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266A - 결속구 - Google Patents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266A
KR20050107266A KR1020040047258A KR20040047258A KR20050107266A KR 20050107266 A KR20050107266 A KR 20050107266A KR 1020040047258 A KR1020040047258 A KR 1020040047258A KR 20040047258 A KR20040047258 A KR 20040047258A KR 20050107266 A KR20050107266 A KR 2005010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insertion hole
binding
separ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훈
서정원
서정현
Original Assignee
유상훈
서정원
서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훈, 서정원, 서정현 filed Critical 유상훈
Priority to PCT/KR2005/0013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108801A1/en
Publication of KR2005010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결속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는, 로드형상 또는 띠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소정각도로 돌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웅편;
상기 웅편이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어 상기 지지체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분리홈, 상기 삽입공을 이루는 내벽면 상에 상기 체결부재가 걸려 지지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차부를 구비하는 자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에 일방향 삽입 체결되며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체결 해제되는 것으로,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타이밴드(Tie band) 등의 체결부에 구비되어 용이한 체결과 간편한 체결장력조절 및 체결해제 그리고, 견고한 체결을 이룰 수 있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속구{Binding Tool}
본 발명은,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타이밴드(Tie band) 등의 체결부에 구비되어 간단한 체결원리, 용이한 체결방식 및 견고한 체결을 이룰 수 있는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체결대상물을 상호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서의 결속구는, 체결대상물의 용도별, 성질별 및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안배한 다양한 형태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결속구는, 브래지어 등에 구비되는 후크형 결속구, 모자 등에 구비되어 사이즈 설정을 이루는 가압형 또는 요철결합형 결속구, 의류 등에 구비되는 통상의 단추, 허리띠 등에 구비되는 주지 관용된 버클, 통상의 배낭 등에 구비되는 원터치버클, 타이밴드 등에 구비되는 탄성결속구, 핸드백 등에 구비되는 자석결속구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결속구는, 일반적으로 체결방향과 체결해제방향이 각기 반대방향으로 구현되었으며, 상기 원터치버클 등에 구성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이 걸려 지지되는 자편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해제 및 분리시켜야 했으므로 사용자의 양손이 모두 요구되어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후크형 결속구가 체결된 브래지어를 그 일예로 하여 예시하면, 2개의 브래지어 끈 각각의 말단부위에는 후크형상의 웅편, 상기 웅편이 걸려 지지되는 아이(Eye)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자편이 구비되는 바, 이들의 체결작용에 있어서는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의 체결공에 삽입 지지되어 체결 완료되며, 상기 웅편을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체결 해제되는 것으로, 체결작용과 체결 해제작용에 있어 반드시 양손으로 웅편과 자편을 각각 파지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타이밴드는, 다수의 전선 등을 일체로 결속하거나, 소정물품을 특정대상물에 부착하는 등의 작용효과를 갖는 것으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부면 상에 경사부를 갖는 탄성돌기를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어 일측면 상에 상기 탄성돌기와 상응하는 체결돌기가 연속적으로 배설되며 띠형상으로 구현되는 가요성을 갖는 결속띠;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탄성돌기는 일방향으로는 상호 슬라이딩 체결되고 그 역방향으로는 상호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그 작동원리로서는, 결속대상물의 둘레에 상기 타이밴드를 위치시켜 상기 결속띠를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인출시키면, 상기 돌기와 상기 탄성돌기가 상호 슬라이딩되어 상기 결속대상물이 결속된 상태에 이르러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어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이밴드는, 상기 결속띠를 절개하지 않고는 결속해제를 이룰 수 없었으며, 절개작업 시에 도전선 등의 피복을 손상시키거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도전선을 절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술한 타이밴드는, 1회성 사용에 한정되었으므로, 물자절약을 이룰 수 없었으며, 결속 해제시에 이는 곧바로 폐기되어야만 했던 바, 폐자원을 양산하였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이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체결대상물의 체결장력을 변경 설정 가능하며,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결속구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기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웅편이 자편에 대해 일방향 삽입 및 체결 완료되며,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에 대해 상기한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체결 해제되는 결속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드형상 또는 띠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일단 또는 양단에 소정의 기울기로써 돌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웅편과; 상기 웅편이 삽입 및 인출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어 상기 지지체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분리홈, 상기 삽입공을 이루는 내벽면에 상기 체결부재가 걸려 지지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구비하는 자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서, 체결대상물의 단계별 장력조절이 가능하며,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함은 물론, 결속 및 결속해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웅편과 자편이 상호 체결완료시에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으로부터 분리방지를 이루는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앞서 언급된 결속구가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타이밴드(Tie band)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이화된 구성 및 이로 인한 저렴한 제조원가를 제공할 수 있는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결속구의 구성으로서는,
로드형상 또는 띠형상 또는 납작한 패널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소정각도로써 외향 돌출되되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웅편;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삽입공, 상기 몸체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체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폭으로 개방되어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분리홈, 상기 삽입공의 내벽면에 상기 체결부재가 걸려 지지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차부를 구비하는 자편; 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의 상기 삽입공으로 일방향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 체결 완료되며, 상기 웅편이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분리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체결 해제되는 구성적 작용 효과적 특징을 갖는다.
이에, 상기 자편은, 상기 분리홈의 일단이 소정두께와 폭 및 높이로 절취된 절취부, 상기 절취부와 상응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 가압부재, 상기 절취부에 상기 가압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면 소정부위를 일체로 관통하여 힌지 체결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기도 하며,
상기 지지체의 상단측면은, 상기 분리홈을 이루는 부위면에 의해 가이드 되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웅편 및 자편은, 그 일측단 또는 양측단 또는 소정부위면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더 구비하기도 하며,
상기 자편은, 상기 지지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상기 지지체는, 플렉시블재로 구현되기도 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자편 또는 상기 분리홈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큰 간격으로 상기 지지체 상에 복수개 배설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결속구는,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또는 타이밴드(Tie band)로부터 선택되는 체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몸체는, 실질적으로 자편을 지칭하는 바, 이하에서는 자편이라 칭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살펴보면, 결속구(1)는, 웅편(10)과, 상기 웅편(10)이 삽입 및 수용되어 탄성체결을 이루는 자편(30)을 포함하는 개략적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은 종단면을 갖는 바, 지지체(11)의 측면상단이 상기 자편(30)의 분리홈(32)을 이루는 측벽면에 의해 가이드 삽입 및 분리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웅편(10)은, 소정길이를 갖는 로드형상의 지지체(11)와, 상기 지지체(11)의 양측면 상에 소정의 기울기로써 각각 돌출된 2개의 체결부재(12)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자편(30)은, 상기 웅편(10)이 일방향 삽입 및 동일방향으로 진행되어 인출되는 삽입공(31)과, 상기 삽입공(31)과 인접하는 상기 자편(30)의 내벽면 상에 상기 체결부재(12)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차부(33)와 상기 단차부(33)를 소정 기울기로써 연결하는 경사부(34)가 일정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공(32)과 연통되도록 상기 자편(30)의 상단면 중앙부위가 상기 지지체(11)와 동일하거나 큰 폭으로 절개 개방된 분리홈(32)이 구성된다.
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웅편(10)이 상기 자편(30)의 삽입공(31)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부재(12)는 상기 단차부(33)에 의해 선단부가 가압되어 탄성변형 되었다가 상기 웅편(10)이 상기 삽입공(31)의 내부로 더욱 진입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12)의 말단부위가 상기 단차부(33)로부터 가압해제되는 구간에서 탄성 복원되어 상기 단차부(33)에 걸려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지지체(10)의 측면상단부는, 상기 분리홈(31)에 의해 가이드되는 바, 체결부재(12)가 똑바로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웅편(10)과 자편(30)의 체결 해제작용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웅편(10)을 체결방향으로 계속하여 진행시키면 상기 삽입공(31)의 타단부에 이르러 상기 체결부재(12)가 인출되어지는 바, 상기 웅편(10)을 상기 분리홈(32)으로부터 상방 견인하는 방식으로 체결 해제가 완료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는, 사용자가 체결대상물의 장력조절 또는 사이즈조절 등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웅편(10)을 일방향으로만 밀어주는 것으로 장력조절은 물론 체결해제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웅편(10)을 차용하고, 자편(30)의 일단 상면 상에 상기 웅편(10)의 분리방지를 이루기 위한 잠금수단(50)을 부가 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자편(30)의 특정부위만을 기재하기로 한다.
도 2를 살펴보면, 자편(30)의 일측 상단면 즉, 상기 웅편(10)의 체결부재(12)가 인출되는 부위면이 분리홈(32)으로부터 확개 개방된 형태로 절취된 절취부(35)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절취부(35)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자편(30)의 하판 상면이 끝단부로 진행될수록 상방을 향해 소정기울기로써 돌출되는 경사면(3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취부(35)와 동일한 형상과 면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가압부재(51)가 상기 절취부(35) 상에 삽입되어 힌지축(58)에 의해 상기 자편(30)과 상기 가압부재(51)의 측벽면을 회동 가능하게 일체로 축설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51)는 상기 힌지축(58)을 구심점으로 하여 상방전개 하방 체결되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51)의 전개 선단부 중 상기 분리홈(32)과 상응하는 부위면에는 상기 분리홈(32)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파지부(54)가 돌설되는 바, 상기 파지부(54)의 선단부를 파지하여 상방 개방 또는 하방 가압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지부(54)의 측방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돌기(52)가 돌설되며, 이에 상응하는 자편(30)의 절취부(35)의 측벽면에는 상기 체결돌기(52)와 요철결합을 이루어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요부(36)가 상기 체결돌기(52)와 동수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편(30)의 경사면(34)과 상응하는 상기 가압부재(51)의 하단면에는, 상기 경사면(34)과 상응하는 하향경사부(53)형성되어 안전한 회동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웅편(10)이 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잠금수단(50)에 의해 웅편(10)의 전방 진입을 억제함에 따라 웅편(10)이 자편(30)으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웅편(10)의 변형예1 및 2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하나의 단차부(33)를 구비하는 자편(30)과, 체결장력 등을 각 단계별로 실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부재(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체(11)의 측면 상에 배치된 웅편(10)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콤팩트한 자편(30)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한 손을 이용하여 용이한 체결장력조절은 물론 체결 해제 등을 이룰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간의 지지체(11) 특정부위에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가요성을 가지면서도 웅편(10)의 전체적인 외관의 변형 방지를 수행하는 유연부(15)를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상기 유연부(15)는 전술한 특정부위의 지지체(11)에 도 3a와 같이 소정형상으로 절취 구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도 3b와 같이 상하로 중첩 형성 다수의 골로써 연결되어 탄성부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전술한 제3실시예의 자편(30)을 차용하되, 자편(30)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부(33)가 체결부재(12)와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져 체결부재(12)와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웅편(10)의 말단부위가 내향 절취된 요홈상의 결합홈(14)이 구성되며, 상기 웅편(10)의 상기 결합홈(14)과 상응하는 부위면이 상하방 관통된 체결공(13)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천공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브래지어 끈(미도시) 등의 각 말단부위에 상기 웅편(10)과 자편(30)이 상호 체결 가능하게 대향되어 상기 자편(30)에 형성된 체결공(38)이 재봉실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한 브래지어 끈(미도시)에 부착되며, 상기 자편(10)은, 상기 체결공(13)과 상기한 브래지어 끈(미도시)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브래지어 끈(미도시)에 부착 체결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웅편(10)이 장착되는 상기한 브래지어 끈(미도시) 등은, 상기 자편(30)의 삽입공(31)의 폭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주지 관용된 체결수단 즉, 전술한 재봉실(미도시), 리벳(미도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으며, 상기 웅편(10) 상에 형성된 체결공(13)을 생략하고 상기한 재봉실(미도시)을 이용하여 브래지어 끈(미도시)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5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가 적용된 브래지어의 일부 확대사시도로서, 브래지어 끈 외면(100a) 상에 웅편(10)이, 또 다른 브래지어 끈 내면(100b) 상에는 자편(30)이 재봉실(300)에 의해 재봉 장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웅편(10)의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의 구성을 변형 차용한 구성을 가지며, 자편(30)의 구성으로서는 앞서 언급한 제4실시예의 것을 변형 차용한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웅편(10)을 구성함에 있어 다수의 체결부재(12)를 형성하되,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두께와 폭의 유선형상으로 구현하고, 지지체(11)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13)이 재봉실(300)에 의해 재봉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재봉실(300)이 상기 체결공(13)을 통해 브래지어 끈과 체결될 시에 재봉실(300)이 상기 지지체(11)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공(13)이 구성된 부위가 지지체(11)의 내부로 소정높이 함몰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 체결원리로서는, 브래지어 끈 내면(100b)에 장착된 상기 자편(30)은 인체의 등면과 대향되고, 브래지어 끈 외면(100a)에 장착된 상기 웅편(10)은 상기 자편(30)의 삽입공(31)으로 진입되는 바, 웅편(10)은 상기 자편(30)이 장착된 브래지어 끈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므로 보다 안전한 착용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웅편(10)이 이와 체결된 브래지어 끈과의 들뜸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도 5에서는 재봉실(300)을 이용하여 상기 웅편(10)과 자편(30)을 브래지어 끈의 특정부위에 체결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나, 리베팅체결, 나사결합방식, 초음파 용융접착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주지 관용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다.
[제6실시예]
도 7은, 도 1의 변형예1을 도시한 A-A'선 단면도로서, 지지체(11)의 상단면이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웅편(10)이 자편(3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웅편(10)이 상기 자편(30)과 편향된 체결상태에 놓이게 되더라도 용이하게 분리 해제시킬 수 있다는 효과 등이 있다.
[제7실시예]
도 8은, 도 6의 변형예2를 도시한 A-A'선 단면도로서, 지지체(11)의 상단면이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앞서 언급된 제5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8실시예]
도 9는, 도 6의 변형예3을 도시한 A-A'선 단면도로서, 체결부재(12)가 지지체(11)의 측면중앙부위로부터 돌설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편(30) 또한 상기 웅편(10)과 상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 외력(특히, 횡력)이 인가될 시에도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자편(30)의 상하단면의 두께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9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가 가방(200)에 적용된 사용상태사시도로서, 제4실시예의 웅편(10)과 제2실시예의 자편(30)을 가방(200)의 덮개부(210)와 체결 대상부(220) 상에 장착시킨 상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술하면, 가방(200)의 몸체 중 체결 대상부(220)에는 잠금수단(50)을 구비하는 자편(30)을, 가방(200)의 덮개부(210)의 개폐선단부가 웅편(10)의 결합홈(1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웅편(10)에 형성된 체결공(13)을 통해 주지 관용된 리베팅체결, 나사체결, 절취편에 의한 가압체결 등의 체결방식으로 상기 덮개부(210)와 상기 웅편(10)을 일체화 시키며, 상기 웅편(10)과 상응하는 가방(200)의 체결 대상부(220)에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자편(30)을 체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웅편(10)이 자편(30)의 삽입공(31)으로 진입되어 자편(30)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33)에 걸려 지지된 이후, 잠금수단(50)의 가압부재(51)를 회동시켜 상기 자편(30)에 형성된 절취부(35)를 마감함으로써, 상기 웅편(10)이 상기 자편(30)으로부터 분리 해제됨을 방지하는 체결방식을 가지며, 그 체결해제방식 또한 전술한 방식의 역동작으로써 구현되는 바, 견고한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하고, 웅편(10)의 이탈방지를 도모함은 물론, 웅편(10)이 자편(30)에 대하여 체결 반대방향으로의 슬립(Slip)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제10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1)가 단추에 적용된 예시사시도로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웅편(10)과, 제4실시예의 자편(30)의 구성을 차용한 것으로 의류 등에 부착된 단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에서와 같이, 자편(30)을 형성함에 있어 주지된 단추 형상이 그러하듯이 원형 디스크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전술한 삽입공(31), 분리홈(32) 등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편(30)의 분리홈(32)과 상응하는 부위면이 관통되어 재봉실(300)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의류 등의 체결대상물에 장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웅편(10)의 지지체(11)에도 앞서 언급된 형태의 체결공(38)이 형성되고, 체결공(38)을 이루는 부위가 지지체(11)의 내부로 함몰되어 재봉실(300)의 걸림현상을 최소화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체결대상물에 상기 자편(30)과 더불어 한 벌로써 장착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결속구(1)는, 의류, 가방, 잠금기능을 갖는 일기장 등의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소형의 형태로 콤팩트하게 구현되어 용이한 체결 및 체결해제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1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가 타이밴드(2)에 적용된 상태의 예시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예시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2)는, 전술한 제1내지 제9실시예의 자편(30)이 헤드(70)에 구성되고, 상기 헤드(70)로부터 띠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렉시블재의 결속띠(80) 상에 앞서 언급된 웅편(10)의 구성을 일부 차용한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드(70)는, 앞서 언급된 자편(30)과 동일한 형태로써 구현되되, 분리홈(32)과 상응하는 삽입홈(31) 소정부위면에 앞서 기재된 바 있는 단차부(33)가 형성되는 바, 상기 단차부(33)는 일측면으로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34)가 형성되고 그 타측단이 직각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직각삼각형상으로 구현된다.
이에, 상기 결속띠(80)의 하단면으로는, 상기 헤드(70)의 길이(L1)와 동일하거나 큰 간격(L2)으로 상기 단차부(33)와 대칭형상으로 돌설된 체결부재(12)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결속띠(80)를 케이블(400) 등의 결속대상물의 둘레에 위치시켜 상기 삽입공(31)으로 상기 결속띠(80)의 말단부위를 삽입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12)의 경사면이 상기 단차부(33)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실시되어 결속대상물을 가압함으로써 결속된다. 이때, 상기 결속띠(80)의 인출작용을 중단하면, 상기 단차부(33)와 상기 체결부재(12)의 걸림턱이 상호 지지됨으로써 결속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결속띠(8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설정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2)는, 결속해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바, 상기 결속띠(80)를 전술한 결속방향으로 소정의 가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2)와 상기 단차부(33)를 상호 이격시켜 상기 헤드(70)에 형성된 분리홈(32)을 통해 상기 결속띠(80)를 상방 견인하여 결속띠(80)를 상기 헤드(7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2)는 1회성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반영구적인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제12실시예]
도 14는, 도 12의 변형예를 도시한 타이밴드의 사시도로서, 보다 용이한 체결 및 체결해제를 이룰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헤드(70)의 길이(L1)보다 큰 간격으로 앞서 언급된 체결부재(12)간의 길이(L2)를 가지며 분리홈(32)의 폭(L3)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폭(L4)의 면적을 분리부(82)와;
상기 헤드(70)의 길이(L1)와 유사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분리홈(32)의 폭(L3)보다 큰 폭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걸림부(81)가; 결속띠(80) 상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결속띠(80)의 말단부가 전술한 제11실시예와 같이 헤드(70)의 삽입공(31)으로 삽입 체결될 수도 있으나, 여기에서는, 상기 분리부(82)와 상기 분리홈(32)을 일치시켜 상기 분리부(82)를 상기 분리홈(32)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분리부(82)와 이웃하는 걸림부(81)에 의해 상기 분리홈(32)을 이루는 헤드(70)의 특정부위면에 의해 지지됨은 물론, 상기 걸림부(81)의 하단면에 형성된 체결부재(12)의 단차부(33)가 상기 헤드(70)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33)와 상호 지지되는 체결원리를 갖는다. 물론, 체결해제 시에는, 상기한 체결방법을 역으로 동작함에 따라 실현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며, 보다 용이한 체결, 체결장력조절 및, 체결해제를 이룰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13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2)는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즉, 전술한 제11 및 제12실시예의 구성에 앞서 언급된 제2실시예에 개시된 잠금수단(50)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잠금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드(70)의 상단측면에는, 접철 작용에 의해 상기 분리홈(3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형태의 개폐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접철 가능한 형태로써 제작된다.
이에, 상기 개폐부재(미도시)의 저면이 격자형상 또는 소정의 돌기형상으로 구현되는 가압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접철작용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미도시)가 상기 분리홈(32)을 폐쇄할 시에 상기 가압부재(미도시)가 상기 결속띠(80)를 가압하여 상기 헤드(70)로부터 상방 분리되지 못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제2실시예에 개시된 파지부 등을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선단 등에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20)는, 통상의 사출방법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여 저렴한 제조원가의 타이밴드를 제공함이 이상적이다.
전술한 제1 내지 제13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제1 내지 제13실시예의 특정구성물을 상호 조합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에 의할 것 같으면, 웅편이 자편에 대해 일방향 삽입 체결 완료되고,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에 대해 상기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체결 해제됨에 따라 체결장력조절 및 분리작용을 간편히 구현할 수 있으며, 잠금수단를 이용하여 웅편과 자편이 상호 체결완료시에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으로부터의 분리방지를 이룰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결속력의 유지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작용효과에 의해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타이밴드(Tie band) 등의 결속부에 다양한 형태로써 적용 가능함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간이화된 구성 및 이로 인한 저렴한 제조원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웅편의 변형예1을 예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에 도시된 웅편의 변형예2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속구가 적용된 브래지어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변형예1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변형예2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변형예3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가 가방에 적용된 사용상태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가 단추에 적용된 예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구가 타이밴드에 적용된 예시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사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 : 결속구 2 : 타이밴드
10 : 웅편 11 : 지지체
12 : 체결부재 13 : 체결공
14 : 결합홈 15 : 유연부
30 : 자편 31 : 삽입공
32 : 분리홈 33 : 단차부
34 : 경사부 35 : 절취부
36 : 체결요부 37 : 경사면
38 : 체결공
50 : 잠금수단 51 : 가압부재
52 : 체결돌기 53 : 하향경사부
54 : 파지부 58 : 힌지축
70 : 헤드 80 : 결속띠
81 : 걸림부 82 : 분리부
100a : 브래지어 끈 외면 100b : 브래지어 끈 내면
200 : 가방 210 : 덮개부
220 : 체결 대상부 300 : 재봉실
400 : 케이블

Claims (9)

  1. 로드형상 또는 띠형상 또는 납작한 패널형상의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소정각도로써 외향 돌출되되 소정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웅편;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삽입공, 상기 몸체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체의 폭과 동일하거나 큰폭으로 개방되어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분리홈, 상기 삽입공의 내벽면에 상기 체결부재가 걸려 지지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차부를 구비하는 자편;
    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웅편이 상기 자편의 상기 삽입공으로 일방향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단차부에 걸려 체결 완료되며, 상기 웅편이 체결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지지체가 상기 분리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체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편은,
    상기 분리홈의 일단이 소정두께와 폭 및 높이로 절취된 절취부, 상기 절취부와 상응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 가압부재, 상기 절취부에 상기 가압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면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몸체의 측벽면 소정부위를 일체로 관통하여 힌지 체결하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단측면은,
    상기 분리홈을 이루는 부위면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웅편 및 자편은,
    그 일측단 또는 양측단 또는 소정부위면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편은, 상기 지지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플렉시블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자편 또는 상기 분리홈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큰 간격으로 상기 지지체 상에 복수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8. 제1항 내지 제6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는, 브래지어, 모자, 단추, 가방, 시계줄, 벨트 또는 타이밴드(Tie band)로부터 선택되어 체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9. 제1항 내지 제6항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체결부재간 또는 체결부재의 전단과 후단에 위치하는 지지체의 소정부위에는, 가요성을 갖는 유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구.
KR1020040047258A 2004-05-06 2004-06-23 결속구 KR20050107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318 WO2005108801A1 (en) 2004-05-06 2005-05-06 Bind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2683 2004-05-06
KR2020040012683 2004-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66A true KR20050107266A (ko) 2005-11-11

Family

ID=372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58A KR20050107266A (ko) 2004-05-06 2004-06-23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72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9979A1 (en) * 2006-04-13 2007-10-25 Jeong Hyun Seo Binding tool
KR101616374B1 (ko) * 2014-11-04 201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20200025974A (ko) * 2018-08-31 2020-03-10 이석진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9979A1 (en) * 2006-04-13 2007-10-25 Jeong Hyun Seo Binding tool
KR101616374B1 (ko) * 2014-11-04 2016-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20200025974A (ko) * 2018-08-31 2020-03-10 이석진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EP0956784B1 (en) Belt connecting device
CN112089157B (zh) 搭扣
US6615460B1 (en) Optionally manual or automatic breakaway lanyard buckle
US20120174346A1 (en) Fastener for clothing or lingerie
US6339865B1 (en) Cord fastener
US6647555B2 (en) Belt-like article, and neck strap, hung-object-supporting body and product-storing body using the same belt-like article
US20070089277A1 (en) Rigid single piece buckle
US6415482B1 (en) Attachment for zipper cord
JP4305693B2 (ja) 紐留め用バックル
EP0884072A1 (en) Buckle particularly for the heel strap of open heel swim fins
US20130093133A1 (en) Piping Slider
KR20050107266A (ko) 결속구
JP4195395B2 (ja) ペット用胴輪
EP3629828A1 (en) A fastening system
KR20070101973A (ko) 결속구
US20070209163A1 (en) Tie support and tie having the same
CN213154421U (zh) 具有自锁紧功能的单头拉链
RU2141237C1 (ru) Пряжка пояса
CN220477125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背包
JP4473984B2 (ja) 紐端末カバー
KR200337520Y1 (ko) 넥타이 매듭부재
CN212521054U (zh) 行李箱及其绑束带固定结构
CN210076884U (zh) 一种带木质扣的包
TWM512647U (zh) 繩索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