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973A - 결속구 - Google Patents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973A
KR20070101973A KR1020060033508A KR20060033508A KR20070101973A KR 20070101973 A KR20070101973 A KR 20070101973A KR 1020060033508 A KR1020060033508 A KR 1020060033508A KR 20060033508 A KR20060033508 A KR 20060033508A KR 20070101973 A KR20070101973 A KR 2007010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fastening
opening
ma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현
Original Assignee
서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현 filed Critical 서정현
Priority to KR102006003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1973A/ko
Priority to PCT/KR2007/001808 priority patent/WO2007119979A1/en
Publication of KR2007010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6Brassiér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소정각도로 일방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을 갖는 웅편과; 상기 웅편의 선단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턱삽입부가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 상단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각각 절공형성된 양측의 플레이트와, 상기 인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과 대응되게 소정각도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가 돌출형성된 자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체결방향으로는 분리가, 체결반대방향으로는 결속이 되는 것이 사용에 이로운 특성을 갖는 결속물에 적용되는 결속구로서 예를 들면, 의류나 가방, 벨트 그리고 커튼 등에 적용되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구를 구비하는 웅편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자편의 내측부에 상기 웅편의 걸림턱이 체결되는 탄성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웅편이 자편에 대해 일방향 삽입과 동시에 체결되며, 상기 웅편이 자편에 대해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진행됨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소형의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과 높은 양산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는 특별한 관리 없이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즉, 관리의 편리함을 갖는 내구성이 좋은 결속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결속구, 일방향, 웅편, 자편, 탄성체결부재, 가이드

Description

결속구{BINDING TOO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웅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을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웅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웅편 저면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도 3과 도 6에 의한 결속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 웅편 11 : 몸체
12 : 걸림턱 13 : 가이드홈
14 : 요홈
20 : 자편 21 : 인입부
22 : 걸림턱삽입부 23 : 플레이트
24 : 탄성체결부재 25 : 개구부
26 : 가이드돌기
15. 27 : 고리부 16, 28 : 체결공
본 발명은 체결방향으로는 분리가, 체결반대방향으로는 결속이 되는 것이 사용에 이로운 특성을 갖는 결속물에 적용되는 결속구로서 예를 들면, 의류나 가방, 벨트 그리고 커튼 등에 적용되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가 구비된 자편과, 상기 자편에 인입되어 자편에 구비된 탄성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걸림턱이 양측면에 다수개 형성된 웅편에 의해 체결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견고한 체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결대상물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결속구는, 체결대상물의 용도별, 성질별 및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안배한 다양한 형태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결속구는, 브래지어 등에 구비되는 후크형 결속구, 모자 등에 구비되어 사이즈 설정을 이루는 가압형 또는 요철결합형 결속구, 의류 등에 구비되는 통상의 단추, 허리띠 등에 구비되는 주지 관용된 버클, 통상의 배낭 등에 구비되는 원터치버클, 타이밴드 등에 구비되는 탄성결속구, 핸드백 등에 구비되는 자석결속구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결속구들은, 일반적으로 체결방향과 체결해제방향이 각기 반대방향으로 구현되었으며, 상기 원터치버클 등에 구성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이 걸려 지지되는 자편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해제 및 분리시켜야 했으므로 결속구의 탈착시에 사용자의 양손이 모두 요구되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후크형 결속구가 체결된 브래지어를 그 일예로 하여 예시하면, 2개의 브래지어 끈 각각의 말단부위에는 후크형상의 웅편과 상기 웅편이 걸려 지지되는 아이(Eye)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자편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바, 이들의 체결작용에 있어서는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에 형성된 체결부에 삽입 지지되는 것에 의해 체결이 완료되고, 상기 웅편을 상기 자편의 체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웅편과 상기 자편을 체결 및 분리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반드시 양손으로 상기 웅편과 자편을 각각 파지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앞서 출원한 결속구(국제출원번호 : PCT/KR2005/001318)가 있었으나, 그 구성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소형의 콤팩트한 제품을 양산하기가 어려웠으며 사용자에게 내구성 즉, 결속의 기능을 유지케 하기 위하여 사용 및 관리에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구를 구비하는 웅편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자편의 내측부에 상기 웅편의 걸림턱이 체결되는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웅편이 자편에 대해 일방향 삽입과 동시에 체결되며, 상기 웅편이 자편에 대해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진행됨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소형의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과 높은 양산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는 특별한 관리 없이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즉, 관리의 편리함을 갖는 내구성이 좋은 결속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실현하여 체결방향으로는 분리가, 체결반대방향으로는 결속이 되는 것이 사용에 이로운 특성을 갖는 결속물에 적용되는 결속구 예를 들면, 의류나 가방, 벨트 그리고 커튼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결속구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소정각도로 일방향 경사지게 돌출형 성된 다수개의 걸림턱을 갖는 웅편과; 상기 웅편의 선단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턱삽입부가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 상단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각각 절공형성된 양측의 플레이트와, 상기 인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과 대응되게 소정각도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가 돌출형성된 자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삽입부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개구부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탄성체결부재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결부재의 높이는 상기 걸림턱삽입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웅편의 몸체 하단면에는 가이드홈이 길이 방향으로 더 요입형성되고, 상기 자편의 인입부 내측면에는 상기 웅편의 가이드홈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가이드돌기가 더 돌설될 수 있다.
아울러, 웅편의 구부러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웅편의 몸체 상단면에는 요홈이 더 요입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부착은 여타의 공지된 방식으로 할 수 있으나상기 웅편 또는 자편의 단부에 고리부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웅편 또는 자편의 일측에 체결공이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는, 결속구를 구성하는 웅편과 자편이 이들에 구성된 걸림턱과 탄성체결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진행되어 체결되고 길이가 조절되고 분리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웅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을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웅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웅편 저면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구성요부인 자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7은 도 3과 도 6에 의한 결속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결속구는 도 1에 도시된 웅편(10)과 도 2에 도시된 자편(20)이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웅편(10)은 띠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 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측면에 소정두께와 소정크기와 소정각도로 일방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12)이 형성되고, 상기 자편(20)은 상기 웅편(10)의 걸림턱(12)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턱삽입부(22)가 형성되는 인입부(21)와, 상기 인입부(21)의 양측 상단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각각 절공형성된 상기 웅편(10)과의 결속시 상기 웅편(10)의 걸림턱(12)이 없는 소정너비와 소정두께의 상단부 양측과 맞닿아 상기 웅편(10)을 가이드하는 양측의 플레이트(23)와, 상기 인입부(2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고 상기 웅편(10)의 걸림턱(12)과 대응되게 소정각도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24)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는 상부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3)가 절공형성되므로 상면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웅편(10)이 체결되어 체결방향으로 이동후 상기 중앙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웅편(10)과 자편(2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웅편(1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의 양측면에 구비된 상기 걸림턱(12)이 있는 방향의 단면 즉, 하단면에는 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편(2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삽입부(22)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개구부(25)가 더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5와 같이 상기 걸림턱삽입부(22)의 하부에 개구부(20)가 더 형성되거나 도 6과 같이 상기 걸림턱삽입부(22)의 상하부 양측에 개구부(25)가 더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의 내측 양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탄성체결부재(24)는, 도 2에 도시된 탄성체결부재(24)에 비해 그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탄성체결부재(24)는 상기 인입부(21)와 상기 인입부(21)의 양측에 연장형성된 상기 플레이트(23)에 의해 그 높이가 한정될 수 밖에 없으나, 도 5와 도6에 도시된 자편(20)의 탄성체결부재(24)의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23)에 개구부(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5)는 탄성체결부재(24)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탄성체결부재(24)가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높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탄성체결부재(24)의 높이가 상기 걸림턱삽입부(22)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턱삽입부(22)의 상부 즉, 상기 자편(20) 인입부(21)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플레이트(23)에만 상하방향으로 천공된 개구부(20)가 더 형성되는 경우도 탄성체결부재의 높이를 더 높게 하여 더욱 튼튼한 탄성체결부재를 구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3과 도 4에 대응하는 자편(20)을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자편(20) 인입부 내측면에는 상기 웅편(10)의 가이드홈(13)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가이드돌기(26)가 돌설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3) 및 가이드돌기(26)가 더 형성됨에 따라 상기 웅편(10)의 선단측이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의 일측으로 인입됨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돌기(26)에 의해 웅편(10)의 가이드홈(13)이 가이드됨으로써, 웅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2)이 상기 자편(20)에 형성된 탄성체결부재(24)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도 7은 상기 도 3과 도 6에 도시된 상기 웅편(10)과 자편(20)이 대응된 본 발명의 결속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웅편(10) 또는 자편(20)의 일측에 체결공(16)(28)이 형성되어 상기 웅편(10)과 자편(20)을 각각 브래지어 등과 같은 체결대상물의 양측단에 실 등과 같은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각각 연결되어 체결대상물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웅편(10)의 선단측이 상기 자편(20)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다시 말해, 상기 서로 대응되게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웅편(10)의 걸림턱(12)과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 내측 양면에 형성된 탄성체결부재(24)가 상기 웅편(10)의 걸림턱(12)과 대응되는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인입되어 자편(20)의 탄성체결부재(24)와 체결됨으로써, 체결대상물이 견고하게 체결된다.
또한, 체결대상물의 체결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에 인입된 상기 웅편(10)을, 상기 자편(20)의 타측 다시 말해, 상기 웅편(10)이 자편(20)의 일측으로 체결된 방향으로 계속 전진시켜 웅편(10)을 자편(20)으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웅편(10)을 일방향으로 계속 전진시키면 상기 웅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2)이 계속 전진되어 자편(20)의 탄성체결부재(24)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를 구성하는 상기 웅편(10)은 자편(2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체결대상물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웅편(10) 및 자편(2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유연성을 갖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는 웅편(10)을 자편(20)으로부터 체결함이 용이하고 또한 체결된 웅편(10)과 자편(20)이 상기 웅편(10)이 일방향으로 계속 전 진되는 것에 의해 쉽게 분리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체결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웅편(10)의 몸체(11) 상단부에는 몸체(11)의 구부러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요홈(14)이 세로방향으로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홈(14)에 의해 상기 웅편(10)의 몸체(11)가 가요성을 갖게 되므로, 상기 웅편(10)이 자편(20)으로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쉽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가방 등과 같이 체결대상물이 딱딱하여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요홈(14)에 의해 웅편(10)의 몸체(11)가 가요성을 가지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은 상기 웅편(10)의 하단면에 요입형성된 가이드홈(13)이 3개로 요입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3)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상기 자편(20)의 가이드돌기(26)가 3개로 돌설형성된 것으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의 웅편(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과 이 가이드홈(13)이 끼워지는 상기 자편(20)의 가이드돌기(2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9는 상기 웅편(10)의 몸체(11) 후단부에 고리부(15)가 형성된 일실시예를 나타내었고, 도 10은 상기 웅편(10)의 후단부 및 자편(20)의 전단부에 고리부(15)(27)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고리부(15)(27)도 상기 체결공(16)(28)과 같이 상기 웅편(10) 및 자편(20)을 체결대상물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편(20)에 형성된 고리부(27)은 상기 웅편(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자편(20)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결속구는 상기 웅편(10) 몸체(11)의 후단부의 길이(L1)가 상기 자편(20)의 길이(L2)보다 길고 걸림턱(12)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자편(20)의 인입부(21)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웅편(10)을 전진하여 상기 자편의 인입부(21)와 플레이트(2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웅편(10)의 후단부를 들어 올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구에 의하면, 결속구의 웅편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고 결속구의 자편에 탄성체결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자가 앞서 특허출원한 결속구보다 진보된 신규의 결속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소형의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어 기존의 브래지어 결속구인 훅과 아이를 대체하여 착탈과 길이조절이 매우 편리한 결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더욱 간단한 구성에 의해 양산성이 높아져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특별한 관리 없이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즉, 관리의 편리함을 갖는 내구성이 좋은 결속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속구를 구 성하는 웅편과 자편이 이들에 구성된 걸림턱과 탄성체결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동일방향으로 진행되어 체결되고 길이가 조절되고 분리되는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어 체결방향으로는 분리가, 체결반대방향으로는 결속이 되는 것이 사용에 이로운 특성을 갖는 결속물 예를 들면, 의류나 가방, 벨트 그리고 커튼 등에 적용되어 종래의 결속구인 클립, 단추, 버클을 일정부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띠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소정각도로 일방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턱을 갖는 웅편과;
    상기 웅편의 선단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이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턱삽입부가 형성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의 양측 상단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각각 절공형성된 양측의 플레이트와, 상기 인입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고 상기 웅편의 걸림턱과 대응되게 소정각도 경사진 다수개의 탄성체결부재가 돌출형성된 자편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삽입부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에 개구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탄성체결부재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더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탄성체결부재의 높이가 상기 걸림턱 삽입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웅편의 몸체 하단면에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더 요입형성되고, 상기 자편의 인입부 내측면에는 상기 웅편의 가이드홈이 끼워져 가이드 되는 가이드돌기가 더 돌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웅편의 몸체 상단면에는 요홈이 더 요입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구부러짐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웅편 또는 자편의 일측에 체결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웅편 또는 자편의 단부에는 고리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KR1020060033508A 2006-04-13 2006-04-13 결속구 KR2007010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08A KR20070101973A (ko) 2006-04-13 2006-04-13 결속구
PCT/KR2007/001808 WO2007119979A1 (en) 2006-04-13 2007-04-13 Bind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508A KR20070101973A (ko) 2006-04-13 2006-04-13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973A true KR20070101973A (ko) 2007-10-18

Family

ID=3860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508A KR20070101973A (ko) 2006-04-13 2006-04-13 결속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101973A (ko)
WO (1) WO200711997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09B1 (ko) * 2010-03-23 2012-05-18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도어랫치모듈의 삽입식 장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플레이트
KR101457525B1 (ko) * 2013-05-06 2014-11-03 신무현 발톱 교정기
KR20150122348A (ko) * 2014-04-23 2015-11-02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결속구에 의해 연결되는 계단형 호안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82U (ja) * 1993-08-02 1995-03-03 株式会社アンクラフト 締付バンド
JP4368023B2 (ja) * 2000-01-31 2009-11-18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付きバンド
KR20050107266A (ko) * 2004-05-06 2005-11-11 유상훈 결속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09B1 (ko) * 2010-03-23 2012-05-18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도어랫치모듈의 삽입식 장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플레이트
KR101457525B1 (ko) * 2013-05-06 2014-11-03 신무현 발톱 교정기
KR20150122348A (ko) * 2014-04-23 2015-11-02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결속구에 의해 연결되는 계단형 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9979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9894B2 (en) Magnetic fasteners
KR101777109B1 (ko) 버클
KR200405410Y1 (ko) 버클
JP3240559B2 (ja) バックル・アセンブリ
TWI262771B (en) Buckle and baby carrier using the same
KR20170053184A (ko) 버클
EP1018609B1 (en) Cord fastener
TW201711595A (zh) 扣具
KR102177493B1 (ko) 버클
US7849566B2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JPH0788002A (ja) ファッションベルト
KR20070101973A (ko) 결속구
KR200413079Y1 (ko) 스냅단추
US10264855B1 (en) Belt securing device
TW201912053A (zh) 鞋繩扣具結構
TWM582781U (zh) 滑動式扣具
EP2214524A1 (en) Hook and eye fastener
JP4876113B2 (ja) 簡易ネクタイ
JP4473984B2 (ja) 紐端末カバー
US1760384A (en) Fastener for watch bracelets
CN213463888U (zh) 一种可拆卸重复使用的口罩带及其口罩
KR20050107266A (ko) 결속구
CN212394074U (zh) 滑动扣
JP2007301367A (ja) リリースバックル
TW200930317A (en) Zipper pull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