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782A - 파이프용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782A
KR20070101782A KR1020070035570A KR20070035570A KR20070101782A KR 20070101782 A KR20070101782 A KR 20070101782A KR 1020070035570 A KR1020070035570 A KR 1020070035570A KR 20070035570 A KR20070035570 A KR 20070035570A KR 20070101782 A KR20070101782 A KR 20070101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housing
connecting device
pip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286B1 (ko
Inventor
토마스 옐취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filed Critical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0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45Joints for corrugated pipe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8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flexi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Sewage (AREA)

Abstract

환형 외측 그루브(41)를 구비한 파이프(40)용 연결 장치로서, 이 연결 장치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우징에 파이프(40)가 삽입될 수 있고 이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30)를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잠금 부재(30)가 하우징(10)의 환형 내측 그루브(13) 및 파이프(40)의 환형 외측 그루브(41)에 맞물리고, 하우징(10)의 개구(14)를 통해 환형 그루브(13, 41)에 대해 접선 방향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잠금 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측 그루브(13)에 선조립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잠금 부재(30)의 탄성 편향 하에서 파이프(40)가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파이프(40)의 외측 그루브(41)에 잠기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가 이 위치에서 모서리에 접하고 모서리를 감쌈으로써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그루브, 연결 장치, 잠금 부재, 하우징, 파이프, 선조립, 탄성 편향

Description

파이프용 연결 장치{CONNECTION DEVICE FOR A PIPE}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근거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선조립되고 회전하지 않게 배치되어 고정된 잠금 부재 및 선조립된 실링을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연결 장치의 하우징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연결된 파이프가 포함된 연결 장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잠금 부재의 대안적 제 1 실시 형태이다;
도 5는 잠금 부재의 대안적 제 2 실시 형태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잠금 부재의 대안적 제 3 실시 형태이다;
도 7은 파형관과 도 6에 따른 잠금 부재와의 잠금 상태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잠금 부재의 대안적 제 4 실시 형태이다;
도 9는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한 부분 단면도로서, a)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잠금 부재 버전을 나타내며 b)는 시계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잠금 부재 버전을 나타낸다;
도 10 a)는 안에 비회전식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의 연결 장치의 하우징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b)는 비틀림을 통해 고정부를 분리하는 유형을 X 방향에서 관찰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잠금 장치가 하우징에 대해 돌출부를 포함하는 도 10 a)의 실시 형태이다;
도 12는 그 안에 선조립된 도 11에 따른 잠금 부재 및 마찬가지로 도시된 공구를 위한 삽입구를 구비한 돌출된 단부를 포함하는 도 10 a)의 하우징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 a)는 그 안에 비회전식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의 연결 장치의 하우징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b)는 측방향 벤딩을 통해 고정부를 분리하는 유형을 X 방향에서 관찰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상응하는 실시 형태이지만 하우징에서 회전하지 않게 잠금 부재가 대안적으로 분리된 잠금장치가 포함된 실시 형태이다;
도 15는 도 14 a)에 상응하는 실시 형태이지만,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보조 장치가 포함된 실시 형태이다;
도 16 a) 및 b)는 공구를 위한 삽입구 및 잠금 캐치가 포함된 사행 형태의 잠금 부재에 대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10 하우징 11 연결 단부
12 단차부 13 환형 내측 그루브
13.1 제 1 스톱퍼 13.2 내측 그루브(13)의 단부
14 환형 그루브 측 개구 14.1 제 2 스톱퍼
14.2 다른 스톱퍼 14.3 잠금면
20 슬리브 형태의 실링 30 잠금 부재
31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 32 잠금 아암
33 전단 단부 34 후단 단부
34.1 후단 단부(34)의 잠금 캐치 34.2 돌출부
34.3 삽입구 34.4 다른 잠금 캐치
34.5 스프링 아암 40 파형관
41 파형 함몰부/환형 외측 그루브 42 파형 융기부
50 하우징 52 단차부
53 제 1 환형 내측 그루브 55 제 2 환형 내측 그루브
60 O링 실링 70 파이프
71 파이프의 환형 그루브 72 파이프의 밀봉면
80 공구
본 발명은 환형 외측 그루브를 구비한 파이프용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결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우징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고 이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잠금 부재가 하우징의 환형 내측 그루브 및 파이프의 환형 외측 그루브에 맞물리고,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환형 그 루브에 대해 접선 방향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잠금 부재는 하우징의 내측 그루브에 선조립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잠금 부재의 탄성 편향 하에서 파이프가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파이프의 외측 그루브에 잠긴다.
전술한 유형의 연결 장치는 예를 들어 동독 특허 DD 252 647 A5, 독일 특허 DE 29 43 571 C2, 독일 특허 DE 91 06 278. 0 U1 및 독일 특허 DE 295 18 192 U1에 공개되어 있다. 알려진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 부재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에 파이프가 하우징에 삽입된다. 따라서 잠금 부재는 연결 구축 시 별도로 처리되어야 하는 별도의 부품을 형성한다.
독일 특허 DE 29 08 337 C2, 독일 특허 DE 31 04 518 C2, 유럽 특허 EP 0 509 970 A1, 독일 특허 DE 299 80 147 U1 및 독일 특허 DE 20 2004 013 983 U1에는 파형관을 위한 연결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이런 연결 장치에는 조립 시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잠금 부재가 존재한다.
독일 특허 DE 29 08 337 C2, 독일 특허 DE 299 80 147 U1 및 독일 특허 DE 20 2004 013 983 U1에 공개된 연결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U자 형태이고, 측면에서부터 하우징에 삽입되며 클램프의 형태로 파형관에 연결된다. 하우징 및 파형관에서 잠금 부재가 각각 단지 국소적으로만 접촉하므로, 인장력 하에서 접촉 위치에 집중적인 응력이 발생하고, 따라서 연결 장치가 큰 하중을 견딜 수 없다.
독일 특허 DE 31 04 518 C2 및 유럽 특허 EP 0 509 970 A1에 따른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클램프의 형태로 파형관을 감싸므로, 여기에서는 원칙적으로 더 유리한 힘전달이 나타난다. 하지만 독일 특허 DE 31 04 518 C2에 따른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파형관만 감싸는 것이 아니라 외측에서 하우징도 감싸므로, 이로 인해 잠금 부재를 위한 외부 잠금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유럽 특허 EP 0 509 970 A1에 따른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파형관만 감싸며 이 파형관과 함께 하우징에 삽입된다.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의 고정은 하우징 측벽에 있는 관통홈에 맞물리는 잠금 부재의 잠금 아암을 통해 이루어진다. 잠금 아암 또는 하우징 홈은 원주 방향에서 비교적 좁게 형성되고 따라서 또한 여기에서도 인장력 부하 시 바람직하지 않은 응력 집중이 나타난다.
유럽 특허 EP 0 634 699 B1에 따른 파형관용 연결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선조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조립 중에 별도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파형관은 간단하게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거의 모든 방향에서 파형관을 감싼다. 하지만 유럽 특허 EP 0 509 970 A1에서처럼 하우징이 하우징의 홈에 맞물리는 잠금 아암을 통해서만 고정되므로, 여기에서도 인장력 부하 시 바람직하지 않은 응력 집중이 나타난다.
WO 2006/007744에는 하우징을 구비한 파형관용 연결 장치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연결 장치에서는 별도의 부품으로서의 잠금 부재가 사용되지 않는다. 하우징 자체에는 그 둘레에 분포된 잠금 아암이 존재한다. 둘레에 잠금 아암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잠금 아암 사이에 고정 바의 관통을 위한 비교적 큰 틈새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 장치는 원칙적으로 더 큰 인발력을 견디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잠금 아암이 직접 하우징에 성형되어 있어, 삽입된 파형관의 환형 그루브에 맞물린 잠금 아암을 다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잠김을 해제하는 방법으로서 잠 금 아암의 외측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하지만 잠금 아암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특수한 공구가 동시에 모든 고리에 맞물려야 한다.
미국 특허 US 6,179,347 B1에는 전술한 유형의 연결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알려진 장치에서는 잠금 부재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잠금 부재가 그루브에서 움직이며, 따라서 특히 그에 삽입된 파이프가 회전되고 잠금 부재가 마찰로 인해 함께 회전하는 특수한 경우에는 하우징에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의 점진적으로 분리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 진동의 영향 하에서 가능하지만, 이는 엔진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경우에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미국 특허 US 6,179 347 B1에는 종래 기술로서 고정식 잠금 부재가 공개되어 있지만, 이 잠금 부재는 선조립이 불가능하고 볼트 체결 방식의 고정적 조립을 통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볼트 체결부는 연결 장치의 연결 또는 분리 시 매번 번거롭게 부착하거나 또는 탈거해야 한다. 캡 스크류("cap screw") 형태의 특수 부품으로서 형성된 잠금 나사가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잠금 부재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별도의 부품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조립 공정 없이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되나 필요 시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며, 환형의 외측 그루브를 포함하는 파이프를 위한 전술한 유형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연결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 결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파이프를 이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고 하우징 내에서 잠금 부재를 통해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부재가 하우징의 환형 내측 그루브 및 파이프의 환형 외측 그루브에 삽입된다.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해 환형 그루브에 대해 접선 방향에서 잠금 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잠금 부재는 하우징의 내측 그루브에 선조립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탄성 편향 하에서 하우징으로의 파이프 삽입을 가능하게 하며, 잠금 부재가 파이프의 외측 그루브에 잠긴다. 이외에도 이 선조립된 위치에서 잠금 부재가 모서리에 접하고 모서리를 감싸므로 하우징에서 회전하지 않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파이프는 임의의 파이프, 용기의 파이프 연결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환형 그루브를 갖는 파이프 커넥터의 튜브 형태의 부분이다. 특히 파이프는 이미 파형 주름으로 인하여 환형 그루브를 포함하는 그러한 파형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항에 설명된다.
각 도면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동일한 유형의 부분이 복수 회 나타나는 경우에는, 그 중 각각 하나만 표시된다.
도 1에 도시한 연결 장치는 슬리브 형태의 하우징(10), 마찬가지로 슬리브 형태인 실링(20), 잠금 부재(30)를 포함하며 파이프의 연결에 사용되는데, 도면에는 파이프의 단부만 도시되어 있고 부호(40)로 표시된다.
하우징은 연결 단부(11)를 포함하는데, 이 연결 단부는 도 1에서 직경이 감소된 하우징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칙적으로 파이프, 호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연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연결 단부(11)는 나사 체결을 위 한 나사산을 가질 수도 있다. 직경이 감소된 연결 단부(11)로 인해 하우징 내부 공간에는 단차부(12)가 형성되는데, 이 단차부는 전술한 실링(20) 및 경우에 따라서는 파이프(40)의 스톱퍼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도 하우징의 연결 단부(11)가 도시한 것과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응하는 스톱퍼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은, 개구(14)를 통해 외부로의 출구를 갖는 환형의 내측 그루브(13)를 포함하고 있다.
슬리브 형태의 실링(20)은 밀봉 목적에 적합한 연질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실링 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의 밀봉이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서는 실링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잠금 부재(30)는 개방형 링을 형성하지만, 펼쳐진 형태로 휘어질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하다. 잠금 부재는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 상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잠금 아암(32)을 포함한다. 잠금 부재(30)의 전단 단부(33) 및 후단 단부(34)에는 팽윤부가 존재한다.
파이프(40)는 파형관이며 따라서 교차적으로 파형 함몰부(41)와 파형 융기부(42)를 갖는다. 외측에서 관찰할 때 파형관(40)에서 파형 함몰부(41)는 둘레에서 환형으로 진행하는 외측 그루브를 형성한다.
실링(20) 및 잠금 부재(30)는 하우징(10)에 선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실링(20)은 하우징 단차부(12)에 접할 때까지 하우징(10)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도 잠금 부재(30)의 조립은 하우징(10)의 측면 개구(14)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잠금 부재가 이 개구를 통해 접선 방향에서 환형 내측 그루브(13)로 삽입된다. 대안적 방법으로서 잠금 부재가 실링의 조립 시 하우징의 메인 개구를 통해 조립될 수도 있다. 잠금 아암(32)의 자유 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즉 그 연결 단부를 향하도록 잠금 부재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방향 결정은 예를 들어 잠금 부재 및/또는 개구(14)의 비대칭적 형성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잠금 부재(30)는, 그 팽윤된 후단 단부(34)가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개구(14)의 앞 모서리에 접할 때까지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약간 팽윤된 잠금 부재(30)의 전단 단부(33)도 내측 그루브(13)의 통과 후에 개구(14)에 다시 나타나며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그 후단 모서리를 감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부재(30)가 회전하지 않게 내측 그루브(13)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팽윤된 그 후단 단부(34)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항상 개구(14)의 "창"에 보이며 접근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후단 단부가 외측에서 하우징에 밀착된다. 잠금 부재의 잠금 아암(32)이 하우징의 자유 횡단면으로 돌출되므로, 잠금 부재(30)를 통해 실링도 하우징(10)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조립된 실링 및 선조립된 잠금 부재(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는 사용 완료 상태가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관일 수 있는 파이프(40)의 연결을 위해서는 단지 파이프를 그 종방향에서 하우징(10)에 삽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파이프의 삽입 시 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된 잠금 부재(30)의 잠금 아암(32)이 파이프(40)의 파형 융기부(42)로 인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으로 편향되고 파형 융기부(42) 뒤에서 각각 파형 함몰부(41) 또는 그로 인해 형성된 환형의 파이프(40) 외측 그루브에 잠긴다. 이에 상응하는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파이프(40)가 바람직하게도 정지될 때까지 하우징 단차부(12)로 밀리고 따라서 잠금 아암(32)이 전단 파이프 단부를 기준으로 제 4 파형 함몰부 또는 제 3 외측 그루브에 맞물린다. 실링(20)에서 최전단 세 개의 파형 융기부(42)가 접함으로써 추가적 밀봉이 달성되므로, 연결 장치를 유체 라인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파이프(40)는 더 이상 하우징에서 당겨 분리할 수 없다. 잠김은 자가 잠금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분리력의 작용 하에서 잠금 부재의 잠금 아암(32)은 더욱 수직으로 서게되고, 파이프(40)의 외측 그루브(41)에 더 깊이 삽입되며 횡단면이 더욱 감소된다. 이때 잠금 아암(32)의 자유 단부가 추가적으로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잠금 아암의 조밀한 배치 및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에 걸친 그 분포로 인해 최적의 부하 분포가 나타나므로, 강한 분리력을 견딜 수 있다. 잠금 부재(30)와의 또는 잠금 부재를 통한 파이프(40)의 접촉각은 거의 360이며 270에 미달되지 않아야 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340이다.
잠김의 분리를 위해 잠금 부재(30)가 하우징(10)에서 하우징 개구(14)를 통해 접선 방향으로 당겨지는데, 이때 하우징 개구(14)에서 접근이 가능한 팽윤된 그 후단 단부(34)를 예를 들어 뾰쪽한 공구로 잡을 수 있다. 공구를 이용해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팽윤된 후단 단부(34)에는 작은 구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이 가능한 잠금 부재(30)의 대안적 실시 형태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다.
도 4의 잠금 부재(30)는 전술한 잠금 부재(30)와 가장 유사하며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 및 그에 형성된, 경사지게 내측을 향하는 잠금 아암(32)을 포함한다.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가 잠금 아암(32)의 편향 시 그 방향이 변경되지 않는 전술한 잠금 부재(30)와는 달리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에서는 잠금 아암(32)의 편향 시 함께 회전한다. 잠금 아암(32) 자체는 베이스 부재(31)에 대해 거의 유연성을 갖지 않는다. 이로써 잠금 부재(30) 전체가 파이프의 삽입 시 또는 분리력의 영향 하에서 비틀어진다.
도 5의 잠금 부재(30)에서는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가 잠금 아암의 중앙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31)는 잠금 아암(32)의 회전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의 잠금 부재(30)는 사행 형태(meander form)이므로, 더 이상 베이스 부재와 잠금 아암(32) 사이에서 구분이 불가능하다. 도 4 및 도 5의 잠금 부재에서와 같이 전체 부재의 비틀림으로 인해 잠금 부재(30)의 탄성 편향이 이루어진다. 도 6의 실시 형태(30)는 분리력의 전달을 위한 잠재적 힘전달면(35, 36)과 슬롯 형태의 천공부(37) 사이에서의 특히 바람직한 비율을 제공한다. 이로써 큰 분리강도 뿐 아니라 용이한 조립에 대한 바람직한 비틀림 유연성이 달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잠금 부재(30)의 잠금 아암(32)이 하우징(10)의 특히 바람직하게 형성된 내측 그루브(13) 및 파형관(40)의 외측 그루브(41)에 삽입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내측 그루브(13)는 일측면에서 라운딩된 횡단면을 갖는데, 이 횡단면은 파형관(40)의 삽입 시 잠금 부재(30)의 비틀림을 용이 하게 하고 따라서 삽입에 필요한 횡단면이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아암(32)이 분리력의 작용 하에서 그루브(41)에서 맞물리도록 횡단면을 선택해야 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내측 그루브(13)에 맞는 상응하는 횡단면이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잠금 부재(30)의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도 4, 도 5 및 도 6에 따른 잠금 부재(30)는 더욱 견고하며 더 강한 인발력을 견딜 수 있다.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함께 변형되지 않는 베이스 부재(31)에서 단지 잠금 아암(32)만 편향되며 따라서 잠금 아암이 더욱 가늘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파이프를 삽입할 때 나타나는 저항이 너무 크지 않다.
도 8에는 잠금 부재(30)에 대한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따른 잠금 부재(30)에서 나타나는 슬롯 형태의 천공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는 환형 내측 그루브(13)의 원주 방향에서 특히 탄성 재료 또는 강한 탄성을 갖는 재료에 적합하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 탄성은 비틀림 동작 시 원피스형 잠금 스프링이 가장자리에서 회전하거나 또는 압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파이프(70)를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로써, 도 6에 따른 잠금 부재 유형의 사행 형태의 잠금 부재(30) 하우징(50) 및 O링 실링(60)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 잠금 부재는 도 1, 도 2, 도 3, 도 4 또는 도 8의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하우징(50)은 슬리브 형태이며, 하우징 단차부(52), 잠금 부 재(30)에 맞물리기 위한 제 1 환형 내측 그루브(53) 및 O링 실링(60)을 위한 제 2 환형 내측 그루브(55)를 포함한다. 도 1의 하우징(10)과 비교하여 하우징(50)은 그 축방향에서 더 짧은데, 그 이유는 O링 실링(60)이 슬리브 형태의 실링(20)보다 더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하우징(10)의 연결 단부(11)와 비교할 수 있는 연결 단부는 하우징(50)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찬가지로 존재할 수 있다.
도 9에서 연결된 파이프(70)는 파형관이 아니라 평활관이며, 수축부에 해당하는 단 하나의 외측 그루브(71)만 포함한다. 이는 본 발명이 다양한 유형의 파이프에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O링 실링(60)은 외측 그루브(71) 앞에서 파이프의 매끄러운 외측면(72)을 밀봉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하우징(10)에 선조립된 위치에서 잠금 부재(30)의 비회전성 배치 방법이 이미 설명되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 부재의 선조립 시 자체적으로 회전 방지성이 제공된다. 즉 회전 방지 장치의 제조 또는 활성화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 또는 공정이 필요치 않다. 잠금 부재(30)의 팽윤된 전단 단부(33)를 내측으로 누르고 이로써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 개구(14)와 후단 모서리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전술한 회전 방지 장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다시 분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잠금 부재의 선조립 시 추가적인 공정 없이 나타나는 쉽게 분리가 가능한 잠금 부재 회전방지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가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을 근거로 설명된다.
도 10의 실시 형태에서 잠금 부재(30)는 분리 방향의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단부(33) 및 후단 단부(34) 및 후단 단부(34)의 구역에 형성된 잠금 캐치(34.1)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측 그루브(13)의 일측 단부에서 제 1 스톱퍼(13.1) 및 개구(14)의 구역에서 제 2 스톱퍼(14.1)를 포함한다.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잠금 부재(30)는 그 전단 단부(33)에 접함으로써 삽입 방향에서 회전하지 않게 제 1 스톱퍼(13.1)에서 고정되며 잠금 캐치(34.1)를 통한 제 2 스톱퍼(14.1)의 접촉 또는 맞물림으로 인해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도 10의 b)에서 알 수 있듯이, 잠금 캐치(34.1)가 제 2 스톱퍼(14.1)와 분리되도록 잠금 부재(30) 또는 그 후단 단부(34)가 그 자체 탄성에 대항하여 회전되거나 또는 비틀리도록, 하우징 개구(14)가 잠금 부재(30) 또는 그 후단 단부(34)의 횡단면에 대해 확장된다. 그 다음 잠금 부재(30)가 하우징 개구(1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잠금 부재(30)의 선조립 시, 잠금 부재(30)가 완전히 내측 그루브(13)에 삽입되고 그 전단 단부가 제 1 스톱퍼(13.1)에 접하는 즉시, 잠금 캐치(34.1)가 잠금 부재(30)의 탄성의 작용 하에서 자체적으로 제 2 스톱퍼(14.1) 뒤에서 잠긴다.
잠금 부재(30)의 회전 방지 장치의 분리를 위한 전술한 조작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부재는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작은 돌출부(34.2)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잠금 부재(30)의 회전 또는 비틀림이 직접 손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 단부(34)는 공구(80)의 부착을 위해 예를 들어 작은 구멍 형태의 삽입구(3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러한 경우 잠금 부재(30)는 완전히 하우징(10)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도 11 및 도 1에 따른 조치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13 a)에는 하우징에서 회전하지 않게 고정 배치된 잠금 부재(30)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의 하우징(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잠금 부재(30)와 마찬가지로 그 전단 단부(33)가 제 1 스톱퍼(13.1)에 접함으로써 삽입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며 잠금 캐치(34.1)를 통한 제 2 스톱퍼(14.1)의 맞물림으로 인해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도 10의 실시 형태와 달리, 잠금 캐치(34.1)가 제 2 스톱퍼(14.1)와 분리되도록 잠금 부재(30) 또는 그 후단 단부(34)가 그 자체 탄성에 대항하여 그 종방향에서 측면으로 휘어지도록, 하우징 개구(14)가 잠금 부재(30) 또는 그 후단 단부(34)의 횡단면에 대해 확장된다. b)에는 이러한 형태의 회전 방지 장치의 분리 방식이 다시 한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도 도 11 및/또는 도 12에 따른 조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 형태는 잠금 부재(30)의 분리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도 13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하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방향에서의 잠금 부재(30)의 회전 방지 방식이 상이하다.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단 단부(33)가 내측 그루브(13)의 단부에 접촉하는 대신, 잠금 부재(30)는 그 후단 단부의 구역에서 다른 잠금 캐치(34.4)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은 개구(14)의 구역에서 다른 스톱퍼(14.2)를 포함한다.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잠금 부재는 다른 스톱퍼(14.2)에서 다른 잠금 캐치(34.4)와의 접촉을 통해 삽입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도 잠금 부재의 전단 단부(33)가 내측 그루브(13)의 단부(13.2)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는 잠금 부재의 길이 공차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잠금 부재(30)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5의 실시 형태는 도 14 a)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에서 잠금 부재(30)를 분리할 때 사용되는 보조 장치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차이점이 있다. 이 보조 장치는 래치의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를 위해 잠금 부재(30)의 후단 단부(34)에는 그에서 이격된 스프링 아암(34.5) 및 하우징 개구(14)에는 복수의 단차부를 구비한 잠금면(14.3)이 제공된다. 스프링 아암(34.5)은 잠금면(14.3)과 안전 캐치의 방식으로 맞물린다. 예를 들어 손으로 돌출부(34.2)를 누름으로써 보조 장치가 작동되며, 스프링 아암(34.5)은 잠금 부재(30)에 대항하여 휘어지고 이를 외측으로 약간 압박한다. 돌출부를 놓으면 스프링 아암이 한 단계만큼 잠금면(14.3)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과정이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도 16 a) 및 b)는 예를 들어 공구(80)에 상응하는 공구를 위한 삽입구(34.3) 및 잠금 캐치(34.1)가 포함된 사행 형태의 잠금 부재(30)에 대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잠금 부재(30)는 하우징 개구(14)를 덮는 라벨을 통해 하우징에서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라벨은 재사용이 가능한 특성을 갖거나 또는 봉인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라벨은 그 용이한 제거를 위해 접착제가 없는 손잡이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하나의 잠금 부재의 사용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잠금 부재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인발력이 더욱 강화된다.
마찬가지로 (또는 복수의 잠금 부재의 조합에서도) 밀봉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실링, 특히 다른 실시 형태의 코드 타입 실링 또는 O링 실링을 연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 코드 타입 실링에 대한 예시로서 크로스 링 실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의 모든 개별 부분은 바람직하게도 폴리아미드 계열의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잠금 아암이 충분한 유연성을 갖고 부하 조건에서 파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타입의 잠금 부재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강직성이 너무 높지 아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신률이 50%를 초과하는 폴리아미드(6)는 이런 조건을 충족한다. 이와 달리 도 4, 도 5 및 도 6의 잠금 부재의 제조에는 연신률이 5% 미만인 현저히 강한 강직성의 HT-폴리아미드(=더 높은 융점을 갖는 부분 방향성, 부분 결정성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부재가 전체적으로 더 적게 비틀리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도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장치는 기계공학, 로봇공학 및 철도차량 부문의 파형 케이블 보호관 분야 또는 산업 및 자동차 제조에서 매체 라인 (유체 라인) 분야에 사용된다.

Claims (25)

  1. 환형 외측 그루브(41)를 구비한 파이프(40)용 연결 장치로서,
    연결 장치는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우징에 파이프(40)가 삽입될 수 있고 이 하우징에서 잠금 부재(30)를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잠금 부재(30)가 하우징(10)의 환형 내측 그루브(13) 및 파이프(40)의 환형 외측 그루브(41)에 맞물리고, 하우징(10)의 개구(14)를 통해 환형 그루브(13, 41)에 대해 접선 방향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잠금 부재(30)는 하우징(10)의 내측 그루브(31)에 선조립이 가능하고, 이 위치에서 탄성 편향 하에서 파이프(40)가 하우징(10)으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파이프(40)의 외측 그루브(41)에 잠기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이 위치에서 모서리(13.1; 14.2)에 접하고 모서리(14.1)를 감쌈으로써 하우징(10)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와 파이프(40)의 접촉각이 적어도 2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자체적으로 비틀릴 수 있고 및/또는 탄성으로 휘어지는 잠금 아암(3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아암(32)이 밴드 형태의 베이스 부재(31)에 경사 각도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사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적어도 잠금부를 따라 균일한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완전히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팽윤된 단부(34)를 포함하고 있고, 이 팽윤된 단부를 통해 잠금 부재가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하우징 개구(14)의 모서리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분리 방향의 반대인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팽윤된 전단 단부(33) 및 팽윤된 후단 단부(34)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 개구(14)가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모서리 및 후단 모서리를 포함하고 있고, 잠금 부재(30)는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하우징 개구(14)의 전단 모서리에서 팽윤된 후단 단부(34)가 접촉하고 및 팽윤된 전단 단부(33)가 하우징 개구(14)의 후단 모서리를 감쌈으로써 하우징(10)에서 비회전식으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분리 방향의 반대인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단부(33) 및 후단 단부(34) 및 후단 단부(34)의 구역에 형성된 잠금 캐치(34.1)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10)이 내측 그루브(13)의 일측 단부에서 제1 스톱퍼(13.1)를 포함하고 개구(14)의 구역에서 제2 스톱퍼(14.1)를 포함하고 있고, 잠금 부재(30)가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제1 스톱퍼(13.1)에서 그 전단 단부(33)와의 접촉을 통해 삽입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며 잠금 캐치(34.1)를 통한 제2 스톱퍼(14.1)의 접촉 또는 맞물림을 통해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분리 방향의 반대인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단부(33) 및 후단 단부(34) 및 후단 단부(34)의 구역에 형성된 잠금 캐치(34.1) 및 다른 잠금 캐치(34.4)를 포함하고 있고, 하우징(10)이 개구(14)의 구역에서 내측에 있는 제 2 스톱퍼(14.1) 및 외측에 있는 제 3 스톱퍼(14.2)를 포함하고 있고, 잠금 부재(30)가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외측에 있는 제 3 스톱퍼(14.2)에서 그 다른 잠금 캐치(34.4)와의 접촉을 통해 삽입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며 그 전단 잠금 캐치(34.1)를 통한 제 2 스톱퍼의 접촉 또는 맞물림을 통해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의 전단 단부(33)가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내측 그루브(13)의 단부(13.2)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의 잠김이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그 후단 단부(34)의 비틀림을 통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의 잠김이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그 후단 단부(34)의 측방향 벤딩을 통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부재(30)가 그 후단 단부(34)의 구역에 있어서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분리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잠금 부재(30)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공구(80)를 위한 삽입구(34.3)를 포함하고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선조립된 위치에서 잠금 부재가 그 선조립에서 분리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게 잠금 부재(30)의 잠김을 해제하기 위한 핸들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하우징(10) 돌출부(3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7. 제 14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가, 스프링 아암(34.5) 및 복수의 단차부를 구비한 잠금면(14.3)을 포함하고 잠금 부재(30)의 후단 단부(34)의 측방향 벤딩을 통해 작동하는 래치의 형태로 하우징(10)에서 잠금 부재(30)를 분리하기 위한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그루브(13)가 라운딩된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가 특히 슬리브 형태의 플랫 실링 또는 O링 실링과 같은 실링(2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실링(20)이 파이프(40)의 삽입 방향에서 잠금 부재(30) 의 대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잠금 부재(30)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실링(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장치의 일부가 폴리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연결 장치.
  24. 기계공학, 로봇공학 및 철도차량 부문의 파형 케이블 보호관 분야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용 연결 장치의 사용.
  25. 산업 또는 자동차 제조에서 매체 라인 분야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이프용 연결 장치의 사용.
KR1020070035570A 2006-04-12 2007-04-11 파이프용 연결 장치 KR101368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07696 2006-04-12
EP06007696.5 2006-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82A true KR20070101782A (ko) 2007-10-17
KR101368286B1 KR101368286B1 (ko) 2014-02-26

Family

ID=3691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70A KR101368286B1 (ko) 2006-04-12 2007-04-11 파이프용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46936A1 (ko)
EP (1) EP1845299B1 (ko)
JP (1) JP5290535B2 (ko)
KR (1) KR101368286B1 (ko)
CN (1) CN100482999C (ko)
AT (1) ATE424530T1 (ko)
DE (1) DE50200700047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20040441L (no) * 2004-01-30 2005-08-01 Raufoss United As Koblingsdel til bruk i et system med strommende fluid, med i det minste þn koppformet hunndel.
JP2009114415A (ja) 2007-11-09 2009-05-28 Nitto Denko Corp ポリイミドを含む光半導体素子封止用樹脂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半導体装置
WO2009059624A1 (en) * 2007-11-09 2009-05-14 Pentair International Sarl Quick-release fitting assembly
US7614664B1 (en) * 2008-04-16 2009-11-10 Yea Der Lih Enterprise Co., Ltd. Fast-connecting joint for corrugated pipes
DE102009053696A1 (de) 2009-11-18 2011-05-19 Mahle International Gmbh Anschlussvorrichtung
DE102009053695A1 (de) 2009-11-18 2011-05-19 Mahle International Gmbh Anschlussvorrichtung
EP2577145A4 (en) * 2010-06-04 2017-04-26 Australasian Steel Products Pty Ltd Shear element for a coupling
CN102906481B (zh) * 2010-06-11 2015-07-01 东拓工业株式会社 管端接头
DE102011006097A1 (de) 2011-03-25 2012-09-27 Mahle International Gmbh Sperrelement für Anschlussvorrichtung
CA2838278C (en) 2011-06-20 2016-02-02 David L. Abney, Inc. Adjustable bent drilling tool having in situ drilling direction change capability
CN102842871A (zh) * 2011-06-21 2012-12-26 祁成 汽车线路绑定机构
US9649484B2 (en) * 2013-03-28 2017-05-16 Covidien Lp Snap connection for two tubes
US20150047907A1 (en) * 2013-08-17 2015-02-19 Antelope Oil Tool & Mfg. Co., Llc Wrap-around band tool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CH708542B1 (de) * 2013-08-29 2017-08-31 Morach Christoph Vorrichtung für Elektroinstallationen.
JP6185851B2 (ja) * 2014-01-17 2017-08-23 未来工業株式会社 管継手、管材接続装置及び接続体
EP3509173A1 (en) * 2014-06-24 2019-07-10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DE102014219076A1 (de) * 2014-09-22 2016-03-24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JP5922271B1 (ja) * 2015-02-12 2016-05-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挿通部材
DE102015003792B4 (de) * 2015-03-23 2021-08-26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Kupplungsvorrichtung
GB2537883A (en) * 2015-04-29 2016-11-02 Patrick Manning John Pipe joint
EP3112734B1 (de) * 2015-06-30 2018-12-26 Werner Zimmer Rohr, insbesondere kanalisationsrohr
US9695876B2 (en) * 2015-07-29 2017-07-0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Bearing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ITUB20153342A1 (it) * 2015-09-02 2017-03-02 Camini Wierer S R L Sistema di connessione tra moduli di evacuazione fumi
US10058805B2 (en) * 2015-10-30 2018-08-28 Caterpillar Inc. Ripcord locking methods
KR102406862B1 (ko) 2016-02-10 2022-06-08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연결 장치
FR3050582A1 (fr) * 2016-04-20 2017-10-27 Souriau Raccord coude droit et ensemble de connexion
EP3532761B8 (en) 2016-10-25 2021-03-10 Mmc Fittings Limited Pipe joint
CN106594444B (zh) * 2016-12-24 2019-03-22 杭州顺和轨道交通新材料有限公司 轨道交通管接头及其制备方法
US10550979B2 (en) 2017-02-02 2020-02-04 North American Pipe Corporation System for conduit squeeze retainer
US10794517B2 (en) * 2017-02-28 2020-10-06 North American Pipe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xpansion coupling for pipes with sheathed grooves
CA3017732C (en) 2017-09-18 2021-02-16 North American Pipe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bris shield for squeeze-activated retainer for a conduit
DE102019110180A1 (de) * 2019-04-17 2020-10-22 Gabo Systemtechnik Gmbh Einzelrohrabdichtung und Kunststoffrohr
EP3734135B1 (en) 2019-05-03 2023-11-01 Gealan Formteile GmbH Fluid connector
DE102020001987A1 (de) * 2020-03-30 2021-09-30 Voss Automotive Gmbh Fluidische Einhei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luidischen 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8867A (en) * 1935-08-19 1936-04-28 Mueller Brass Co Joint
US3606402A (en) * 1969-07-02 1971-09-20 Fiberglass Resources Corp Locking means for adjacent pipe sections
US3600011A (en) * 1969-09-19 1971-08-17 Atomic Energy Commission Joint utilizing wedge-shaped rectangular locking shafts
JPS498976Y1 (ko) * 1970-02-02 1974-03-02
US4293148A (en) * 1979-02-22 1981-10-06 Fmc Corporation Pile connector
US4396210A (en) * 1980-10-30 1983-08-02 Jacuzzi Inc. Tape joint for cylindrical members
US4552427A (en) * 1982-12-13 1985-11-12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 Self-locking connector
DE3519773A1 (de) * 1985-06-03 1986-12-04 Karl Bauer Spezialtiefbau GmbH & Co KG, 8898 Schrobenhausen Steckverbindung fuer bohrgestaenge von erdbohrgeraeten
AU6598286A (en) * 1986-07-07 1988-01-29 Howeth, D.F. Fluid coupling construction for non-pressure balanced fluid conducting swivel joints
JPS63188387U (ko) * 1987-05-27 1988-12-02
CA2129636C (en) * 1992-12-08 2007-01-30 William Anthony Millward Pipe construction
US5876071A (en) * 1995-07-28 1999-03-02 Aldridge; James H. Quick connect/disconnect connector and method for use
US5813705A (en) * 1996-06-18 1998-09-29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CH693151A5 (de) * 1998-10-29 2003-03-14 Pma Ag Verbindungs- und Anschlussstück für Wellrohre.
DE19905809A1 (de) * 1999-02-12 2000-08-31 Witzenmann Metallschlauchfab Anschlußverbindung und Anschlußelement für ringgewellte Schlauchleitungen
US6343813B1 (en) * 1999-04-30 2002-02-05 Olson Irrigation Systems Irrigation tubing connection system
DE10032926A1 (de) * 2000-07-06 2002-01-24 Hummel Anton Verwaltung Anschlußarmatur für umfangsgerippte längliche Körper mit einem einrastenden Haltevorsprung
DE50207451D1 (de) * 2001-10-11 2006-08-17 Straub Werke Ag Rohrkupplung und Verankerungsring
US6739629B2 (en) * 2002-06-20 2004-05-25 The Lamson & Sessions Co. Bell and spigot joint with locking strap
FR2843624A1 (fr) * 2002-08-13 2004-02-20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branchement d'alimentation pour un systeme a pression de fluide
AU2004276817B2 (en) * 2003-09-25 2008-02-07 United States Pipe And Foundry Company, Llc Centroidally twistable compression ring for pipe joints
US7270348B2 (en) * 2003-12-12 2007-09-18 Apical Industries, Inc. Releasable connector including swi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2999C (zh) 2009-04-29
CN101055052A (zh) 2007-10-17
KR101368286B1 (ko) 2014-02-26
US20070246936A1 (en) 2007-10-25
EP1845299A1 (de) 2007-10-17
JP5290535B2 (ja) 2013-09-18
EP1845299B1 (de) 2009-03-04
ATE424530T1 (de) 2009-03-15
JP2007292310A (ja) 2007-11-08
DE502007000472D1 (de)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286B1 (ko) 파이프용 연결 장치
EP0667480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KR930006017B1 (ko) 가요성 비금속도관 및 가요성 비금속튜브용 방수콘넥터
EP193307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AU2011209230B2 (en)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JP4814947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接続部材
KR20190039638A (ko) 위조 방지 영구 신속 연결 커플링 장치
GB2236567A (en) A hose coupling
JPH0631668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S5854295A (ja) 筒状接続体へのホ−ス固定装置
US20170152974A1 (en) Hose-line connector and line assembly
KR20130092611A (ko)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CN101258353A (zh) 用于软管夹的固定装置
JP2007010108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護カバー
US7025387B2 (en) Locking plug-in connection device
JP4705073B2 (ja) Ptc嵌合カートリッジ
CN114729720A (zh) 用于接纳、保持和释放管道的管道接头和组装管道接头的方法
JP5486895B2 (ja) 管継手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CN212584461U (zh) 一种金属连接件
CN108071886B (zh) 用于介质传导管线的联接装置
PL196415B1 (pl) Złącze rur ochronnych
GB2350656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nduit with a corrugated outer surface to another element
FR2703430A1 (fr) Accouplement emboîtable pour relier un tube à un ou à au moins deux conduits de circulation d'un fluide.
CN114502866A (zh) 快速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