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59Y1 - 탄산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59Y1
KR200468459Y1 KR2020120004096U KR20120004096U KR200468459Y1 KR 200468459 Y1 KR200468459 Y1 KR 200468459Y1 KR 2020120004096 U KR2020120004096 U KR 2020120004096U KR 20120004096 U KR20120004096 U KR 20120004096U KR 200468459 Y1 KR200468459 Y1 KR 200468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leeve
cap
carbonated water
plu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846U (ko
Inventor
호프만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소다스파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다스파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다스파클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2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18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 CO2 cartridge for dispensing and carbonating the b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within small containers, e.g. within bottles
    • B01F23/23611Portable appliances comprising a gas cartrid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실용신안은 일종의 탄산수 제조 장치로서, 상호 독립된 슬리브와 병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와 슬리브 내측의 플러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는 그 상단은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되고, 측면은 제1 관통공을 가진 속이 비어 있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플러그 바디는 그 상단과 하단이 서로 연통되는 관이며, 그 측면에 제2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병마개에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홀이 구비되고, 그 관통홀은 그 상부에 구멍을 가진 니들이 있으며, 바닥 부분에는 주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의 연결 부분에는 일방향 밸브가 있으며, 상기 병마개의 상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는 상기 병마개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속에 놓여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CO2 기체를 그 연결된 병으로 주입시킨 후 탄산수 제조 장치의 슬리브를 떼어내어도, 그 캡이 계속 그 병을 밀봉시킴으로써, 장시간 보존이 가능하다.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슬리브 바디의 모든 관통홀은 꽉 닫혀져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뚫리는 과정이 안정적이고, 안전성이 매우 높으며,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A CARBONATED WATER MANUFACTURING DEVICE}
본 실용신안은 일종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산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산수 제조 장치는 일종의 강력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이산화탄소(CO2) 기체를 담은 하우징 바디의 바닥 부분을 뚫고 지나가서 CO2 기체를 물이 들어있는 병 속에 주입시킴으로써, 병 속의 물을 CO2 기체와 혼합시켜 탄산 음료, 즉 탄산수를 만들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상측 부품 및 하측 부품을 포함하고, 양쪽 상측 및 하측 부품은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그 상측 부품은 밀봉된 상단면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하측 부품은 그 상단과 하단이 서로 연통되고, 하측 부품의 상단은 상측 부품의 하부에 있는 개구부에 연결되고, 하측 부품의 하단은 병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CO2가 들어있는 하우징 바디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상측 부품내에 세트화되어 있으며, 상측 부품의 상단은 CO2를 담은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된다. 압력이 증가할 때, CO2 기체를 담은 하우징 바디의 바닥 부분이 뚫리면서 그 속의 CO2 기체가 상측 부품과 하측 부품이 연결된 부분의 관을 통해 물이 들어있는 병 속으로 주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CO2 기체를 병 속에 주입시켜서, 병 속의 물을 탄산수로 만든 후 전체 탄산수 제조 장치를 병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병 속의 탄산수를 즉시 단시간 내에 사용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탄산수가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탄산수의 보관에 좋지 않다. 두 번째는 CO2 기체를 담은 하우징 바디가 뚫렸을 때, 만약 잘 고정되지 않고, CO2 기체를 담은 하우징 바디에 사용되는 입구가 또 꽉 잠겨지지 않아서 마음대로 열린다면, 매우 큰 위험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그 독특한 설계 구조에 의해 기존 기술에 존재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상호 독립된 슬리브와 병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와 슬리브 내측의 플러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는 그 상단은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되고, 측면은 제1 관통공을 가진 속이 비어 있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플러그 바디는 그 상단과 하단이 서로 연통되는 관이며, 그 측면에 제2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병마개에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홀이 구비되고, 그 관통홀은 그 상부에 구멍을 가진 니들이 있으며, 바닥 부분에는 주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의 연결 부분에는 일방향 밸브가 있으며, 상기 병마개의 상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는 상기 병마개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속에 놓여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된다.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는 개구 로크링(opening lock ring)을 포함하며, 그 로크링 개구 위치에는 두개의 볼록체가 있고, 그 로크링 외경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플러그 바디에는 수평 슬롯이 더 구비되며, 그 로크링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수평 슬롯 속에 단단히 끼어져 있고, 그 두 개의 볼록체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제2 관통홀의 구멍에 위치한다.
상기 병마개의 하부에는 일방향 역류 구멍이 있으며, 그 일방향 역류 구멍은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병마개의 상단 관통홀과 상기 일방향 역류 구멍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과 연결되는 단자가 배치된다.
상기 플러그 바디의 측면에는 버튼이 있고, 상기 슬리브 바디 측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3 관통홀이 있으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한다.
상기 플러그 바디의 바닥 부분에는 여러개의 돌기가 있고, 상기 병마개의 상단에는 여러개의 노치가 있으며, 상기 여러개의 돌기는 상기 여러개의 노치와 서로 맞추어져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 바디의 바닥 부분에는 여러개의 노치가 있고, 상기 병마개의 상단에는 여러개의 돌기가 있으며, 상기 여러개의 돌기는 상기 여러개의 노치와 서로 맞추어져 연결된다.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그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통해 슬리브내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모양과 동일하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크기보다 약간 크다.
상기 슬리브 바디에는 제4 관통홀이 있고, 상기 플러그 바디에는 제5 관통홀이 있으며, 상기 제4 관통홀과 제5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크기보다 작다.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에는 암나사가 있고, 상기 병마개 하부에는 수나사가 있으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암나사는 상기 병마개의 수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에는 수나사가 있고, 상기 병마개 하부에는 암나사가 있으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수나사는 상기 병마개의 암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된다.
상기 병마개의 바닥 부분 내측에는 병 입구의 수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는 암나사가 있거나; 또는
상기 병마개의 바닥 부분 내측에는 병 입구의 암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는 수나사가 구비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탄산수 제조 장치는 CO2 기체를 그 연결되는 병 속에 주입한 후, 탄산수 제조 장치의 슬리브를 분리해도 그 병마개 부분이 계속 그 병을 밀봉시키기 때문에 장시간의 보존이 가능하다. 또한 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하면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에 대한 작용을 통해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슬리브가 병마개에 단단하게 조여지기 때문에,플러그 바디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슬리브 바디만 회전하며, 슬리브 바디와 플러그 바디의 모든 관통홀이 밀폐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는 뚫려지는 과정 중에도 슬리브 속에 있게 되므로 안전성이 매우 높고,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게 된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나 종래 기술 중의 기술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 실시예나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 중 사용에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명백하게 아래 설명 속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영역의 일반적인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성과 노동성이 없는 전제하에 이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실시예 1 구조도;
도 2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로크링 평면도;
도 3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슬리브 플러그 바디의 구조 도;
도 4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병마개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버튼 구조도;
도 6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슬리브 바디 구조도;
도 7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병마개 상단 구조도;
도 8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실시예 2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실시예 2 조립도이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물이 담겨져 있는 병 위에 설치된 후, CO2 기체를 담고 있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바닥 부분을 뚫고 지나가서, CO2 기체를 물이 담겨져 있는 병 속에 주입시킴으로써, 물을 탄산수로 변화시킨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독특한 구조는 탄산수를 만든 후 탄산수 제조 장치를 병으로부터 제거하여도 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병마개 부분이 계속 병 위에 덮여져 있고, 상대적으로 밀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병 속의 탄산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뚫고 지나가면서 CO2 기체를 물이 담겨져 있는 병 속으로 주입시키는 과정중 슬리브 바디와 플러그 바디의 모든 관통홀은 전부 밀폐되어 있고,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뚫리는 과정이 모두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에, 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아래는 도면과 결합시켜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구조와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그 속에 내장되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것과 연결되는 병도 포함하지 않지만,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슬리브에 설계된 관통홀은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모양 및 크기와 매치되는 모양과 크기로 설계될 수 있으며, 그 병마개 역시 다른 병과 서로 매치되는 모양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실시예 1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 1의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상호 독립된 슬리브(1)와 병마개(2)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는 슬리브 바디(10)와 슬리브내측에 내장되는 플러그 바디(11)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바디(10)는 그 상단이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이며, 그 측면은 제1 관통홀(100)을 가지는 속이 비어 있는 중공 구조이다.
상기 플러그 바디(11)는 상단과 하단이 서로 연통되는 관이며,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측면에는 제2 관통홀(110)이 있고, 상기 제2 관통홀(110)은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분과 연통된다.
상기 병마개(2)에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홀이 있고, 그 관통홀의 상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니들(needle)이 구비되며, 그 니들은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와 단단히 조여질 때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뚫도록 하기위해 사용되고, 이 경우 병마개(2)는 그 바닥 부분에 있는 주입관(21)과 연결된다. 상기 병마개(2)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21)의 연결 부분에는 일방향 밸브가 있다. 상기 병마개(2)는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된다.
상기 슬리브 바디(11)의 하부 개구는 상기 병마개(2)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 바디(11)의 상단은 상기 슬리브(1) 속에 놓여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된다.(도 1에서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도시되지 않았음)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탄산수를 만들 때, 상기 플러그 바디(11)가 슬리브 바디(10)내에 삽입된다.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단단히 조여지지 않으면, 플러그 바디(11)는 슬리브 바디(10)내에서 고정되지 않는다.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조여질 때 플러그 바디(11)의 하부가 병마개(2)의 상부와 단단하게 맞추어져 연결됨으로써, 플러그 바디(11)는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슬리브 바디(10)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슬리브 바디(10)의 상단은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되므로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바닥 부분을 뚫어서, 병마개(2)의 상단에 있는 관통홀(20) 및 하부에 연결된 주입관(21)을 통해 그 속의 CO2 기체를 그 탄산수 제조 장치와 연결된 병 속으로 주입시킴으로써, 병 속에 담겨져 있는 물과 혼합시켜서 탄산수를 만든다.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가 탄산수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 그 슬리브(1)와 병마개(2)는 상호 독립된 구조이기 때문에, 탄산수를 제조한 후, 슬리브(1)를 병마개(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병마개(2)에 있는 관통홀(20)은 (도 7 참조) 비교적 작으며, 병마개(2)의 바닥 부분에 있는 주입관(21)도 역시 비교적 가늘고, 또한 병마개(2)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21)의 연결 부분에는 일방향 밸브가 있다. 이 일방향 밸브는 병 속의 물이 주입관(21)을 통해 병마개(2)쪽으로 역류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병마개(2)와 병은 서로 밀봉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병 속의 탄산수는 장시간 보관 사용해도 변질되지 않으며, 이는 본 탄산수 제조 장치의 편리성을 대폭 증가시킨 것으로서, 기존 기술의 탄산수 제조 장치로 탄산수를 만든 후 반드시 단시간 내에 사용 완료해야 하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탄산수를 만들 때,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꽉 조여지면, 플러그 바디(11)의 하부가 병마개(2)의 상부와 단단하게 맞추어져 연결됨으로써, 플러그 바디(11)가 회전할 수 없고, 슬리브 바디(10)만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 및 기타 관통홀도 모두 플러그 바디(11)의 단단한 부분에 덮여짐으로써, 누구도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꺼낼 수가 없다. 비록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터져 열리더라도,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의 관통홀이 플러그 바디(11)의 단단한 부분에 덮여져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슬리브(1)를 튕겨버리지 못하므로 사용자에게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가 해결한 또 하나의 기술적 문제는 일종의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뚫리는 과정 중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상대적으로 고정시켜서,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가 터짐으로 인한 안전상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에는 로크링이 포함되어 있으며, 구체적은 모습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로크링에 대한 구조도이다.
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로크링(111)은 개구된 형태이며, 이 로크링의 개구 위치에는 두 개의 볼록체 A와 볼록체 B가 있고, 그 로크링(111) 외경은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외경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바디(11)에는 가로 방향으로 수평 슬롯(115)이 있으며, 그 로크링(111)은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가로 방향 수평 슬롯(115)내에 꽉 끼어져 있고, 그 두개의 볼록체 A와 볼록체 B는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의 구멍에 위치한다.
그 로크링(111)은 탄산수 제조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플러그 바디(11) 주변의 수평 슬롯(115)위에 놓여지고, 본 탄산수 제조 장치를 통해 탄산수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을 로크링(111)의 개구를 통해 그 로크링(111)에 끼워넣는다.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와 단단하게 조여지는 과정 중에서 그 로크링(111)은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켜서 회전으로 인해 거대한 진동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산화탄소를 넣은 하우징 바디는 만약 강력한 진동을 받으면 폭발하면서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하면 그러한 잠재적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탄산수를 만들 때 CO2 기체가 그 병 속에 주입되면, 병 속에 여분의 기체가 생길 수 있다. 병마개(2)와 병 사이의 연결이 상대적으로 밀봉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하에서 병속의 압력은 매우 크므로, 비록 폭발이 발생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상당히 위험하다.
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병마개에는 특수한 설계가 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것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의 병마개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병마개(2)의 하부에는 일방향 역류 구멍(22)이 있으며, 이 일방향 역류 구멍(22)은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21)의 연결 부분 한쪽에 위치한다.
병마개(2) 상단의 관통홀 근처와 상기 일방향 역류 구멍에 상응하는 지점에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과 연결되는 단자가 있다. 병 속의 기압이 정상이면 일방향 역류 구멍(22) 상부의 스프링이 풀려진 상태로서, 그 연결된 단자는 일방향 역류 구멍(22)에 끼워진다. 병 속의 기압이 매우 크면 일방향 역류 구멍(22) 상부의 스프링이 기압의 작용으로 인해 단단하게 조여진 상태가 되고, 그 연결된 단자가 위로 움츠려지면서 일방향 역류 구멍(22)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병 속의 기체가 일방향 역류 구멍(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특수 설계된 구조는 탄산수를 만드는 과정 중에서 병 속의 강압을 안정적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잠재적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해 탄산수를 만든 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슬리브(1)로부터 편리하게 빼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구체적인 것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 버튼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 슬리브의 슬리브 바디 구조도이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러그 바디(11)의 측면에는 작은 구멍(116)이 있으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 바디(10) 측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3 관통홀(101)이 있다.
버튼(112)의 일단은 구형의 손잡이이며, 다른 한쪽에는 나사산이 있다. 상기 버튼(112)은 상기 제3 관통홀(101)을 관통하며, 그 구형의 손잡이는 슬리브 바디(10)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이 플러그 바디(11)의 작은 구멍(116)으로 들어가면서 플러그 바디(11)와 단단하게 연결된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해 탄산수를 만들 때, 슬리브 (1)의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과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이 일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관통홀(100) 및 제2 관통홀(110)은 그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슬리브(1) 속에 놓여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의 모양과 동일하며, 상기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의 크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의 크기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가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을 통해 플러그 바디(11)의 속인 빈 부분에 잘 끼워질 수 있다.
그러나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단단하게 조여질 때 슬리브(1)의 플러그 바디(11)와 슬리브 바디(10)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과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이 더 이상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탄산수가 만들어진 후, 플러그 바디(11)의 위치를 원래대로 조정해서 그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과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을 일치시켜야만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4)를 쉽게 꺼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실용신안의 탄산수 제조 장치의 버튼(112)은 슬리브 바디(10)에 있는 제3 관통홀(101)에서 가로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데,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과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의 위치가 일치될 때까지 플러그 바디(11)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더욱 편리하게 꺼내기 위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용신안의 상기 슬리브 바디(10)에는 제4 관통홀(102)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바디(11)에 제 5 관통홀(113)이 있고, 상기 제 4 관통홀(102)과 제 5 관통홀(113)은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이 일치될 때 일치되며, 그 크기는 상기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의 크기보다 작다.
상기 제 4 관통홀(102)과 제 5 관통홀(113)의 목적은 손가락을 그 속에 삽입하여 더욱 편리하게 플러그 바디(11)내의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일치된 제1 관통홀(100)과 제2 관통홀(110)을 통해 빼내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4 관통홀(102)과 제 5 관통홀(113)의 모양은 라운드형이며, 당연히 다른 모양도 가능하다. 손가락을 편리하게 그 속에 넣을 수만 있고,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가 그 제 4 관통홀(102)과 제 5 관통홀(113)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의 크기보다 크지만 않으면 된다.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를 병마개(2)에 연결하는 방식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비교적 전형적인 것은 슬리브 바디(10) 하부 개구에 암나사를 놓고, 상기 병마개(2)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에 수나사를 놓아서, 상기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가 연결되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힘껏 조여지면 슬리브 바디(10)의 상단이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에서 우수하게 작동할 수 있다. 물론 병마개(2)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에 암나사를 놓고, 슬리브 바디(10)의 하부 개구에 수나사를 놓아서 마찬가지로 단단하게 연결시킬 수도 있다.
수나사와 암나사를 통해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연결될 때, 플러그 바디(11)는 병마개(2)의 상단 부분에 접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맞춰져 연결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바닥 부분에는 여러개의 돌기(114)가 있으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병마개(2)의 상단에는 여러개의 노치(23)가 있고, 상기 여러개의 돌기(114)와 상기 여러개의 노치(23)는 서로 맞춰져서 연결된다.
물론 다른 종류의 실현 방식을 통해 상기 플러그 바디(11)의 바닥 부분에 여러개의 노치를 만들고, 상기 병마개(2)의 상단에 여러개의 돌기를 만들어서, 상기 여러개의 돌기와 상기 여러개의 노치가 서로 맞춰져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 실시예 2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 실시예 2가 병위에 조립된 조립도이다.
도 8과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해 탄산수를 만들 때, 탄산수 제조 장치는 병(4)과 맞춰져 연결되며, 그 연결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나사산을 통해 연결된다.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는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과 플러그 바디(11)의 제2 관통홀(110)을 통해 상기 슬리브(1) 속에 끼워진다.
상기 슬리브(1)의 플러그 바디(11)는 슬리브 바디(10)내에 끼워지며,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꽉 조여지지 않으면, 플러그 바디(11)는 슬리브 바디(10) 내에 고정되지 않는다.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와 서로 꽉 조여질 때 플러그 바디(11)의 하부가 병마개(2)의 상부와 단단하게 연결됨으로써, 플러그 바디(11)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슬리브 바디(10)만 회전하게 된다. 슬리브 바디(10)의 상단은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에 작동되면서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의 바닥 부분을 뚫고, 병마개(2) 상단에 있는 관통홀(20) 및 하부에 연결된 주입관(21)을 통해 그 속의 CO2 기체를 그 탄산수 제조 장치와 연결된 병 속에 주입시킴으로써, 병 속에 담겨져 있는 물과 혼합시켜 탄산수를 만드는 것이다.
본 실용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탄산수를 만들 때,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가 병마개(2)에 조여지고, 플러그 바디(11)의 하부가 병마개(2)의 상부와 단단하게 맞추어져 연결됨으로써 플러그 바디(11)는 회전할 수 없고, 슬리브 바디(10)만 회전할 수 있다. 슬리브 바디(10)의 제1 관통홀(100), 제3 관통홀(101), 및 제 4 관통홀(102)은 (도 6 참조) 모두 마개(11)의 단단한 부분에 덮여짐으로써, 누구도 탄산수 제조 과정 중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를 빼낼 수 없다. 비록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가 터져 열리더라도, 슬리브(1)의 슬리브 바디(10)의 관통홀이 플러그 바디(11)의 단단한 부분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가 슬리브(1)를 튕겨버릴 수가 없어서, 사용자에게 아무런 해도 끼칠 수가 없다. 또한 로크링(111)이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를 플러그 바디(11)내에 단단하게 잠가 놓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3)는 탄산수 제조 과정 중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있게 되면서, 폭발 및 슬리브(1)가 튕겨나오는 등의 가능성이 없다.
유념해야 할 점은 본 실용신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일종의 제품 형식과 기타 본 실용신안에서 설명한 구조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설명한 것으로서, 비록 재질, 기기 명칭, 외관, 기기를 놓는 순서 등과 같이 제품 특성에 영향이 없는 요인이 다르더라도 모두 본 실용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상 내용은 구체적인 우수 실시예 방식을 통해 본 실용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본 실용신안의 구체적 실시를 이 설명에만 국한시킬 수는 없다. 본 실용신안의 기술 영역에 속하는 일반적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실용신안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만약 단순한 추론 연역이나 대체도 응당히 본 실용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탄산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호 독립된 슬리브와 병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바디와 슬리브 내측의 플러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바디는 그 상단은 밀봉되고, 하부는 개구되고, 측면은 제1 관통공을 가진 속이 비어 있는 중공 구조이며;
    상기 플러그 바디는 그 상단과 하단이 서로 연통되는 관이며, 그 측면에 제2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중공 부분과 연통되고;
    상기 병마개에는 상하가 관통된 관통홀이 구비되고, 그 관통홀은 그 상부에 구멍을 가진 니들이 있으며, 바닥 부분에는 주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의 연결 부분에는 일방향 밸브가 있으며, 상기 병마개의 상부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고;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는 상기 병마개의 바깥쪽 가장자리 하부와 맞추어져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 속에 놓여진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 상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청구항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는 개구 로크링(opening lock ring)을 포함하며, 그 로크링 개구 위치에는 두개의 볼록체가 있고, 그 로크링 외경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플러그 바디에는 수평 슬롯이 더 구비되며, 그 로크링은 상기 플러그 바디의 수평 슬롯 속에 단단히 끼어져 있고, 그 두 개의 볼록체는 상기 플러그 바디의 제2 관통홀의 구멍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3. 청구항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하부에는 일방향 역류 구멍이 있으며, 그 일방향 역류 구멍은 상기 병마개의 하부와 상기 주입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병마개의 상단 관통홀과 상기 일방향 역류 구멍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프링과 그 스프링과 연결되는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청구항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측면에는 버튼이 있고, 상기 슬리브 바디 측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제3 관통홀이 있으며, 상기 버튼은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바닥 부분에는 여러개의 돌기가 있고, 상기 병마개의 상단에는 여러개의 노치가 있으며, 상기 여러개의 돌기는 상기 여러개의 노치와 서로 맞추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바디의 바닥 부분에는 여러개의 노치가 있고, 상기 병마개의 상단에는 여러개의 돌기가 있으며, 상기 여러개의 돌기는 상기 여러개의 노치와 서로 맞추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청구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은 그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통해 슬리브내에 배치되는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모양과 동일하며,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크기보다 약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8. 청구항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에는 제4 관통홀이 있고, 상기 플러그 바디에는 제5 관통홀이 있으며, 상기 제4 관통홀과 제5 관통홀의 크기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이산화탄소 하우징 바디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9. 청구항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에는 암나사가 있고, 상기 병마개 하부에는 수나사가 있으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암나사는 상기 병마개의 수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 바디의 하부 개구에는 수나사가 있고, 상기 병마개 하부에는 암나사가 있으며, 상기 슬리브 바디의 수나사는 상기 병마개의 암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10. 청구항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의 바닥 부분 내측에는 병 입구의 수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는 암나사가 있거나; 또는
    상기 병마개의 바닥 부분 내측에는 병 입구의 암나사와 맞추어져 연결되는 수나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2020120004096U 2011-11-03 2012-05-16 탄산수 제조 장치 KR2004684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20430864.9 2011-11-03
CN2011204308649U CN202358459U (zh) 2011-11-03 2011-11-03 一种汽水制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46U KR20130002846U (ko) 2013-05-13
KR200468459Y1 true KR200468459Y1 (ko) 2013-08-13

Family

ID=4631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096U KR200468459Y1 (ko) 2011-11-03 2012-05-16 탄산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5452B2 (ko)
EP (1) EP2589567B1 (ko)
JP (1) JP3177083U (ko)
KR (1) KR200468459Y1 (ko)
CN (1) CN202358459U (ko)
HK (1) HK1164039A2 (ko)
TW (1) TWM4413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07A (ko) 2014-06-17 2015-12-28 정은식 미용을 위한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938B1 (ko) * 2014-06-16 2021-06-30 코웨이 주식회사 밸브 조립체
KR102256963B1 (ko) * 2014-06-20 2021-05-27 코웨이 주식회사 탄산수 공급용 밸브 어셈블리
AT517242B1 (de) * 2015-06-11 2019-05-15 Innveri Ag Vorrichtung zum Konservieren von Getränken
KR102460119B1 (ko) 2015-08-18 2022-10-31 코웨이 주식회사 물병 고정 구조
IL249778B (en) * 2016-12-26 2018-04-30 Hay Dror A self-carbonating beverage container
TWM556715U (zh) * 2017-04-14 2018-03-11 岳造宇 可攜式氣泡水瓶
US10898868B2 (en) 2017-04-14 2021-01-26 Chao-Yu Yueh Portable bubble water bott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898B2 (ja) 1995-05-12 1999-08-25 オーパイ株式会社 炭酸飲料瓶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炭酸飲料瓶用キャップ
KR200344300Y1 (ko) 2003-05-15 2004-03-12 양병진 탄산음료제조장치
KR20070102327A (ko) * 2006-04-15 2007-10-18 이훈호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20100060219A (ko) * 2008-11-27 2010-06-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탄산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409A (en) * 1979-10-10 1982-02-23 General Foods Corporation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US4457877A (en) * 1980-09-01 1984-07-03 Love James Prince Fluid gasification apparatus
US4679602A (en) * 1982-07-27 1987-07-14 Hollis Glenn E Removable device for repeatedly pressurizing a container
US4473174A (en) * 1982-07-30 1984-09-25 Howard John Cream Wine preserver and dispenser
MX161651A (es) * 1984-05-10 1990-11-30 Richard J Hagan Mejoras en sistema de envase para almacenar y distribuir fluidos
US4867209A (en) * 1987-10-29 1989-09-19 United Soda, Inc. Portable hand holdable carbonating apparatus
US4934543A (en) * 1988-02-22 1990-06-19 Schmidt Andrew C Bottle cap and dispenser
US5329975A (en) * 1993-09-22 1994-07-19 Heitel Robert G Apparatus for pressurizing containers and carbonating liquids
ITMI20111831A1 (it) * 2011-10-07 2013-04-08 Sparkling Drink Systems Innovation Ct Ltd Dispositivo gasato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898B2 (ja) 1995-05-12 1999-08-25 オーパイ株式会社 炭酸飲料瓶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及び炭酸飲料瓶用キャップ
KR200344300Y1 (ko) 2003-05-15 2004-03-12 양병진 탄산음료제조장치
KR20070102327A (ko) * 2006-04-15 2007-10-18 이훈호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KR20100060219A (ko) * 2008-11-27 2010-06-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탄산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507A (ko) 2014-06-17 2015-12-28 정은식 미용을 위한 휴대용 탄산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7083U (ja) 2012-07-19
KR20130002846U (ko) 2013-05-13
US20130113124A1 (en) 2013-05-09
CN202358459U (zh) 2012-08-01
US9085452B2 (en) 2015-07-21
HK1164039A2 (en) 2012-09-14
EP2589567A1 (en) 2013-05-08
EP2589567B1 (en) 2015-02-25
TWM441336U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59Y1 (ko) 탄산수 제조 장치
RU2703859C2 (ru) Колпачо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CN204110535U (zh) 一种弹簧外置隐藏式的乳液泵
CN201196268Y (zh) 密码瓶阀
CN206257286U (zh) 一种连体式一次性阀体
CN109431200A (zh) 冰饮杯
CN204514183U (zh) 可重复灌装催泪喷射器
CN103818629B (zh) 一种烟油瓶
CN106618193B (zh) 一种使用袋装水的饮水机
CN216533633U (zh) 一种苏打水用瓶底进气装置
JP3202068U (ja) シェーカー容器とこれを用いたシェーカー装置
CN207437856U (zh) 一种新型自力式单向阀
CN202932764U (zh) 一种汽水制造装置的安全机构
JPH08252338A (ja) 消火ガス噴射器具
CN202828416U (zh) 葡萄酒保鲜塞
CN209248704U (zh) 单墨水管标签
CN105253447B (zh) 安全储水桶的使用方法
KR100689643B1 (ko) 음료 제조기
CN104958854A (zh) 灭火器
CN204624132U (zh) 一种真空内贮固体饮料原料的饮料瓶
CN210276900U (zh) 一种使用小气弹的汽水机的气嘴棒组件
CN202223558U (zh) 易折柄倒置的带混药嘴的双垂直型输液盖
CN211078423U (zh) 一种开瓶器
TWM492883U (zh) 拉蓋式飲料瓶蓋組
CN208876154U (zh) 一种气泡水机抗高压自锁安全瓶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