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537A -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537A
KR20070097537A KR1020077016865A KR20077016865A KR20070097537A KR 20070097537 A KR20070097537 A KR 20070097537A KR 1020077016865 A KR1020077016865 A KR 1020077016865A KR 20077016865 A KR20077016865 A KR 20077016865A KR 20070097537 A KR20070097537 A KR 2007009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cknowledgment signal
probability
mobile terminal
acknowled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벵트 린도프
요한 닐슨
피터 말름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7009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에서 개선된 ACK/NACK 검출이 게시되어 있다. ACK/NACK 검출은 ACK 신호가 정확하게 검출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DTX가 발생할 확률과 함께 확인/부정 확인 신호의 전력에 관한 정보를 사용한다. DTX가 발생할 확률은 이동 단말기로 발부된 전송 전력 명령을 관측함으로써 결정된다. 전력 하강 명령에 비해 높은 수의 전력 상승 명령은 DTX가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양호하지 않은 품질 업링크를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확인/부정 확인, 전력 전송 명령, 업링크.

Description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ACK/NACK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현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에서의 확인/부정 확인(ACK/NACK) 검출을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 및 NACK 신호는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정확하게 수신되었다면, 수신 유닛은 새로운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도록 전송 유닛에 ACK 신호를 전송한다.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았다면, 수신 유닛는 이전 데이터 블록을 재전송하도록 전송 유닛에 NACK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NACK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것이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ACK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 것은 재전송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ACK 신호보다 N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재전송은 고중 인터페이스에서 지연을 발생시킬 수 있고, 소정의 링크에 대하여 미리규정된 시간 기간에 걸쳐 데이터 블록당 단지 일정 수의 재전송이 전형적으로 허용된다.
ACK/NACK 신호의 검출은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현재 연구되고 있는 강화된 업링크(E-UP) 표준의 중요한 부분이다. 무선 통신 표준 세팅 단 체의 공동연구성과인 3GPP의 목표는 제3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한 기술 사양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요건 중 하나는 강화된 업링크가 대화, 배경(예를 들어, 이메일, 텍스트 메시징, 등),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강조하면, 상당히 감소된 공중-인터페이스 지연, 고 비트 레이트의 개선된 가용성, 개선된 용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강화된 업링크 표준에서, ACK 신호를 전송할지 또는 NACK 신호를 전송할지에 대한 결정은 데이터 패킷 마다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행해진다. 그 후, ACK 또는 N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은 이동국까지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 NACK 신호가 전송될 때 ACK 신호를 검출하면 더 높은 층에서 패킷 에러가 초래된다. 결과적으로, 단일 데이터 패킷 대신(즉, 여기서는 ACK가 NACK에 대해 혼동됨), 데이터 패킷의 전체 세트가 재전송될 필요가 있어서, 공중-인터페이스 지연을 증가시키고, 업링크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강화된 업링크 세션 동안 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보다 N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강화된 업링크는 또한 이동 단말기가 여러 기지국에 접속되는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버 동안 이동 단말기에 접속되는 기지국의 세트는 활성 세트라 칭해진다. 소프트 핸드오버 시에, 활성 세트 내의 각각의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 관계없이 자신의 ACK/NACK 신호를 이동국에 전송한다. 이것은 (다운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경우와 달리) ACL/NACL 신호에 대해 소유될 소프트 핸드오버 이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ACK/NACK 신호 에 대한 신호-대-간섭 비(SIR)는 평균적으로 nbs의 팩터만큼 감소되는데, 여기서 nbs는 활성 세트 내의 기지국의 수이다. 또한, WCDMA(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시스템의 경우에, 다운링크의 합에 대한 전력 제어가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어떤 다운링크에 대한 신호-대-간섭 비는 이러한 다운링크의 독립적인 페이딩(fading)으로 인해 매우 낮을 수 있다. 이것은 소프트 핸드오버 동안 ACK/NACK 신호 검출이 신뢰 불가능해질 위험성을 크기 상승시킨다.
더구나, 업링크가 다양한 CDMA 시스템(예를 들어, WCDMA, CDMA-2000, 등)에서 전력 제어되고(이는 필요한 최소 전력 량만이 사용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함), 활성 세트 내의 기지국 중 단지 하나만이 이동국에 접속되기 때문에, 기지국 중 일부는 순간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접속해제될 수 있는 큰 위험성이 또한 존재한다. 이것이 발생할 때, 데이터 패킷 중 일부는 그러한 기지국에 의해 전혀 수신될 수 없어서, ACK/NACK 신호조차 전송되지 못한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는 ACK/NACK가 없는 것을 불연속 전송(DTX)으로서 해석한다. DTX는 또한 단일 링크 경우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불연속 전송에 대한 가능성은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서 더 크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검출을 개선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ACK 신호가 정확하게 검출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DTX가 발생할 확률과 함께 ACK/NACK 신호의 전력에 관한 정보를 사용한다. DTX가 발생할 확률은 이동 단말기로 발부된 전송 전력 명령을 관측함으로써 결정된다. 전력 하강 명령에 비해 더 높은 수의 전력 상승 명령은 DTX가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양호하지 않은 품질 업링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신호의 검출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통상적으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이동 단말기에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기 위해 최소 ACK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ACK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ACK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NACK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기는 이동 단말기에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통상적으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전단 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는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ACK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기 위해 최소 ACK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임계값 계산 유닛을 더 포함한다. 검출기 유닛은 상기 최소 ACK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ACK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NACK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일반적으로, 또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다수의 기지국에 접속되는 시간에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의 검출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서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상적으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 중 하나에 대한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불연속 전송의 상기 확률을 사용하여 이동국이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확인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후,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해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해 부정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은 진술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규정하기 위한 것이지,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점 및 다른 장점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이동 단말기가 하나의 기지국 또는 여러 기지국에 접속될 수 있는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2A-2B는 예시적인 ACK, NACK, 및 DTX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ACK/NACK 신호 검출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블록도.
도4A-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ACK/NACK 신호 검출을 구현하는 방법의 흐름도.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는 이동 단말기에서 개선된 ACK/NACK 신호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 및 여러 WCDMA 기지국을 포함하며, 이중 4개가 104, 106, 108, 및 110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102)는 위치(A)에 있을 때, 제1 기지국(104)으로부터만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그 기지국(104)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는 위치(B)로 이동할 때, 기지국(106, 108, 및 110)을 포함한 여러 부가적인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2)는 어느 기지국(104, 106, 108, 및 110)이 가장 강한 신호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그 기지국으로 스위칭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가 통상적으로 소프트 핸드오버라 칭해지며, 이동 단말기(102)가 기지국(104, 106, 108, 및 110)에 동시적으로 접속되는 상황과 관련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 및 다른 유사한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의 경우에, 강화된 업링크에서 ACK/NACK의 검출을 위해 어떤 요건이 제안된다. ACK/NACK 신호의 특정 구현방식(예를 들어, 진폭, 등)이 각각의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신호 요건은 본원에서 확률로 논의될 것이다. 강화된 업링크를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요건은 NACK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이동 단말기가 ACK 신호를 검출할 확률(P(ACK|NACK))이 어떤 최소 값, 예를 들어, P(ACK|NACK) = 1x10-4보다 더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P(ACK|NACK) = 1x10-4인 경우, 이동 단말기(102)가 실제 ACK 신호를 검출할 확률(P(ACK|ACK)를 최대화하는 ACK/NACK 구현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구현방식은 이동 단말기(102)가 업링크 상에서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으로부터 접속해제되어, DTX라기 보다는 오히려, ACK 및 NACK 둘 모두가 전송되지 못할 확률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그 후, 이동 단말기(102)는 DTX를 NACK로서 해석해야 한다; 그러나, P(ACK|NACK) = 1x10-4는 그 후에 DTX의 확률(즉, P(ACK|DTX) = 1x10-4)에 기초해야 한다. 더구나, 시스템 관점에서, ACK/NACK 신호에 대한 평균 전력 레벨이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에서 이용 가능한 유한한 송신 전력 량으로 인해, 가능한 한 낮은 것이 중요하다.
ACK, NACK, 및 DTX의 전형적인 종래 기술 구현방식이 도2A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수평선은 선형 스케일(예를 들어, 신호 진폭)을 나타낸다. 이상적으로는, ACK 신호 에너지는 상당히 높아야 하는 반면, NACK 신호 에너지는 상당히 낮아야 한다. DTX는 정의에 의하면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ACK 및 NACK 신호에 대한 선형 스케일에서 제로가 되어야 하며, 상기 NACK 신호는 ACK 신호보다 DTX에 더 가깝다. 그러므로, 이 예시적인 구현방식에서, ACK 신호는 선형 스케일에서 X가 되고, DTX는 제로가 되며, NACK는 Y가 된다.
상기 구현방식의 하나의 단점은 ACK 및 NACK 신호가 종종 잡음에 의해 커럽트된다는 것이다. 잡음이 매우 심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102)는 NACK 신호가 전송되었는지 또는 DTX가 존재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없다. 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부 구현방식은 NACK 신호 대신에 DTX를 사용하여 P(ACK/NACK)를 설정하여, P(ACK|DTX) = 1x10-4이고 P(ACK|DTX) < 1x10-4가 된다. 이와 같은 디자인 선택에 대한 절충은 확률(P(ACK|DTX))에 대한 최소 임계값이 감소되어, 불필요한 재전송의 수의 증가를 초래하고 업링크의 용량 및 처리량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상기 저하의 예가 도2B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수평 축은 전용된 물리적 채널(DPCH)의 에너지 레벨보다 6 dB 더 높은 에너지 레벨을 갖는 ACK 신호에 대한 ACK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SNR)를 나타낸다. 즉,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1
이고, 여기서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2
는 칩당 ACK 신호의 에너지 레벨이며,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3
는칩당 DPCH 신호의 에너지 레벨이다. 수직 축은 ACK 신호가 실제로 발부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2)가 ACK 신호를 검출할 확률(P(ACK|DTX))을 나타낸다. 실선 곡선(200)은 DTX가 (DPCH 신호의 에너지 레벨보다 6 dB 더 낮은 NACK 신호에 대하여) 고려되지 않을 때 각 링크에 대한 정확한 ACK 신호 검출 확률을 나타낸다. 점선(202)은 DTX가 고려될 때 각 링크에 대한 정확한 ACK 신호 검출 확률을 나타낸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CK 신호의 신호-대-잡음 비는 동일한 P(ACK|DTX)의 경우에 제2 곡선(202)에 대하여 약 2 dB 더 높아야 한다. 즉, ACK 신호-대-잡음 비는 이동 단말기가 DTX를 고려하지 않을 때에 비하여, DTX를 고려할 때 더 높아야 한다. 그러므로, 가능할 때마다 NACK 신호로부터 DRTX를 구별하여 ACK 신호 임계값이 제1 곡선(200)에 더 가깝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NACK 신호는 전송 전력 제어(TCP) 명령을 관측함으로써 DTX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TCP 명령은 단말기 출력 전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에 의해 이동국(102)으로 발부된다. 이와 같은 다운링크 TPC 명령은 이동 단말기(102)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시스템(100)과 같은 WCDMA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식의 부분으로서 규칙적으로 전송되는데, 이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필요로 되는 최소의 전력 량만이 전송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발부된 전력 "상승" 명령 대 전력 "하강" 명령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2) 및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 사이의 업링크가 동기화되었는지 또는 동기화되지 않았는지가 추정된다. 그 후, 이 추정치는 DTX가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에 기인하는 확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업링크가 적절한 품질을 가질 때, 상승/하강 명령의 비는 1에 가깝다(즉, "상승" 대 "하강" 명령의 수가 동일함). 한편, 업링크 품질이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상승 명령의 수는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이 링크의 품질을 개선시키거나 링크를 재설정하도록 시도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하강 명령 의 수보다 더 높다. 그러므로, 상승 대 하강 명령의 비는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이 데이터 패킷을 분실하였던 가능도(likelihood)의 측정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ACK 또는 NACK 신호 중 하나를 발부하는 것이 아니라, DTX로서 해석될 것이다. 상승 명령의 수가 높을수록,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가 DTX를 발생시킬 위험이 더 커진다.
그 후,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은 그 링크에 대한 DTX의 가능도에 따라, 또는 ACK 및 NACK 신호 전력의 함수로서 개별적인 링크에 대하여(또는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의 경우에는 활성 세트 내의 각 링크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ACK/NACK 신호 전력은 예를 들어, 표준 전력 제어된 DPCH 신호에 대한 오프셋으로서 기지국(들)(104, 106, 108, 및/또는 110)에 의해 시그널링될 수 있다(즉, 전송된 제어 비트 중 일부는 ACK 및 NACK 오프셋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신호 전력을 추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지, DTX의 확률에 따라 ACK 신호 임계값을 조정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확률(P(ACK|NACK))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P(ACK|ACK)의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재전송의 수가 감소됨으로써, 링크(들)의 전체 용량 및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가 강화된 업링크 세션에서 기지국(들)에 접속될 때, DTX의 확률을 추정하고 이에 따라 ACK 신호 임계값을 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수신기 부분(3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신기 부분(300)은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302) 및 상기 무선 신호를 그 후에 기저대역으로 다 운-컨버팅하는 전단 수신기(304)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수신기 부분(300)은 무선 신호에서 데이터를 디스프레딩하는 RAKE 수신기(306) 및 신호의 채널 응답 및 신호-대-간섭 비를 추정하는 채널 추정기/SIR 추정기(308)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무선 신호에서 전송 전력 명령을 검출하는 TPC 검출기(310) 및 전력 상승 대 전력 하강 명령의 비에 기초하여 DTX의 확률을 결정하는 제어 유닛(312)이 또한 존재한다. 임계값 계산 유닛(314)은 각 링크에 대한 ACK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 임계값을 계산한다. ACK/NACK 신호 검출기/전력 오프셋 추정기(316)는 검출된 ACK/NACK 신호가 신뢰 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블록 스케줄러(318)는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든지 또는 이전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이든지 간에, 전송될 데이터 패킷을 스케줄링하고, 전단 전송기(320)는 안테나(302)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본원에서 특정하게 식별되지 않은 다른 기능적인 구성요소가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수신기 부분(300)에 존재할 수 있다.
동작 시에, 단일 기지국, 또는 소프트 핸도오버 상황의 경우에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 다운링크 신호가 다운링크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잡음과 함께 안테나(302)를 통해 수신된다. 그 후, 무선 신호는 전단 수신기(304)에서 기저대역 신호로 다운-컨버팅되고, 채널 추정기/SIR 추정기(308)에 공급된다.
채널 추정기/SIR 추정기(308)는 전용된 물리적 채널(DPCH) 파일럿을 사용하 여,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DPCH 신호-대-잡음 비 (SIRDPCH)와 함께 DPCH의 채널 필터 탭(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4
)을 추정한다. 채널 필터 탭은 소프트 핸드오버 경우에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5
로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h는 다운링크(i)에 대한 RAKE 핑거(k)를 나타내고, L은 다운링크(i)에 대한 RAKE 핑거의 수를 나타낸다. 단일 기지국에서, 물론, 단일 다운링크만이 존재할 것이다(즉, i=1). DPCH 신호-대-잡음 비는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6
로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7
는 칩당 DPCH의 에너지를 나타내고,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8
는 DPCH에 대한 간섭을 나타낸다. 그 후, 이 정보는 RACK 수신기(306)로 전송된다.
RAKE 수신기(306)는 채널 필터 탭 및 DPCH 신호-대-잡음 비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 내의 임의의 ACK/NACK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내의 데이터를 디스프레딩한다. RAKE 수신기(306)로부터 출력된 ACK/NACK 신호는 RAKE 수신기(306)로부터의 모든 다른 데이터 출력(예를 들어, 음성/비디오 데이터, 웹 브라우징 데이터, 등)와 함께 ACK/NACK 신호 검출기/전력 오프셋 추정기(316)에 공급된다.
채널추정기/SIR 추정기(308)로부터의 채널 필터 탭(
Figure 112007052975313-PCT00009
) 및 DPCH 신호-대-잡음비(SIRDPCH)가 또한 이동 단말기의 전송 전력을 설정할 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TPC 검출기(310)에 제공된다. 각각의 링크(i)에 대하여, TPC 검출기(310)는 수신된 정보로부터 전력 상승 또는 전력 하강 명령 중 하나를 디코딩하고, 이에 따라 전력 상승/하강 명령을 전달 전송기(320)에 제공한다. TPC 검출기(310)는 또한 기지국 (들)에 대해 DTX가 발생할 확률(Pi DTX)를 추정하는 제어 유닛(310)에 전력 상승/하강 명령을 제공한다.
제어 유닛(312)은 DTX가 미리결정된 수의 시간 슬롯(n)에 걸쳐 전력 상승 대 전력 하강 명령의 비의 함수로서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할 확률(Pi DTX)을 추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312)은 최종적인 50 내지 200 시간 슬롯(즉, n=50 내지 200)에 걸쳐 전력 상승 대 전력 하강 명령의 비율(Ri)을 고려한다. 그 후, 제어 유닛(312)은 이동 단말기가 최고의 품질 업링크를 갖는 기지국(들)의 비율(Ri)(즉, 최저 비율(Ri))을 사용하여 확률(Pi DTX)에 대한 베이스라인 값을 규정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라인 확률(Pi DTX)은 최저 비율(Rmin)을 갖는 기지국에 대해 Pi DTX = 0.1로서 설정되고 나서, 더 높은 비율(Ri)을 갖는 다른 기지국에 대해 증가될 수 있다.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 대한 예시적인 확률 방식이 아래에 제공된다: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0
(1)
식 (1)에서 선택된 확률 값은 높은 품질을 갖는 업링크에서, 전력 상승 명령이 소프트 핸드오버 시의 전력 명령의 총 수의 60% 이하를 구성하지만, 양호하지 않은 품질을 업링크는 100%에 가까운 전력 상승 명령을 갖는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단일 기지국의 경우에, DTX에 대한 가능성이 더 낮다는 사실로 인하여 다소 상이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1
(2)이다.
식(1) 및 (2)에 제시된 확률 값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확률 값 및/또는 값의 범위가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화된 값이 일부 경우에, 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연구소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확률 값 및/또는 값의 범위와 함께 다른 파라미터가 또한 결정되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비율(Ri)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312)에 의해 매시간마다 계산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 내의 검색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도플러 추정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비율(Ri) 뿐만 아니라, 시간 슬롯의 수(n)에 대한 값은 도플러 확산의 함수일 수 있다. 그 경우에, 도플러 추정기로부터의 입력은 이동 단말기의 속도에 기초하여 비율(Ri)에 대한 값 및 다른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속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서는 더 많은 수의 시간 슬롯(예를 들어, n = 300)이 사용되어야 하는 반면, 고속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서는 더 적은 수의 시간 슬롯이 사용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n = 50). 더구나, 고속의 경우에, 비율(Ri)의 값은 고속의 경우에서의 전력 상승/하강 추정에서 불확실성이 더 크기 때문에 저속의 경우에서보다 더 높아야 한다.
그 후, DTX가 발생할 확률(Pi DTX)이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 링크의 ACK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최소 임계값을 결정하는 임계값 계산 유닛(314)에 제공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계산 유닛(314)은 각 링크의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ACK 및 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의 추정치 및 DPCH 신호-대-잡음 비(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2
)와 함께 상기 확률(Pi DTX)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각 링크에 대한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TACK)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고: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3
(3)
여기서,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4
(4)이고,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5
(5)이며, 여기서 φ-1()은 가우스 누적 분포 함수(CDF)의 역함수이고, ""는 식(5) 및 (5)의 괄호의 내용이며, β NACK *EC DPCH는 DPCH의 전력 레벨만큼 승산된 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이고, I ACK / NACK msg 는 ACK/NACK 신호 상에 존재하는 간섭이다. 최종 변수, 즉 I ACK / NACK msg 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DPCH(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6
)에 대한 간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식(3)을 사용함으로써, 각 링크의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TACK)이 DTX가 발생 할 확률(Pi DTX)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링크의 ACK 신호에 대한 임계값은 Pi DTX가 낮은 도2의 제1 곡선(200)에 더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각 링크의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TACK)이 ACK 신호를 검출하는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에 제공된다. 또한,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또한 검출된 ACK 신호가 신뢰 가능한지 검출된 NACK 신호가 신뢰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DPCH 신호-대-잡음 비(SIRDPCH)를 조사함으로써 ACK 또는 NACK 신호의 신뢰성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DPCH 신호-대-잡음 비가 너무 낮은 경우에, 총 신호 품질이 너무 낮아서, 신뢰 가능한 ACK 또는 NACK 신호 검출을 행할 수 없다. 그러므로, 어떤 임계값 아래의 DPCH 신호-대-잡음 비를 갖는 링크에 대하여, NACK 신호가 검출된다고 가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최소 임계값 결정에서 사용되는 ACK/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βACK 및 βNACK)이 예를 들어, 기지국(들)으로부터 DPCH에서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ACK/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ACK/NACK 신호의 추정된 전력 오프셋(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7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8
)은 다음과 같이 도출될 수 있고:
ACK가 검출되는 경우,
Figure 112007052975313-PCT00019
(6)
및 NACK가 검출되고 Pj DTX < 0.3인 경우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0
(7)
여기서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1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2
는 링크(i)에 대한 시간 순간(j)에서의 ACK/NACK 신호에 대한 전력 오프셋 추정치이며, λ는 필터 계수(전형적으로는 0.95-0.98)이다.
ACK/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이 추정되면,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새롭게 추정된 전력 오프셋(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3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4
)으로 자신을 갱신한다. 일반적으로, DTX가 발생할 확률(Pi DTX)에 따라, 검출된 ACK 신호의 추정된 전력 오프셋(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5
)은 갱신되지만, 검출된 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
Figure 112007052975313-PCT00026
)은 갱신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확률(Pi DTX)이 너무 큰 경우, NACK 전력 오프셋의 갱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후,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검출된 ACK/NACK 신호를 전송될 다음 데이터 패킷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되는 블록 스케줄러(318)에 전달한다. ACK/NACK 검출기/전력 추정기(316)는 이전 전송의 결과로서 ACK 신호를 검출하고, 블록 스케줄러(318)는 전송될 새로운 데이터 패킷을 스케줄링한다. 한편, NACK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블록 스케줄러(318)는 이전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을 스케줄링 한다. 전송은 그 후에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전단 전송기(32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신호 검출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400)가 도4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400)은 단일 기지국에 대해서만 설명될지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동 단말기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버 상황에서 다수의 기지국과 접속될 때에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402에서 시작되는데,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현재 자신에게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단계(404)에서, 이동 단말기는 상술된 방식으로 관련된 기지국의 링크에 대한 전송 전력 상승/하강 비율을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가 도플러 추정기를 포함하는 경우(따라서, 점선), 단계(404)에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도플러 확산이 결정된다. 단계(408)에서, 이동 단말기는 DTX가 전력 상승/하강 비율을 사용하여 링크에 대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한다. 이용 가능한 경우, 도플러 확산은 또한 이에 따른 DTX의 확률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이동 단말기는 단계(410)에서 ACK/NACK 신호의 전력 오프셋과 함께 DTX의 확률을 사용하여, 관련된 링크의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을 계산한다. 전력 오프셋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가 상술된 방식으로 전력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412)에서, 이동 단말기는 관련된 링크에 대한 ACK/NACK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의 신뢰도를 결정한다. 링크에 대한 검출이 신뢰 불가능한 경우, NACK 신호가 가정된다. 단계(414)에서, 링크에 대 해 ACK 신호가 검출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응답이 예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ACK 신호를 사용하여 링크에 대한 ACK 신호 오프셋을 갱신하고(단계 416) 새로운 데이터 패킷은 전송한다(단계 418). 응답이 아니오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NACK 신호를 사용하여 링크에 대한 NACK 신호 전력 오프셋을 갱신하고(단계 420), 이전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한다(단계 422).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ACK/NACK 신호 검출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프트 핸드오버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400')은 다중 링크가 관련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4A의 방법(400)과 유사하다. 상기 방법은 단계(402')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소프트 핸드오버에 관련된 모든 기지국(즉, 활성 영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단계(404')에서, 이동 단말기는 상술된 방식으로 관련된 기지국 각각의 링크에 대한 전송 전력 상승/하강 비율을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가 도플러 추정기를 포함하는 경우(다시, 점선), 단계(406')에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도플러 확산이 결정된다. 단계(408')에서, 이동 단말기는 전력 상승/하강 비율(Ri)을 사용하여 각 링크에 대해 DTX가 발생할 확률(Pi DTX)을 계산한다. 이용 가능한 경우, 도플러 확산은 또한 이에 따라 확률(Pi DTX)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단계(410')에서, 이동 단말기는 ACK/NACK 신호에 대한 전력 오프셋과 함께 확률(Pi DTX)을 사용하여, 각 링크에 대한 ACK 신호에 대한 최소 임계값을 계산 한다. 전력 오프셋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거나, 이동 단말기가 상술된 방식으로 전력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412')에서, 이동 단말기는 각 링크에 대한 ACK/NACK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한다. 소정의 링크에 대한 검출이 신뢰 불가능한 경우, NACK 신호가 가정된다. 단계(414')에서, 임의의 링크에 대해 ACK 신호가 검출되었는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링크에 대하여 응답이 예인 경우, 단계(416')에서, 이동 단말기는 ACK 신호를 사용하여 링크에 대한 ACK 신호 전력 오프셋을 갱신한다. 낮은 확률을 DTX, 예를 들어, Pi DTX < 3을 갖는 임의의 링크에 대해 NACK 신호를 사용하여 NACK 전력 오프셋이 또한 이 포인트에서 갱신될 수 있다. 그 후, 단계(418')에서, 새로운 데이터 패킷이 전송된다. 링크에 대하여 응답이 아니오인 경우, 이동 단말기는 NACK 신호를 사용하여 링크에 대한 NACK 신호 전력 오프셋을 갱신하고(단계 420'), 이전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한다(단계 422').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에 대한 많은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 각각 및 이의 명백한 변형은 다음의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청구된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34)

  1.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의 검출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불연속 추정의 상기 확률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확인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기 위해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부정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 패킷은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가 신 뢰 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전송 확률을 추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전송 확률을 추정하는 상기 단계는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상기 비율이 미리규정된 값보다 더 큰 경우에, 미리결정된 확률을 상기 불연속 전송 확률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신호 최소 임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또한 사기 확인 신호 및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오프셋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오프셋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오프셋 추정치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확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비율 신호의 전용된 물리적 채널의 신호-대-잡음 비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신호-대-잡음 비가 미리결정된 레벨 아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율 신호가 부정 확인 신호를 포함한다고 자동적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도플러 확산에 대한 상기 불연속 전송의 상기 확률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 개선 방법.
  14.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접속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단 수신기;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제어 유닛;
    상기 불연속 전송의 상기 확률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확인 신호를 정확하게 추정하도록 하기 위해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임계값 계산 유닛; 및
    상기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부정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기 유닛을 포함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신호 블록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스케줄러는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가 신뢰 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의 상기 전송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유닛은 또한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연속 전송 확률을 추정하도록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상기 비율이 미리규정된 값보다 더 큰 경우에 미리결정된 확률을 상기 연속 전송 확률로 할당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계산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전력 오프셋을 또한 사용함으로써 상기 확인 신호 최소 임계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계산 유닛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전력 오프셋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계산 유닛은 상기 전력 오프셋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계산 유닛은 상기 전력 오프셋 추정치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갱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유닛은 상기 비율 신호의 전용된 물리적 채널의 신호-대-잡음 비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상기 신뢰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 유닛은 상기 신호-대-잡음 비가 미리결정된 레벨 아래인 경우에 상기 비율 신호가 부정 확인 신호를 포함한다고 자동적으로 가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도플러 확산에 대한 상기 연속 전송의 확률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검출을 개선하는 수신기.
  27. 상기 이동 단말기가 다수의 기지국에 접속될 시에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 또는 부정 확인의 검출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통상적으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확인 신호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불연속 전송의 확률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확인 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최소 확인 신호 임계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해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또는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해 부정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확인 신호, 또는 상기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부정확인 신호 중 하나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지국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확인 신호가 신뢰 가능하다고 결정되는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부정 호가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불연속 전송 확률을 추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기국들 중 각각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송 전력 상승 명령 대 전송 전력 하강 명령의 상기 비율이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미리 규정된 값보다 더 큰 경우에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해 미리 결정된 확률을 상기 불연속 전송 확률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확인 신호 최소 임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또한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며, 상기 전력 오프셋은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확인 신호 최소 임계값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또한 상기 확인 신호 및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전력 오프셋을 사용하며, 상기 전력 오프셋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추정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전력 오프셋 추정치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에 대한 상기 검출된 확인 신호 또는 상기 부정 확인 신호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으로부터 비율 신호의 전용된 물리적 채널의 신호-대-잡음 비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신호-대-잡음 비가 미리결정된 레벨 아래인 경우에 상기 기지국들 중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비율 신호가 부정 확인 신호를 포함한다고 자동적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인 또는 부정 확인 검출 개선 방법.
KR1020077016865A 2004-12-21 2005-12-20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 KR20070097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019,333 US20060133290A1 (en) 2004-12-21 2004-12-21 ACK/NACK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US11/019,333 2004-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537A true KR20070097537A (ko) 2007-10-04

Family

ID=34956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865A KR20070097537A (ko) 2004-12-21 2005-12-20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3290A1 (ko)
EP (1) EP1829265B1 (ko)
JP (1) JP2008524946A (ko)
KR (1) KR20070097537A (ko)
CN (1) CN101124761A (ko)
WO (1) WO2006066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3604B2 (en) 2005-02-01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data rate based on feedback relating to channel conditions
EP1922841B1 (en) 2005-08-16 2010-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server 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8069574A1 (en) * 2006-12-05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53567B1 (ko) 2006-12-05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확인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223628B2 (en) * 2007-01-10 2012-07-17 Lantiq Deutschland Gmbh Data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er, receiver, transceiver and transmission system
US9686045B2 (en) * 2007-04-04 2017-06-20 Lantiq Beteiligungs-GmbH & Co. KG Data transmission and retransmission
JP4978327B2 (ja) * 2007-06-19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再送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8254992B1 (en) 2007-10-08 2012-08-28 Motion Computing, Inc. Wireless docking system and pairing protocol for multiple dock environments
US9429992B1 (en) * 2007-10-08 2016-08-30 Motion Computing, Inc. Wired and wireless docking station
EP2268076A4 (en) * 2008-04-14 2015-02-25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1267253B (zh) * 2008-04-25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dtx的确认信息表示方法、ue和基站
US8634333B2 (en) 2008-05-07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Bundling of 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860411B (zh) * 2009-04-13 2013-03-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高速下行分组接入中的资源分配方法及基站
US8693352B2 (en) * 2009-07-02 2014-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RQ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653832B1 (ko) 2009-09-19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92790B2 (en) 2009-09-19 2014-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O2011155754A2 (ko) * 2010-06-07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답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US8315185B2 (en) 2010-06-07 2012-11-2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ACK/NACK detection in LTE PUSCH
JP6013834B2 (ja) * 2012-08-29 2016-10-25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制御装置、基地局装置、制御方法
US9307427B2 (en) 2013-07-22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 relay schemed to facilitate efficient broadcast communication in device to device environment
CN108075862A (zh) * 2016-11-16 2018-05-25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上ack/nack检测的方法和装置
US11057159B2 (en) 2019-01-23 2021-07-0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roving a determination of HARQ-ACK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1150B1 (en) * 2000-04-07 2004-03-23 Telefon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burst communications in a CDMA network
US7379434B2 (en) * 2001-10-19 2008-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850989B1 (ko) 2002-01-05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반복 요청(arq)시스템에서응답정보(ack/nack)신호에 대한 전력제어 방법
KR20040083617A (ko) * 2003-03-24 200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향상된 역방향 전용전송채널을 서비스하는 비동기 방식의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영역에 위치하는 이동단말이 역방향 데이터를 재전송하는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6861A1 (en) 2006-06-29
JP2008524946A (ja) 2008-07-10
EP1829265A1 (en) 2007-09-05
EP1829265B1 (en) 2013-02-13
CN101124761A (zh) 2008-02-13
US20060133290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7537A (ko) 무선 통신에서의 ack/nack 검출
EP185187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3746280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429531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を送信する装置及び方法
TWI279147B (en)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56020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424869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fer rate decision method
US9432148B2 (en) Uplink coverage via autonomous retransmission
US8155687B2 (en) Dynamic adjustment of power offset for UE/BS based on error event of NACK to ACK
US77690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level of a communication channel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WO2007073330A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ownlink signaling pow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JP200650855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間干渉を低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52129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間干渉を低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521293A (ja) 非周期的なインタリーバを適用してい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間干渉を低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19291A (ko) 공유 제어 채널 검출 전략
JP2003244063A (ja)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伝送方法
US7453821B2 (en) Methods of detecting signa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34017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tfc選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