectures: Rational design and applications
Martynková et al. Vermiculite in nanocomposites
Li et al. Preparation for a new intercalated compound of acrylamide monomers and their in-situ polymerization in layered double hydroxides
Srivastava Clays: Types and applications
JP6621291B2 (ja) 水膨潤性層状ケイ酸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