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8831A -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8831A
KR20180008831A KR1020180003906A KR20180003906A KR20180008831A KR 20180008831 A KR20180008831 A KR 20180008831A KR 1020180003906 A KR1020180003906 A KR 1020180003906A KR 20180003906 A KR20180003906 A KR 20180003906A KR 20180008831 A KR20180008831 A KR 20180008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opening
stored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강
Original Assignee
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강 filed Critical 고강
Priority to KR102018000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8831A/ko
Publication of KR20180008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16K21/0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with ball-shaped clos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와, 그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뚜껑 부재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 및 그 취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관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탄산음료를 취출해 낼 수 있으므로, 저장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탄산음료 일부를 음용하고 남은 잔량의 탄산음료에서도 탄산가스의 농도를 거의 그대로 유지가 가능하여 높은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A carbonated beverage vessel which keeps awayfromleaking of carbonic acid gas}
본 발명은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음료가 밀폐 충전된 용기의 뚜껑에 수도 꼭지형 밸브나 레버 작동식 코크(cock) 부재가 탄산음료 취출기구로 부가되어 탄산음료의 취출시 용기 내부에서 탄산가스가 쉽게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콜라나 사이다 또는 소다수 등과 같은 탄산음료는 음료수 내에 무색무취의 불연성 기체인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가 약산성의 탄산으로 용해되어 자체의 특유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작용효과로 인해 대표적인 청량음료로 널리 소비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탄산음료는 제조과정에서 주로 페트(PET) 병과 같은 용기에 음료 원액을 넣은 후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용해시킨 물을 충전시킨 다음 뚜껑에 의해 밀폐시킨 상태로 저장하거나, 음료 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페트(PET) 병과 같은 용기에 충전한 다음 탄산가스를 가압하여 용해시킨 후 뚜껑에 의해 밀폐시킨 상태로 저장하여 시판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는 저장 용기 내부의 상단부 공기층과 동일한 압력이 될 때까지 저장 용기의 상단부로 이동하여 저장 용기의 내부 기압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특성이 있다.
즉, 탄산음료는 저장 용기의 내부 압력과 탄산음료가 탄산가스를 방출하려는 압력이 서로 평형관계를 유지해야만 탄산음료에서 더 이상의 탄산가스를 방출하지 않게 되어 나머지 탄산가스가 탄산음료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탄산음료가 빠져나가면 그만큼의 빈공간이 형성되고, 탄산음료 내부의 탄산가스가 기포로 발생되어 빈공간을 채우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탄산음료 내부의 탄산가스가 감소하여 탄산음료 특유의 톡 쏘는 맛이 점점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탄산음료는 저장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일부를 음용하고 남은 잔량의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가스가 공기 중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보관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탄산음료에 함유된 탄산은 공기 중으로 유출되어 제조과정에서 저장용기에 최초로 저장된 탄산음료의 탄산 농도가 저하되므로 탄산음료 특유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기존의 페트병과 같은 통상적인 탄산음료 저장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탄산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을 열고 닫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뚜껑을 개방할 때마다 용기 내부의 상단부에 존재하는 탄산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어 애초의 특유한 탄산음료 청량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6441호 공보를 통해 "탄산음료의 탄산가스 누출방지와 자동 개페 용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236호 및 제20-0477267호 공보에는 각각 "탄산가스 누출 방지용 페트 용기"와 "탄산가스 유출방지 뚜껑"이 제안된 바 있으나, 실제 실용화되어 제품화된 상태로 출시되는 경우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64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78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026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23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26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탄산음료 용기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순 용이한 동작을 통해 효과적으로 탄산음료를 취출해 낼 수 있는 탄산음료 취출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순 용이한 동작을 통해 효과적으로 탄산음료를 취출해 낼 수 있는 탄산음료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 및 상기 취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용기가 직립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탄산음료 취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취출시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탄산음료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뒤집어 역상의 직립된 자세로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에 부가되어 탄산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 및 상기 취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탄산음료 취출기구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에 부가되어 탄산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용기가 직립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탄산음료 취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취출시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탄산음료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뒤집어 역상으로 직립된 자세로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사이에 연결관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페트(PET) 병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승강 운동하도록 내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끝단부에 마련되어 그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개폐구; 및 상기 로드를 승강 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토출관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코크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에 따르면,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탄산음료를 취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탄산음료 일부를 음용하고 남은 잔량의 탄산음료에서도 탄산가스의 농도를 거의 그대로 유지가 가능하여 높은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는 기존 탄산음료 저장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후에 대체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단순 용이한 동작을 통해 탄산음료 취출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저장 용기에서 탄산음료의 취출을 위해 뚜껑을 열고 닫는 반복적인 동작을 배제할 수 있게 되어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취출해 낼 수 있으므로, 탄산음료의 높은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산음료는 탄산가스를 함유하는 음료수를 정의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이다나 콜라, 소다수 등과 같은 청량음료는 물론 맥주나 스파클링 와인 등과 같이 탄산가스가 함유된 주류도 탄산음료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100A)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101)와, 상기 용기(10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102)와, 상기 용기(101)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102)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105) 및 상기 취출관(105)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미도시)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101)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105)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100A)에 있어서, 상기 용기(101)는 기존의 통상적인 페트(PET) 병이 유효하게 채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캔이나 유리병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용기(101)는 예를 들어 1리터 이상의 대용량 용기가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부재(102)는 기존의 통상적인 페트(PET) 병 뚜껑과 같이 나사 체결 방식의 몰딩 성형된 뚜껑이 채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기(101)의 취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뚜껑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도꼭지부재(103)는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개폐되는 수도꼭지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도꼭지부재(103)는 기존의 수도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형태가 그대로 채용될 수 있는 한편, 수지 몰딩에 의한 소형 성형체로 제작된 전용의 수도꼭지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유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도꼭지부재(103)는 후술하는 도 4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은 레버 작동식 코크(cock) 부재(도 4의 부호 210 참조)가 대체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관(105)은 예컨대, 음료수 빨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뚜껑 부재(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용기(101)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침지되는 동시에 상단부는 상기 뚜껑 부재(102)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수도꼭지부재(103)에 연통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도꼭지부재(103)의 손잡이 회전에 의해 내부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용기(101)의 내부 기압의 평형상태가 변화되면서 탄산음료가 상기 취출관(105)을 통하여 수도꼭지부재(103)의 취출구로 취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재(102)와 수도꼭지부재(103)의 사이에는 예컨대, 엘보(elbow)와 같은 연결관(104)이 더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뚜껑 부재(102)와 취출관(105) 및 수도꼭지부재(103)는 상기 용기(10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단위 유닛체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뚜껑부재(102)와 수도꼭지부재(103)의 사이에는 예컨대, 엘보(elbow)와 같은 연결관(104)이 더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101, 103, 105)는 기존 탄산음료 저장 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후에 상기 취출관(105)이 기존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102)를 취출구에 체결되도록 대체하여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타난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음료의 취출을 위해 뚜껑을 열고 닫는 반복적인 동작을 배제할 수 있게 되므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취출해 낼 수 있어서 탄산음료의 높은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100B)는 도면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수도꼭지부재(103)는 상기 용기(101)가 직립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탄산음료 취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101)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취출시 상기 수도꼭지부재(103)의 탄산음료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101)를 뒤집어 역상의 직립된 자세로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101)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뚜껑부재(102)와 수도꼭지부재(103)의 사이에는 예컨대, 엘보(elbow)와 같은 연결관(104)이 더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도꼭지부재(103)는 후술하는 도 4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은 레버 작동식 코크(cock) 부재(도 4의 부호 210 참조)가 대체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 보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100B)에 설치되는 상기 뚜껑 부재(102)와 취출관(105) 및 수도꼭지부재(103)는 상기 용기(10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단위 유닛체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탄산음료 취출기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뚜껑부재(102)와 수도꼭지부재(103)의 사이에는 예컨대, 엘보(elbow)와 같은 연결관(104)이 더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를 도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200)는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201)와, 상기 용기(20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202)와, 상기 용기(201)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202)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205) 및 상기 취출관(205)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미도시)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201)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105)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레버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코크(coke)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201)와 뚜껑 부재(202) 및 취출관(205)은 각각 도 1 내지 도 3에 의해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100A)(100B)를 이루는 용기(101)와 뚜껑 부재(102) 및 취출관(10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크부재(210)는 상기 뚜껑 부재(202)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관(211)과, 그 토출관(211)에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승강 가능한 상태로 내장되는 로드(213)와, 그 로드(213)을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주기 위한 탄성체(214)와, 상기 로드(213)의 끝단부에 마련되어 로드(213)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개폐구(215) 및 상기 로드(213)를 승강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레버(21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로드(213)가 승강 운동하면서 로드(213)의 끝단부에 구비된 개폐구(215)가 상기 토출관(211)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 보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200)에 설치되는 상기 뚜껑 부재(202)와 취출관(205) 및 코크부재(210)는 상기 용기(201)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하나의 단위 유닛체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탄산음료 취출기구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뚜껑부재(202)와 코크부재(210)의 사이에는 예컨대, 엘보(elbow)와 같은 연결관(104)이 더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는 수도꼭지부재나 레버 작동식 코크 부재의 작동에 의해 탄산음료의 취출시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한도로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탄산음료를 취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탄산음료 저장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탄산음료 일부를 음용하고 남은 잔량의 탄산음료에서도 탄산가스의 농도를 거의 그대로 유지가 가능하여 높은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 201 : 저장 용기 102, 202 : 뚜껑 부재
103 : 수도꼭지부재 104, 203 : 연결관
105, 205 : 취출관 210 : 코크(coke)부재
211 : 토출관 212 : 레버
213 : 로드 214 : 탄성체
215 : 개폐구

Claims (10)

  1.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 및
    상기 취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2.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용기가 직립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탄산음료 취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취출시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탄산음료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뒤집어 역상의 직립된 자세로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사이에 연결관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페트(PET) 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승강 운동하도록 내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끝단부에 마련되어 그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개폐구 및
    상기 로드를 승강 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토출관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코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6.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에 부가되어 탄산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에 일단부가 침지되도록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된 상태로 마련되어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관; 및
    상기 취출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상기 취출관을 통하여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용기 부가용 탄산음료 취출기구.
  7. 탄산음료가 충전되어 저장되는 용기에 부가되어 탄산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내장된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수도꼭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용기가 직립되도록 세팅된 상태에서 탄산음료 취출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의 취출시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탄산음료 취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용기를 뒤집어 역상으로 직립된 자세로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탄산음료를 취출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용기 부가용 탄산음료 취출기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수도꼭지부재의 사이에 연결관이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용기 부가용 탄산음료 취출기구.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페트(PET) 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10. 제 6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부재는,
    상기 뚜껑 부재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승강 운동하도록 내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끝단부에 마련되어 그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토출관을 개폐시키는 개폐구 및
    상기 로드를 승강 운동시켜 주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토출관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코크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KR1020180003906A 2018-01-11 2018-01-11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KR20180008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06A KR20180008831A (ko) 2018-01-11 2018-01-11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06A KR20180008831A (ko) 2018-01-11 2018-01-11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03A Division KR20180004492A (ko) 2016-07-04 2016-07-04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831A true KR20180008831A (ko) 2018-01-24

Family

ID=6102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906A KR20180008831A (ko) 2018-01-11 2018-01-11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8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165A (en) Gas actuator assembly
US201000065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sed dispensing of gasified liquid after pressure equalisation
US11952201B2 (en) Gravity-oriented one-way valve container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08831A (ko)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KR20180004492A (ko) 탄산음료 취출기구 및 그 취출기구가 부가된 탄산음료 전용 저장 용기
US11332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air from fluids
EP2336035A1 (en) Device for preserving carbonated beverages
EP0783433B1 (en) Gas actuator assembly
JPH0744740U (ja) 炭酸入り液体を圧力下で吐出する吐出コック
KR101011446B1 (ko) 펌핑 마개
CN110901994A (zh) 一种瓶装富氢饮品的生产方法
KR100985503B1 (ko) 탄산음료수 배출용 마개
US117463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quid preservation
CN111573597B (zh) 一种瓶装富氢饮品的灌装装置及方法
US2023040721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quid Preservation
JP3215825U (ja) Co2導入用のバルブを有する、ガスを含有する液体を供するための装置
KR200318788Y1 (ko) 탄산가스누출방지용마개
JP3233665U (ja) 飲料容器用キャップ、飲料容器
KR200344567Y1 (ko) 음료 용기
US20150121803A1 (en) System for re-pressurization of bottles
KR200396029Y1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EA020436B1 (ru) Пробка-клапан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аздачи газированного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20060109640A (ko) 가스 누출 방지 마개
KR20090009603U (ko) 음료용기의 마개
CZ13404U1 (cs) Uzávěr láhví, zejména PET láhví, opatřený ventilem pro snadné nalévání tekut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