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503B1 -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 Google Patents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503B1
KR100985503B1 KR1020080122916A KR20080122916A KR100985503B1 KR 100985503 B1 KR100985503 B1 KR 100985503B1 KR 1020080122916 A KR1020080122916 A KR 1020080122916A KR 20080122916 A KR20080122916 A KR 20080122916A KR 100985503 B1 KR100985503 B1 KR 10098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beverage
tube
valve
contain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470A (ko
Inventor
인순생
Original Assignee
인순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순생 filed Critical 인순생
Priority to KR102008012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5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수 등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용기 상단에 장착되는 마개를 개폐하여 음용할 때 용기내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 음료수만 배출되도록 하여, 최초 용기내 투입된 탄산가스가 외부로 마개 개방시 유출되어 신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탄산수 배출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탄산음료수, 마개, 용기, 푸셔, 탄성부재, 밸브, 흡입관, 돔관

Description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A CARBONATED DRINKS CORK}
본 발명은 탄산수 배출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탄산수 등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용기 상단에 장착되는 마개를 개폐하여 음용할 때 용기내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 음료수만 배출되도록 하여, 최초 용기내 투입된 탄산가스가 외부로 마개 개방시 유출되어 신선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탄산수 배출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내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 가스는 무색, 무취의 불연성 기체인 이산화탄소를 일컫는 것으로, 약산성의 탄산으로 음료수내에 용해되어 탄산음료 자체의 특유한 톡 쏘는 듯한 청량감을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탄산음료수내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는, 용기 내부 상단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층과 압력이 동일할 때 까지 탄산음료에서 빠져나와 상기 공기층으로 이동되는 현상을 갖게 된다.
특히, 음용자가 용기 마개를 개방하여 음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 상단 탄산 가스가 대기중으로 발산되는 현상을 갖게 되는데, 음용자의 잦은 음용에 의할 경우 탄산음료내 용해되어 있는 탄산 가스의 방출 정도가 상당하여 최초 탄산음료에 제공될 수 있는 청량감 상실로 인한, 특유의 청량한 맛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 등록된 특허등록 제 127603 호의 "탄산수 병뚜껑"이 개시되어 있는바, 병뚜껑 외피 상방에 구비된 탄성막(유연부)을 가압하여 병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탄산수의 불연속 배출에 의해 탄산가스의 방출을 억제하여, 음로수내 탄산가스 농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의 경우, 탄산 음료의 배출시 병뚜껑 외피의 내부 공간부에 먼저 탄산음료가 충전된 다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병뚜껑 외피 내부 공간부에 탄산음료가 와류를 형성하여 이동하고, 그에 따른 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탄산음료가 강하게 분출되어,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는 현상이 있어 탄산음료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될 때, 병뚜껑 외피 내부 공간부에 충전된 거품이 변하여 잔류된 탄산음료가 배출구를 통해 용기 외벽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 또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특2002-0095444 호인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는바, 가압변형에 의해 병 내압 변화를 유발하는 탄성막 및 그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관을 가지는 뚜껑부재와, 병 내부에 삽입되어 탄산수에 침지되도록 뚜껑부재에 지지된 흡입관과, 그 흡입관과 뚜껑부재의 배출관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탄성막의 탄성변형에 따라 승강함으로써 흡입구가 상기 흡입관의 선단부 내외로 출입하여 그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밸브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막을 가압에 의해 탄성변형시킴에 따라 병 내압 변화를 유발시켜 탄산수가 흡입관과 밸브튜브 및 배출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시키는 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탄성막이나 가압판을 눌러 흡입관을 통해 음료수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상기 흡입관 상단부측으로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지지판에 의해, 용기내 음용액 내부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새어나갈 수 있어 최초 탄산가스 함유에 의한 청량감을 상실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막이나 가압판의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채용되는 스프링의 경우, 기간 경과시 내부 조건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탄산 음료수를 저장하는 음용 용기의 마개 부분을 개량하여, 마개 작동시 탄산음료수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탄산음료를 음용하는 기간 내내 탄산음료의 청량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 누름시 흡입관 상단부측이 마개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구조를 변경하고 아울러, 흡입관 상단부측의 구조를 변경하여 탄산음료수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탄산가스가 흡입관과 마개 하단 밸브측과의 긴밀한 접촉력이 저하되더라도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 누름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실리콘재 등으로 채택하여, 스프링 등 금속물질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할 때 발생되는 산화 현상 및 이로인한 위생상 문제점 등을 극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산음료수가 수용되는 음용 용기(10) 상방 토출구(11)와 나사 결합되어 탄산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음용되도록 하기 위한 탄산음료수 마개 구조에 있어서,
마개(100) 일측면으로 상방이 개방되는 가이드홈(120)을 형성하고 내부 하단을 구획하되 중앙 상하에 각각 상하부돌출관(111,112)을 갖되 중앙은 관통되는 형태를 취하며 상기 상부돌출관(111) 내측으로 이격되며 지지관(111a)이 상방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관(112)의 내경이 상부돌출관(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획격판(110)을 구비하는 마개(100)와,
상방으로 누름판(210)을 형성하고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하단 내외주면을 관통하게 되는 결합홈(221)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는 삽입관(22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관(220) 상단측 외주면으로 걸림턱(222)이 환형상으로 돌출하고, 측방으로 연통되며 연장되는 배출관(230)이 상기 가이드홈(120)으로 돌출되는 푸셔(200)와,
상기 마개(100)의 구획격판(110) 중앙 상부돌출관(111)과 이격되는 지지관(111a)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상방측 내경은 하방측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토록 하여 상방 외주면에 단턱(310)을 형성하는 실리콘재질로 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삽입관(220)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400)로 구성되고,
상기 구획격판(110) 하단면과 접하며 용기 내부로 이어져, 상기한 푸셔(2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산음료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상단부측에 컵 모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양을 갖는 돔 형태를 갖는 돔관(510)과 연결되는 흡입관(500)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400)를 통해 용기내 탄산음료수가 푸셔(200) 내부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배출관(2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탄산음료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는 푸셔의 동작에 의해서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음용 될 수 있도록 하되, 용기 내부 및 그 용기내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자연 배출이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함으로서, 탄산음료수의 최초 느낄 수 있는 청량 맛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선도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산음료를 저장하여 일반 소비자 등에 의해 사용되어 탄산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 용기(이하 용기라 약칭함)의 마개를 이용하여 음용 가능하도록 하되, 마개의 누름 작동시 또는 음료수를 음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탄산음료수내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용기(10) 상방의 토출구(11)와 나사 결합되는 마개(100)와, 상기 마개(100)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푸싱 되도록 하여 용 기(10) 내부 탄산음료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푸셔(200)와, 상기 푸셔(20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300)와, 용기(10) 내부의 탄산음료수가 상기 푸셔(200)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400)와, 상기 푸셔(200)의 동작에 따라 용기(10) 내부 탄산음료수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방이 각각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되, 중앙 하단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격판(110)을 일체로 형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푸셔(200) 하단측과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격판(110) 하단면은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관(500)이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마개(100) 측면으로 상방측이 개구되는 형태의 가이드홈(12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구획격판(110) 중앙은 관통되는 형태를 취하며 상하면에 각각 돌출되는 상하부돌출관(111,112)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돌출관(111) 내측으로 이격되며 지지관(111a)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상부돌출관(111) 내측과 구획격판(110)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관(111a) 사이에는 이격틈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격틈은 탄성부재(300) 하단 내부에 상기 지지관(111a)이 삽입되어 끼워지면서 탄성부재(300)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상하부돌출관(111,112)의 상하 위치는 서로 상이하게 되는 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돌출관(111)은 탄성부재(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임에 반하여, 하부돌출관(112)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관(500) 상부측에 구비되며 용기(10)의 토출구(11) 내면 및 상측에 걸쳐 접하도록 구성되는 컵 형태의 돔관(510) 내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관(111a)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며 구획격판(110) 하방측 중앙으로 돌출되는 밸브지지턱(113)을 원형상 돌출관과 같이 형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밸브(400)의 패킹(430)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음용자가 탄산음료수를 음용하지 않는 경우에 즉 푸셔(200)가 항상 상방향으로 탄발 지지되는 경우에, 패킹(430) 상면과 구획격판(110)의 밸브지지턱(113) 하면과는 항상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기밀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푸셔(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개(100)의 하부 내측을 가로지르는 구획격판(110) 상측에 위치되어지되, 푸셔(200)의 누름 동작을 위한 누름판(210)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삽입관(22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관(220) 측면으로 배출관(230)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관(220)과 배출관(230)이 연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230)은 상기 푸셔(200) 상하 푸싱 운동시 마개(100) 일측면 가이드홈(120)을 따라 상하 유동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삽입관(220) 하단 내외주면을 관통하게 되는 결합홈(221)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홈(221)은 밸브(400)의 상단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기(410)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푸셔(200)를 이루는 누름판(210) 하단으로 이어지는 삽입관(220)이 상방측을 통해 삽입되도록 하고, 탄성부재(300) 하방은 상술한 구획격판(110) 상면으로 돌출되는 상부돌출관(111)과 상기 상부돌출관(111) 내측으로부터 이격되며 구획격판(110) 상면으로 연장 돌출되는 지지관(111a)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틈에 도 3 내지 도 4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00) 하방 내측으로는 지지관(111a)이 삽입되는 형태이고, 탄성부재(300) 상방은 푸셔(200)의 삽입관(220)을 에워싸는 형태를 취한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도 4 에서 보듯이, 탄성부재(300)의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상방측 내경은 하방측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토록 상방 외주면에 단턱(3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부재(300) 상단측이 상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푸셔(200)의 삽입관(220) 상단측 외주면으로 걸림턱(222)이 환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푸셔(200)를 탄산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한 음용자가 누를 때 상기 걸림턱(222) 저면으로 탄성부재(300)를 누르며 푸셔(200) 전체가 하방향으로 하강되고, 이와 동시에 후술하게 되는 밸브(400)가 하강하며 용기(10) 내 수용된 탄산음료수가 내압 및 외압 변화에 의해 흡입관(500)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탄성부재(300)의 탄발력에 의해 푸셔(200)는 상방으로 원상 복귀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하게 된다.
상기 밸브(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푸셔(200)의 누름 작동에 의해 연동하여 하강되면서 용기(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탄산음료를 흡입관(500)을 통해 푸셔(200)의 삽입관(220)과 배출관(23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한 밸브(400)는 도 2 내지 도 5 에서 보듯이, 푸셔(200)의 삽입관(220) 하단에 체결되어지는 것으로, 밸브(400) 상단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기(410)를 이루고 그 하단부측 외주면으로 환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턱(421)과, 상기 상부턱(421)과 이격되며 밸브(400)의 저면을 이루며 원형상 환형태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턱(422)을 이루어, 상기 상부턱(421)과 하부턱(422)에 의해 요홈(420)이 형성되도록 하여, 패킹(430)이 상기 요홈(420)으로 고리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턱(421)과 하부턱(422)은 원형태의 고리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상부턱(421) 외면을 이루는 외경은 상기 하부턱(422)의 외면을 이루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상기 상부턱(421)의 외면은 상술한 구획격판(110)의 중앙 하면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지지턱(113) 내주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삽입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지지턱(113) 저면과 밸브(400)의 패킹(430) 상면이 도 3,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긴밀하게 접하게 되 므로, 용기(10) 내부의 탄산음료수가 음용자의 푸셔(200) 조작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외부로 자연 배출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밸브(400)의 상단부는 전술한 푸셔(200)의 누름판(210) 하방으로 이어지는 삽입관(22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외경이 상대적으로 삽입관(220) 내경보다 작아야 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관(220) 하단으로 형성되는 결합홈(221)과 밸브(400)의 돌기(410)는 상호 착탈되도록 결합 구성되어, 푸셔(200)의 누름판(210)을 누를 때 삽입관(220)과 밸브(400)는 동시에 연동하여 상하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밸브(400)의 요홈(420) 상방과 돌기(410) 하방 사이에 절개공(440)을 형성하여 밸브(400)의 중앙 유로(450)과 연통되도록 하여, 밸브(400) 하강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입관(500) 상단에 결합되는 돔 형태의 돔관(510)으로 상기 절개공(440)이 위치되어, 용기(10)의 내압 및 외압 변화에 의한 기압 차이로 용기(10)내 탄산음료수가 밸브(400)의 절개공(440)측으로 유입된 후 밸브(400)의 유로(450)를 따라 푸셔(200)의 삽입관(220) 및 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밸브(400)의 패킹(430) 상단면은 도 3, 도 4에서 보듯이 구획격판(110) 중앙 하단의 밸브지지턱(113) 저면과 긴밀한 접촉 상태를 항상 유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의 흡입관(500)은 전술한 푸셔(200)의 동작에 따라 용기(10) 내부 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가 외부로 배출되어질 때, 그 탄산음료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마개(100) 외부로 탄산가스나 탄산음료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기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흡입관(500)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용기(10)내 저면부까지 위치되어지는 막대 형상의 흡입관(500)을 구비하되 상기 흡입관(500) 상단부측에 컵 모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양을 갖는 돔 형태를 갖는 돔관(510)과 연결되어진다.
상기 돔관(5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컵 모양을 뒤집어 놓은 듯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하단부측으로는 중앙이 중공(中空) 형태를 갖는 결합관(511)을 형성하고 상단은 개방되는 형태를 갖으며 상단 외주면으로 확장부(512)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결합관(511)은 상기 흡입관(500)의 상단 내부에 강제 압입 방법으로 삽입하여, 탈거 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확장부(512)의 저면측(도면상 보았을 때)은 도 3에서 보듯이 용기(10)의 토출구(11) 상면측에 위치되어지고, 상기 확장부(512)의 내주면은 전술한 구획격판(110)의 하부돌추관(112)에 의해 지지되어, 돔관(510)이 마개(100)와 토출구(11)에 의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마개(100)와 토출구(11)간 나사 결합에 의해 돔관(510)의 확장부(512)가 패킹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용기(10) 내부의 탄산음료수가 압력 변화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시계열적으로 서술하면, 음용자가 용기(10) 내 수용되어 있는 탄산음료수를 음용하기 위해 마개(100)의 내부측에 위치되어 있는 푸셔(200)의 누름판(210)을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판(210)이 도 5와 같이 눌러지게 되면, 탄성부재(300)가 압착되는 형태를 취하면서 삽입관(220) 하단의 결합홈(221)과 결합 연결되어 있는 밸브(40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밸브(400)는 누름판(210)이 눌러지기 전에는 도 3과 같이 밸브(400)의 패킹(430) 상면이 구획격판(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밸브지지턱(113)과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판(210)이 눌러지는 상태에 있게 되면, 상기한 밸브지지턱(113)으로부터 밸브(400)가 하강하게 되어 패킹(430)의 긴밀한 접촉 상태가 해제되고, 아울러 밸브(400)의 하강에 따라 밸브(400) 패킹(43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공(440)이 노출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절개공(440)이 노출된다는 것은, 흡입관(500)과 연결되는 돔관(510)과 절개공(440)이 연통되는 것을 의미하고 아울러, 용기(10) 내부 탄산음료수가 외부 및 내부 압력 차이에 의해 흡입관(500)을 따라 유동되어 돔관(510)에 머무른 후 밸브(400)의 절개공(440)을 따라 푸셔(200)의 삽입관(220) 내부로 유동되면서 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출관(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탄산음료수의 일련의 배출과정을 거쳐 음용자가 탄산음료수를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푸셔(200)의 누름판(210)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푸 셔(200)의 삽입관(220) 외주면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00)의 압축 상태가 해제되어, 푸셔(20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삽입관(220) 하단에 연결되어 있던 밸브(400) 또한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밸브(400)의 외주면측 절개공(440)이 구획격판(110)의 지지관(111a) 내주면측으로 접하는 상태에 있게 되고, 아울러 밸브(400) 하단측에 구성되는 패킹(430) 상면이 구획격판(110) 하단으로 형성된 밸브지지턱(113)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어, 돔관(510)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 탄산음료수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성 및 작동관계에 의하면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는 푸셔(200)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지되, 그 탄산음료수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자연적 배출을 억제하게 되므로 탄산음료수 최초의 청량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바, 예컨데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배출관(230)을 푸셔(200)의 누름판(210)과 연결되도록 하되 그 배출관9230)과 삽입관(220)은 누름판(210)을 관통하며 연통 되도록 하여 전술한 작동에 의해, 용기(10) 내에 수용되는 탄산음료수를 음용자가 푸셔(200)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배출관(23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음용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를 이루는 것으로 마개와 용기간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되는 마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간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3에 의한 본 발명에서, 마개의 푸셔 누름판을 눌러, 용기내 수용되는 탄산음료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도를 도시한 도면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마개 110; 구획격판
111; 상부돌출관 111a; 지지관
112; 하부돌출관 113; 밸브지지턱
120; 가이드홈 200; 푸셔
210; 누름판 220; 삽입관
221; 결합홈 230; 배출관
300; 탄성부재 310; 단턱
400; 밸브 410; 돌기
420; 요홈 430; 패킹
440; 절개공 450; 유로
500; 흡입관 511; 결합관
512; 확장부

Claims (3)

  1. 탄산음료수가 수용되는 음용 용기(10) 상방 토출구(11)와 나사 결합되어 탄산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음용되도록 하기 위한 탄산음료수 마개 구조에 있어서,
    마개(100) 일측면으로 상방이 개방되는 가이드홈(120)을 형성하고 내부 하단을 구획하되 중앙 상하에 각각 상하부돌출관(111,112)을 갖되 중앙은 관통되는 형태를 취하며 상기 상부돌출관(111) 내측으로 이격되며 지지관(111a)이 상방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돌출관(112)의 내경이 상부돌출관(11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획격판(110)을 구비하는 마개(100)와,
    상방으로 누름판(210)을 형성하고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되되 하단 내외주면을 관통하게 되는 결합홈(221)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는 삽입관(22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관(220) 상단측 외주면으로 걸림턱(222)이 환형상으로 돌출하고, 측방으로 연통되며 연장되는 배출관(230)이 상기 가이드홈(120)으로 돌출되는 푸셔(200)와,
    상기 마개(100)의 구획격판(110) 중앙 상부돌출관(111)과 이격되는 지지관(111a) 사이의 이격 공간에 지지되기 위한 것으로,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상방측 내경은 하방측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토록 하여 상방 외주면에 단턱(310)을 형성하는 실리콘재질로 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삽입관(220) 하단에 결합되는 밸브(400)로 구성되고,
    상기 구획격판(110) 하단면과 접하며 용기 내부로 이어져, 상기한 푸셔(200)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산음료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상단부측에 컵 모양을 뒤집어 놓은 듯한 모양을 갖는 돔 형태를 갖는 돔관(510)과 연결되는 흡입관(500)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400)를 통해 용기내 탄산음료수가 푸셔(200) 내부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배출관(2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탄산음료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400)는 상단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기(410)를 이루어, 푸셔(200)의 삽입관(220) 하단 내외주면을 관통하게 되는 결합홈(221)과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하고, 밸브(400) 하단부측 외주면으로 환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턱(421)과, 상기 상부턱(421)과 이격되며 밸브(400)의 저면을 이루며 원형상 환형태로 돌출되는 형태의 하부턱(422)을 이루어, 상기 상부턱(421)과 하부턱(422)에 의해 요홈(4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턱(421) 외면을 이루는 외경은 상기 하부턱(422)의 외면을 이루는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패킹(430)이 상기 요홈(420)으로 고리 형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요홈(420) 상방과 상기 돌기(410) 하방 사이에 절개공(44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관(510)은 하단부측으로는 중앙이 중공(中空) 형태를 갖는 결합관(511)을 형성하고 상단은 개방되는 형태를 갖으며 상단 외주면으로 확장부(512)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KR1020080122916A 2008-12-05 2008-12-05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KR10098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16A KR100985503B1 (ko) 2008-12-05 2008-12-05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16A KR100985503B1 (ko) 2008-12-05 2008-12-05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470A KR20100064470A (ko) 2010-06-15
KR100985503B1 true KR100985503B1 (ko) 2010-10-05

Family

ID=4236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916A KR100985503B1 (ko) 2008-12-05 2008-12-05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5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46Y1 (ko) 2011-05-17 2011-08-25 강호진 병뚜껑
KR20210135410A (ko) 2020-05-05 2021-11-15 박유빈 3단 스테인리스 봉이 삽입된 탄산빠짐 방지 자동음료배출마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56U (ja) * 1992-04-30 1994-07-05 康誠 根津 炭酸飲料のポンプ加圧型ガス抜け防止キャップ
JP2001335057A (ja) 2000-05-25 2001-12-04 Young Kwon Kim 飲料容器
KR20020095444A (ko) * 2001-06-14 2002-12-26 이노캡스(주)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56U (ja) * 1992-04-30 1994-07-05 康誠 根津 炭酸飲料のポンプ加圧型ガス抜け防止キャップ
JP2001335057A (ja) 2000-05-25 2001-12-04 Young Kwon Kim 飲料容器
KR20020095444A (ko) * 2001-06-14 2002-12-26 이노캡스(주)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KR100439210B1 (ko) 2001-06-14 2004-07-07 이노캡스(주)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146Y1 (ko) 2011-05-17 2011-08-25 강호진 병뚜껑
KR20210135410A (ko) 2020-05-05 2021-11-15 박유빈 3단 스테인리스 봉이 삽입된 탄산빠짐 방지 자동음료배출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470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02069A1 (en) Vessel having compressed CO2 gas source
RU2420442C2 (ru) Разливные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напитков
CN102241297A (zh) 瓶塞
EA002301B1 (ru) Двухкамерный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примеши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а в напиток
KR100985503B1 (ko)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KR20090083368A (ko) 압력 균일화 후 기체함유 액체의 정량배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7197039A (ja) 飲料供給バルブ
KR200449488Y1 (ko) 가스누출 방지병
KR102084333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마개
KR100439210B1 (ko)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KR100829021B1 (ko)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101011446B1 (ko) 펌핑 마개
JP3118039U (ja) 分離保存混合使用瓶体構造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JP6929092B2 (ja) 炭酸飲料サーバ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KR200173366Y1 (ko) 안전밸브가 장착된 싸이펀 장치 및 휘핑 장치
KR101627417B1 (ko)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JPH10181761A (ja) 液体噴出器
KR100736441B1 (ko) 탄산음료의 탄산가스 누출방지와 자동 개폐 용기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JP4620651B2 (ja) 飲料容器検査用ヘッド
KR20180008831A (ko)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KR200405395Y1 (ko) 배기 장치가 구비된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