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074A -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074A
KR20070098074A KR1020060029258A KR20060029258A KR20070098074A KR 20070098074 A KR20070098074 A KR 20070098074A KR 1020060029258 A KR1020060029258 A KR 1020060029258A KR 20060029258 A KR20060029258 A KR 20060029258A KR 20070098074 A KR20070098074 A KR 2007009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glycerin
feeling
cosmetic composition
p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178B1 (ko
Inventor
김지은
김한곤
강병영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2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1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을 사용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a)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끈적임 없이 오일을 함유한 듯한 에몰리언트한 사용감과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낸다.
보습력 * 투명 * 글리세린 * 화장료

Description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lear cosmetic compositions for high moisturization without emollient}
도 1은 본 발명에서 보습 유지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오일을 사용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a)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끈적임 없이 오일을 함유한 듯한 에몰리언트한 사용감과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낸다.
보습 제품의 개발은 단순히 건조한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는 제품에서 한발 더 나아가, 현재는 미백, 주름, 피부 재생 등 많은 부분에서 기능성 원료의 좀더 좋은 효능을 위해 보습력 향상 기술이 베이스화 되고 있는 상황이다.
고보습 화장료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상의 성분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유상에 포함되는 오일이나 왁 스의 함량을 늘이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보습력과 보습 지속력을 높일 수 있으나 사용감면으로 흡수가 느려지고, 끈적임, 번들거림 등 부정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기 쉽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로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BG, 솔비톨과 같은 다가알코올 등이 수분과 결합 또는 수분을 둘러싸서 피부 내에 수분이 머무를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다. 각질층에서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는 NMF(natural moisturizing fator) 역시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카테고리의 보습원료의 단점은 고보습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고함량을 사용할 시에 끈적임이 심하게 나타나 불쾌한 사용감을 보일 수 있으며, 사용량의 한계로 수분을 함유하는 능력은 좋으나 보습감에 대한 지속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성분들은 피부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며 결과적으로 피부 보습력을 높여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BG, 솔비톨과 같은 다가알코올 등을 사용하는 것은 보습유지력면에서는 오일, 왁스에 의한 방법보다 낮으나, 흡수감, 끈적임, 번들거림 등의 부정적 효과를 낮추는데는 효과적이다.
이 외에도 피부 장벽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이용한 보습이 있다.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와 같이 피부 장벽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라마이드, 필라그린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들이 이 카테고리에 속한다. 가장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부분으로서, 항상성을 유지하게끔 도와주며 보습에 대한 근원적 인 부분에 대한 접근이라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제형을 사용하였을 때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보습감을 느끼기에는 오래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효과마저 미약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 컨셉 원료로 그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대표적인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그 유도체를 함유하고 그 외 PEG. PPG-17. 6 코폴리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동시에 함유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오일을 사용한 것과 같은 에몰리언트하게 윤기가 나며 끈적이지 않는 차별화된 사용감과 투명한 외관으로 고보습용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을 함유하지 않고 끈적임 없이 에몰리언트한 사용감과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내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a)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a)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여 끈적임 없이 오일을 함유한 듯한 에몰리언트한 사용감과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글리세린은 지방(脂肪) 또는 유지(油脂)를 분해해서 만든 무색투명한 끈끈한 액체로 화장품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이고,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보습 성분으로 피부가 수분을 유지하도록 돕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상기 글리세린은 기타 다른 다가알코올류의 보습제보다 우수한 보습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보습제로 도톰하면서 부드럽게 발리는 특징을 보여 로션이나 크림 등의 기초 제품과 메이크업 제품, 비누 등에 널리 사용되나, 높은 보습 효과를 위해 단독으로 고함량 사용 시에 끈적임과 피부 답답함이 크게 느껴져 보습효과 외에 사용감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글리세린의 높은 보습력과 부드럽고 도톰한 사용감은 유지하면서 끈적임과 답답함 등의 사용감적인 부정적 요소를 배제시킨 원료가 바로 글리세린 유도체류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원료는 글리세르스(Glycereth) 26과 PEG. PPG. 폴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이다. 상기 각 원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글리세르스(Glycereth) 26의 화학 조성은 글리세린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ether)를 붙인 것이며, PEG. PPG. 폴 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은 보습유 중에서 글리세린 골격을 갖는 유지(트리글리세리드)에 착목한 식물성 글리세린 알킬렌 옥시드 유도체로서 글리세린과 비교하여 기기적 측정 보습력은 다소 미약하나 사용감적으로 느껴지는 촉촉함 등의 보습감은 우수한 원료로 동량 글리세린과 비교하여 끈적임이 현저하게 낮은 특징을 보인다. 상기 두 원료 글리세르스(Glycereth) 26과 PEG. PPG. 폴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사용감적인 면에서 비슷하지만, 글리세르스(Glycereth) 26이 좀더 도톰하게 발리고 잔여감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과 그 유도체인 글리세르스(Glycereth) 26 및 PEG. PPG. 폴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함유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3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함량이 5 중량% 미만에서는 에몰리언트를 사용한 것과 같은 우수한 보습력과 사용감을 나타내기 어려우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소 끈적임이 올라오고 답답함이 느껴지는 사용감적으로 부정적인 요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로 적당하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는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은 화장품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로서, 글리세린(Glycerin)과 비교하여 얇게 발리며 보습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다소 서걱한 사용감으로 끈적임이 전혀 없는 특징이 있어 끈적한 사용감을 나타내는 원료와 함께 사용시 끈적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그 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원료의 특성을 이용하여 고함량의 보습제를 사용하면서 끈적임은 적고 에몰리언트를 사용한 것과 같은 리치한 사용감을 보이는 제형을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0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함량이 0.5 중량% 미만에서는 성분(a)와 함께 사용시 성분(a)의 끈적이는 사용감적인 부정적 요소의 개선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는 보습력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성분(a)의 단독 사용시 보다 끈적임은 다소 적으나 답답한 사용감의 부정적인 요소가 발생하는 이유로 화장료 조성물로 적당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a) 및 성분(b)를 동시에 함유하며, 그 성분(a):성분(b)의 비율은 중량비로 3:1 ~ 10:1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를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각각의 보습제를 혼합한 후, 점도를 높이기 위한 점증제로서 카보머와 트리에탄올아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22625760-PAT00001
시험예 1: 보습 유지력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제형의 보습 유지력 측정을 위하여 하기 도 1과 같은 장치에서 뚜껑 위 필터 위에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의 제형을 바른 후 아래 부분의 물이 증발되는 양을 측정하여 수분 증발억제력을 측정하였다. 피부수분증발억제력을 평가한 이유는 이 항목이 보습유지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측정 시험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용기 안에 물을 채우고 뚜껑에 얇은 막을 덮은 후, 막 위에 시료를 일정하게 도포하고 이 후 용기의 무게 변화를 2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각 시료가 피부 위에서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모사하려고 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무도포군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대조군
24시간 후 수분 증발량 (g) 0.8 0.85 0.91 0.9 0.91 0.89 0.83 0.9 0.97 1.1 0.82 2.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글리세린 외 글리세린 유도체를 함께 사용한 경우에서 수분 증발량에서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용감 개선을 위해 함께 사용한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의 경우에서도 크게 보습 효과 개선은 없었으나 다소 보습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5의 경우와 같이 오일이 2% 들어간 경우는 수분 증발량이 실시예1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나 제형 외관상 오일이 들어가면서 투명한 제형은 만들기 어려웠고, 또한 유화 제형이 아닌 가용화 제형의 경우는 점증제를 다량 사용하여 점도를 높이는 외에는 곧 분리되어 안정도가 크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예 2 :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의 사용감을 평가해보았다. 평가는 화장품 사용감 평가에 관한 전문 훈련을 받은 평가자 10명의 관능평가로서 수행하였다. 평가 항목은 끈적임 항목과 보습감 항목을 수행하였고, 평가는 끈적임 평가는1~5점으로 하였고 끈적임이 적은 경우 1점으로 많은 경우를 5점으로 하였으며, 보습감 평가 또한 1~5점으로 평가하여 보습감이 높은 경우를 5점 낮은 경우를 1점으로 하였다. 각 제품을 도포 후 평가 항목의 점수를 10명의 평균값을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끈적임 3.8 2.5 2.1 1.88 1.93 1.90 4.95 4.3 4.12 3.9
보습감 4.2 4.8 4.78 4.74 4.68 4.70 4.08 3.4 3.25 2.95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끈적임 항목에 있어서 글리세린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가 끈적임 항목이 가장 높았으며, 실시예 1~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리세린과 글리세린 유도체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끈적임 점수가 낮게 나와 사용감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고, 보습감 항목에 있어서는 시험예 1의 결과와 유사하게 실시예의 결과가 비교예의 결과 보다 좋은 평가를 나타냈다. 특히, 수분증발 억제력에서의 결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감성적 평가인 보습감에서는 실시예가 비교예의 경우보다 보습감이 높다는 수치를 얻어 결과적으로 사용감적으로 글리세린 단독 사용보다는 글리세린 유도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사용감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이와 함께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좀더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8 및 비교예 6~9]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실시예 7~8 및 비교예 6~9를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4의 성분 (a)는 글리세린(Glycerin), 글리세르스(Glycereth) 26과 PEG. PPG. 폴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고, 성분 (b)는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성분 (a)와 성분 (b)의 총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로 맞추어 성분 (a)와 성분 (b)의 비율을 달리하여 섞어 준 다음, 점도를 높이기 위한 점증제로서 카보머와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성분(함량;중량%)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성분 (a) 15.0 18.18 20.0 - 10.0 18.75
성분 (b) 5.0 1.82 - 20.0 10.0 1.25
카보머 (Carbomer) 0.5 0.5 0.5 0.5 0.5 0.5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0.5 0.5 0.5 0.5 0.5 0.5
성분(a) : 성분(b) 3 : 1 10 : 1 성분(a) 단독 성분(b) 단독 1 : 1 15 : 1
시험예 3 : 사용감 평가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7~8 및 비교예 6~9의 사용감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끈적임 2.1 2.7 4.96 1.23 1.6 4.21
보습감 4.68 4.82 4.94 2.5 3.87 4.89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8의 경우는 끈적임은 낮으나 그와 더불어 보습력이 글리세린 단독 사용 경우 보다 크게 떨어져 보습력이 나쁘게 나왔고, 비교예 9의 경우는 보습력에 대한 선호도는 좋았으나 사용감적으로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성분 (a):성분 (b)의 적절한 혼합비율은 3:1~10:1로 하는 것이 사용감 및 보습감면에서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 세린 및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동시에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을 함유하여 끈적임 없이 오일을 함유한 듯한 에몰리언트한 사용감과 우수한 보습력을 나타낸다.

Claims (5)

  1. (a) 글리세린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b) PEG. PPG-17. 6 코폴리머(copolymer)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유도체는 글리세르스(Glycereth) 26 및 PEG. PPG. 폴리부틸렌 글리콜(Polybutylene glycol)-8. 5. 3 글리세린(Glycer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30 중량%의 성분 (a) 및 0.5~10 중량%의 성분 (b)를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와 성분 (b)의 비율은 중량비로 3:1 ~ 10:1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29258A 2006-03-31 2006-03-31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58A KR101221178B1 (ko) 2006-03-31 2006-03-31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58A KR101221178B1 (ko) 2006-03-31 2006-03-31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074A true KR20070098074A (ko) 2007-10-05
KR101221178B1 KR101221178B1 (ko) 2013-01-10

Family

ID=3880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58A KR101221178B1 (ko) 2006-03-31 2006-03-31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662B1 (ko) * 2015-02-16 2016-08-04 (주)에스씨엠테크 입술문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582B1 (ko) 2017-02-07 2019-0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3239B1 (ko) 2019-12-30 2022-02-1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톳 추출물 및 괭생이모자반 초음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94B2 (ja) * 1987-01-28 1995-05-17 花王株式会社 保湿用皮膚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662B1 (ko) * 2015-02-16 2016-08-04 (주)에스씨엠테크 입술문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178B1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850B1 (ko) 립 스틱
CN108014045B (zh) 一种男士护肤组合物及其应用
CN115006285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48733B1 (ko)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78B1 (ko)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30031688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JPH0623088B2 (ja) 化粧料
CN104812361B (zh) 快速渗透的软皮肤护理霜剂
KR101113374B1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3543523B2 (ja) ボディ用化粧料
KR101814379B1 (ko)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KR102108116B1 (ko) 천연성분과 오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2335B1 (ko) 유화 조성물
JPH0429919A (ja) 保湿化粧料
KR20210046392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9121B1 (ko)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이용하여 화장료 제형의 끈적임을 개선하는 방법
JP4216866B2 (ja) 皮膚化粧料
JP3939857B2 (ja) 皮膚化粧料
KR100532698B1 (ko) 미네랄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170119243A (ko)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함량 글리세린 함유 화장료 조성물
JPS59176203A (ja) 皮膚化粧料
JPH09169619A (ja) パック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