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327A -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 Google Patents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327A
KR20070102327A KR1020060034333A KR20060034333A KR20070102327A KR 20070102327 A KR20070102327 A KR 20070102327A KR 1020060034333 A KR1020060034333 A KR 1020060034333A KR 20060034333 A KR20060034333 A KR 20060034333A KR 20070102327 A KR20070102327 A KR 20070102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bottle cap
nozzle
pressur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021B1 (ko
Inventor
이훈호
Original Assignee
이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호 filed Critical 이훈호
Priority to KR102006003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021B1/ko
Publication of KR2007010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공간부(201)와; 병마개 개폐시 탄산가스가 교류 되도록 한 노즐(104)과;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노즐의 상하운동을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병마개 안에 공간을 형성하여 그 안에 고압의 탄산가스를 주입시키고 음료를 마신 후 병마개를 닫을 때마다 자동으로 병마개 안의 고압의 탄산가스가 용기 내부로 투입되어 음용 후의 빈 공간이 생기더라도 그 공간에 압력을 높여주어 음료수의 탄산가스의 새어나감을 최소화함으로써 끝까지 고유의 탄산음료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 탄산음료용 용기,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뚜껑, 자동압력 병마개, 자동개폐용기, 자동압력 병뚜껑, 탄산가스 누출방지 병마개, 탄산가스 누출방지 병뚜껑

Description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Bottle Cap for carbon dioxide effluent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병마개를 열어놓은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병마개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1:병마개, 102:스프링, 103:노즐결합부, 104:노즐, 105:용기
201:고압부, 202:지지대, 205:패킹, 207:개구부, 208:개폐구
209:개폐구 접촉부, 210:용기 상단, 211:저압부
212:삽입구
본 발명은 탄산가스 방출 방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나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 등의 방출을 방지하여 음료수나 내용물의 신선함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산가스 방출 방지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탄산음료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중에는 음료수의 탄산가스가 병마개 틈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오인하여 음료수 병을 거꾸로 세워두기도 하였고, 용기를 거꾸로 세워놓아 뚜껑과 용기의 입구 상이의 미세한 틈새를 내용물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여 잔류 된 내용물을 장기간 변질 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용기 스탠드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용기 스탠드는 용기의 몸통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져, 이를 회전시켜 개방하려면 그만큼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노약자 등은 이를 쉽게 개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기존 등록특허 10-0418409 (도 4)에서는 음료용기 상단으로 나사결합되어 상부를 구획하는 구획편이 형성되고 그 구획편 중앙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외기 유동공이 천공되어 체크밸브가 상하 승강되도록 삽입되고, 상방으로 일체 연장 인출되며 상방이 개방되는 마개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개와, 외주면 하단으로 패킹이 환설되고 하단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외기 유출입 제어밸브가 구비되고 상방으로 캡이 씌어지며, 상기마개 토출구 내 삽입되어 상단 외주면으로 외기 유입공이 다수개 천공되는 푸싱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 마개에 관한 것이다.
기존 등록특허 10-0418409 (도 4)에서는 병마개(101)를 닫은 후 사람이 인위적으로 병마개(101) 부분을 푸쉬하는 작용으로 용기 내의 압력을 높이는 수고가 필요하며, 그 압력 투입에 있어서 임의적인 힘과 불규칙적인 횟수의 가압에 의하여 안전성이 의심되며, 음료의 맛과 안정성이 없어진다. 또한 위와 같이 푸쉬 작업을 함에 있어서 병 안에 압력이 가해지는 물질은 대기중 공기로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료수를 다 마실때 까지 음료내의 탄산가스의 양이 방출되지 않고 탄산음료 고유의 맛을 유지하기 위한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병마개에 고압의 탄산가스를 투입하고, 그 마개를 닫을 때마다 병 마개 안의 압력과 용기 안의 압력이 평형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이용해 탄산가스가 자동으로 압력이 낮은 공간에 채워져 음료수를 다 마실 때까지 음료 내의 탄산가스의 양이 방출되지 않고 고유의 맛을 유지하는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를 제공함에 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를 개봉하여 음용 한 후 용기내의 압력(211)은 대기압으로 형성되고 이때 고압의 탄산가스가 충전되어있는 병마개(101)을 닫음으로써 노즐(104)은 밀려 올라가고 개폐구(208)가 열리면서 압력의 평형이 이루어진다(도3). 이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은 크기의 압력이 병마개(101) 안에 형성되어 평형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병마개 안의 압력은 처음보다 낮아지더라도 여전히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공간부(201)와; 병마개 개폐시 탄산가스가 교류되도록 한 노즐(104)과;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노즐의 상하운동을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102)으로 구성된다.
병마개(101)는 일정한 압력의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고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공간부(201)를 형성한다. 병마개(101) 안에 생성되는 공간은 기체로 채워지기 때문에 병마개(101) 모양은 어떠한 모양이 되더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병마개(101) 안에 공간을 형성한 부위에는 기체를 충전하여 일정 압력의 기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의 크기는 임의적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음료수의 처음 출시된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수의 처음 출시 때의 압력이 개봉 전에 유지되면서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 충전하는 기체는 공기를 포함하여 인체에 무해한 모든 기체를 투입하여도 본 발명의 고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병마개(101) 안에는 상기노즐(10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212)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노즐(104)의 개폐구(208)가 접촉하는 부위(209)는 개폐구(208)의 지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병마개(101)를 열었을 때 노즐이 하강하여 개폐구(208)가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형성한다
병마개(101)는 기체가 교류할 수 있도록 개폐역할을 해주는 노즐(104)이 삽입된다.
노즐(104)은 병마개(101)를 열었을 때(도 2)는 개폐구(208)가 막혀있고 병마 개(101)를 닫았을 때(도 3)는 개폐구(208)가 개방되어 기체의 교류가 일어나 압력의 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해야 한다.
노즐(104)의 최하단에는 탄산가스가 항상 드나들 수 있도록 개구부(207)를 형성하여야 하며, 병마개(101)를 열고 닫을 때마다 노즐(104)이 용기 상단(210)과 접촉하여 개폐구(208)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 접촉부위는 용기의 최상단(210)과 접촉하여 밀려 올라가고 다시 내려오고 하는 작용을 하여야 하므로 용기 최상단부(210)의 지름과 같도록 넓적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노즐(104)의 넓적한 부위에는 병마개(101)를 닫았을 때 용기와 완전밀봉되는 부분으로써 외곽에는 패킹(205)을 형성하여 용기 내의 음료 및 기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노즐(104)의 상단에는 노즐결합부(103)를 구비하여 노즐(104)의 상단(지름크기가 제일 작은 부분)과 일치하는 홈을 형성하되 이 결합부(103)는 스프링(10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맞물릴 수 있다. 노즐결합부는 노즐과 분해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제품제작시 조립에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노즐 위에는 스프링(102)을 연결하여 병마개(101)를 닫을 때 밀려 올라감으로써 개폐구(208)가 열리고 반대로 병마개를 열었을 때는 다시 노즐(104)이 자동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102)은 병마개 안의 지지대(202)에 연결되어 밀려 내려가는 기능을 한다. 스프링(102)의 나선형 간격은 처음 시작부위에는 틈이 없도록 촘촘하여 지지대(202)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202)는 병마개(101) 안쪽으로 횡으로 형성되고, 원반모양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노즐(104)에 연결될 스프링(102)과 결합 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202)의 원지름은 스프링(102)의 원지름과 같게 하여 스프링(102) 나선형의 처음 부분에 끼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음료의 제조시 원리(저온, 고압의 환경에서의 음료 원액에 탄산가스를 용해시키는 방법)에 착안하여 용기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탄산가스 방출이 일어나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처음 출시 때의 고유의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수가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맛이 현저히 떨어져 남은 음료를 버리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이용자의 욕구 충족을 만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산가스와 같이 기체 및 액화 기체 등과 같은 효과적인 물질로 바꾸어 병마개 안에 충전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공간부(201)와; 병마개 개폐시 탄산가스가 교류 되도록한 노즐(104)과;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노즐의 상하운동을 가능토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한쪽 끝을 끼워 넣어 병마개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지지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노즐과 홈을 이용하여 노즐과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노즐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방출방지 병마개
KR1020060034333A 2006-04-15 2006-04-15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10082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333A KR100829021B1 (ko) 2006-04-15 2006-04-15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333A KR100829021B1 (ko) 2006-04-15 2006-04-15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33U Division KR200424703Y1 (ko) 2006-04-15 2006-04-15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327A true KR20070102327A (ko) 2007-10-18
KR100829021B1 KR100829021B1 (ko) 2008-05-14

Family

ID=3881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333A KR100829021B1 (ko) 2006-04-15 2006-04-15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59Y1 (ko) * 2011-11-03 2013-08-13 소다스파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탄산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06B1 (ko) * 2019-06-11 2020-07-28 한창수 가스충전식 포장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085Y1 (ko) * 1989-06-20 1991-09-20 유승주 압력 조절용 병마개
JP2911845B2 (ja) 1997-01-31 1999-06-23 上田サーボ機械株式会社 炭酸飲料水収容容器の加圧装置
KR19980019500A (ko) 1998-03-17 1998-06-05 박정길 탄산음료 PET병의 탄산가스 분사식 재투입장치(Apparatus for re-injecting carbonic acid gas into PET bottles)
KR19980087609A (ko) 1998-09-02 1998-12-05 염천주 음료수 용기의 공기가압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459Y1 (ko) * 2011-11-03 2013-08-13 소다스파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탄산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021B1 (ko) 200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4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вакуумной бутылки
JP3780944B2 (ja) 部分的に満たされた飲料ボトルの中身を保存するための器具ならびに該器具用のストッパ
CN102241297A (zh) 瓶塞
KR20160064863A (ko) 주류 및 탄산 음료병의 자동 공기공급 개폐기능을 갖는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0829021B1 (ko)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200424703Y1 (ko)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KR200351500Y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130027722A (ko) 체크밸브가 설치된 용기 캡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KR100985503B1 (ko)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KR200269088Y1 (ko) 탄산 음료수병의 압력조절용 병마개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278394Y1 (ko) 탄산음료pet병 받침대
US11352192B2 (en) Device for serving by single glasses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JP2005312498A (ja) ステンレス製真空二重容器を用いた断熱容器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101384032B1 (ko) 탄산가스 누출 방지 장치가 부가된 음료 병의 병마개
KR20060109640A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