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491A -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491A
KR20070095491A KR1020050088423A KR20050088423A KR20070095491A KR 20070095491 A KR20070095491 A KR 20070095491A KR 1020050088423 A KR1020050088423 A KR 1020050088423A KR 20050088423 A KR20050088423 A KR 20050088423A KR 20070095491 A KR20070095491 A KR 2007009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mounting frame
support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안병화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5491A/ko
Priority to US11/358,414 priority patent/US7693450B2/en
Priority to CNB2006101592295A priority patent/CN100474165C/zh
Publication of KR2007009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마련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지지돌기 및 지지부를 가지는 장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현상유닛은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현상기 본체; 현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이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담지체; 및 현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현상기 본체를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구동부에 맞물리는 종동부;를 구비한다. 현상기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현상기 본체를 장착프레임에 장착시 장착프레임에 간섭되어 현상기 본체를 구동기어 쪽으로 밀려가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다.
현상유닛, 장착프레임, 갭, 기어물림, 진동

Description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A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장착 프레임과 현상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에 현상유닛이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에 현상유닛이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 제2간섭부가 갭홈에 지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화상형성장치 본체 20..장착 프레임
30..현상유닛 40..전사유닛
50..정착유닛 60..구동부
61,63..제1 및 제2구동기어 110,120..제1 및 제2사이드벽
111, 121..가이드리브 112,122..지지돌기
113,123..지지슬릿 114..갭홈
115..단차부 210..상담지체
220..현상기 본체 221..지지홈
223..가이드홈 260..종동부
261,263..제1 및 제2종동기어 271,273..제1 및 제2간섭부
본 발명은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모노 화상형성장치와 칼라 화상형성장치로 대별된다. 모노 화상형성장치는 한 가지 색상의 현상제만을 이용하여 흑백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하고,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색상별 현상제(보통 마젠타, 시안, 옐로우, 블랙)를 이용하여 칼라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대전유닛에 의해 소정전위로 대전된 상담지체에, 노광유닛에 의해 레이저 빔이 주사되는 것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이 현상제로 현상된 후, 공급된 인쇄용지에 가시화상으로 전사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로서, 각각 상담지체를 가지는 칼라별 현상유닛을 이용하여 칼라 화상을 중첩 형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각 칼라별 현상유닛의 상담지체에 칼라별로 화상을 형성한다. 형성된 칼라별 화상은 전사벨트와 같은 중간 전사매체에 중첩 전사된다. 중첩 전사된 칼라화상은 최종적으로 인쇄매체에 전사된다. 칼라 화상이 중첩 전사된 인쇄매체는 일련의 정착과정을 거쳐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간 전사매체에 칼라별 화상을 독립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유닛은 소모품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마련된 장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현상유닛은 상기 상담지체와 더불어 내부에 현상롤러 및 현상제 공급롤러와 같은 가동부품을 구비한다. 따라서, 현상유닛에는 상기 가동부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들이 어느 한 측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들은 현상유닛을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화상형성장치 내부에 마련된 구동부 즉, 구동기어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유닛은 소비자나 서비스 기사에 의해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는데, 사용상의 편리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착 프레임과의 사이에 소정 여유갭을 갖고 장착된다. 즉, 현상유닛을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현상유닛의 양단부 즉, 상담지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양단부 각각과 장착 프레임 사이에는 소정의 여유갭이 마련된다. 그리고 현상유닛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등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대략 4지점 정도에서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현상유닛의 양단부 쪽으로 여유갭을 마련하다 보면,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완전하게 맞물리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이론적인 값보다는 적은 양의 동력이 종동기어로 전달되므로 상기 상담지체나 현상롤러 등이 정상적인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맞물리는 양이 적게 되면, 종동기어와 구동기어 사이에서 많은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현상롤러 및 상담지체의 진동이 증 가하여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부에 근접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현상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상유닛을 구동부에 밀착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마련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지지돌기 및 지지부를 가지는 장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현상기 본체; 상기 현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담지체;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구동부에 맞물리는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장착 프레임에 간섭되어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구동기어 쪽으로 밀려가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현상기 본체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현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밀리도록 상기 지지홈에 앞서 마련되는 제1간섭돌기 및 상기 지지축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간섭돌기는 상기 현상기 본체의 상기 종동부의 반대쪽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지지돌기를 상기 지지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에서 돌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현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옮겨주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상담지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현상롤러 및 이송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에 대응되는 종동부를 가지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에는 현상유닛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장착 프레임에 간섭되어 상기 구동부 쪽으로 치우치게 이동되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의 양측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사이드벽;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 서도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 하는 가 이드리브; 및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선단부 양측 각각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는 상기 현상유닛의 후단부 양측을 각각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의 입구 쪽에 상기 현상유닛 장착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을 연결하는 전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현상기 본체;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밀리도록 상기 지지홈에 앞서 마련되는 제1간섭돌기와 상기 지지축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지지돌기를 상기 지지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에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간섭돌기는 상기 제1간섭돌기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간섭돌기와 마주하는 어느 한 사이드 벽에는 상기 제2간섭돌기를 간섭하기 위한 단차부가 입구 쪽에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어느 한 사이드벽에는 상기 단차부에 간섭되어 이동된 제2간섭돌기와 상기 어느 한 사이드벽 사이에 소정 갭을 유지시키도록 소정 공간을 제공하는 갭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부는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구동기어들 각각에 기어연결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20), 상기 장착 프레임(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칼라별 현상유닛(30), 상기 칼라별 현상유닛(30)에서 칼라화상을 중첩 전사받아 인쇄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40) 및 정착유닛(50) 등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칼라별 현상유닛(30)은 내부에 저장된 현상제 즉, 토너의 칼라성분만 다를 뿐 각각의 현상유닛(3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전사유닛(40)은 복수의 지지롤러(41)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전사벨트(43)와, 제1전사롤러(45) 및 제2전사롤러(47)를 구비한다. 상기 제1전사롤러(45)는 각 현상유닛(30)의 상담지체(210)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2전사롤러(47)는 전사벨트(43)에 중첩 전사된 칼라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도록 전사벨트 (43)에 접촉 회전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 내에는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트레이(11)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 내에는 상기 각 현상유닛(30)의 상담지체(11)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스캐닝 유닛(미도시)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스캐닝유닛과, 전사유닛(40) 및 정착유닛(50)은 전자사진 방식 레이저 프린터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현상유닛들(30)은 전사벨트(43)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칼라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사이드벽(110, 120)과, 전면벽(130)을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벽들(110,120)과 전면벽(1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110, 120) 각각의 마주하는 면에는 현상유닛(30)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리브(111, 121)가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가이드리브들(111, 121)은 장착될 현상유닛(30)의 수에 대응되게 복수개가 층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1사이드벽(110, 120)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112, 122)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돌기들(112, 122)은 현상유닛(30)의 선단부 쪽의 양측 각각을 접촉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벽(130)에 가까운 쪽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110, 120) 각각에는 상기 현상유닛(30)의 후 단부 양측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3, 123)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113, 123)는 상기 상담지체(210)의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211)이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슬릿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지지부(113)를 지지슬릿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슬릿(113)은 사이드벽들(110, 120)의 입구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한 사이드벽(110)의 입구에는 갭홈(114)이 형성된다. 이 갭홈(114)은 지지슬릿(113)에 이웃되게 사이드벽(110)의 입구 쪽에 형성되며, 현상유닛(30)의 측면에 마주하는 사이드벽(110)의 내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인입 형성된다. 이러한 갭홈(114)의 구체적인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갭홈(114)이 형성된 사이드벽(110)의 입구 쪽에는 상기 현상유닛(30)이 장착될 때 현상유닛(30)을 간섭하기 위한 단차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15)는 마주하는 사이드벽(120)과의 사이가 입구 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멀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15)는 현상유닛(30)의 장착방향을 기준으로 여러 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갭홈(114)과 단차부(115)가 형성된 제1사이드벽(110)에 마주하는 제2사이드벽(120)에는 구동부(6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6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구동기어(61,6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들(61,63)은 제2사이드벽(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돌출된 위치에서 회전되게 설치된다. 이 구동부(60)는 상기 장착 프레임(20)에 장착되는 현상유닛(30)의 종동부(260)(도 3 참조)와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성의 장착 프레임(20)에 현상유닛(30)이 장착시, 양 사이드벽(110,120)과 현상유닛(30) 사이에는 소정 갭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벽들(110,120)은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유닛(30)은 장착 프레임(20)에 장착시 상기 양 사이드벽(110, 120)의 지지돌기(112, 122)에 의해서 현상유닛(30)의 선단부 두 지점이 지지된다. 그리고 현상유닛(30)의 후단부는 상담지체(210)의 지지축(211)이 상기 지지슬릿(113, 123)에 끼워져 지지된다. 즉, 현상유닛(30)은 장착된 상태에서는, 사이드벽들(110, 120)과는 여유있게 결합되어 지지돌기(112, 122)와 지지슬릿(113, 123)에서만 지지되므로, 결과적으로 4 지점에서만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되는 현상유닛(30)은 상기 상담지체(210)와 상담지체(2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상기 본체(220)를 구비한다. 또한, 현상유닛(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 본체(220) 내부에 설치되는 현상롤러(230) 및 이송부재(240)를 구비한다.
상기 상담지체(210)는 일부가 본체(2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담지체(210)의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211)은 본체(220)의 후단부 양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지지축들(211)이 상기 지지슬릿(113, 12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현상롤러(230)는 본체(220) 내에 저장된 현상제 즉, 토너를 상기 상담지체(210)로 공급한다. 상기 이송부재(240)는 본체(220) 내의 토너를 상기 현상롤러로 공급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250은 본체(220) 내에 설치되어 토너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상담지체(210)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현상롤러(230)와 이송부재(240)와 교반기(250)는 상담지체(210)와는 별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유닛(30)은 장착 프레임(20)에 장착시 구동부(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담지체(210)와 다른 부품들(230, 240, 250)을 구동시키기 위한 종동부(260)를 구비한다. 상기 종동부(260)는 제1구동기어(61)에 기어연결되는 제1종동기어(261)와 상기 제2구동기어(63)에 대응되는 제2종동기어(2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종동기어(261)는 상담지체(210)의 지지축(211)에 동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종동기어(261)는 현상기 본체(220)의 후단부 쪽에 배치되고, 제2종동기어(263)은 현상기 본체(220)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종동기어(261)는 제2종동기어(263)보다 현상기 본체(220)의 측면쪽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현상유닛(30)을 장착 프레임(20)에 장착시 제2종동기어(263)는 제1구동기어(61)에 간섭되지 않고 진행하여 상기 제2구동기어(63)와 기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의 현상유닛(30)에 있어서, 현상유닛(30)을 장착 프레임(20)에 장착시 상기 종동기어들(261,263)과 구동기어들(61,63)의 기어 물림량을 최대한 증가시키기 위해서 현상유닛(30) 장착시 현상유닛을 구동기어(61,63) 쪽으로 밀어줄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현상기 본체(220)의 어느 측면 즉, 상기 장착 프레임(20)의 제1사이드벽(110)과 마주하는 쪽에는 현상기 본체(220)를 장착시에 제1사이드벽(110)과 간섭되어 제2사이드벽(120) 쪽으로 밀리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다.
상기 간섭부는 현상기 본체(220)의 선단부 쪽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간섭돌기(271)와 현상기 본체(220)의 후단부 쪽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간섭돌기(273)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간섭돌기(271)는 현상기 본체(220)를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112)에 간섭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기 본체(220)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돌기(1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홈(2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간섭돌기(271)는 상기 지지돌기(112)를 상기 지지홈(22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홈(223) 상에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간섭돌기(271)는 지지홈(221)보다는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지만, 현상기 본체(220)의 측면보다는 낮거나 같은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간섭돌기(271)는 지지돌기(112)가 지지홈(221)에 들어가기 직전에 먼저 접촉될 수 있도록 현상기 본체(220)의 장착방향으로는 지지홈(221) 보다 앞선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간섭돌기(273)는 상기 지지축(211)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 제2간섭돌기(273)는 제1간섭돌기(271)보다는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현상기 본체(220)의 후단 쪽에 형성된다. 이 제2간섭돌기(273)는 상기 사이드벽(110)의 단차부(115)에 간섭됨으로써, 현상기 본체(220)를 제2사이드벽(120) 쪽으로 치우치게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15)를 지나친 뒤에는 제2간섭돌기(273)와 제1사이드벽(110)이 접촉이나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상기 갭홈(114)이 사이드벽(110)에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30)을 장착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을 장착 프레임(20)에 장착시, 가이드리브들(111, 121)을 따라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현상유닛(30)이 어느 정도 장착 프레임(20)에 장착될 때까지는 현상유닛(30)과 제1 및 제2사이드벽(110, 120) 사이에는 소정 갭이 유지되므로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현상유닛(30)의 장착 프레임(20)에 거의 삽입되는 시점이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223)이 지지돌기(112)를 상대적으로 안내하다가, 제1간섭돌기(271)가 지지돌기(112)에 접촉되어 현상유닛(30)이 제 2사이드벽(120) 쪽으로 밀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간섭돌기(273)는 상기 단차부(115)에 간섭되어 현상유닛(30)이 제2사이드벽(120) 쪽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현상유닛(30)은 장착 프레임(20)에 완전히 장착되기 직전에 제2사이드벽(120) 쪽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이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유닛(30)이 제2사이드벽(120) 쪽으로 밀린 상태로 치우치게 장착되므로, 구동기어들(61,63)과 종동기어들(261, 263)의 물림양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12)는 지지홈(221)에 삽입되어 현상유닛(3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2간섭돌기(2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갭홈(114)에 삽입되어 제1사이드벽(110)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축들(211)은 상기 지지슬릿(113, 12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간섭돌기(271)와 제2간섭돌기(273)는 현상기 본체(220)의 한쪽 측면에만 형성되기 때문 에, 간섭돌기들(271,273)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은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지지돌기(122)와 지지슬릿(123)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유닛을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최종 장착위치로 이동하기 직전에 현상유닛을 간섭하여 장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물리는 쪽으로 최대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상유닛과 장착 프레임 간의 소정 여유갭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가능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물림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사이에서의 진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진동에 의한 화상품질에 나타나는 지터를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마련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지지돌기 및 지지부를 가지는 장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현상기 본체;
    상기 현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담지체;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구동부에 맞물리는 종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기 본체의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장착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장착프레임에 간섭되어 상기 현상기 본체를 상기 구동기어 쪽으로 밀려가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상기 현상기 본체의 선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현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밀리도 록 상기 지지홈에 앞서 마련되는 제1간섭돌기와 상기 지지축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간섭돌기는 상기 현상기 본체의 상기 종동부의 반대쪽 측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지지돌기를 상기 지지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에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상담지체로 현상제를 옮겨주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로 현상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종동부는 상기 상담지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종동기어, 상기 현상롤러 및 이송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유닛.
  7.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에 마련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마련되는 구동부; 및
    상기 장착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에 대응되는 종동부를 가지는 현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유닛에는 현사유닛을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장착 프레임에 간섭되어 상기 구동부 쪽으로 치우치게 이동되도록 하는 간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현상유닛의 양측면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사이드벽;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 서도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리브; 및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서 돌출되어 상기 현상유닛의 선단부 양측 각각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 각각에는 상기 현상유닛의 후단부의 양측을 각각 접촉 지지하는 지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의 입구 쪽에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형성된 지지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벽을 연결하는 전면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을 가지는 현상기 본체; 및
    상기 현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마련된 지지축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기 본체를 장착시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어 밀리도록 상기 지지홈에 앞서 마련되는 제1간섭돌기와 상기 지지축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2간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지지돌기를 상기 지지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섭돌기는 상기 제1간섭돌기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섭돌기와 마주하는 어느 한 사이드 벽에는 상기 제2간섭돌기를 간섭하기 위한 단차부가 입구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사이드벽에는 상기 단차부에 간섭되어 이동된 제2간섭돌기와 상기 어느 한 사이드벽 사이에 소정 갭을 유지시키도록 소정 공간을 제공하는 갭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의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부는 상기 현상유닛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구동기어들 각각에 기어연결되는 복수의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88423A 2005-09-22 2005-09-22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095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23A KR20070095491A (ko) 2005-09-22 2005-09-22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1/358,414 US7693450B2 (en) 2005-09-22 2006-02-22 Developing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unit
CNB2006101592295A CN100474165C (zh) 2005-09-22 2006-09-22 显影单元和包括该显影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23A KR20070095491A (ko) 2005-09-22 2005-09-22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491A true KR20070095491A (ko) 2007-10-01

Family

ID=3788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23A KR20070095491A (ko) 2005-09-22 2005-09-22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93450B2 (ko)
KR (1) KR20070095491A (ko)
CN (1) CN10047416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20B1 (ko) * 2008-02-2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9740163B2 (en) * 2013-09-29 2017-08-22 Ninestar Corporation Rotational force driving assembly process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4176A (ja) 1986-04-04 1987-10-14 Toshiba Corp 現像装置
JPH02198925A (ja) * 1989-01-26 1990-08-07 Canon Inc シート収納容器搬送装置
JPH0816070A (ja) * 1994-06-30 1996-01-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
JPH09244514A (ja) * 1996-03-12 1997-09-19 Minolta Co Ltd 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609615B2 (ja) 1998-05-06 2005-01-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0293086A (ja) 1999-04-02 2000-10-2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347473A (ja) * 1999-06-07 2000-12-15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413173B2 (ja) 2000-01-05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528866B1 (ko) * 2003-07-03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템덤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US7266327B2 (en) * 2003-07-25 2007-09-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process cartridge
JP4086766B2 (ja) * 2003-11-28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組立方法
KR100640056B1 (ko) * 2003-12-27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4378299B2 (ja) *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79B2 (ja) *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945314B1 (ko) 2007-02-21 2010-03-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형상 측정 장치, 노광 장치 및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5176A1 (en) 2007-03-22
US7693450B2 (en) 2010-04-06
CN1936725A (zh) 2007-03-28
CN100474165C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61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JP4600535B2 (ja) 画像形成装置
US90203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black photosensitive drum replaceable independently from color photosensitive drums
US837452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ivoting member
US8135300B2 (en)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US8059989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mber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tridges
JP2011180268A (ja) 画像形成装置
US90022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moving member having detection unit for adjacent cartridge
US94176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2506086B1 (en)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side walls having empty region
JP4646214B2 (ja) 画像形成装置
JP709416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9075447A (ja) 画像形成装置
US8488215B2 (en) Driv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70095491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5139818B2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7077092B (zh) 图像形成装置
US98516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vable drawer
JP2006154619A (ja) 画像形成装置
US2012014829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0977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211514A (ja) 画像形成装置
US2006007835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6

Effective date: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