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164A -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필름 - Google Patents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164A
KR20070100164A KR1020070033884A KR20070033884A KR20070100164A KR 20070100164 A KR20070100164 A KR 20070100164A KR 1020070033884 A KR1020070033884 A KR 1020070033884A KR 20070033884 A KR20070033884 A KR 20070033884A KR 20070100164 A KR20070100164 A KR 2007010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polyester
film
epoxidized
hyd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리에쉬 홀거
제스버거 마르틴
쿠만 보도
힐케르트 고트프리드
스카이퍼 볼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스카이퍼 에디티브시스템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스카이퍼 에디티브시스템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엠비에치
Publication of KR2007010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88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epoxidized alkyl ester of fatty acid), 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glyceride), 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인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에 가수분해 안정제가 첨가된 형태는 담체 물질(carrier material)에 의해 흡수되는 건성 액체(dry liquid)형태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수분해 안정제

Description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 필름{HYDROLYSIS-RESISTANT POLYESTER FILM WITH HYDROLYSIS STABILIZ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탁도 측정을 위한 헤이즈가드 헤이즈미터(Hazegard Hazemeter)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그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4에서 500㎛의 범위에 있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 필름(hydrolysis-resistant polyester film)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가수분해 안정제(hydrolysis stabilizer)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특징은 낮은 가수분해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의 제조 방법과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정해진 농도 범위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필름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점은, 특히 각각의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있어서 그들의 가수분해에 대한 감수성이다. 여기서 가수분해에 대한 감수성은 습한 환경에서 가수분해에 의해(hydrolytically) 분해되는 폴리에스테르의 특징으로, 예를 들어 IV 또는 SV 값(점도, viscosity)의 감소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필름 축전지(capacitor), 케이블 덮개(cable sheathing), 리본 케이블(ribbon cable), 및 엔진 보호 필름 뿐만 아니라 장기적 적용, 예를 들면 광택 가공이나 옥외에서의 응용에 있어서 높은 온도에 상대적으로 크게 노출되는 경우에 제한요소로 작용한다.
가수분해에 대한 감수성은 특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aliphatic polyester) 뿐만 아니라, PBT 및 PET와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aromatic polyester)로 판단된다. 만일 PET의 가수분해에 대한 감수성이 적용에 있어서 너무 커지면, 좀 더 가수분해 저항성인 PEN에 의존하거나 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다른 중합체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PET보다 현저하게 더 비싸고, 따라서 경제적인 이유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가수분해 안정제(hydrolysis stabilizer)의 혼합을 통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가수분해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의 용도을 통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의 가수분해에 대한 상대적인 저항성이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섬유와 함께 알려ㅈ져져있다(미국특허 제 5,885,709호, 유럽공개특허 제 0838500호, 스위스공개특허 제 621135호). 그러나, 이러한 중합체에서 제조된 필름들은 제조하는 동안 및 수반하여 사용하는 동안,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및 다른 부수물의 가스를 방출하여 건강에 위험하거나 또는 점막을 자극하는 분해 생산물을 방출하는 경향이 있 다. 이러한 문제들은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 또는 그와 유사한 것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필름과 같은 시트-모양 구조(sheet-like structure)에서 좀 더 광범하다.
에폭시기(epoxy group)를 갖는 가수분해 안정제(hydrolysis stabilizer)도 또한 가수분해 안정화(hydrolysis stabilization)를 제공하며, 유럽공개특허 제0292251호 또는 미국특허 제3,657,191호에 개시된 실시예의 방법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에 의한 옥시레인 고리(oxirane ring)의 제조물에 근거하고 특히 그들의 말단 에폭시기에 의해 야기되는 저분자량 독성 화합물의 분열에 대한 경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물질의 용도에 수반되는 문제는 카르보디이미드의 용도에 수반되는 문제들과 비슷해진다. 게다가, 그들의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polyester matrix) 안의 혼합은 불충분하고, 배향성 폴리에스테르 필름(oriented polyester film)의 경우에 긴 반응시간과 의도하지 않은 고탁도를 초래한다.
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알려진 가수분해 안정제 및 유럽공개특허 제0292251 호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물질들의 또 다른 단점은 그들이 때때로 압출 동안의 중합체에서의 분자량에서 (점도 증가) 현저한 증가를 초래한다는 것이고, 따라서 압출과정이 불안정하고 조절하기 어렵다.
독일공개특허 제10349168호는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epoxidized alkyl ester)으로 구성된 혼합과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혼합을 가수분해 안정제로서 설명하는데, 특히 산업용 기름, 야채 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러한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30중량%까지의 카르보디이미드가 혼합물의 세 번째 구성함량으로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포함되는 이러한 가수분해 안정제의 적정함량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건성 액체(dry liquid)"의 본 발명에서의 유리한 용도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고자 하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들로부터 제조되는 필름이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함께 0.1에서 20중량%(완성된 필름의 무게에 기초하여)의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에 기초한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통하여 성취된다. 하기 및 상기의 원리들은 또한 필름이 베이스로 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에 응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은 주된 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적절한 폴리에스테르의 실시예들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바이벤젠-조작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 레이트(bibenzene-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BB), 바이벤젠-조작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bibenzene-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BB), 바이벤젠-조작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bibenzene-modifie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BB), 또는 그들의 혼합, PET, PBT, PEN 및 PTT가 선호되고, 또한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 에스테르가 있다.
화합물의 실시예들은 폴리에스테르의 준비를 위해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DMT),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EG),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G), 1,4-부탄에디올(1,4-butanedi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A), 벤젠디카르복실산(benzenedicarboxylic acid), 및/또는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NDA)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트랜스- 및/또는 시스-1,4-사이클로헥세인디메탄올(1,4-cyclohexanedimethanol) (c-CHDM, t-CHDM 또는 c/t-CHDM) 및 다른 적절한 다이카르복실산 화합물 (또는 다이카르복실 에스테르) 및 디올(diol) 화합물 같은 주된 단량체(monome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공중합에스테르(copolyester)에 상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TA로 구성되는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구성함량의 중합체는 90중량%(다이카르복실산 구성성분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또는 그 이상, 특히 95중량% 또는 그 이상에서 선호된다. 더 나아가 EG로 구성되는 디올(diol) 구성성분의 열가소성 물질(thermoplastics)은 90중량%(디올의 전체 무게에 기초하여) 또는 그 이상, 특히 93중량% 또는 그 이상이 바람직하다. 전체 중합체의 디에틸렌 글리콜 성분(diethylene glycol content)이 0.5에서 2중량% 범위에 있는 중합체 또한 바람직하다. 이 단락에서 언급되는 모든 양(quantity)에 관한 데이터에서 가수분해 안정제는 무시된다.
다른 적절한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aliphatic polyester)로서, 예를 들면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PHB) 및 폴리하이드록시발레라트(polyhydroxyvalerate) (PHV),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발레라트(polyhydroxybutyrate-valerate) (PHBV), 폴리(이-카프롤락톤)(poly(e-caprolactone) (PCL), SP 3/6, SP 4/6 (1,3-프로판에디올-아디페이트 및, 각각 1,4-부탄에디올-아디페이트로 구성된), 폴리카프로락탐(polycaprolactam), 또는 일반적으로 아디프산(adipic-acid)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중 한가지와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다른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화합물(esters)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무기 또는 유기 입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표면 형태나 광학적 특징을 확정하는 데 필요된다. 이러한 입자의 실시예들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애퍼타이트(apatite),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알루미늄 옥사이드(aluminum oxide), 교차결합된 폴리스틸렌(crosslinked polystyrene), 교차결합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지올라이트(zeolite)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um silicate)와 같은 다른 실리케이트(silicate)이다. 일반적으로 용도되는 이러한 화합물의 양은 0.05에서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에서 0.6중량%(필름의 무게에 기초하여)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또한 언급된 첨가물과 함께 더 많은 구성성분을, 예를 들어 난연제(flame retardnat) 및/또는 자유 래디컬 스캐빈저(free-radical scavenger), 및/또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와 같은 다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필름이 제조되는 동안 "건성 액체(dry liquid)"의 형태로 압출기에 직접 제공되는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고, 가수분해 안정제의 함량은 필름의 무게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에서 20.0중량%의 범위에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에서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에서 4.5중량%에 있다.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는 적합한 가수분해 안정제이다.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glycerol esters)의 혼합물(지방산 글리세라이드, fatty acid glycerides)은 순수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과 같이 적합한 가수분해 안정제이고, 여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설명된다:
CH2OR1-CHOR2-CH2OR3
상기 식에서 R1 및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R1, R2 및 R3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식을 따른다:
Figure 112007026486670-PAT00001
상기 식에서 RE = CH3 또는 H, 및
m = 0 - 40, 바람직하게는 7 -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6,
n = 1 - 10, 바람직하게는 1 - 4,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3, 및
o = 0 - 4, 바람직하게는 0이다.
개개의 메틸렌(methylene) (CH2)- (1), 에폭시드(epoxide) (CHOCH)- (2), 및 여기에 있는 (CHCH3)- (3) 그룹의 시퀀스(sequence)가 요구되고,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메틸렌 그룹 (1)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7개의 메틸렌 그룹 (1)이 하나 이상의 그룹 (2) 또는 그룹 (3) 앞에서 카르보닐 그룹을 따르고, 다시 그룹 (1)이 따른다. 인덱스들은 따라서 래디컬 R1, R2 및 R3에 있는 (1), (2), 또는 (3)으로 나타내는 그룹의 전체 숫자(시퀀스가 아닌)만을 나타낼 뿐이다.
여기에 있는 글리세롤 에스테르(glycerol ester) 혼합물에서, 래디컬 R1 ,2,3의 나타나야 하는 양은 m = 0 일 때 30중량% 이하여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여야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어야 한다(에스테르 혼합의 중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래디컬 R1 및 R2 및 R3는 여기서 또한 다음과 같다:
R = H
R = 불포화 지방산 (이중 결합, 완전히 에폭시화되지 않음)
R = (PO2)-O-(CH2)2-N(CH3)3,
이러한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은 점점 선호되지 않고 있고, 글리세롤 에스테르 혼합물에 이러한 래디컬을 포함하고 있는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어야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어야 한다.
사용된 글리세롤 에스테르 또는 글리세롤 에스테르 혼합물이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기원을 가진 에폭시화 오일이기 때문에, 이들은 대개 또한 작은 양의 다른 물질(단백질 등)을 글리세롤 에스테르 화합물과 함께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의 함량은 사용된 에폭시화 오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중량% 미만이다.
특히, 끓는점이 210℃ 미만인 화합물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사용된 가수분해 안정제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그램당 10 mg KOH 미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그램당 2 mg KOH 미만이다(DIN EN ISO 3682). 가수분해 안정화(hydrolysis stabilization)의 혼합과 효과를 위해 25℃에서 300mPa·s 보다 크 게, 바람직하게는 500mPa·s보다 더 크게,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mPa·s보다 더 크게 사용되는 안정제의 점성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DIN 53018).
특히 적절한 가수분해 안정제는 적어도 0.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보다 더 많은 에폭시드 산소(epoxide oxygen) 함량을 갖는다.
적절한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의 실시예 및 그들의 혼합물은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씨유(linseed oil), 에폭시화 평지씨유(rapeseed oil), 에폭시화 해바라기유 또는 에폭시화 어유(fish oil)이고, 또는 이러한 에폭시화 오일에 존재한다.(언급된 오일의 조성, 특히 Roempp Chemie Lexikon [Roempp's Chemical Encyclopedia], 10번째 edition,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에서 실시예의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는 존재하는 지방산의 속성 및 양)
지방산에서 사용된 에폭시화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은 대체로 포화에스테르 화합물, 불포화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중합 불포화지방산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에폭시드 산소(에폭시화 에스테르에 기초하여)의 1.5에서 15중량%를 갖는다. 알킬은 여기서 직선 사슬(straight-chain) 또는 바람직하게는 1에서 20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가지가 있는 알킬 래디컬을 의미한다.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에 대해 언급한 R1 - R3의 정의에 대응하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 안정제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및/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즉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에스테르 화합물 및 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 각각에서, 가수분해 안정제가 더 자세히 설명될 "건성 액체(dry liquid)"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생물학적 기원을 가진 에폭시화 오일의 형태로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의 사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수분해 안정제 또는 그들을 포함하는 오일은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참고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생산물)
사용된 에폭시 지방산 알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열적으로 안정한 불포화 지방산의 2-에틸헥실 에스테르(2-ethylhexyl ester) 또는 평지씨유 지방산, 아마씨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또는 어유 지방산의 지방산 혼합을 포함하고, 이러한 것들의 에폭사이드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에서 15중량%의 에폭시드 산소(에폭시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4에서 8중량%의 에폭시드 산소 함량을 포함한다.
게다가 필름에 대한 안정제의 자유-래디컬 스캐빈저의 형태를 갖는 추가물을 받는다는 증명된 장점을 갖는데, 이것이 자유-래디컬 부작용을 통한 압출에서의 활성 옥시레인(oxirane) 그룹의 손실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50에서 15000ppm의 양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5000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에서 1000ppm의 양을, 필름의 무게에 기초하여, 자유-래디컬 스캐빈저 또는 열 안정 제(heat stabilizer)의 형태에 이러한 안정제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에 첨가된 안정제는 요구에 따라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입체적으로 간섭된 페놀 또는 2차 방향족 아민(aromatic amine)과 같은 제 1차 안정제의 그룹, 또는 싸이오에테르(thioether), 포스파이트(phosphite), 및 포스포나이트(phosphonite) 및 또한 아연 디부틸디싸이오카바메트(zinc dibutyldithiocarbamate), 또는 제 1차 및 2차 안정제가 포함된 혼합과 같은 제 2차 안정제의 그룹에서 선택된다. 페놀릭(phenolic) 안정제가 선호된다. 페놀릭 안정제 중에는 특히 입체적으로 간섭된 페놀, 싸이오비스페놀(thiobisphenol), 알킬리덴비스페놀(alkylidenebisphenol), 알킬페놀(alkylphenol), 하이드록시벤질(hydroxybenzyl) 화합물, 아킬아미노페놀(acylaminophenol) 및 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hydroxyphenylpropionate)("Kunststoffadditive" [Plastics additives], 2번째판, Gaechter Mueller, Carl Hanser-Verlag, 및 "Plastics Additives Handbook", 5번째 판, Dr. Hans Zweifel, Carl Hanser-Verlag에서 실시예의 방법으로 설명된 고유화합물) 등이 있다. 다음과 같은 CAS 숫자를 갖는 안정제: 6683-19-8, 36443-68-2, 35074-77-2, 65140-91-2, 23128-74-7, 41484-35-9, 2082-79-3은 특히 선호되고, 스위스 바젤의 Ciba Specialties의 ®Irganox 1222도 또한 선호되며, 특히 여기의 실시예에서 용도된 그레이드(grade)는 ®Irganox 1010, ®Irganox 1222, ®Irganox 1330 및 ®Irganox 1425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중합체 준비의 완성에 앞서 가수분해 안정제가 아니라 폴리에스테 르에 첨가되는 것이 자유-래디컬 스캐빈저에 좀 더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가수분해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압출기에 "건성 액체"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것은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가수분해 안정제가 담체 물질에 의해 흡수되었음을 의미한다. 적합한 담체 물질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시페르나트 22LS(Sipernat 22LS) (Degussa) 또는 Hi-Sil ABS (PPG Industries)와 같은 합성 실리카, 규조토 실리케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케이트(silicate), 지올라이트(zeolite), 알루미늄 포스페이트(aluminum phosphate), 중합 분자체(polymeric molecular sieve), 또는 탄소 분자체가 있다. 여기의 입자의 중간 입자 크기 d50는 바람직하게는 300㎛ 미만, 특히 15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이다. 오일 흡수(DBP, DIN 53601에 따름)는 각 경우의 건조 물질에 기초하여 20 g/100 g보다 더 크고, 바람직하게는 100 g/100 g보다 더 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g/100 g보다 더 크다. 담체물질은 가수분해 안정제에 스티어러(stirrer)로 도입된다.
가수분해 안정제 [즉 여기서 흡수된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담체 물질 (= 건성 액체, dry liquid)] 및 또한 이것과 함께 임의의 잔여 자유 가수분해 안정제는 필름이 제조되는 동안 압출기에, 바람직하게는 직접 도입된다. 좋은 가수분해 안정화 결과는 단일 스크루 압출기에 도입할 때부터 담체 물질을 용도하여 성취되고 압출기의 입구에 직접 공급해서, 담체 물질 없는 가수분해 안정제의 공급과 같지 않게 성취된다. 가수분해 안정제(담체 물질에 대해)는 또한 매스터배취 기 술(masterbatch technology)로 도입될 수 있다. 이것은 가수분해 안정제(담체 물질을 갖는)가 본 발명의 중합체 안으로 압출기에(바람직하게는 멀티스크류 압출기(multiscrew extruder)) 도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름이 제조되는 동안에, 이 중합체는 순수한 형태로 또는 다른 본 발명의 중합체들과 함께 혼합되고 다시 압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가수분해 안정제가 첫 번째 압출 단계가 완성되기 전에 소모되고 (반작용에 의해 소모된다) 그 후 필름에서 더 이상 활성 물질로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 안정제와 함께, 적어도 0.1중량%, 특히 적어도 0.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중량%의 담체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알려진 압출과정에 의해 제조되고, 단층 또는 다층 필름이고, 몇몇 층이 가수분해 안정제로 변경되지 않은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지라도 가수분해 안정제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층에 존재한다 .
본 발명에 의한 필름의 제조방법은, 대응하는 용해물(melts)이 플랫-필름 다이(flat-film die)를 통하여 압출되고, 결과로서 생기는 필름(resultant film)이 빠지게 되며, 하나 이상의 롤(차가운 롤) 위에서 실질적으로 무정형인 프리필름의 형태로 응결을 위해 식혀지고, 필름은 그 후 다시 열이 가해지고 이축으로 연장되고(배향되고, oriented), 이축으로 연장된 필름이 열-세트(heat-set)라는 점에서 유리하다. 여기의 압출 과정의 범위에서 295℃를 넘지 않는 유리함이 증명되었다. 다이의 범위에 대해 특히 유리하고, 특히 다이 립의 범위 및 290℃보다 뜨겁지 않 은 각각의 접근, 바람직하게는 285℃보다 뜨겁지 않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75℃보다 뜨겁지 않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축배향(biaxial orientation)은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처음에 세로로(longitudinally) 배향하고(즉, 기계 방향에서 = MD), 그 후 가로로(transversely) 배향하는(즉, 기계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 TD)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은 분자 체인의 배향을 초래한다. 세로배향은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두 개의 롤(roll)의 도움을 받아 요구되는 스트레칭(stretching) 비율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가로배향에 대해서는, 적절한 텐터 프레임(tenter frame)이 일반적으로 용도된다.
배향이 수행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고, 필름의 요구되는 특성에 의존한다. 세로 스트레칭, 및 또한 가로 스트레칭은 일반적으로 Tg + 10℃ 내지 Tg + 60℃ (Tg =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사이에서 수행된다. 세로 스트레칭 비율은 일반적으로 2:1에서 6:1, 바람직하게는 3:1에서 4.5:1의 범위에 있다. 가로 스트레칭 비율은 일반적으로 2:1에서 5:1, 바람직하게는 3:1에서 4.5:1의 범위에 있고, 임의의 2차 세로 및 가로 스트레칭이 수행되기 위한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1:1에서 5:1의 범위에 있다.
1차 세로 스트레칭은, 적절하다면 가로 스트레칭과 함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동시 스트레칭). 3.0보다 크게 되는 각 경우에 있어서 세로 및 가로 스트레칭 비율이 특히 유리함을 알게 되었다.
다음에 이어지는 열 세팅(heat-setting)에 있어서, 필름은 0.1에서 10초 동안 약 150 내지 260℃에서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45℃에서 유지된다. 열 세팅을 따르거나 또는 그것과 함께 시작함으로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정도 느슨해지는데, 특히 가로방향으로 그리고 적절하다면 세로 방향으로도 1.5 내지 8% 느슨해지고, 필름은 그 후 일반적으로 식혀지고 감아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은 변경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비교했을 때 실내 온도 및 210℃가 넘는 온도에서 현저하게 낮은 가수분해 감수성을 갖는다. 여기서 안정화는 실질적으로 필름의 두께와 관련이 없고 25 내지 210℃에 이르는 시험범위의 온도와도 관련이 없다. 실시예의 방법으로서, 2.5중량%의 에폭시화 대두유(에폭시드 산소 함량 8중량% (PPG Industries의 Hi-Sil ABS에서 흡수됨))로 구성된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두께 12㎛인 단일층 PET 필름(DEG 함량 1중량% 및 720의 최초 SV 값)은 습도 100%인 110℃의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안에서 96시간 이후에 580 이상의 SV 값을 유지하고, 불안정한 필름의 SV 값이 이 이후에 400 미만으로 떨어지는데 반하여,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안정된 필름은 언급된 컨디션을 400 SV 유닛의 임계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200% 더 오래 견딘다. 동일한 상대적 시간 향상은 80℃ 및 170℃에서 또한 발견된다.
특히 놀라운 것은, 바람직한 장기 가수분해 안정화에도 불구하고, 압출기에서 필름을 제조하는 동안, 의도하지 않은 점성 증가는 없었다는 것이 명백했고, 겔링(gelling) 또는 피쉬-아이(fish-eyes)의 수준에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담체물질의 용도을 통한 가수분해 안정화에서의 현저한 향상(건성 액체의 형태를 용도하여) 또한 놀랍다.
언급된 가수분해 안정제에 의해 안정된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고 장기(1년 이상)용도을 위해 디자인되거나 또는 용도중에 특히 높은 수분 수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약 80℃)에 노출되는 제조물 및 옥외에서의 응용을 위한 제조물을 제조하는 데 대해 뛰어난 안정성을 갖는다.
그들은 따라서 필름 축전지의 제조물에 대해 뛰어난 안정성을 갖는다.(바람직한 두께범위 0.4 - 12㎛) 이들은 알려진 종래 루트(route) 및 과정 시퀀스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특히 금속화(metallization), 피니싱(finishing), 와인딩(winding), 슈핑(schooping), 컨택팅(contacting), 팟팅(potting), 등),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 축전지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수명을 갖고, 카르보디이미드 안정제를 용도한 이전에 설명된 축전지와 비교하여 심지어 심한 열의 영향을 받을 때에도 건강에 해로운 이소시아네이트의 방출을 초래하지 않는다. 축전지의 제조을 위해, 200℃에서 필름의 4% 이하로 수축되는 세로 수축 및 그들의 1% 이하로 수축되는 가로 수축에 대해 증명된 유리한 점이 있는데, 그들이 그 후 SMD 축전지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적합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낮은 수축 값을 갖는다.
또 다른 적용의 실시예는 자동차에 있는 리본 케이블(ribbon cable)이다. 이것을 위해, 필름은(바람직하게는 12-200㎛) 열-밀봉할 수 있는(hot-sealable) 접착제에 의해 구리에 적층된다 (예를 들어, EKP Verpackungslacke GmbH(독일)의 EKP 230 열-밀봉할 수 있는 라커(lacquer)). 본 발명의 가수분해 안정제가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합성물은 기계적 부하(machanical load)(특히 진동)를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갖는 합성물보다 훨씬 더 오래 견딘다. 그러나, 접착제 또한 실질적으로 가수분해 저항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언급된 가수분해 안정제가 있는 변경은 폴리에스테르가 베이스로 된 접착제의 경우에 있어서 타당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적용은 솔라 모듈(solar module)의 이면 적층(reverse-side laminate)이다.
다음의 실시 예에서, 특징 각각은 언급된 기준 또는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시험 방법( Test methods )
DIN = Deutsches Institut feur Normung [독일 표준화 기관, German Institute for Standardization]
기준 점성( Standard viscosity ) ( SV )
기준 점성 SV는 - DIN에 기초한 방법으로 - 25℃ Ubbelohde viscometer에서 디클로로아세트산(dichloroacetic acid, DCA)에 있는 1% 강도(strength)무게 용액의 상대적인 점성
Figure 112007026486670-PAT00002
의 측정을 통해 측정된다. SV 값은 다음과 같이 한정된다:
Figure 112007026486670-PAT00003
거칠기( Roughness )
필름의 거칠기 Ra은 0.25mm의 컷-오프(cut-off)를 가지고 DIN 4768로 한정된다.
수축( Shrinkage )
열수축(Heat shrinkage)은 가장자리 길이가 10cm인 스퀘어 필름 샘플(square film sample)에서 결정된다. 견본(specimen)들은 한 가장자리가 기계 방향에 평행하여 움직이고, 한 가장자리는 기계방향에 수직하여 움직이는 방법으로 제거된다. 견본들은 정확하게 측정되고(가장자리 길이 L0은 각 기계 방향 TD 및 MD, L0 TD 및 L0 MD를 위해 결정됨), 공기 순환이 되는 건조 캐비넷 안에서 언급된 수축온도(여기서는 200℃)로 15분간 열조절된다. 견본은 제거되고 실내 온도에서 정확하게 측정된다(가장자리 길이 LTD 및 LMD). 수축은 다음의 방정식을 따라 계산된다:
수축( Shrinkage )[%]MD = 100·(L0 MD- LMD)/ L0 MD
수축( Shrinkage )[%]TD = 100·(L0 TD- LTD)/ L0 TD
탁도 측정( Haze measurement )
시험에는 BYK Gardner의 헤이즈가드 헤이즈미터(Hazegard Hazemeter) KL-211 (도 1을 보라)가 용도된다. 테스터(tester)는 시험 30분 전에 켜 둔다. 광선이 구를 중심으로 통과하여 유출 균열로 나가는 것에 주의를 요한다.
제조물, 형태 및 견본의 숫자:
크기 100·100 mm의 5개의 견본은 연구될 필름의 각각으로부터 제거된다. 시험이 양쪽 기계 방향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세로 및 가로 방향은 가장자리에 지시된다.
탁도 시험
- 스위치 1 "열기(OPEN)"을 누른다
- 스위치 2를 "X10"에 맞추고 "0(제로)"노브(knob)를 용도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digital display)의 눈금을 0.00에 맞춘다.
- 스위치 1을 "참고(Reference)"로, 스위치 2를 "X1"으로 움직인다.
- "눈금정하기(Calibrate)" 노브를 사용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100에 이르게 한다.
- 견본을 세로 방향으로 삽입한다.
- 디스플레이된 투명도값(transparency value)을 읽는다.
- "눈금정하기"노브를 용도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눈금을 100에 맞춘다.
- 스위치 1을 "열기"에 맞춘다.
- 세로방향 탁도에 대해 디스플레이된 값을 읽는다.
- 가로방향으로 견본을 회전시킨다.
- 가로방향 탁도에 대해 디스플레이된 값을 읽는다.
평가
탁도는 각 5개의 개별 값(세로 방향으로 및 가로 방향으로)을 평균하여 얻어진다.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
필름(10·2 cm)은 전선에 의해 오토클레이브(Adolf Wolf SANOklav ST-MCS-204) 안에서 멈추게 되고 물의 2L는 오토클레이브에 채워진다. 오토클레이브는 닫히고 가열된다. 100℃에서, 공기는 수증기에 의해 방출 밸브를 경유하여 재배치된다. 이것은 약 5분 뒤에 닫히고, 그 결과 온도는 110℃로 상승하고 압력은 1.5 바(bar)로 상승한다. 세트 시간(set time)후에, 오토클레이브는 자동적으로 스위치가 꺼지고 필름은 방출 밸브가 열린 이후에 제거된다. 이것들은 그 후 SV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
가수분해 안정제 1 ( Hystab 1)
8중량%의 에폭시드 산소 함량을 가진 에폭시화 대두유의 2 부분 (중량부) (독일 HOBUM Oleochemicals GmbH의 Merginat ESB)가 PPG Industries USA의 Hi-Sil ABS 1 부와 혼합된다.
가수분해 안정제 2 ( Hystab 2)
Schaefer Additivsysteme GmbH의 Polybio Hystab 10 DL.
"건성 액체"의 형태인 천연 에폭시화 지방산에스테르. 건성 액체는 SiO2 입자에 기초한다.
가수분해 안정제 3 ( Hystab 3)
8중량%의 에폭시드 산소 함량을 가진 에폭시화 대두유 (독일 HOBUM Oleochemicals GmbH의 Merginat ESB).
중합체 제조 (가수분해저항성 중합체)
가수분해 안정제 1 (HyPET 1)이 있는 PET
10,000 ppm Sylobloc 44H (Grace) 및 5,000 ppm Aerosil TT600 (Degussa) (SiO2 각 경우에서) 및 또한 3,000 ppm Irganox 1010 (Ciba) 및 DEG 함량 1%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MB1)는 코페리 온(Coperion)으로부터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 녹고 12중량%의 가수분해 안정제 1과 혼합된다. 가수분해 안정제 1은 여기서 진동성 슈트(vibratory chute)에 의해 직접 압출기 흡입구로 공급된다. SV 값 792.
가수분해 안정제 2 (HyPET 2)이 있는 PET
10,000 ppm Sylobloc 44H (Grace) 및 5,000 ppm Aerosil TT600 (Degussa) 및 또한 3,000 ppm Irganox 1010 (Ciba) 및 DEG 함량 1%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MB1)는 코페리온(Coperion)으로부터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 녹고 12중량%의 가수분해 안정제 2와 혼합된다. 가수분해 안정제 2는 여기서 진동성 슈트(vibratory chute)에 의해 직접 압출기 흡입구로 공급된다. SV 값 790.
가수분해 안정제 3 (HyPET 3)이 있는 PET
10,000 ppm Sylobloc 44H (Grace) 및 5,000 ppm Aerosil TT600 (Degussa) 및 또한 3,000 ppm Irganox 1010 (Ciba) 및 DEG 함량 1%가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MB1)는 코페리온(Coperion)으로부터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 녹고 8중량%의 가수분해 안정제 3과 혼합된다. 가수분해 안정제 3은 여기서 펌프(pump)에 의해 직접 액화구역(devolatilization zone)의 용해공정(melt downstream)으로 공급된다. SV 값 788.
기타 사용된 원료물질
중합체 P1 - PET (RT49, Invista Deutschland), SV 값 790
Masterbatch MB1 - 1.0중량%의 Sylobloc 44H, 0.5중량%의 Aerosil TT600 및 98.2중량%의 PET; SV 값 790; 1중량%의 DEG 함량 및 3,000 ppm의 Irganox 1010 (Ciba; 폴리에스테르 중합시 Irganox 첨가).
필름 제조:
열가소성 칩(thermoplastic chip)(HyPET 1-3 및 MB1, 및 P1)은 실시예에서 언급된 비율로 혼합되었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서 278℃에서 압출되었다(Japan Steel Works). 가수분해 안정제 (실시예 4 + 5 에서 Hystab 1-2)는 "건성 액체"의 형태로 진동성 슈트를 경유하여 직접 압출기 흡입구로 공급되었다. Hystab 3 (실시예 6)은 펌프를 경유하여 액화의 용해물 하부 흐름으로 공급되었다. 녹은 중합체는 분리 롤(take-off roll)을 경유하여 다이(die)로부터 빠져나왔다. 이러한 프리필름(prefilm)의 두께는 530㎛이었다. 필름은 3.4의 요소에 의해 기계 방향으로 116℃에서 스트레치되고 3.1의 요소에 의해 프레임에서 가로 방향으로 110℃에서 스트레치된다. 필름은 그 후 225℃에서 히트-셋되고 가로 방향으로 3%에 의해 200에서 180℃의 온도로 풀린다. 최종 필름 두께는 50㎛이었다.
제조된 필름의 특성은 아래의 표에서 발견된다.
결과는 순수 물질(실시예 3, 6)의 용도과 비교할 때 "건성 액체" 형태(실시예 1, 2, 4, 5)의 가수분해 안정제의 용도이 안정화에 있어 심지어 좀 더 유리한 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가수분해 안정화는 "건성 액체"가 압출기 흡입구에 직접 공급될 때 특히 바람직하고, 이것은 용해물에 직접 공급하는 것보다 더 대단히 뛰어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HyPET 1 중량% 33
HyPET 2 중량% 33
HyPET 3 중량% 33
P1 중량% 67 67 67 66 66 67.3
MB1 중량% 30 30 30
Hystab 1 중량% 4
Hystab 2 중량% 4
Hystab 3 중량% 2.7
필름 두께 50 50 50 50 50 50
SV 값 (필름 제조 후) 767 773 771 777 769 773
수증기가 포화된 110℃의 오토클레이브에서 96시간 이후의 SV 값 560 575 501 675 690 548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고 있어, 가수분해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필름 축전지, 케이블 덮개, 리본 케이블, 엔진 보호용 필름의 제조 또는 광택 가공 및 옥외에서의 응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혼합물,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및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안정제가 폴리에스테르에 건성 액체(dry liquid)의 형태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3. 하나 이상의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하나 이상의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혼합물이며, 폴리에스테르에 건성 액체의 형태로 첨가되는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0.1 내지 20중량%의 가수분해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안정제의 에폭시드 산소 함량이 적어도 0.5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폭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가 에폭시화 대두유(soybean oil), 에폭시화 아마씨유(linseed oil), 에폭시화 평지씨유(rapeseed oil), 에폭시화 해바라기유, 에폭시화 어유(fish oi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된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가 불포화 지방산의 2-에틸헥실 에스테르 화합물(2-ethylhexyl esters) 또는 아마씨유, 평지씨유, 대두유, 또는 어유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에폭시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에폭시드 산소 함량이 1.5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자유-래디컬 스캐빈저(free-radical scaveng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건성 액체 형태인 가수분해 안정제의 첨가로부터 유도되는 담체물질을 0.1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담체물질이 실리케이트(silicate), 또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실리카(synthetic silic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무기 또는 유기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단일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모든 층에 가수분해 안정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구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17. a)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단일층 또는 다층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필름의 이축을 스트레칭하는 단계, 및
    c) 스트레칭된 필름을 열 세팅(heat-set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18. 필름 축전지, 케이블 덮개, 리본 케이블, 엔진 보호용 필름의 제조; 또는 광택 가공 및 옥외에서의 응용에 사용되는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
  19.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생산에 사용되는 제 16항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의 용도.
KR1020070033884A 2006-04-06 2007-04-05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필름 KR20070100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6157A DE102006016157A1 (de) 2006-04-06 2006-04-06 Hydrolysebeständige Polyesterfolie mit Hydrolyseschutzmittel
DE102006016157.2 2006-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164A true KR20070100164A (ko) 2007-10-10

Family

ID=3822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84A KR20070100164A (ko) 2006-04-06 2007-04-05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38816A1 (ko)
EP (1) EP1842871A1 (ko)
JP (1) JP2007302878A (ko)
KR (1) KR20070100164A (ko)
DE (1) DE1020060161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33B1 (ko) * 2007-12-21 2010-05-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56331B1 (ko) * 2007-12-21 2010-05-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30079485A (ko) * 2010-08-18 2013-07-1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내가수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6156A1 (de) * 2006-04-06 2007-10-1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ydrolysebeständige, mehrschichtige Polyesterfolie mit Hydrolyseschutzmittel
DE102008056694A1 (de) * 2008-11-11 2010-05-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gestreckte Polyesterfolie die einen Kettenverlängerer enthält,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8056693A1 (de) 2008-11-11 2010-05-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hydrolysebeständige Polyesterfolie, enthaltend epoxidierte Fettsäurederivat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8056692A1 (de) 2008-11-11 2010-05-12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hydrolysebeständige Polyesterfolie, enthaltend epoxidierte Fettsäurederivate und einen Kettenverlängerer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5423106B2 (ja) * 2009-03-31 2014-02-19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20053317A1 (en) 2009-04-23 2012-03-01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solar cells
DE102009021566A1 (de) * 2009-05-15 2010-11-18 Advansa Bv Biaxial gestreckte Polyesterfolie, enthaltend einen Decarboxylierungskatalysato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Elektroisolieranwendungen
US8981212B2 (en) 2009-06-05 2015-03-17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laminated film, solar battery backsheet and solar battery
TWI395760B (zh) * 2009-06-06 2013-05-11 Swancor Ind Co Ltd A method of increasing the shelf life of a vinyl ester resin or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GB0915687D0 (en) 2009-09-08 2009-10-07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s
KR101164393B1 (ko) 2009-09-11 2012-07-0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태양 전지 백 시트, 태양 전지
EP2415829A1 (de) 2010-07-30 2012-02-08 Schaefer Kalk GmbH & Co. KG Trockene Flüssigkeit
GB2488787A (en) 2011-03-07 2012-09-12 Dupont Teijin Films Us Ltd Stabilised polyester films
JP5619802B2 (ja) * 2011-03-09 2014-1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EP2692912A4 (en) * 2011-03-31 2014-10-15 Kolon Inc METHOD FOR PRODUCING A POLYETHYLENE TREEPHTHALATE FIBER, DY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AND TIRE CORD THEREOF
GB201310837D0 (en) 2013-06-18 2013-07-31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 -IV
GB201317551D0 (en) 2013-10-03 2013-11-20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extruded polyester films
JP2016094580A (ja) * 2014-11-17 2016-05-26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フルオレンオリゴ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GB201707356D0 (en) 2017-05-08 2017-06-21 Dupont Teijin Films U S Ltd Partnership Hydrolysis resistant polyester film
EP3670180A1 (de) 2018-12-17 2020-06-24 LANXESS Deutschland GmbH Multischichtsystem aus mindestens 3 polyesterschichten,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9149A1 (de) * 1969-06-09 1970-12-23 Hoechst Ag Verfahren zur Endgruppenmodifizierung von Polyestern
JP3228977B2 (ja) * 1991-03-14 2001-11-12 ジョーンズ・マンヴィ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ルボジイミド変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4044326A1 (de) * 2004-09-10 2006-03-1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ydrolysebeständige Folie aus einem Polyester mit Hydrolyseschutzmittel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04044325A1 (de) * 2004-09-10 2006-03-1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ydrolysebeständige Folie aus einem Polyester mit Hydrolyseschutzmittel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33B1 (ko) * 2007-12-21 2010-05-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956331B1 (ko) * 2007-12-21 2010-05-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연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30079485A (ko) * 2010-08-18 2013-07-10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내가수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16157A1 (de) 2007-10-11
US20070238816A1 (en) 2007-10-11
EP1842871A1 (de) 2007-10-10
JP2007302878A (ja)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0164A (ko)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폴리에스테르필름
US7229697B2 (en) Hydrolysis-stable film comprising a polyester with a hydrolysis stabiliz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70100165A (ko) 가수분해 안정제를 갖는 가수분해 저항성 다층폴리에스테르 필름
US7241507B2 (en) Hydrolysis-stable film comprising a polyester with a hydrolysis stabiliz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5390344B2 (ja) エポキシ化脂肪酸誘導体および鎖延長剤を有する耐加水分解性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8277710B2 (en) Biaxially oriented hydrolysis-stable polyester film comprising epoxidized fatty acid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101226920B1 (ko) 사슬 연장제를 포함하는 2축 연신형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E69434360T2 (de) Plastifizierte polyester fuer den einsatz in schrumpffolien
ES2773770T3 (es) Composición para la estabilización hidrolítica de poliéste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