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695A -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695A
KR20070094695A KR1020067004158A KR20067004158A KR20070094695A KR 20070094695 A KR20070094695 A KR 20070094695A KR 1020067004158 A KR1020067004158 A KR 1020067004158A KR 20067004158 A KR20067004158 A KR 20067004158A KR 20070094695 A KR20070094695 A KR 2007009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lkyl
surfactant
reduced
irr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328B1 (ko
Inventor
조셉 리브리치
앨리슨 마틴
이리나 가노폴스키
러셀 월터스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2800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9469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10/650,495 external-priority patent/US7119059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650,226 external-priority patent/US708410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650,398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049172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0/650,573 external-priority patent/US7098180B2/en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결합하여, 자극이 감소된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함을 포함하여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모발 또는 피부를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면활성제, 신체 보호 조성물, 아크릴 중합체, 델타 TEP, 델타 CMC.

Description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03년 8월 28일자로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인 미국 특허원 제10/650,226호, 제10/650,495호, 제10/650,573호 및 제10/650,398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이들 출원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은 각종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당해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 세제, 예를 들면,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및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는 각종 세제 및 세정 조성물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샴푸를 포함한 많은 이러한 조성물에 대해, 조성물에 혼입시 이에 대해 비교적 큰 발포체 용적 및 발포체 안정성을 부여하거나 제공하는 표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발포체 특성은 샴푸가 모발을 효율적으로 세정하는 감지되는 효능 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즉, 생성된 발포체 용적이 보다 크고 발포체의 안정성이 보다 클수록, 샴푸의 감지되는 세정 작용은 보다 효율적이다.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는 우수한 세정 및 발포체 특징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많은 신체 세정 조성물에 혼입된다. 그러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는 피부 및 눈에 매우 자극적인 경향이 있다. 보다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조성물에 있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일부를 다른 표면활성제, 예를 들면,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표면활성제로 대체하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참조: 미국 특허공보 제4,726,915호]. 순한 세정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방법은, 표면활성제 복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양쪽성 또는 양이온성 화합물과 결합시키는 것이다[참조: 미국 특허공보 제4,443,362호, 제4,726,915호, 제4,186,113호 및 제4,110,263호]. 불리하게도, 이러한 방법 모두에 의해 제조된 순한 세정 조성물은 발포성이 나쁘거나 세정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최근의 문헌[참조: Moore, P., Shiloach, A., Puvvada, S., Blankschtein, D. Journal of Cosmetic Science, 54,2003, 143-159]에는,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SDS)가 표피로 침투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농도(신체 보호 세정 조성물에 전형적인 수준 보다 상당히 낮은 농도)의 SDS 세정 표면활성제 및 물로 이루어진 용액에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를 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무어(Moore) 등은, PEO에 표면활성제의 유리 미셀을 결합함으로써 PEO는 SDS와 함께 유리 SDS 미셀에 비해 보다 큰 미셀을 형성하며, 이러한 보다 큰 미셀은 보다 작은 유리 미셀과 같이 용이하게 각질층을 침투할 수 없다고 주장한 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무어 등은 피부로의 표면활성제의 침투가 경감되고 이러한 감소된 표면활성제 침투가 피부 자극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출원인은, PEO가 이에 표면활성제를 충분히 결합하지 않으며, 상기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수준보다 높은 표면활성제 수준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시 주목할 만하거나 충분한 자극 감소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통상의 신체 보호 조성물은 무어 등의 문헌에 기술된 수준보다 높은 표면활성제 수준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무어 등의 교시가 신체 보호 조성물에서 자극성을 경감시키는 다른 방법과 관련된 단점을 현저히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상기한 기술에 비추어, 본 출원인은 발포체 특성 및/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심미학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해 자극이 감소된 신체 보호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각종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본 출원인은 유리하게도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결합되어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해 상대적 저자극성 및 상대적 고발포성/발포체 안정성을 나타내는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합하여,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3.5중량% 이상 7.5중량% 미만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모발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 또는 모발을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2개의 용액에 첨가하는 것과 관련된 이상적인 장력학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계산된 장력학 데이터 및 CMC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계산된 장력학 데이터 및 델타 CMC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원에 기술된 모든 백분율은,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중량% 이다.
감소된 자극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특정 조성물과 관련된 "TEP 값"이 조성물과 관련된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한 자극과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TEP 값은 통상적으로 본원에 참조로 삽입되고 하기의 실시예에서 추가로 상술되는 Invittox Protocol Number 86(May 1994)에 설명된 바와 같은 TEP 시험(상피 투과성 시험; Trans-Epithelial Permeability Test)을 통해 측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의 보다 높은 TEP 값은,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해 보다 높은 수준의 자극성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는 낮은 TEP 값을 갖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피부 및 눈에 대해 보다 낮은 자극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방법이 조성물과 관련된 놀랍도록 높은 TEP 값/낮은 자극성을 갖는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면, 특정 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약 1.5 이상의 TEP 값을 갖는 조성물을 생성한다. 특정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약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의 TEP 값을 나타낸다. 특정한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화합물은 약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상의 TEP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소수성 변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 조성물과 비교하여 감소된 자극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결정하고 그 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델타 TEP"를 다음과 같이 수득되는 값으로 정의한다. (a)(i)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ii) 이러한 조성물에 대한 대조 조성물에 대한 TEP 값을 측정; 및 (b) 음이온 표면활성제/소수성 변성 물질 조성물에 대한 TEP 값으로부터 대조 조성물의 TEP 값을 차감. 본원에 사용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특정 조성물에 대한 "대조 조성물"은,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소수성 변성 물질 조성물의 소수성 변성 중합체가 대조 조성물에서 동일한 관련 중량%의 물로 대체되는 것을 예외로 하여,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소수성 변성 물질 조성물과 동일한 관련 중량%의 동일 성분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7%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l5% 양쪽성 표면활성제, 5% 소수성 변성 중합체, 5% 글리세린, 및 68% 물(여기서,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이다)로 이루어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소수성 변성 조성물에 대한 대조 조성물은 7%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15% 양쪽성 표면활성제, 5% 글리세린, 및 73% 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0의 조성물은 실시예 11 내지 15에서 형성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소수성 변성 중합체 조성물에 대한 대조 조성물이다.
상기에 비추어,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말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본원에서 사용된 Invittox Protocol을 통해 측정된 양성 델타 TEP 값을 갖는다(즉, 조성물은 이의 대조 조성물 보다 높은 TEP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델타 TEP가 약 +0.5 이상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보다 바람직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델타 TEP가 약 +0.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특히 바람직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델타 TEP가 약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인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소수성 변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부착되거나 삽입된 하나 이상의 소수성 잔기를 갖는 물질을 말한다. 바람직한 소수성 변성 물질의 특정 타입에 대한 예는 소수성 변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소수성 단량체 및 임의의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중합화시켜 삽입된 소수성 잔기를 갖는 중합체를 형성하고/하거나 또한 중합체 물질을 소수성 잔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이러한 화합물을 중합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정한 소수성 변성 중합체 및 이러한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Marchan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공보 제6,433,061호(본원에 참조로 삽입됨)에 기술되어 있다.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각종 소수성 변성 물질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정 이론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변성 물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표면활성제(유리(비결합된) 표면활성제 분자 및/또는, 특히, 표면활성제 유리(비결합된) 미셀)를 이에 결합하여 피부 및/또는 눈을 자극할 조성물 중의 사용가능한 자극-유발 유리 미셀의 농도를 낮춤으로써,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성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고 믿어진다. 즉, 본 출원인은 특정 조성물 중에 포함된 상대적 양의 표면활성제 유리 미셀이 이 조성물과 관련된 피부 및/또는 눈에 대한 상대적 자극에 영향을 끼치며, 보다 높은 유리 미셀이 보다 높은 수준의 자극성을 일으키고, 보다 낮은 유리 미셀이 낮은 자극성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표면활성제 및/또는 표면활성제 미셀을 소수성 변성 물질에 결합함으로써, 소수성 변성 물질은 조성물 중의 비결합된 표면활성제 미셀의 농도를 낮추고 유리 미셀이 형성되고/되거나 특정 수준의 자극이 이루어지기 전에 보다 높은 농도의 표면활성제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 미셀의 형성 전에 필요한 표면활성제의 농도에서의 이러한 바람직한 이동(shift)이 도 1에서 더욱 설명된다.
도 1은 2개의 조성물(본 발명의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소수성 변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대조 조성물)에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첨가와 관련된 이상적인 표면 장력 데이터 곡선을 보이는 그래프(10)이다. 곡선(11)은, 증가량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가 첨가됨에 따른, 소수성 변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조성물의 통상의 장력학 기술(이러한 기술의 예가 후술된다)로 측정되는 표면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15)는 증가량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가 첨가됨에 따른,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표면 장력의 변화를 나타낸다. 곡선(11)에서, 표면활성제가 용액에 첨가될 때, 표면활성제는 액체/공기 경계면을 차지하여 본질적으로 모든 표면적이 채워질 때까지 용액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포인트(이하 표면활성제의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임계 미셀 농도)"라고 함, 포인트(12)) 이후, 본질적으로 조성물에 첨가된 모든 계`면활성제는 용액에서 유리 미셀을 형성하고, 이러한 형성은 용액의 표면 장력에 감지할 수 있는 영향을 갖지 않으나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인 것으로서, 곡선(1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가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될 때, 표면활성제는 모두 액체/공기 경계면에 그 자신을 배열하고, 곡선(11)과 비교하여 상당히 높은 표면활성제 농도로 이동된 CMC 포인트(16)(이 포인트에서 첨가된 표면활성제는 유리 미셀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까지 소수성 변성 물질에 결합한다.
상기에 비추어, 본 출원인은 표면활성제 결합에 있어 특정 소수성 변성 물질의 효능에 대한 하나의 측정이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소수성 변성 물질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델타 CMC"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델타 CMC"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값으로 정의된다. (a)(i)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조성물 및 (ii) 상기 (i)의 조성물에 대한 대조 조성물에 대한 CMC(이 값은 하기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역적정 장력학 시험 공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를 결정하고; (b) 상기 (i)의 조성물에 대해 수득된 CMC 값으로부터 상기 (ii)의 조성물에 대해 수득된 CMC 값을 차감함으로써 수득되는 수로서 정의된다. 특정 양태에서, 이는 제조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관련된 델타 CMC가 양의 값을 갖도록 본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소수성 변성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소수성 변성 물질은 델타 CMC가 약 +1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인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수득하도록 선택된다.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고 본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변성 물질의 예는 소수성 변성 중합체, 예를 들면,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 소수성 변성 셀룰로즈 물질, 소수성 변성 전분, 이들 중 2개 이상의 배합물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는 램덤, 블럭, 스타,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는 가교된 음이온성 아크릴성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공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산성 단량체 및 하나 이상의 소수성인 에틸렌적으로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적합한 산성 단량체의 예는 염기에 의해 중화될 수 있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 산 단량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소수성의 에틸렌적으로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탄소쇄 길이가 탄소수 3 이상인 소수성 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소수성으로 변성된 가교된 음이온성의 아크릴성 공중합체는,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 미국 특허공보 제6,433,061호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 하나 이상의 소수성 단량체; 알킬 머캅탄, 티오에스테르, 아미노-머캅탄-포함 화합물 또는 펩티드 단편,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쇄 이동제; 가교결합제; 및 임의의 입체 안정제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는 불포화 단량체 및 소수성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 내지 약 98중량%인,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중합체는 상품명 "Carbopol Aqua SF-1"[노베온, 인코포레이티드(Noveon, Inc.) 제조]의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많은 소수성 변성 셀룰로즈 물질 또는 전분이 있다. 적합한 소수성 변성 셀룰로즈의 예는 소수성 변성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예를 들면, 미국 델라웨어주 윌링턴에 소재한 헤라클레스 인코포레이티드(Hercules Inc.)에서 시판중인 "Natrosol Plus"]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소수성 변성 전분의 예는 소수성 변성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예를 들면, 미국 뉴 저지주 브릿지워터에 소재한 내셔널 스타치(National Starch)에서 시판중인 "Structure XL"]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소수성 변성 물질은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으로 변성된 가교된 음이온성의 아크릴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각종 음이온성 표면활성제가 본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른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소수성 변성 물질과 결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 따라, 적합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에는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술시나메이트,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카복실레이트,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복실레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지방 아실 아미노산,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표면활성제가 포함된다. 특정한 바람직한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예에는 다음의 화합물 및 이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R'-CH20S03X'의 알킬 설페이트,
화학식 R'(OCH2CH2)vOS03X'의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1
의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2
의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3
의 알킬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화학식 R'-SO3X'의 알킬 설포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4
의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5
의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6
의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7
의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8
의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화학식 R'-(OCH2CH2)w-OCH2CO2X'의 알킬 카복실레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09
의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복실레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0
의 석시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1
의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2
의 지방 아실 아미노산,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3
의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4
의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및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5
의 알킬 포스페이트.
상기식에서,
R'는 탄소수 약 7 내지 약 22,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6의 알킬 그룹이고,
R'1은 탄소수 약 1 내지 약 18,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4의 알킬 그룹이고,
R'2는 천연 또는 합성 I-아미노산의 치환체이고,
X'는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및 약 1 내지 약 3개의 치환체(각각의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및 탄소수 약 2 내지 약 4의 하이드록시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로 치환된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v는 1 내지 6의 정수이고,
w는 0 내지 20의 정수이다.
특정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는 하나 이상의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한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는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C13H27(OCH2CH2 )nOSO3Na(여기서, n은 1 내지 4의 값이다)을 따르고 상품명 "Cedapal TD-403M"[미국 일리노이주 노쓰필드에 소재한 스테판 캄파니(Stepan Company) 제조]으로 시판되는 설페이트화된 에톡실화된 트리데실 알콜의 나트륨염이다. 본 출원인은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가 본 발명에 따라 이와 관련된 상당히 감소된 자극성을 갖는 조성물을 수득하는데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소수성 변성 물질 및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양은 본 방법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 따라, 조성물 중에 0 초과 약 8중량%의 활성의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충분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에 약 0.01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4%,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4%,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3%의 활성의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극성이 감소된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충분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 약 0.1 내지 약 1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8.5%,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8%의 총 활성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특정한 다른 양태에서, 활성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 약 3.5 내지 약 7.3%,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약 7%,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7%의 총 활성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충분한 양이다.
소수성 변성 물질 및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는 2개 이상의 유체를 결합하는 통상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거나, 이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붓거나, 혼합하거나, 적가하거나, 피펫팅하거나, 펌핑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소수성 변성 물질 또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하나의 조성물은 기계적 교반 프로펠러, 패들 등과 같은 통상의 장치를 사용하여 임의 순서대로 다른 조성물로 또는 조성물과 함께 결합된다. 특정 양태에 따라, 결합 단계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또는 조성물과 함께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다른 양태에 따라, 결합 단계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또는 조성물과 함께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에 따른 결합 단계에서 결합되는 소수성 변성 물질 또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비제한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양쪽성 및/또는 양이온성 표면활성제, 진주박(眞珠箔)(pearlescent agent), 불투명화제, 증점제, 이차적 컨디셔너, 흡습제, 킬레이트화제, 조성물의 외관, 느낌 및 향기를 증진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면, 착색제, 방향제, 보존제, pH 조절제 등를 포함한 각종 다른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종 비이온성 표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비이온성 표면활성제의 예는, 이로 제한됨이 없이, 지방 알콜 산 또는 아미드 에톡실레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에톡실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이의 혼합물 등을 포함한다. 특정한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 성제는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여기에,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는 (1)(a)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4의 지방산, 및 (b) 소르비톨, 소르비탄, 글루코즈, α- 메틸 글루코사이드, 분자당 평균 약 1 내지 약 3개의 글루코즈 잔기를 갖는 폴리글루코즈,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폴리올로부터 유도되고, (2) 평균 약 10 내지 약 12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80개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며;(3) 폴리올 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몰당 평균 약 1 내지 약 3개의 지방산 잔기를 갖는다)를 포함한다. 폴리올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의 예는, 이로 제한됨이 없이,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한다. PEG-80 라우레이트(평균 약 8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라우르산의 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는 상품명 "Atlas G-4280"[미국 델라웨어주 윌링텅에 소재한 ICI 서펙턴츠(ICI Surfactants) 제조]로 시판된다. P폴리소르베이트 20(평균 약 2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된 소르비톨과 소르비톨 무수물의 혼합물의 라우레이트 모노에스테르)는 상품명 "Tween 20"(미국 델라웨어주 윌링텅에 소재한 ICI 서펙턴츠 제조)로 시판된다.
또 다른 부류의 적합한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는, (a) 탄소수 약 6 내지 약 22,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4의 장쇄 알콜과 (b) 글루코즈 또는 글루코즈 포함 중합체와의 축합 생성물인, 장쇄 알킬 글루코사이드 또는 폴리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킬 글루코사이드는 알킬 글루코사이드 분자당 약 1 내지 약 6개의 글루코즈 잔기를 포함한다. 바라직한 글루코사이드는, 데실 알콜과 글루코즈 중합체와의 축합 생성물로서 상품명 "Plantaren 2000"[미국 뉴 저지주 호보켄에 소재한 헨켈 코포레이션(Henkel Corporation) 제조]로 시판되는 데실 글루코사이드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양쪽성"은 1) 산성 및 염기성 부위를 모두 포함하는 분자, 예를 들면, 아미노(염기성) 및 산(예: 카복실산) 작용기 모두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또는 2) 동일 분자 내에 양성 및 음성 전하를 갖는 쯔비터이온성 분자를 의미할 것이다. 후자의 전하는 조성물의 pH에 의존적이거나 독립적일 수 있다. 쯔비터이온성 물질의 예는, 이로 제한됨이 없이, 알킬 베타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을 포함한다. 카운터 이온이 없는 양쪽성 표면활성제가 본원에 기술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 조건 하에서 양쪽성 표면활성제가 양전하 및 음전하의 균형에 의해 전기적으로 중성이거나 카운터 이온,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금속, 또는 암모늄 카운터 이온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쪽성 표면활성제의 예는, 이로 제한됨이 없이, 암포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알킬암포아세테이트(모노 또는 디); 알킬 베타인; 아미노알킬 베타인; 아미도알킬 설타인; 암포포스페이트; 포스포릴화된 이미다졸린, 예를 들면, 포스포베타인 및 피로포스포베타인; 카복실알킬 알킬 폴리아민; 알킬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알킬암포글리시네이트(모노 또는 디); 알킬암포프로피오네이트(모노 또는 디); N-알킬 β-아미노프로피온산; 알킬폴리아미노 카복실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암포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화학식 A-CONH(CH2)XN+R5R6R7{여기서, A는 탄소수 약 7 내지 약 21,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16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x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카복시알킬 그룹이고, R6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 또는 화학식 R8-0-(CH2)nCO2 -의 그룹(여기서, R8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그룹이고, n은 1 또는 2이다)이고, R7은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카복시알킬 그룹이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알킬 베타인의 예는 화학식 B-N+R9R10(CH2)pCO2 -(여기서, B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 예를 들면, 약 8 내지 약 16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R9 및 R1O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약 1 내지 약 4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이고, p는 1 또는 2이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베타인은 상품명 "Empigen BB/J"[영국 웨스트 미들랜드에 소재한 알브라이트 앤드 윌슨, 리미티드(Albright & Wilson, Ltd.) 제조]의 라우릴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예는 화학식 D-CO-NH(CH2)q-N+R11R12(CH2)mCO2 -(여기서, D는 탄소수 약 7 내지 약 21, 예를 들면, 약 7 내지 약 15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약 1 내지 약 4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q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m은 1 또는 2이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상품명 "Tegobetaine L7"[미국 버지니아주 호프웰에 소재한 골드슈미츠 케미칼 코포레이션(Goldschmidt Chemical Corporation) 제조]의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다.
적합한 아미도알킬 설타인의 예는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6
(여기서, E는 탄소수 약 7 내지 약 21, 예를 들면, 약 7 내지 약 15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약 1 내지 약 4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r은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3은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이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아미도알킬 설타인은 상품명 "Mirataine CBS"[미국 뉴 저지주 크랜버리에 소재한 론-뿔랑 인코포레이티드(Rhone-Poulenc Inc.) 제조]의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타인이다.
적합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예는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7
{여기서, G는 탄소수 약 7 내지 약 21, 예를 들면, 약 7 내지 약 15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s는 약 2 내지 약 6의 정수이고, R16은 수소 또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카복시알킬 그룹이고, R17은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하이드록시알킬 그룹 또는 화학식 R19-0-(CH2)t-C02 -의 그룹(여기서, R19는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이고, t는 1 또는 2이다)이고, R18은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이다}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한 가지 양태에서, 암포포스페이트 화합물은 상품명 "Monateric 1023"[미국 뉴 저지주 패터슨에 소재한 모나 인더스트리스(Mona Industries) 제조]의 나트륨 라우로암포 PG-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 미국 특허공보 제4,380,637호에 기술된 화합물이다.
적합한 포스포베타인의 예에는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8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한 가지 양태에서, 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 미국 특허공보 제4,215,064호, 제4,617,414호 및 제4,233,192호에 기술된 화합물이다.
적합한 피로포스포베타인의 예에는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19
(여기서, E, r, R1, R2 및 R3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한 가지 양태에서, 피로포스포베타인 화합물은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 미국 특허공보 제4,382,036호, 제4,372,869호 및 제4,617,414호에 기술된 화합물이다.
적합한 카복시알킬 알킬폴리아민의 예에는 화학식
Figure 112006014648081-PCT00020
(여기서, I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 예를 들면, 약 8 내지 약 16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R22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카복시알킬 그룹이고, R21은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그룹이고, u는 약 1 내지 약 4의 정수이다)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양이온 표면활성제의 부류는 알킬 쿼터너리(quaternary)(모노, 디 또는 트리), 벤질 쿼터러리, 에스테르 쿼터너리, 에톡실화된 쿼터너리, 알킬 아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알킬 그룹의 탄소수는 약 6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22이다.
실리콘과 같은 수불용성 첨가제를 현탁시킬 수 있고/있거나 소비자에게 생성 제품이 컨디셔닝 샴푸라는 것을 나타내기 쉬운 많은 시판되는 진주박 또는 불투명화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진주박 또는 불투명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약 10%, 예를 들면, 약 1.5 내지 약 7% 또는 약 2 내지 약 5%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진주박 또는 불투명화제의 예는, 이로 제한됨이 없이, (a)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의 지방산과 (b)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a)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의 지방산과 (b) 화학식 HO-(JO)a-H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여기서, J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그룹이고, a는 2 또는 3이다)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의 지방 알콜; 화학식 KCOOCH2L의 지방 에스테르(여기서, K 및 L은 독립적으로 약 15 내지 약 21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샴푸 조성물에 불용성인 무기 고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진주박 또는 불투명화제는 미리-형성되고 안정화된 수성의 분산물, 예를 들면, 상품명 "Euperlan PK-3000"(미국 뉴 저지주 호보켄에 소재한 헨켈 코포레이션 제조)로 시판되는 분산물로서 순한 세정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이 물질은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에틸렌 글리콜과 스테아르산의 디에스테르), 라우레쓰-4(CH3(CH2)10CH2(OCH2CH2)40H) 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의 배합물이며, 각각 약 25 내지 약 30: 약 3 내지 약 15: 약 20 내지 약 25의 중량비로 존재할 수 있다.
개인 세정 조성물에 적합한 점도를 부여할 수 있는 많은 시판되는 증점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사용되는 경우, 증점제는 조성물의 Brookfield 점도를 약 500 내지 약 10,000 cP로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샴푸 조성물 중에 존재해야 한다. 적합한 증점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1) 화학식 HO-(CH2CH2O)ZH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여기서, z는 약 3 내지 약 200의 정수이다)와 2)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의 지방산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에톡실화된 폴리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모노 및 디에스텔의 에톡실화된 유도체;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즈; 알킬 셀룰로즈; 하이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즈;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증점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품명 "PEG 6000 DS"[미국 일리노이주 노쓰필드에 소재한 스테판 캄파니 또는 이탈리아 볼로냐에 소재한 코미엘 에스.피.에이(Comiel, S.p.A.) 제조]의 PEG-150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모발을 윤기나게 하는 것과 같은 추가의 특성을 부여하는 휘발성 실리콘과 같은 많은 시판되는 이차적 컨디셔너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 가지 양태에서,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는 약 220 ℃ 미만의 대기 압력 비점을 갖는다.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너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3%, 예를 들면, 약 0.25 내지 약 2.5% 또는 약 0.5 내지 약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디메틸사이클로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유체, 예를 들면, 상품명 "DC-345"[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한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ming Corporation) 제조]의 폴리디메틸사이클로실록산 및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티콘 유체를 포함한다.
개인 세정 조성물에 보습 및 컨디셔닝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시판 흡습제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흡습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10%, 예를 들면, 약 0.5 내지 약 5% 또는 약 0.5 내지 약 3%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흡습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1)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기 중에서 선택된 수용성 액체 폴리올; 2) 화학식 HO-(R"O)b-H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여기서, R''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그룹이고, b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이다); 3) 화학식 CH3-C6H10O5-(OCH2CH2)c-OH의 메틸 글루코즈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여기서, c는 약 5 내지 약 25의 정수이다); 및 5)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글리세린이 바람직한 흡습제이다.
적합한 킬레이트화제의 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 및 보존할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품명 "Versene 100XL"(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한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제조)의 사나트륨 EDTA이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0.5% 또는 약 0.05 내지 약 0.25%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합한 보존제는 상품명 "Dowicil 20Q"(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에 소재한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제조)의 쿼터늄-15(Quaternium-15)을 포함하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 내지 약 0.2% 또는 약 0.05 내지 약 0.10%의 양으로 조성물 중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된 결합 단계 전, 후 또는 동시에, 상술된 임의 성분 중 하나 이상을 소수성 변성 물질 및/또는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함께 또는 조성물로 혼합 또는 도입하는 각종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혼합 순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양태에서, 특정 성분, 예를 들면, 방향제를 소수성 변성 물질 및/또는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하기 전에 특정 성분, 예를 들면, 방향제와 비이온성 표면활성제를 미리-블렌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신체 보호 제품, 예를 들면, 샴푸, 세척물, 배쓰, 겔, 로션, 크림 등으로 또는 이러한 제품에 사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예기치 못하게도, 본 방법이 피부 및/또는 눈에 감소된 자극 및 바람직한 발포체 특성을 갖는 신체 보호 제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특정한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모발을 음이온성 표면활성제 및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 또는 모발을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포유동물의 피부 및/또는 모발을 접촉하기 위한 통상의 수단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접촉 단계는 본 발명의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을 사람 피부 및/또는 사람 모발에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모발 및 피부를 세정하는 것과 통상적으로 관련된 많은 추가의 임의의 단계, 예를 들면, 발포체칠하기 단계, 세정 단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EP 및 장력학 시험이 본 방법 및 실시예에 사용된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TEP 시험은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른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인 경우를 결정을 하는데 사용되며, 장력학 시험은 표면활성제를 결합하기 위한 특정 소수성 변성 물질의 안정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EP 시험
지정된 제형물에 대해 예측되는 눈 및/또는 피부에 대한 자극은, 본원에 참조로 삽입된 Invittox Protocol Number 86(May 1994)에 기술된 "TEP 검정(Trans-epithelial Permeability Assay)"인 Invittox Protocol Number 86에 따라 측정된 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눈 및/또는 피부 자극 포텐셜은, 세포층을 통한 플우로레세인(fluorescein)의 누출에 의해 평가되는 바와 같이, 세포층의 침투에 대한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의 단층을 하부 웰의 배지 또는 검정 완충액을 포함하는 24-웰 플레이트에서 미세공성 삽입물에 컨플루언스로 성장시킨다. 제품의 자극 포텐셜은 제품의 희석물에 15 분 동안 노출시킨 후 세포 단층에서 침투 장애물에 대한 손상을 측정함으로써 평가된다. 장애물 손상은,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여, 30 분 후 하부 웰로 누출된 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으로 평가된다. 플루오레세인 누출은 시험 물질의 농도에 대해 플로팅되어, EC50(최대 염료 누출의 50%를 일으키는 시험 물질의 양, 즉 침투 장애물에 대한 50% 손상을 일으키는 시험 물질의 농도)을 결정한다. 보다 높은 스코어는 보다 순한 제형을 나타낸다.
미세공성 막에서 성장된 MDCK 세포의 층을 시험 샘플에 노출시키는 것이, 자극제가 눈과 접촉하였을 때 나타나는 제 1 사건에 대한 모델이다. 생체 내에서, 각막상피의 최외층이 세포 사이의 폐쇄대(tight junction)의 존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침투성인 장애물을 형성한다. 자극에 노출 시, 폐쇄대는 분리하여 침투 장애물을 제거한다. 유체는 상피의 하부층 및 간질에 흡수되어 콜라겐 라멜라가 분리되게 하고 불투명하게 된다. TEP 검정은 미세공성 삽이물에서 성장된 MDCK 세포의 층에 있는 세포 사이의 폐쇄대의 파괴에 대한 자극제의 영향을 측정한다. 손상은 세포층 및 미세공성 막을 통해 하부 웰로 누출하는 마커 염료(나트륨 플루오레세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분광광도법으로 평가된다.
장력학적 적정 시험
표면활성제 용액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널리 공지된 방법은 Wilhelmy 플레이트 방법[참조: Holmberg, K., Jonsson, B., Kronberg, B., L, indman, B., Surfactants and Polymers in Aqueous-Solution, Wiley & Sons, p. 347]이다. 이 방법에서, 플레이트는 액체에 함침되고 플레이트 상의 액체에 의해 발휘되는 하향힘이 측정된다. 이어서, 액체의 표면 장력은 플레이트 상의 힘 및 플레이트의 크기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정 농도의 범위에서 표면 장력을 측정함으로써 임계 미셀 농도(CMC)가 결정될 수 있다는 것도 널리 공지되어 있다.
시판되는 Wilhelmy 플레이트법 장치가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일정 농도 범위에 걸쳐 각각의 샘플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기 위해 백금 Wilhelmy 플레이트를 갖는 Kruss K12 Tensiometer[미국 노쓰캐롤라이나주 매튜에 소재한 크뤼스 유에스에이(Kruss USA) 제조]를 사용하였다. 시험은 포워드(forward) 또는 리버스(reverse)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샘플 용기는 얼마간의 초기 용액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Wilhelmy 플레이트는 표면 장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제 2 용액을 샘플 용기에 가하고, 교반한 후, Wilhelmy 플레이트를 다시 프로빙한다. 적정을 시작하기 전에 처음에 샘플 용기에 들어 있는 용액(이에 제 2 용액이 가해진다)을 이하에서는 초기 용액으로 언급할 것이며, 적정 동안 샘플 용기로 가해지는 용액을 이하에서는 Kruss USA에 의해 사용되는 관행에 따라 추가 용액(dosing solution)으로 언급할 것이다.
포워드 적정에서, 초기 용액의 농도는 추가 용액의 농도보다 낮다. 이 실시예에서, 포워드 적정 시험 동안, 초기 용액은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가 없는, HPLC 등급 물[미국 뉴 저지주에 소재한 피셔 사이언티픽(Fischer Scientific) 제조]이었다. 추가 용액은 5750㎎/ℓ의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의 농도를 갖는 나트륨 트리데세트 및 HPLC 등급 물(미국 뉴 저지주에 소재한 피셔 사이언티픽 제조)의 용액이었다. 추가 표면활성제 용액을 위한 큰 스톡 용액 4ℓ를 미리 준비하였다;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미국 일리노이주 노쓰필드에 소재한 스테판 캄파니 제조)를 5750㎎/ℓ의 농도로 HPLC 등급 수(미국 뉴 저지주에 소재한 피셔 사이언티픽 제조)에 가하였다.
포워드 적정의 개시 시에, 초기 용액 50㎖를 샘플 용기에 가하였다. 이 초기 용액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고, 이어서 일정량의 추가 용액을 샘플 용기에 가하였다. 다음 표면 장력을 측정하기 전에 용액을 적어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모든 적정은 0㎎/ℓ 내지 적어도 3500㎎/ℓ(모든 샘플의 CMC를 초과한다)의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른 시험 수행을 이하 포워드 적정 장력학 시험으로 언급한다.
달리, 리버스 적정에서, 초기 용액의 농도는 추가 용액의 농도 보다 높다. 하기 실시예의 리버스 적정 시험 동안, 추가 용액은 어떠한 표면활성제도 없는 (0㎎/ℓ) HPLC 등급 물(미국 뉴 저지주에 소재한 피셔 사이언티픽 제조)이었다. 완전 농축 제형물(예를 들면, 표 1의 제형물)을 HPLC 등급 물(미국 뉴 저지주에 소재한 피셔 사이언티픽 제조)로 약 5중량%의 희석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5% 희석 용액을 샘플 용기에 가하였으며, 초기 용액이었다. 이러한 초기 용액의 표면 장력을 측정하고, 이어서 일정 양의 추가 용액을 샘플 용기에 가하였다. 다음 표면 장력을 측정하기 전에 용액을 적어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희석물이 약 0.0008%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추가, 교반 및 측정을 반복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른 시험 수행을 이하 리버스 적정 장력학 시험으로 언급한다.
가공하지 않은 장력학 데이터로부터, 하기 방식으로 각각의 샘플에 대해 CMC를 결정하였다. 먼저, 수평선에 대한 방정식을 고농도(즉, 그래프의 최하점 위의 농도)에서의 데이터 부분에 대해, 예를 들면, 도 2에서 라인(21)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장력이 본질적으로 일정한 영역으로 피팅하였다. 이어서, 일직선에 대한 식을, 예를 들면, 도 2의 라인(22)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앞서 유도된 수평선 위의 표면 장력을 갖는 낮은 농도에서의 데이터에 대해 피팅하였다. 이어서, 이들 2개의 라인/방정식의 교점(23)을 샘플에 대한 CMC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세정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낸 물질 및 양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품명 INCI 명 1 2 3 4
PEG 8000 (100중량%) PEG 8000 1.800 ---- ---- ----
Polyox WSR 205 (100중량%) PEG-14M ---- 1.800 ---- ----
Carbopol ETD 2020 (100중량%) 카보머 ---- ---- 1.800 ----
Carbopol AQUA SF1 (30중량%)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 ---- 6.000
Tegobetaine L7V (30중량%)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9.330 9.330 9.330 9.330
Monateric 949J (30중량%) 이나트륨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2.000 2.000 2.000 2.000
Cedepal TD403LD (30중량%)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 10.000 10.000 10.000 10.000
Glycerin 917 (99중량%) 글리세린 1.900 1.900 1.900 1.900
Polymer JR-400 폴리쿼터늄-10 0.140 0.140 0.140 0.140
Dowicil 200 쿼터늄-15 0.050 0.050 0.050 0.050
Versene 100XL 사나트륨 EDTA 0.263 0.263 0.263 0.263
수산화나트륨 용액 (20중량%) 수산화나트륨 ---- 0.500 0.500 0.500
시트르산 용액 (20중량%) 시트르산 0.500 ---- ---- ----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표 1의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물(50부)을 비이커에 가했다. PEG 8000(실시예 1), Polyox WSR 205(실시예 2), Carbopol ETD 2020(실시예 3) 및 Carbopol Aqua SF1(실시예 4))를 혼합하면서 물에 가하였다. 각각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할 때까지 Tegobetaine L7V, Monateric 949J, Cedepal TD403LD, Glycerin 917, Polymer JR400, Dowicil 200, 및 Versene 100XL을 혼합하면서 독립적으로 가하였다. 이어서, 최종 pH가 약 6.3 내지 6.6이 될 때까지 생성 용액의 pH를 20% 시트르산 용액(실시예 2) 또는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실시예 1, 3 및 4)으로 조절하였다.
세정 조성물의 온화성 ( mildness ) 비교: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상기 TEP 시험에 따라 온화성을 시험하였다. 이들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온화성 비교
실시예 TEP값
실시예 1 3.64 ±1.01
실시예 2 3.69 ±0.98
실시예 3 4.08 ±0.18
실시예 4 4.93 ±0.32*
* =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남(95% Cl)
당해 실시예는 모든 물질이 세정 표면활성제 조성물의 피부 및 눈 자극성을 동일하게 누그러뜨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내지 8: 정력학 적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5 내지 9의 조성물을 표 3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품명 INCI 명 5 6 7 8 9
PEG 8000 (100중량%) PEG 8000 ---- 0.050 ---- ---- ----
Polyox WSR 205 (100중량%) PEG-14M ---- ---- 0.050 ---- ----
Carbopol ETD 2020 (100중량%) 카보머 ---- ---- ---- 0.050 ----
Carbopol AQUA SF1 (30중량%)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 ---- ---- 0.167
수산화나트륨 용액 (20중량%) 수산화나트륨 ---- ---- ---- 필요한 양 필요한 양
탈이온수 탈이온수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표 3의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HPLC 등급 물(50.0부)을 비이커에 가하였다. 중합체(PEG 8000(실시예 1), Polyox WSR 205(실시예 2), Carbopol ETD 2020(실시예 3) 및 Carbopol Aqua SF1(실시예 4))를 혼합하면서 물에 가하였다. 이어서, 최종 pH가 약 7.0이 될 때까지 생성 용액의 pH를(필요할 때) 2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나머지 물을 가하였다.
임계 미셀 농도( CMC ) 값:
실시예 5 내지 9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포워드 적정 정력학 실험을 사용하여 CMC 값을 측정하였다. 초기 용액은 실시예 5 내지 9 중의 하나의 조성물 50㎖였다. 첨가 용액은 HPLC 등급 물 중의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 5750㎎/ℓ였다. 나트륨 트리데세트 농도를 초기 용액에서는 0㎎/ℓ로 하여 최종 측정시 3771㎎/ℓ까지 증가되도록 42개의 첨가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험에 대한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임계 미셀 농도(CMC) 비교
실시예 CMC값 (㎎/ℓ) 델타 CMC (㎎/ℓ)
실시예 5 125 -
실시예 6 83 -42
실시예 7 122 -3
실시예 8 169 44
실시예 9 400 275
CMC는 유리 미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표면활성제(당해 실시예에서는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 농도이다. CMC 이하의 표면활성제의 농도에서는 어떠한 표면활성제도 유리 미셀로 존재하지 않으나, CMC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액 중에 유리 미셀이 존재한다. 실시예 5에서, CMC는 중합체 없이 측정되며, 125㎎/ℓ로 밝혀졌다. 실시예 5(추가의 물질 부재)의 조성물과 관련된 델타 CMC가 표 4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6에서, PEG 8000을 사용하여 측정된 CMC는 83이었으며, 이는 단지 표면활성제만 포함하고 중합체는 없는 실시예 5의 조성물의 CMC 이하이다.
실시예 7에서, 용액에 Polyox WSR 205를 추가하면, 추가의 물질이 없는 용액(실시예 5)과 비교하여 CMC에서 유의하지 않은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Carbopol ETD 2020의 첨가는 CMC에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CMC를 124㎎/ℓ(추가의 물질의 부재)로부터 169㎎/ℓ로 증가시켰다; 이는 두 번째로 큰 델타 CMC를 나타낸다. 실시예 8에서, Carbopol SF-1은 가장 높은 CMC 및 가장 큰 델타 CMC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용액에 특정 물질의 첨가가 용액 중의 표면활성제의 CMC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용액의 CMC의 증가는 유리 미셀 형성의 개시가 보다 고농도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제시한다. 실시예 5에서 유리 미셀은 124㎎/ℓ의 트리데세트 설페이트에서 형성되기 시작하고, 실시예 9에서 유리 미셀은 400㎎/ℓ의 트리데세트 설페이트까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특정 물질의 첨가로 보다 높은 농도로 CMC가 이동이 일어나는 것은(즉, 실시예 8 및 9), 표면활성제가 상기 물질과 결합하여 유리 단량체 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라 믿는다. 유리 단량체 농도는 상기 물질과 결합된 표면활성제의 양과 비례하여 감소된다. 델타 CMC의 크기는, 상기 물질이 결합할 수 있는 표면활성제의 양 또는 표면활성제를 결합하는데 있어 상기 물질의 효능을 제시한다.
PEG 8000의 첨가(실시예 1 및 6)는 가장 낮은 TEP 스코어, 대부분 자극 및 가장 낮은 CMC를 나타내었다. Polyox WSR 205의 첨가(실시예 2 및 7)는 두 번째로 낮은 TEP 스코어 및 두 번째로 낮은 CMC를 나타내었다. Carbopol ETD 2020의 첨가(실시예 3 및 8)는 두 번째로 높은 TEP 스코어 및 두 번째로 큰 CMC 이동을 나타내었다. Carbopol Aqua SF-1의 첨가(실시예 4 및 9)는 가장 높은 TEP 스코어 및 가장 큰 CMC 이동을 나타내었다. 놀랍게도, 본 출원인은 상기 물질의 첨가에 의해 일어나는 CMC 이동의 크기와 조성물의 온화성 사이에 관계/관련을 발견하였다. CMC 의 보다 큰 이동을 초래하는 물질 또는 물질들의 첨가가 조성물의 온화성을 개선시킨다. CMC의 충분한 증가를 일으키는 물질의 첨가로 감소된 자극성을 갖는 조성물이 생성된다.
실시예 9에서, Carbopol Aqua SF-1의 농도는 500㎎/ℓ이고 CMC는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 400㎎/ℓ이었으며, SF-1이 없는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의 CMC는 125㎎/ℓ였다. 따라서, 실시예 9의 물질은 275㎎의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500㎎의 물질 또는 0.183 g의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1.0g의 Aqua SF-1와 결합하였다. 표면활성제를 결합하는 물질의 효능은 물질 잘량당 델타 CMC이다. 높은 효능을 갖는 물질은 보다 많은 표면활성제를 결합하고 보다 큰 델타 CMC를 나타낼 것이다.
실시예 10 내지 15: 세정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0 내지 15의 세정 조성물을 표 5에 열거된 물질 및 양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품명 INCI 명 10 11 12 13 14 15
Carbopol AQUA SF1 (30중량%)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0.900 2.700 3.600 4.500 6.000
Atlas G-4280 (72중량%)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4.580 4.580 4.580 4.580 4.580 4.580
Tegobetaine L7V (30중량%)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11.33 11.33 11.33 11.33 11.33 11.33
Cedepal TD403LD (30중량%)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Glycerin 917 (99중량%) 글리세린 1.900 1.900 1.900 1.900 1.900 1.900
Polymer JR-400 폴리쿼터늄-10 0.140 0.140 0.140 0.140 0.140 0.140
Dowicil 200 쿼터늄-15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Versene 100XL 사나트륨 EDTA 0.263 0.263 0.263 0.263 0.263 0.263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충분한 양
표 5의 조성물 각각을 다음과 같이 독립적으로 제조하였다. 물(50.0부)을 비이커에 가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5에 대해, Carbopol Aqua SF-1을 혼합하면서 물에 가하였다(실시예 10에 대해서는 이러한 단계를 생략하였다). 이어서, Atlas G-4280을 혼합하면서 가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5에서, 각각의 생성 혼합물이 균질하게 될 때까지 Tegobetaine L7V, Cedepal TD403LD, Glycerin 917, Polymer JR400, Dowicil 200, 및 Versene 100XL을 독립적으로 가하였다. 이어서, 최종 pH가 약 6.3 내지 6.6이 될 때까지 생성 용액의 pH를 20% 수산화나트륨 용액 또는 20% 시트르산 용액으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나머지 물을 가하였다.
세정 조성물의 온화성 비교:
실시예 10 내지 1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상기 TEP 시험에 따라 온화성을 시험하였다. 이들 시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온화성 비교
실시예 TEP값 델타 TEP값
실시예 10 1.46 ±0.26 -
실시예 11 2.68 ±0.28 1.22
실시예 12 2.85 ±0.51 1.39
실시예 13 2.74 ±0.18 1.28
실시예 14 3.34 ±0.83 1.88
실시예 15 3.26 ±0.39 1.80
실시예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arbopol Aqua SF1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양의 음이온 표면활성제(6.0% 활성)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TEP 값을 기록하였으므로, 자극성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Carbopol Aqua SF1을 첨가하면, TEP 스코어가 개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2 내지 15는 조성물에 첨가되는 Carbopol Aqua SF1의 양이 증가할 수록, 이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TEP 값이 일반적으로 동시에 개선되었다. 대조 조성물(실시예 10, Carbopol Aqua SF-1 부재)에 관한 델타 TEP 스코어가 표 6에 나타나 있다.
이들 실시예는 Carbopol Aqua SF1이 표면활성제의 결합을 통해 조성물의 피부 및 눈에 대한 온화성을 상당히 개선하였고, 공중합체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온화성이 일반적으로 개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TEP 스코어에 있어 대부분의 증가는 단지 0.9% Carbopol Aqua SF-l(실시예 10)의 첨가와 함께 나타난다.
세정 조성물의 임계 미셀 농도( CMC ) 비교
실시예 10 내지 15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리버스 적정 정력학 실험을 사용하여 CMC 값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시험에 대한 결과가 표 7에 나타나 있다.
임계 미셀 농도(CMC) 비교
실시예 CMC값 (㎎/ℓ) 델타 CMC (㎎/ℓ)
실시예 10 48 -
실시예 11 65 17
실시예 12 136 88
실시예 13 377 329
실시예 14 370 322
실시예 15 398 350
이러한 일련의 실시예 10 내지 15는, Carbopol Aqua SF-1의 양이 0%에서 6%까지(0 내지 1.8% 활성) 증가됨에 따라 델타 CMC가 보다 높은 값으로 증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특정한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본 출원인은 Carbopol Aqua SF-1의 증가하는 농도에 의한 결과인 델타 CMC의 증가를 표면활성제에 결합하는 Carbopol Aqua SF-1의 능력으로 돌린다. 보다 많은 Carbopol Aqua SF-1이 조성물(실시예 10 내지 15)에 첨가됨에 따라 보다 많은 표면활성제가 이에 결합한다. Carbopol Aqua SF-1에 결합된 표면활성제가 유리 단량체 농도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CMC는 보다 높은 값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성물의 온화성(TEP 값)은 일반적으로 Carbopol Aqua SF-1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본 출원인은, 실시예 10 내지 15에 의해 다시 한번, CMC 및 델타 CMC의 증가와 조성물의 온화성 개선(TEP/델타 TEP 스코어) 사이의 관련성을 밝혀내었다.

Claims (29)

  1.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물질을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합하여 자극이 감소된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TEP(상피 투과도)가 약 1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TEP가 약 1.2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TEP가 약 1.8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CMC(임계 미셀 농도)가 약 16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CMC가 약 80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의 델타 CMC가 약 300 이상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8. 제11항에 있어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 소수성 변성 셀룰로스 물질, 소수성 변성 전분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가 하나 이상의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 하나 이상의 소수성 단량체; 하나 이상의 알킬 머캅탄, 티오에스테르, 아미노산-머캅탄 함유 화합물, 펩티드 단편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소수성 쇄 이동제; 가교결합제; 및 임의로 입체 안정제로부터 유도되고, 불포화 카복실산 단량체의 양이, 불포화 단량체 및 소수성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0 내지 약 98중량%인,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가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모노글리세릴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설포석시나메이트, 알킬 아미도설포석시네이트, 알킬 카복실레이트, 알킬 아미도에테르카복실레이트, 알킬 석시네이트, 지방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지방 아실 아미노산, 지방 아실 타우레이트, 지방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약 0.1 내지 약 12.5%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 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약 0.5 내지 약 8.5%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이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약 1 내지 약 8%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이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양쪽성 표면활성제, 양이온성 표면활성제, 진주박(眞珠箔)(pearlescent agent), 불투명화제, 증점제, 제2 컨디셔너, 흡습제, 킬레이트화제, 착색제, 방향제, 보존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6. 표면활성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를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합하여, 델타 TEP가 약 1.2 이상이고 델타 CMC가 약 80 이상이며 비이온성 표면활성제, 양쪽성 표면활 성제, 양이온성 표면활성제, 진주박, 불투명화제, 증점제, 제2 컨디셔너, 흡습제, 킬레이트화제, 착색제, 방향제, 보존제, pH 조절제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극이 감소된 신체 보호 조성물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신체 보호 조성물과 연관된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17. 소수성 변성 물질을 나트륨 트리데세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표면활성제와 합하여, TEP 값이 약 1.5 이상인 조성물을 제조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TEP 값이 약 2.5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TEP 값이 약 3.5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TEP 값이 약 4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 소수성 변성 셀룰로즈 물질, 소수성 변성 전분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소수성 변성 물질이 소수성 변성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델타 TEP가 약 1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델타 TEP가 약 1.8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델타 CMC가 약 16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델타 CMC가 약 300 이상인, 조성물의 제조방법.
  27.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모발을 제1항에 따라 제조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모발을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
  28.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모발을 제16항에 따라 제조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모발을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
  29. 포유동물의 피부 또는 모발을 제17항에 따라 제조된 자극이 감소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또는 모발을 감소된 자극성으로 세정하는 방법.
KR1020067004158A 2003-08-28 2004-08-19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158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50,495 2003-08-28
US10/650,398 2003-08-28
US10/650,495 US7119059B2 (en) 2003-08-28 2003-08-28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10/650,573 2003-08-28
US10/650,226 US7084104B2 (en) 2003-08-28 2003-08-28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10/650,398 US20050049172A1 (en) 2003-08-28 2003-08-28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10/650,226 2003-08-28
US10/650,573 US7098180B2 (en) 2003-08-28 2003-08-28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PCT/US2004/027018 WO2005023969A1 (en) 2003-08-28 2004-08-19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695A true KR20070094695A (ko) 2007-09-21
KR101158328B1 KR101158328B1 (ko) 2012-06-22

Family

ID=342800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158A KR101158328B1 (ko) 2003-08-28 2004-08-19 신체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067004219A KR101222902B1 (ko) 2003-08-28 2004-08-19 개인 보호용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219A KR101222902B1 (ko) 2003-08-28 2004-08-19 개인 보호용 조성물의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3) EP2343043B1 (ko)
JP (2) JP2007504140A (ko)
KR (2) KR101158328B1 (ko)
AU (3) AU2004270669A1 (ko)
BR (2) BRPI0413925B1 (ko)
CA (2) CA2537133C (ko)
ES (1) ES2528668T3 (ko)
WO (2) WO2005023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6318B2 (en) 2004-11-26 2010-08-17 L'oreal S.A. Liquid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nionic surfactant and its use for cleansing human keratin materials
FR2878441B1 (fr) 2004-11-26 2008-09-19 Oreal Composition liquide de nettoyage a base de tensioactifs anioniques ; utilisations pour le nettoy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humaines
US7446088B2 (en) * 2006-05-05 2008-11-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low-DP polymerized surfacta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079765B1 (en) * 2006-11-09 2016-01-27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Irritation mitigating polymers and uses therefor
US20130266531A1 (en) * 2010-12-16 2013-10-10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Person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aqueous compositions of viscoelastic surfactant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mers
JP6165735B2 (ja) 2011-09-13 2017-07-19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界面活性剤応答性分散重合ミクロゲル
JP6162121B2 (ja) 2011-09-13 2017-07-12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界面活性剤応答性エマルジョン重合ミクロゲル
CN104994914B (zh) 2012-12-20 2018-07-27 路博润先进材料公司 刺激性减轻聚合物及其用途
KR20150099580A (ko) 2012-12-20 2015-08-3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자극 완화 폴리머 및 이의 용도
US10159638B2 (en) 2016-06-21 2018-1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complexing polyelectrolytes
WO2020131678A1 (en) 2018-12-19 2020-06-2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Cleansing composition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417A (en) * 1975-02-28 1976-04-13 Johnson & Johnson High-lathering non-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CA1092934A (en) * 1977-05-09 1981-01-06 Richard R. Egan Light duty non-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US4110263A (en) 1977-06-17 1978-08-29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Mild cleans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eneoxylated bis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US4186113A (en) 1978-04-03 1980-01-29 Johnson & Johnson Low 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US4215064A (en) 1978-11-30 1980-07-29 Johnson & Johnson Phosphobetaines
US4256611A (en) * 1978-09-13 1981-03-17 Sherex Chemical Company, Inc. Light duty non-irritating detergent compositions
US4233192A (en) 1978-11-30 1980-11-11 Johnson & Johnson Detergent compositions
US4380637A (en) 1978-11-30 1983-04-19 Johnson & Johnson/Mona Industries, Inc. Imidazoline phosphobetaines
US4372869A (en) 1981-05-15 1983-02-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US4382036A (en) 1981-05-15 1983-05-0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yrophosphobetaines
US4443362A (en) 1981-06-29 1984-04-17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4948576A (en) * 1983-02-18 1990-08-14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Detergent compositions
US4617414A (en) 1984-09-10 1986-10-14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osphate surfactants
US4726915A (en) 1986-03-10 1988-02-23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ES2065029T3 (es) * 1990-04-16 1995-02-01 Minnesota Mining & Mfg Aditivos de suavidad para composiciones limpiadoras de la piel.
GB9020594D0 (en) * 1990-09-21 1990-10-31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KR0121109B1 (ko) * 1994-04-23 1997-11-13 최무섭 샴푸 조성물
GB9414574D0 (en) * 1994-07-19 1994-09-0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6133212A (en) * 1995-05-27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US6001344A (en) * 1996-03-06 1999-12-14 Lever Brothers Company Liquid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xanthan gum and cross-linked polyacrylic acid polymers for enhanced suspension of large droplet oils
US5792739A (en) * 1996-04-24 1998-08-11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Liquid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alkylene glycols as mildness actives
GB9613947D0 (en) * 1996-07-03 1996-09-04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GB9613968D0 (en) * 1996-07-03 1996-09-04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GB9613901D0 (en) * 1996-07-03 1996-09-04 Procter & Gamble Cleansing compositions
EP0884380A3 (de) * 1997-06-11 1999-11-17 Th. Goldschmidt AG Milde alkylpolyglucosid-freie Tensidzubereitungen enthaltend hydrophob modifizierte Polyasparaginsäurederivate
JP3824761B2 (ja) * 1997-12-26 2006-09-2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DE19818410A1 (de) * 1998-04-24 1999-10-28 Wella Ag Haar- und Körperreinigungsmittel mit verminderter Hautirritation
US6642198B2 (en) * 1998-12-16 2003-11-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r cleansing detergent systems
US6172019B1 (en) * 1999-09-09 2001-01-09 Colgate-Palmolive Company Personal cleanser comprising a phase stable mixture of polymers
KR20020025804A (ko) * 2000-09-29 2002-04-04 미쉘 지. 멘지니 국소적 피부 약제의 침투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성물
US6433061B1 (en) 2000-10-24 2002-08-13 Noveon Ip Holdings Corp. Rheology modifying copolymer composition
FR2829387B1 (fr) * 2001-09-11 2005-08-26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dimethicone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FR2829385B1 (fr) * 2001-09-11 2005-08-0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huile et leurs utilisations
FR2829386B1 (fr) * 2001-09-11 2005-08-05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dimethicone, un agent nacrant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FR2829384B1 (fr) * 2001-09-11 2003-11-1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silicone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FR2829383B1 (fr) * 2001-09-11 2005-09-2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d'acide methacrylique, une silicone et un polymere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DE10153023A1 (de) * 2001-10-26 2003-05-15 Beiersdorf Ag Wirkstoffhaltige kosmetische Reinigungsemulsionen
FR2831803B1 (fr) * 2001-11-08 2004-07-30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e silicone aminee et un agent epaississant et leurs utilisations
DE10161171A1 (de) * 2001-12-13 2003-06-18 Beiersdorf Ag Talkumhaltige kosmetische Reinigungsemulsionen
US6737394B2 (en) * 2002-03-04 2004-05-1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Isotropic cleansing composition with benefit agent particles
DE10216504A1 (de) * 2002-04-11 2003-10-30 Beiersdorf Ag Gelförmig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ein oder mehrere vorgelatinisierte, quervernetzte Stärkederivate und einen oder mehrere Gel-bildner aus der Gruppe der Polyacrylate
DE10232366A1 (de) * 2002-07-17 2004-02-05 Beiersdorf Ag Glitterstoffhaltige Kosmetika
JP2006525229A (ja) * 2003-05-01 2006-11-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クレンジング相と、高濃度内相エマルションを含む分離した効能相とを含有する、ストライプ模様の液体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組成物
EP1620062A2 (en) * 2003-05-01 2006-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isually distinctive multiple liquid phase compositions
US20040223991A1 (en) * 2003-05-08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hase personal car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0620B1 (en) 2011-06-08
CA2539473A1 (en) 2005-03-17
BRPI0413992A (pt) 2006-11-14
AU2004270669A1 (en) 2005-03-17
EP2343043A2 (en) 2011-07-13
AU2004270663A1 (en) 2005-03-17
JP2007504137A (ja) 2007-03-01
EP1673424A4 (en) 2006-11-15
AU2011201479A1 (en) 2011-04-21
CA2537133A1 (en) 2005-03-17
KR101222902B1 (ko) 2013-01-16
KR20070041416A (ko) 2007-04-18
CA2537133C (en) 2012-12-18
EP1660620A4 (en) 2006-11-22
ES2528668T3 (es) 2015-02-11
WO2005023970A1 (en) 2005-03-17
EP2343043B1 (en) 2014-11-19
KR101158328B1 (ko) 2012-06-22
CA2539473C (en) 2013-05-21
BRPI0413925A (pt) 2006-10-24
JP2007504140A (ja) 2007-03-01
EP2343043A3 (en) 2011-11-30
WO2005023969A1 (en) 2005-03-17
BRPI0413925B1 (pt) 2015-11-03
EP1660620A1 (en) 2006-05-31
EP1673424A1 (en)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7414B2 (en)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EP1879659B1 (en) Low-irrit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084104B2 (en)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7119059B2 (en)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7098180B2 (en)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AU2011201479A1 (en)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EP2018890A2 (en) Methods of cleansing dyed hair
US20050049172A1 (en) Mild and effective cleansing compositions
US20050070452A1 (en)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KR20060053109A (ko) 개인용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KR20060053110A (ko) 개인용 보호 조성물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방법
MXPA06002371A (en)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MXPA06002370A (en) Methods of reducing irritation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