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592A -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절삭구 - Google Patents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절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592A
KR20070099592A KR1020077015538A KR20077015538A KR20070099592A KR 20070099592 A KR20070099592 A KR 20070099592A KR 1020077015538 A KR1020077015538 A KR 1020077015538A KR 20077015538 A KR20077015538 A KR 20077015538A KR 20070099592 A KR20070099592 A KR 2007009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aterial
cutting
base material
laminated body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295B1 (ko
Inventor
히사야 가또오
Original Assignee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6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with slitting or removal of material at reshaping area prior to re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4Partial cutting [e.g., grooving or inc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6Cutting to shape joining edge surface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82Partial cutting bonded sandwich [e.g., grooving or inc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의 제조 장치를 얻을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장치(1)는 기재(51)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5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53)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부(54a)를 갖는 제2 절결부(54)를 형성하는 절삭 기구(3)와,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절곡 부재[막대 형상 부재(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치, 기재, 화장재, 절삭 기구, 절결부, 원호 형상부

Description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 {LAMINATED BOD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UTTER USE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파티클 보드제 등의 기재와, 이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적층되는 멜라민 수지제 등의 화장재로 이루어지는 적층체가 알려져 있다. 이 적층체는, 각종 카운터, 도어, 바닥, 벽 등의 건재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기재의 표면 및 측면을 곡면 가공한 후 샌딩 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에 그 기재의 표면에 화장재를 접착하고, 이어서 그 화장재를 가열하면서 절곡하여 기재의 측면에 접착하는 방법(「포스트 폼 가공」이라고도 함)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적층체는 그 용도 등에 따라서는,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5 ㎜ 이하의 작은 것이 요망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 방법에서는 멜라민 수지제 등의 화장재에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그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약 10 ㎜ 정도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요망에 따를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우선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여 기재에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화장재의 이면측을 절삭하여 화장재에 제2 절결부를 형성하고, 다음에 화장재를 제2 절결부에서 절곡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화장재를 박육화하여 절곡하기 쉽게 함으로써,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2 내지 3 ㎜인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기재 및 화장재를 절삭하는 절삭구로서, 제1 절삭면[절결 절삭면(9)]과, 이 제1 절삭면에 교차하는 제2 절삭면[박육 절삭면(10)]과, 이들 제1 및 제2 절삭면을 연락하는 경사면을 갖는 절삭날[커터(8)]을 구비하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상기 특허 문헌 1의 도6 등 참조). 따라서, 상기 특허 문헌 1에서는 화장재의 제2 절결부에 있어서의 절곡 부위에 평면이 교차되는 모서리부가 형성되게 되고, 그 모서리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화장재가 파손되므로, 현재의 상태에서는 불량품의 발생률이 매우 높은 것이었다. 특히, 불량품으로서 화장재의 표면에 선 형상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경할 때마다, 절곡 공정에서의 안내 롤러나 안내 패드 등의 배치를 미세 조정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기재의 제1 절결부와 화장재의 제2 절결부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여, 화장재의 절곡 시에 접착제에 완충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5887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현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는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절삭 기구와,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절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2. 상기 절삭 기구는 절삭날을 갖는 절삭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이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제1 절삭면과,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제2 절삭면을 갖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상기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는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3.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상기 2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4.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더 구비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5.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을 안내하는 제2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을 안내하는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6.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을 안내하는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7.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D)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내 부재, 상기 제2 안내 부재, 상기 제3 안내 부재 및 상기 절삭구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8. 상기 절곡 부재가 막대 형상 부재인 상기 1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장치.
9.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절삭구에 의해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를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인 상기 9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상기 9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2.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반송 중에 행해지는 공정인 상기 9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3.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상기 12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상기 12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D)를 변경 가능한 공정인 상기 13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6. 상기 화장재의 절곡 공정은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인 상기 9에 기재된 적층체의 제조 방법.
17.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재가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8.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상기 17에 기재된 적층체.
19.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이며,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는 제1 절삭면과,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를 절삭하는 제2 절삭면을 갖는 절삭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구.
20.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상기 19에 기재된 절삭구.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절삭 기구에 의해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화장재의 이면측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절곡 부재에 의해, 화장재가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되고,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재를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절곡하도록 하였으므로,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경하는 경우라도, 절곡 부재의 배치를 조정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필요 최소한(기본적으로는 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제1 절결부와 화장재의 제2 절결부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을 필수로는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절삭 기구가 절삭날을 갖는 절삭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이 제1 절삭면과 제2 절삭면을 갖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상기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경우에는,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을 1 내지 3 ㎜로 마무리할 수 있어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재의 표면에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기재 및 화장재의 반송 중에, 제1 및 제2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화장재를 절곡할 수 있다. 특히, 기재의 상면에 화장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재를 하측으로 하고, 또한 화장재를 상측으로서 반송할 경우에는 화장재의 상면에 기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재 및 화장재의 일체물을 반송하는 데 비해, 화장재의 표면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및 화장재를 일체화하는 공정으로부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까지 기재 및 화장재를 반전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 기구가 제1 안내 부재, 제2 안내 부재 및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안내 부재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절결부를 더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내 부재에 의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이 안내되므로, 예를 들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을 흡착 등으로 하는 데 비해, 절삭 기구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 기구가 제1 안내 부재 및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3 안내 부재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절결부를 더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안내 부재에 의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이 안내되므로, 예를 들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을 흡착 등으로 하는 데 비해, 절삭 기구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 기구가 상기 제1 안내 부재, 제2 안내 부재, 제3 안내 부재 및 상기 절삭구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한 제1 내지 제3 안내 부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 등에 따라 기재의 절삭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절삭구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다른 복수종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 부재가 막대 형상 부재인 경우에는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절곡 부재, 나아가서는 장치 전체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우선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화장재의 이면측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고, 다음에 화장재가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되고,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재를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절곡하도록 하였으므로,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경할 경우라도, 절곡 부재의 배치를 조정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필요 최소한(기본적으로는 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제1 절결부와 화장재의 제2 절결부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을 필수로는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절삭구에 의해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를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경우에는,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이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반송 중에 행해지는 공정인 경우에는, 기재 및 화장재의 반송 중에 제1 및 제2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화장재를 절곡할 수 있다. 특히, 기재의 상면에 화장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재를 하측으로 하고 또한 화장재를 상측으로서 반송할 경우에는 화장재의 상면에 기재를 고정한 상태에서 기재 및 화장재의 일체물을 반송하는 데 비해, 화장재의 표면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및 화장재를 일체화하는 공정으로부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까지 기재 및 화장재를 반전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상기 기재의 측면, 상기 화장재의 표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경우에는,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절결부를 더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을 흡착 등으로 하는 데 비해, 절삭 기구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상기 기재의 측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표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경우에는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절결부를 더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을 흡착 등으로 하는 데 비해, 절삭 기구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D)를 변경 가능한 공정인 경우에는,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한 제1 및 제2 안내 부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 등에 따라 기재의 절삭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절삭구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다른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절곡 공정이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인 경우에는, 화장재를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전체를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 따르면, 화장재가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되고,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화장재를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절곡할 수 있어, 불량품의 발생률을 저하시키면서 곡면부의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를 변경할 경우라도, 절곡 부재의 배치를 조정하는 등의 번잡한 작업을 필요 최소한(기본적으로는 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제1 절결부와 화장재의 제2 절결부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하는 것을 필수로는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경우에는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삭구에 따르면, 제1 절삭면에 의해 기재의 모서리측이 절삭되어 제1 절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2 절삭면에 의해 화장재의 이면측이 절삭되어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경우에는,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을 1 내지 3 ㎜로 마무리할 수 있어,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적층체의 제조 장치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절삭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2의 Ⅲ 화살표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절삭구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V 화살표 확대도이다.
도6은 기재 및 화장재의 반송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7은 기재 및 화장재의 절삭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8은 화장재의 가열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9는 화장재의 절곡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10은 화장재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적층체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제조 장치
2 : 컨베이어 기구
3 : 절삭 기구
20 : 절삭구
21 : 제1 안내 롤러
22 : 제2 안내 롤러
25 : 절삭날
26 : 제1 절삭면
27 : 제2 절삭면
27b : 원호 형상면
32 : 막대 형상 부재
50 : 적층체
51 : 기재
52 : 화장재
53 : 제1 절결부
54 : 제2 절결부
54a : 원호 형상부
1. 적층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체는, 이하에 서술하는 기재 및 화장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어 가구의 표면재, 바닥재, 벽재, 도어재, 구획재, 카운터재 등의 건재용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적층체(50)의 곡면부(50a)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1.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일 수 있다(도11 참조).
상기「기재」는, 그 모서리측에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그 재질,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기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보드, 중질섬유판(MDF), 목질단판, 목질합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리사이클성 및 저가격 등의 관점으로부터 파티클 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제1 절결부」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제1 절결부의 절삭 깊이(D)(도5 참조)는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즉, 이 절삭 깊이(D)를 깊게 하면 비교적 큰 곡률 반경의 곡면부가 형성되고, 절삭 깊이(D)를 얕게 하면 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의 곡면부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절결부(53)는, 예를 들어 원호 형상부(53a)를 가질 수 있다(도5 참조). 이 원호 형상부의 형상 및 곡률 반경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원호 형상부는, 통상적으로 제1 절결부 중 후술의 제2 절결부의 일단부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부와 연속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 형상부(53a)는, 예를 들어 1개의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2 이상이 다른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원호 형상부(53a)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2 절결부(54) 에 형성된 원호 형상부(54a)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원호 형상부(53a)의 곡률 반경이 2 ㎜ 이하, 특히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화장재」는, 그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그 재질,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화장재의 재질로서는 멜라민 수지, 댑(DAP)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화장재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박에 수지 시트를 적층하거나, 금속박의 표리에 수지층을 적층하거나 하여 이루어지는 금속조 화장재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 화장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0.8 내지 1.2 ㎜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는, 예를 들어 단층 구조라도 좋고, 복층 구조라도 좋다.
상기「제2 절결부」는 원호 형상부를 갖는 한, 그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제2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재의 두께가 박육부 두께(T)(도5 참조)는, 화장재의 재질 및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를 제외하는 평면부의 절삭 길이(L)(도5 참조)는,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 절삭 길이(L)의 중점이 기재의 측면의 위상과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원호 형상부」는,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는 한, 그 형상 및 곡률 반경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원호 형상부(54a)는, 통상적으로 제2 절결부(54) 중의 상기 제1 절결부(53)의 일단부측과 연속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상기 원호 형상부는, 예를 들어 1개의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2 이상이 다른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 보다 1.2 내지 2.8 ㎜, 특히 1.5 내지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률 반경이 1 ㎜ 이상이면 절삭구의 칼날끝의 결손을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곡률 반경이 3 ㎜ 이하이면 화장재를 극소의 곡률 반경을 갖고 더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적층체의 제조 장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이하에 서술하는 절삭 기구 및 절곡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적층체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반송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절삭 기구」는,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상기 제1 절결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기구인 한, 그 구조 및 형성 형태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절삭 기구는, 예를 들어 1 또는 2 이상의 절삭날을 갖는 절삭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절삭날은, 이하에 서술하는 제1 절삭면 및 제2 절삭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제1 절삭면」은,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그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제1 절삭면(26)에는, 예를 들어 제2 절삭면(27)의 일단부측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26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5 참조). 이 원호 형상면(26b)에 의해 절삭구의 칼날끝의 결손이 억제된다.
상기 원호 형상면(26b)은, 예를 들어 1개의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2 이상이 다른 곡률 반경의 원호면을 갖고 있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원호 형상면(26b)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2 절삭면(27)에 형성된 원호 형상면(27b)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원호 형상면(26b)의 곡률 반경이 2 ㎜ 이하, 특히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제2 절삭면」은,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그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제2 절삭면(27)에는, 상기 제1 절삭면(26)의 일단부측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27b)이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상기 원호 형상면(27b)은, 상기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그 형상 및 곡률 반경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원호 형상면(27b)은, 예를 들어 1개의 곡률 반경의 원호면으로 되어 있거나, 2 이상이 다른 곡률 반경의 원호면으로 되어 있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 원호 형상면(27b)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 보다 1.2 내지 2.8 ㎜, 특히 1.5 내지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를 소정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1 내지 3 ㎜ 등)으로 마무 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절삭면의 원호 형상면을 제외한 평면의 길이(L)(도5 참조)는, 예를 들어 3.2 내지 4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8 ㎜)일 수 있다.
상기 제2 절삭면에 의한 화장재의 박육부 두께(T)(도5 참조)는, 예를 들어 0.2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구에 의한 절삭 가공은, 통상적으로 기재의 표면에 평판 형상의 화장재를 고정하여,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이 오버행 형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행해진다.
상기「절곡 부재」는,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할 수 있는 한, 그 구조 및 절곡 형태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절곡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1 또는 2 이상의 막대 형상 부재, 안내 롤러, 안내 패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간이하면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등의 관점으로부터, 막대 형상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막대 형상 부재는, 예를 들어 반송 방향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반송 기구」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기재 및 화장재를 반송하는 기구인 한, 그 구조 및 반송 형태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이 경우, 상기 절삭 기구 및 절곡 부재는, 통상적으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한 반송 경로에 따라 병설된다. 또한, 그 반송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1) 상기 기재의 상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기재를 하측으로 하고 또한 화장재를 상측으로 하여 반송하는 형태, (2) 상기 기재의 하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화장재 를 하측으로 하고 또한 기재를 상측으로 하여 반송하는 형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반송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각종 컨베이어 기구 및 반송 롤러를 핸들링 로봇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및 화장재의 고정 형태는 특별히 상관없지만, 통상적으로 양자는 접착되어 있다.
상술한 반송 기구를 구비할 경우, 상기 절삭 기구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절삭구(20)와,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 부재(21)와,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을 안내하는 제2 안내 부재(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2 참조). 이들 제1 및 제2 안내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추종 롤러, 볼, 슬라이드면 부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안내 부재 사이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절삭구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제1 및 제2 절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삭 기구는, 예를 들어 상기 절삭구(20), 제1 및 제2 안내 부재(21, 22)에다가, 평판 형상의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표면(이면)을 안내하는 제3 안내 부재(23)를 구비할 수 있다(도2 참조). 이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에 대해 절삭구를 더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제3 안내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면 부재, 추종 롤러, 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 제3 안내 부재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지지되어 있거 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 등의 가동 부재에 지지되어 있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표면을 소정의 압박력으로 압박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기구(특히, 컨베이어 기구)에 의한 반송 형태로서 상기 (1)을 채용할 경우에는, 제1, 제2 및 제3 안내 부재(21, 22, 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송 기구(특히, 컨베이어 기구)에 의한 반송 형태로서 상기 (2)를 채용할 경우에는, 제1 및 제3 안내 부재(21, 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 기구는, 예를 들어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를 변경할 수 있게, 상기 제1 안내 부재, 제2 안내 부재, 제3 안내 부재 및 절삭구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지지 기구는, 통상적으로 상기 제1 안내 부재, 제2 안내 부재, 제3 안내 부재 및 절삭구를 변위 가능하게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지지체(10)와, 상기 지지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동체(11)와,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제1 이동체 사이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제1 이동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나사 기구(12)와, 상기 제1 이동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이동체(13)와, 상기 제2 이동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15)와, 상기 제2 이동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 이동체(14)와, 상기 제3 이동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실린더(16)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이동체에는 그 구동축에 상기 절삭구(20)를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구동 모터(M), 상기 제1 안내 부재(21)를 피봇 지지하는 지지 부재, 상기 제2 안내 부재(22)를 피봇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제3 안내 부재(23)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예로 들 수 있다(도2 및 도3 참조).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절삭 기구에 의해 형성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절삭 기구에 의해 제2 절결부가 형성된 화장재를 가열하는 가열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3.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이하에 서술하는 절결부 형성 공정 및 절곡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적층체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절결부 형성 공정」은,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상기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한, 그 형성 형태 및 순서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은, 예를 들어 1개의 절삭구에 의해 제1 및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삭구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절삭구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구에 의한 절삭 가공은, 통상적으로 기재의 표면에 평판 형상의 화장재를 고정하여,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이 오버행 형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행해진다.
상기「절곡 공정」은,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공정인 한, 그 절곡 형태 및 순서 등은 특별히 상관없다.
상기 절곡 공정은, 예를 들어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 및 절곡 공정은, 예를 들어 기재의 표면에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기재 및 화장재의 반송 중에 행해지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를 반송하는 수단 및 반송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반송 기구 및 반송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 및 절곡 공정이 기재 및 화장재의 반송 중에 행해지는 공정일 경우,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은, 예를 들어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및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은, 예를 들어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상기 화장재의 표면 외에 추가로,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표면(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측면, 화장재의 측면,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이면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안내 부재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은, 예를 들어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를 변경 가능한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으로 형성된 제1 절결부 및 제2 절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절결부 형성 공정에서 제2 절결부가 형성된 화장재를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4. 절삭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절삭구는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이며,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는 제1 절삭면과,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를 절삭하는 제2 절삭면을 갖는 절삭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구에 의한 절삭 가공은, 통상적으로 기재의 표면에 평판 형상의 화장재를 고정하여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이 오버행 형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적층체에 관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적층체에 관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구에 관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절삭구에 관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적층체」로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 재(51)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5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곡면부(50a)를 갖는 적층체(50)를 예시한다. 또한, 파티클 보드제의 기재(51)를 채용하는 동시에, 두께 1 ㎜의 멜라민 수지제의 화장판(52)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1) 적층체의 제조 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적층체의 제조 장치(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컨베이어 기구(2)(본 발명에 관한「반송 기구」로 예시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베이어 기구(2)의 상류측으로부터, 기재(51)의 상면에 화장재(52)가 점착된 상태의 기재(51) 및 화장재(52)의 일체물이 투입되고, 소정의 반송 방향(P)에 따라 반송된다.
상기 컨베이어 기구(2)에 따라, 절삭 기구(3), 도포 기구(4), 가열 기구(5), 롤러 기구(6) 및 트리밍 기구(7)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삭 기구(3)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8)(도1 참조)에 고정된 지지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체(10)에는 제1 이동체(11)가 전후 방향(도면 중에서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체(10) 및 제1 이동체(11) 사이에는 조작 핸들(도시 생략)로 나사축이 회전되는 볼나사 기구(12)가 개재되어 있다. 이 볼나사 기구(12)의 조정에 의해, 지지체(10)에 대해 제1 이동체(11)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어, 후술의 절삭구에 의한 절삭 깊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10), 제1 이동체(11) 및 볼나사 기구(12) 등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지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체(11)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 이동체(1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이동체(13)에는 제3 이동체(1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이동체(13)는 구동 실린더(15)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3 이동체(13)는 구동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절삭구를 절삭 가공 위치와 대피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제3 이동체(14)에는 구동 모터(M)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M)의 구동축에는 절삭구(2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3 이동체(14)에는 기재(51)의 측면을 모방 안내하는 제1 안내 롤러(21)(본 발명에 관한「제1 안내 부재」로 예시함)를 피봇 지지한 지지 부재(도시 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동체(14)에는 화장재(52)의 상면을 모방 안내하는 제2 안내 롤러(22)(본 발명에 관한「제1 안내 부재」로 예시함)를 피봇 지지한 지지 부재(도시 생략)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동체(14)에는 화장재(52)의 절곡 부분(52a)의 이면을 압박하여 안내 부재(23)가 판 스프링(24)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절삭구(2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20 칼날)의 절삭날(25)을 갖고 있다. 각 절삭날(25)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예각(본 실시예에서는 약 45도)으로 교차하는 제1 절삭면(26) 및 제2 절삭면(2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절삭면(26)은 평면(26a)과, 이 평면(26a)의 일단부측에 연속되는 소정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0.5 ㎜)의 원호 형상면(26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1 절삭면(26)에 의해, 기재(51)의 모서리측이 절삭되어 기재(51)에 모따기 형상의 제1 절결부(53)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 절삭면(27)은 평면(27a)과, 이 평면(27a)의 일단부측에 연속되는 소정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2 ㎜)의 제1 원호 형상면(27b)과, 이 평면(27a)의 타단부측에 연속되는 소정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2 ㎜)의 제2 원호 형상면(27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1 원호 형상면(27b)은, 상기 제1 절삭면(26)의 원호 형상면(26b)과 연속되어 있다. 이 제2 절삭면(27)에 의해, 화장재(52)의 이면측이 절삭되어 화장재(52)에 제2 절결부(54)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원호 형상면(27b)에 의해 제2 절결부(54)의 소정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2 ㎜)의 원호 형상부(54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삭면(27)의 평면(27a)의 길이(L)는 3.6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삭면(27)에 의한 화장재(52)의 박육부 두께(T)는 0.5 ㎜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도포 기구(4)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 기구(3)로 절삭 형성된 제1 절결부(53) 및 제2 절결부(54)에 핫멜트 접착제(36)(도8 참조)를 도포하는 도포기(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열 기구(5)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52)의 상면을 가열하는 복수의 히터(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열 기구(5)의 하류측에는 평판 형상으로 반송 방향(P)에 따라서 경사지는 종단면 반원 형상의 막대 형상 부재(32)(본 발명에 관한「절곡 부재」로 예시함)가 배치되어 있다. 이 막대 형상 부재(32)에 의 해, 가열 직후의 화장재(52)가 절곡되어 기재(51)의 측면에 적층되게 된다.
상기 롤러 기구(6)는 2연의 피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리밍 기구(7)는 단부를 트리밍하는 2 군데의 트리밍부(34)를 구비하고 있다.
(2) 적층체의 제조 장치의 작용
다음에, 상기 적층체의 제조 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기구(2)에 의해, 기재(51)의 상면에 화장재(52)가 점착된 상태의 기재(51) 및 화장재(52)의 일체물이 반송 방향(P)에 따라 반송된다. 그리고, 그 일체물이 절삭 기구(3)까지 반송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51)의 측면이 제1 안내 롤러(21)에 의해 모방 안내되는 동시에, 화장재(52)의 상면이 제2 안내 롤러(22)에 의해 모방 안내되고, 또한 화장재(52)의 절곡 부분(52a)의 이면이 압박되어 안내 부재(23)에 의해 압박 안내된다. 그 안내 상태에 있어서, 회전 구동되는 절삭구(20)에 의해 기재(51)의 모서리측이 절삭되어 제1 절결부(53)가 형성되는 동시에, 화장재(52)의 이면측이 절삭되어 제2 절결부(54)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일체물이 도포 기구(4)까지 반송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53) 및 제2 절결부(54)에 핫멜트 접착제(36)가 도포된다. 다음에, 그 일체물이 가열 기구(5)까지 반송되면, 상방으로부터 히터(31)에 의해 화장재(52)의 상면이 가열된다. 그 후, 그 일체물이 가열 기구(5)의 하류측까지 반송되면, 도9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막대 형상 부재(32)에 의해 화장재(52)의 절곡 부 분(52a)이 절곡되고, 최종적으로 기재(51)의 측면에 화장재(52)의 절곡 부분(52a)이 적층된다(도10 참조).
다음에, 상기 일체물이 롤러 기구(6)까지 반송되면, 2연의 피치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 그 일체물이 트리밍 기구(7)까지 반송되면, 트리밍부(34)에 의해 단부가 트리밍된다. 그 결과, 극소의 곡률 반경(예를 들어, 3 ㎜)의 곡면부(50a)를 갖는 적층체(50)(도11 참조)가 얻어진다.
(3) 실시예의 효과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구(20)에 의해 기재(51)의 모서리측을 절삭하여 제1 절결부(53)를 형성하는 동시에 화장재(52)의 이면측을 절삭하여 제2 절결부(54)를 형성하고, 막대 형상 부재(32)에 의해 화장재(52)를 제2 절결부(54)의 원호 형상부(54a)(도9 참조)에서 절곡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장재(52)의 절곡 시에 제2 절결부(54)의 원호 형상부(54a)로 응력이 양호하게 분산되어 절곡의 곡률 반경을 매우 작게 해도 화장재의 파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화장재측의 절결부에 평면의 교차되는 모서리부가 있는 데 비해, 불량품(예를 들어, 화장재의 파손 및 선 형상 흔적 등)의 발생률을 대폭 저하시키면서 극소의 곡률 반경의 곡면부(50a)를 갖는 적층체(50)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품[적층체(50)]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경우라도, 막대 형상 부재(32)의 배치를 미세 조정하는 등 번잡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기재(51)의 제1 절결부(53)와 화장재(52)의 제2 절결부(54) 사이에 접착제를 반드시 충전할 필요는 없다. 또한, 화장재(52)의 이면측에 제2 절결부(54)를 형성하였으므로, 화장재를 가 열할 때에 화장재(52)의 박육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빨리 온도가 상승되게 되어 효율적으로 절곡 부위만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에 의한 화장판(52)의 윤기결점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결부(53, 54)에 핫멜트 접착제(36)를 도포하는 것이라도 마찬가지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절곡되는 부위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제품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포스트 폼 가공에서는 기재의 곡면 가공이나 샌딩 마무리를 필요로 하고 있었지만, 본 제조 장치(1)에서는 그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절삭량을 경감 및 재료 수율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고, 또한 가공 중의 소음 등을 억제하여 양호한 작업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장치(1) 전체를 간이하면서 저렴한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가공 공간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포스트 폼 가공에서는 적층체의 곡면부의 곡률 반경을 변경할 때마다, 프레스 롤러의 세트 및 안내 패드의 세트를 바꿀 필요가 있었지만, 본 제조 장치(1)에서는 그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번잡한 마무리 작업을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구(20)의 각 절삭날(25)에 제1 및 제2 절삭면(26, 27)을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 1개의 절삭구(20)에 의해 제1 및 제2 절결부(53, 54)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 기구(2)에 의해 기재(51)의 상면에 화장재(52)가 고정된 상태로 기재(51) 및 화장재(52)의 일체물을 반송하고, 그 반송 중에 제1 및 제2 절결부(53, 54)를 형성하는 동시에 화장재(52)를 절곡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장재의 상 면에 기재를 고정한 상태로 기재 및 화장재의 일체물을 반송하는 데 비해, 화장재의 표면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및 화장재를 일체화하는 공정으로부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까지 기재 및 화장재를 반전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안내 롤러(21), 제2 안내 롤러(22) 및 압박 안내 부재(23)에 의해, 기재(51) 및 화장재(52)를 안내 지지한 상태로 절삭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이들 기재(51) 및 화장재(52)에 대해 절삭구(20)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1 및 제2 절결부(53, 54)를 더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10)에 대해 제3 이동체(14)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마련하였으므로, 제1 안내 롤러(21), 제2 안내 롤러(22) 및 압박 안내 부재(23)의 안내 위치와 함께, 절삭구(20)에 의한 기재(51)의 절삭 깊이(D)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절삭구(20)로, 곡면부(50a)의 곡률 반경이 다른 복수종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절삭구(20)에 의한 화장재(52)의 박육부 두께(T)를 변경하면, 보다 광범위한 곡률 반경의 곡면부(50a)를 갖는 적층체(5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된 실시예로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멜라민 수지제의 화장재(52)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속박(예를 들어, 알루미늄 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조 화장재(52)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가열 기구(5)에 의한 화장재의 가열을 생략(또는, 저온 가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재의 표면의 손상 방지용 필름을 녹이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절삭구(20)에 의해 제1 절결부(53) 및 제2 절결부(54)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절결부(53)를 형성하는 제1 절삭구와, 제2 절결부(54)를 형성하는 제2 절삭구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51)의 상면에 화장재(52)를 고정한 상태로 기재(51) 및 화장재(52)의 일체물을 반송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장재의 상면에 기재를 고정한 상태로 기재 및 화장재의 일체물을 반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체에 있어서, 기재의 한쪽의 표면 또는 양쪽의 표면에 화장재가 적층되어 있거나, 기재의 한쪽 측면 또는 양쪽 측면에 화장재가 적층되어 있거나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적층체에서는 기재의 1 군데의 모서리부에 극소의 곡률 반경의 곡면부(50a)를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재의 2 군데 이상의 모서리부에 곡면부(50a)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이용된다. 특히, 가구의 표면재, 바닥재, 벽재, 도어재, 구획재, 카운터재 등의 건재용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Claims (20)

  1.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절삭 기구와,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절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기구는 절삭날을 갖는 절삭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이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제1 절삭면과,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을 절삭하여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제2 절삭면을 갖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상기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는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적층체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기 재 및 상기 화장재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을 안내하는 제2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을 안내하는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측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기구로 반송되는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을 안내하는 제3 안내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기구는,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D)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내 부재, 상기 제2 안내 부재, 상기 제3 안내 부재 및 상기 절삭구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하는 적층체의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부재가 막대 형상 부재인 적층체의 제조 장치.
  9.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 제1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화장재를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절삭구에 의해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를 절삭하여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은, 상기 기재의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반송 중에 행해지는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상기 화장재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반대측의 표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 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반송 중의 상기 기재의 측면 및 상기 화장재의 절곡 부분의 상기 기재가 고정된 측의 이면이 안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결부 및 상기 제2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기재 및 상기 화장재의 안내 위치와 함께, 상기 기재의 절삭 깊이(D)를 변경 가능한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의 절곡 공정은 막대 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화장재를 절곡하는 공정인 적층체의 제조 방법.
  17.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며,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에는 제1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원호 형상부를 갖는 제2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재가 상기 제2 절결부의 상기 원호 형상부에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부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적층체.
  19. 기재의 표면 및 측면에 화장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절삭구이며,
    표면에 상기 화장재가 고정된 상기 기재의 모서리측을 절삭하는 제1 절삭면과, 상기 화장재의 이면측의 상기 제1 절결부와 대응하는 부위를 절삭하는 제2 절삭면을 갖는 절삭날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절삭면의 제1 절삭면에 연속되는 부위에 원호 형상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형상면의 곡률 반경이 1 내지 3 ㎜인 절삭구.
KR1020077015538A 2005-05-13 2006-03-17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절삭구 KR100888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1913 2005-05-13
JP2005141913A JP3739383B1 (ja) 2005-05-13 2005-05-13 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CT/JP2006/305440 WO2006120800A1 (ja) 2005-05-13 2006-03-17 積層体、そ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に用いられる切削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592A true KR20070099592A (ko) 2007-10-09
KR100888295B1 KR100888295B1 (ko) 2009-03-11

Family

ID=3579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38A KR100888295B1 (ko) 2005-05-13 2006-03-17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절삭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42151B2 (ko)
EP (1) EP1880838B1 (ko)
JP (1) JP3739383B1 (ko)
KR (1) KR100888295B1 (ko)
CN (1) CN101111378B (ko)
DK (1) DK1880838T3 (ko)
ES (1) ES2545075T3 (ko)
MY (1) MY141163A (ko)
TW (1) TW200722253A (ko)
WO (1) WO2006120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209B2 (ja) * 2005-09-20 2010-12-22 加藤木材工業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DE102008034828B4 (de) * 2008-07-22 2010-05-12 Flooring Technologies Ltd. Beschichtete dekorative Trägerplatte (DPL) mit Biegekan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beschichteten Trägerplatte
CN103240948B (zh) * 2013-05-15 2015-07-22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天窗遮阳板自动包边机构
CN105960495B (zh) * 2014-05-29 2018-10-09 爱克工业株式会社 装饰材料、装饰材料的制造方法及壁面结构
DE102016221577A1 (de) * 2016-11-03 2018-05-03 Homag Gmbh Verfahren zur Beschichtung unsteter Oberflächen, Vorrichtung sowie Bauelement
JP6378463B1 (ja) * 2018-03-30 2018-08-22 加藤木材工業株式会社 被覆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7229855B2 (ja) * 2019-06-05 2023-02-28 株式会社ウッドワン フラッシュ構造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86507A (ko) * 1972-12-28 1974-08-19
US3841369A (en) * 1973-02-16 1974-10-15 E Roche Seamless edge lamination apparatus
JPS5470407A (en) * 1977-11-10 1979-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wood cabinet
AU607718B2 (en) * 1986-10-30 1991-03-14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d and molded article prepared therefrom
JPH01104305U (ko) * 1987-12-29 1989-07-13
JPH01178643A (ja) * 1987-12-29 1989-07-14 Sekisui House Ltd 化粧単板貼り木材
ES2135612T3 (es) * 1995-03-21 1999-11-01 Homag Maschinenbau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vestir el lado estrecho de una pieza con materiales de madera.
JP2002052650A (ja) * 2000-08-08 2002-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板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並びに扉
ES1048527Y (es) * 2001-03-09 2001-12-16 Naisa Naves En Alquiler Para L Pieza perfeccionada para el laminado de tableros.
JP2004358873A (ja) * 2003-06-06 2004-12-24 Aica Kogyo Co Ltd 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16945A1 (en) 2008-09-11
EP1880838B1 (en) 2015-07-08
MY141163A (en) 2010-03-31
WO2006120800A1 (ja) 2006-11-16
CN101111378B (zh) 2011-01-12
TWI325363B (ko) 2010-06-01
TW200722253A (en) 2007-06-16
JP3739383B1 (ja) 2006-01-25
KR100888295B1 (ko) 2009-03-11
ES2545075T3 (es) 2015-09-08
CN101111378A (zh) 2008-01-23
JP2008062385A (ja) 2008-03-21
US7842151B2 (en) 2010-11-30
DK1880838T3 (en) 2015-10-12
EP1880838A1 (en) 2008-01-23
EP1880838A4 (en)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295B1 (ko) 적층체, 그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되는절삭구
CA2873316C (en) Covering panel with bevelled edges having varying cross-sec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274135B1 (ko) 압축된 에지를 갖는 건축용 패널
EP2052822B1 (en) Edge-banding method and apparatus
CZ344296A3 (en) Board, particularly hard fiberboard, process of its manufactur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CA2401303C (en) Automated manufacturing line for boxgoods
KR102241632B1 (ko)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4602209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US85182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ated profile members
JPH11123624A (ja) 高精度加工機械
RU88921U1 (ru) Гнутая деталь фасада
US20040134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wood products
JP5889830B2 (ja) 化粧材の接着方法及び被覆製品の製造方法
JP2006315387A5 (ko)
JP5889829B2 (ja) 化粧材の接着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0780211A1 (en) Method and production line for producing panels covered with a top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