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812A - 반송설비 - Google Patents

반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812A
KR20070093812A KR1020070018300A KR20070018300A KR20070093812A KR 20070093812 A KR20070093812 A KR 20070093812A KR 1020070018300 A KR1020070018300 A KR 1020070018300A KR 20070018300 A KR20070018300 A KR 20070018300A KR 20070093812 A KR20070093812 A KR 20070093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ransverse
guide
endles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315B1 (ko
Inventor
마사히로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70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03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700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2462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70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591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7009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4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pushers transversally movable on the supporting surface, e.g. push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crew Conveyo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반송경로 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분기 반송경로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반송설비에 있어서는, 삽입 결합부에 뽑힘력(拔力)이 작용하였을 때,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무단 체인이 이간되어 결합상태가 흐트러지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플랜지부가 접촉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내측으로 이간되어 설편부가 탄성에 저항하여 이간 이동 가능하게 되고, 외측 끝면에 대하여 플랜지부가 이간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접촉해서 설편부의 탄성에 저항한 이간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무단회동체와 이동부재의 연결, 이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결합상태를 항상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송설비{CONVEYANC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상위 프레임재 부분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 2는 동 반송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반송설비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동 반송설비의 왕로 안내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반송설비의 복로 안내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반송설비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 7은 동 반송설비의 요부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 8은 동 반송설비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사이드 브래킷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를 부착한 물품 지지체 부분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와 물품 가로 압압체와 사이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체와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착탈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5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이동부재와 돌출부의 연결부분으로서, 도 15A는 빠짐 이동 저지시의 일부 절개 배면도, 도 15B는 빠짐 이동시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사이드 브래킷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17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와 물품 가로 압압체와 사이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상위 프레임재 부분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0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이동부재와 돌출부의 연결부분으로서, 도 20A는 빠짐 이동 저지시의 일부 절개 배면도, 도 20B는 빠짐 이동시의 일부 절개 배면도이다.
도 21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21A~도 21C는 각각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사이드 브래킷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를 부착한 물품 지지체 부분의 일부 절개 측면도이다.
도 23은 동 반송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4는 동 반송설비의 상위 프레임재 부분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5는 동 반송설비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지지체와 물품 가로 압압체와 사이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의 일부 절개 평면도이다.
도 29는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동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를 부착한 물품 지지체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1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를 부착한 물품 지지체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2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별도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도 32A~도 32B는 각각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가로 압압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주반송경로 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이 주반송경로의 측부 외방에 설치한 분기 반송경로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는 반송설비에 관한 것 이다.
종래, 이와 같은 종류의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3-128235호 공보에 나타내는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 즉, 주반송경로를 따라 배치한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 사이에, 주반송경로와는 직교방향의 물품 지지체가 다수 부착되고, 이들 물품 지지체에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의 이면측에 피 가이드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피 가이드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단회동체는 무단 체인 형식으로, 특정한 링크 핀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지지체의 양단에는 사이드 부재가 부착되고, 이 사이드 부재에 형성된 통형상의 연결부에 특정의 링크 핀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물품 지지체의 양단이, 각각 사이드 부재를 통해서 무단 체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부재의 타단측에는, 인접한 사이드 부재의 연결부에 외측에서 끼워지기 가능한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에 사이드 부재간의 연결부분은, 주반송경로에 있어서의 시종단의 반전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수축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절곡되는 것이나, 조립성이나 보수관리성을 고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통형상의 연결부에 대경부분이 형성되고, 그리고 끼워맞춤부는 내외 양측방과 다른쪽 외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평행한 형상의 1쌍의 끼워맞춤면에 대경부분의 원주면이, 측면으로 바라봐서 점접촉(좌우방향으로 선접촉)하는 상태로 끼워맞춰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 부재측의 연결부에 특정의 링크 핀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물품 지지체가 무단 체인에 연결되는 것이고, 그 결합상 태의 유지는 어려운 것으로 된다. 즉 사용시에 있어서, 예컨대 물품 지지체나 무단 체인이 가로 진동 상태로 되는 등 하여, 삽입 결합부에 뽑힘력이 작용했을 때,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무단 체인이 이간되어, 그 결합상태가 흐트러지게 된다. 그 결과, 무단 체인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나 스프로킷으로부터의 빠짐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편평한 형상의 끼워맞춤면에 대한 원주면의 점접촉(선접촉)의 부분에는, 반전부에 있어서의 수축이나 절곡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간극이 필요하고, 이 점접촉부분의 간극에 의해서, 반전부에 있어서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원주면의 점접촉의 부분은, 수축 이동이나 절곡 이동의 반복에 의해 마모되기 쉽고, 이것에 의해 간극이 확대되어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이 크게 되는 등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종래 구성으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평6-115680호 공보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이 제공되어 있다. 즉, 체인에 있어서의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슬랫의 끝면에 부착부재를 부착되고, 이 부착부재의 판부에 형성된 통부에, 체인의 연결축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1쌍의 체인 사이에 다수의 슬랫이 부착되고, 그리고 각 슬랫에 외부로부터 끼워서 안내되는 슈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슈는, 표면부와 이면부와 앞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표면부의 후방부 양측에는, 후방부측이 안쪽으로 경사지는 설치면부가, 경사각도를 30도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치면부에는, 우레탄 수지제의 완충부재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다른 종래 구성에 의하면, 부착부재측의 통부에 연결축이 압입 고정됨으로써, 슬랫이 체인에 연결되는 것이고, 그 결합상태의 유지는 어려운 것으로 된다. 즉 사용시에 있어서, 예컨대 슬랫이나 체인이 가로 진동 상태로 되는 등 하여, 압입 고정부에 뽑힘력이 작용했을 때, 슬랫에 대해서 체인이 이간되어, 그 결합상태가 흐트러지게 된다. 그 결과, 체인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나 스프로킷으로부터의 빠짐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슈의 표면부에 있어서의 후방부 양측에만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앞에 위치되는 슈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후단과, 뒤에 위치되는 슈에 설치된 완충부재의 전단 사이에 큰 간극이 생기게 되고, 특히 작은 반송물 등의 경우에 완충부재의 압압 이동면이 편심위치(편심 개소)에 접촉하여, 나누기를 안정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슈를 크게 하여, 슈의 전후 간격(전후의 간극)을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슈를 단지 크게 했을 때, 측부에서 전진 이동하고 있는 최후위의 슈와, 가로방향으로 나뉘어 이동하고 있는 최전위의 슈에 의한 반송물의 끼워넣어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무단회동체와 이동부재의 연결, 이탈(연결 해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결합상태를 항상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반전부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을 완화 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촉부분이 마모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물품 가로 압압체의 전후 간격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물품의 끼워넣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는, 무단회동체에 연결된 이동부재측에는,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과는 직교형상방향의 삽입 구멍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부의 삽입방향의 내부측에는,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 확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구멍부에 삽입가능한 통형상 연결체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체는, 그 통형상부의 외측 끝에 상기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접촉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통형상부의 안쪽 끝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설편부로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연결체의 통형상부에 대하여,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돌출부의 안쪽 끝부분에는 환상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환상 오목부의 내부측은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에는, 상기 경사 확경면에 내측으로부터 대향 가능한 외향 볼록부와, 상기 환상 오목부에 탄성 결합 가능한 내향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플랜지부가 접촉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내측으로 이간되어 설편부가 탄성에 저항하여 이간 이동 가능하게 되고, 외측 끝면에 대하여 플랜지부가 이간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접촉되어 설편부의 탄성에 저항한 이간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제1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재측의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때에 삽입은, 설편부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측으로 변형시키고, 외향 볼록부군을 삽입 구멍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에 의해서, 그 플랜지부를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접촉시켜서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설편부군의 외향 볼록부를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이간 공간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시켜 결합상태로 할 수 있어서, 이동부재측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를 내부 끼움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통형상 연결체를 세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와 통형상 연결체의 통형상부를 서로 대향시킨 후, 통형상부에 대하여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이 삽입이 끝에 가까와졌을 때, 돌출부의 선단을 내향 볼록부군에 접촉시킬 수 있고, 이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이간 공간을 두고 내측으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설편부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돌출부의 삽입은, 내향 볼록부군을 돌출부의 선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설편부군의 내향 볼록부를 환상 오목부에 대하여 탄성 결합시킴으로써, 돌출부를 통형상 연결체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동부재를 무단회동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연결)은, 작업성을 좋게 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무단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고 있는 운전시에 있어서, 고장이나 사고 등의 2차 재해에 의해, 무단회동체와 이동부재측이 상대적으로 이간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 즉, 돌출부와 이동부재측이 상대적으로 빠짐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 돌출부와 일체적인 형상으로 빠짐 이동하려고 하는 통형상 연결체의 외향 볼록부군이 경사 확경면에 접촉하여, 이동부재측에 대한 통형상 연결체의 빠짐 이동을 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내향 볼록부군에 경사면이 접촉하여, 통형상 연결체에 대한 돌출부의 빠짐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돌출부와 이동부재측의 결합상태를 항상 강고하게 또한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들이 상대적으로 빠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고장이나 사고 등의 재해가 확대화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를 바꾸는 등의 보수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것에, 우선, 돌출부가 이동부재측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부에,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접촉시키는 외력을 부여하고, 설편부군의 외향 볼록부를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이간 공간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시켜 둔다. 이것을 유지한 상태에서 돌출부를 외측으로 빠짐 이동시키면, 내향 볼록부군에 경사면이 접촉하여, 설편부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변형시키려고 하고, 이 때 외향 볼록부가,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이간 공간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있으므로, 설편부군의 탄성에 저항한 변형은 전혀 지장 없이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통형상 연결체를 이동부재측에 남긴 상태에서 돌출부를 외측으로 빠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돌출부의 외측으로의 빠짐(연결 해제)도, 돌출부의 외측으로부터 삽입(연 결)과 마찬가지로 하여, 작업성을 좋게 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무단회동체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좌우 1쌍이 배치되고,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이동부재가 다수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 사이에,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다수의 이동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양 무단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이동부재군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가 물품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군을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군을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가로 압압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가로 압압해서 측부 외방으로의 배당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재측 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 브래킷에, 삽입 구멍부가 형성된 통형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통형상체의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사이드 브래킷측에 통형상 연결체를 세트할 수 있고, 그리고 통형상 연결체의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이동부재를,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서 무단회동체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 연결체를 사이드 브래킷측에 남긴 상태에서 돌출부를 외측으로 빠짐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서는, 무단회동체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에 의해 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 체인에 있어서의 소정의 길이가 긴 연결핀을 통형상 연결부의 통형상부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이동부재를 무단 체인에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 지지체가 설치되고, 이 물품 지지체의 양단은,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서 무단회동체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의 외면측에서 전후방부의 한쪽에는, 무단회동체와의 연결부가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이 연결부에는 피 끼워맞춤체가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외측에서 끼워지고, 또한 사이드 브래킷의 다른쪽에는, 내외 양측방과 다른쪽 외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의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끼워맞춤부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피 끼워맞춤체에 외부로부터 끼울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피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춤부는, 면접촉에 의해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제2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간의 연결은, 사이드 브래킷의 끼워맞춤부와,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의 피 끼워맞춤체를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시켜서, 끼워맞춤부와 피 끼워맞춤체를 면접촉상태로 끼워맞춤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시에는,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전시에 반전할 때,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 사이가,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축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절곡되게 된다. 그 때에 상대적인 신축은, 피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춤부가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대 슬라이딩함으로써, 구조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또한 조립성이나 보수관리성을 나쁘게 하는 일 없이, 반전부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을 완화하여 행할 수 있고, 또한 면접촉에 의한 신축은, 접촉부분에서의 마모를 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인 절곡은, 연결부와 피 끼워맞춤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피 끼워맞춤체의 외주는 짝수의 정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끼워맞춤부에는 평행한 형상의 1쌍의 끼워맞춤면이 형성되고, 이들 끼워맞춤면에 180도 변위한 1쌍의 다각형면이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장기의 운전에서, 면접촉상태의 1쌍의 다각형면에 마모가 생겼을 때,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을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간 이동시켜서 끼워맞춤부와 피 끼워맞춤체를 분리한 후, 이 피 끼워맞춤체를 연결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마모되지 않은 새로운(다른) 1쌍의 다각형면을 끼워맞춤면에 대하여 면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회의 전환에 의한 사용형태를 취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육각형상이나 정육각형상 등의 피 끼워맞춤체의 경우, 끼워맞춤부와 피 끼워맞춤체를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시켜서, 평행한 형상의 상하 1쌍의 끼워맞춤면에 1쌍의 다각형면을 면접촉상태로 하여 끼워맞출 때에, 끼워맞춤면에 빈틈없이 대향되는 1쌍의 편평한 형상면에 연속해서 끼워맞춤방향측에 위치한 1쌍의 편평한 형상면이, 경사진 대향각 형상으로 위치하여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시킨 끼워맞춤을, 걸림 등 생기는 일 없이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물품 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회동체의 회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군을 이동 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가로 압압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가로 압압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의 분류에 바람직한 컨베이어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에는 길이방향의 삽입 구멍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물품 지지체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서 무단회동체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무단회동체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이 사이드 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 체인에 있어서의 소정의 길이가 긴 연결핀을 통형상부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를,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서 무단 체인에 연결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서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물품 지지체의 지지 안내를 행하는 안내 레일부가 설치되고, 연결부에는, 피 끼워맞춤체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안내 레일부에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가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피 안내부재를 안내 레일부에 의해 안내함으로써, 연결부에 외부로부터 끼워진 끼워맞춤체를 안정화할 수 있고, 따라서 끼워맞춤부와 피 끼워맞춤체의 면접촉상태에서의 끼워맞춤을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3발명의 반송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 지지체와, 이 물품 지지체에 외부로부터 끼워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고, 이 물품 가로 압압체는, 그 상부에 가로 압압 작용부가 설치되고, 이 가로 압압 작용부의 양측면에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가 설치되고, 이들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은, 가로 압압 작용부의 후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제3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 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가로 압압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가로 압압하여 주반송경로의 측부 외방으로 배당할 수 있다. 그 때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을 가로 압압 작용부의 후단에 대하여 설정 길이만큼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으므로, 이 가로 압압 접촉부재에 의한 가로 압압 작용면(압압면)을 크게(길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에 있어서의 가로 압압 접촉부재간의 간극을 작게 해서, 물품이 끼워넣어지기 어려운 상태에서 소기의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제3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은,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어떠한 사정으로,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 사이에서 물품이 끼워넣어지는 상태가 되었을 때,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이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휘어서) 피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물품의 끼워넣어짐이 발생해도, 물품 가로 압압체나 물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3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의 양측면은, 전방부에 대하여 후방부가 타측면측으로 경사진 가로방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경사면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가로 압압체군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를 가로 지를 때에, 가로 압압 작용부의 경사진 측면을 물품에 가로 압압 작용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을, 그 방향을 바꾸면서, 주반송경로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분기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제3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물품 가로 압압체는, 하위의 직사각형 통형상부분과 상위의 가로 압압 작용부로 구성되고, 직 사각형 통형상부분의 상측 판재 상면측에 설치되는 가로 압압 작용부는, 상측 판재의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부의 상방을 덮는 천판재를 갖고, 상측 판재의 전단부는,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로 상승하는 시단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예컨대 가로 압압 개시시에 있어서,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 사이에서 물품이 끼워넣어지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 물품 밑에, 우선 각도가 완만한 오목 원호형상의 시단 상면을 보다 원활하게 들어가게 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을 경사진 형상의 상면에 의해 들어 올리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제3발명의 반송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앞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과,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전단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로 압압 접촉부재에 의한 가로 압압 작용면(압압면)을, 보다 크게(길게) 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7에 있어서, 1은 본체 프레임으로서, 양측에 각각 상하 1쌍에 배치한 프레임 재(10,20)와, 상하 및 좌우의 프레임 재(10,2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부재(2)와, 하위 프레임 재(20)로부터 하방으로 연이어 설치한 다리체(3)군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2)는, 세로 연결재(4)나 가로 연결재(5)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상위 프레임 재(1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중앙부에 상방으로의 기립부(11)를 형성하여, 이 기립부(11)의 상부 외측에 노치된 형상의 단차부(12)를 형성함과 아울러, 기립부(11)의 상부 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 프레임 재(10)에는, 기립부(11)의 상부위치에 외향 도브테일 홈(14)이, 외측의 단차부(12)의 위치에 상향 도브테일 홈(15)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내측 하향 도브테일 홈(16)과 외측 하향 도브테일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 프레임 재(10)에는, 내측의 윤활유 수용부(13)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로부터 안쪽으로 왕로측 안내 레일부(18)가 돌출되고, 이 왕로측 안내 레일부(18)는 물품 지지체(후술한다.)의 지지 안내용으로 된다.
여기서 왕로측 안내 레일부(18)는, 그 상면에 의해 상향 지지면(18a)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의해 내측으로의 가로방향 안내면(18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왕로측 안내 레일부(18)의 부분에는 하향 도브테일 홈(19)이 형성된다. 또한, 윤활유 수용부(13)나 도브테일 홈(14~17,19)이나 왕로측 안내 레일부(18) 등은, 상위 프레임 재(1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상의 11~19 등에 의해 상위 프레임 재(1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하위 프레임 재(2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단에 내측 상향 도브테일 홈(21)과 외측 상향 도브테일 홈(22)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 내측 하향 도브테일 홈(23)과 외측 하향 도브테일 홈(24)이 형성된다. 또한 하위 프레임 재(20)에는, 중간부의 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25)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쪽으로 복로측 안내 레일부(26)가 돌출되고, 이 복로측 안내 레일부(26)는 물품 지지체의 지지 안내용으로 된다. 여기서 복로측 안내 레일부(26)는, 그 상면에 의해 상향 지지면(2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로측 안내 레일부(26)의 부분에는 하향 도브테일 홈(27)이 형성된다.
또한, 복로측 안내 레일부(26) 등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28)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단 연장부(29)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단 연장부(29)의 내측면에 의해 가로방향 안내면(29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도브테일 홈(21~24,27)이나 복로측 안내 레일부(26), 상단 연장부(29) 등은, 하위 프레임 재(2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상의 21~29 등에 의해 하위 프레임 재(2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중간 프레임부재(2)는, 상위 프레임 재(10)의 양 하향 도브테일 홈(16,17)에 판형상의 너트체(6)를 위치시켜 두고, 그리고 중간 프레임부재(2)의 세로 연결재(4)나 가로 연결재(5)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통과한 볼트체(7)를 너트체(6)에 나사결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위 프레임 재(10)와 일체화되고, 또한 하위 프레임 재(20)의 양 상향 도브테일 홈(21,22)을 이용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 재(20)에 일체화된다. 이 중간 프레임부재(2)는, 양 프레임 재(10,2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다리체(3)는, 하위 프레임 재(20)의 하향 도브테일 홈(23,24)을 이용하여,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 재(2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구성된 본체 프레임(1)의 시단부에는 좌우방향의 종동 축(30)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종단부에는 좌우방향의 구동축(3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은, 양 프레임 재(10,20) 사이에 배치한 좌우 1쌍의 지지부재(32)에, 각각 베어링 장치(33)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1)에 연동 연결한 구동장치(34)는, 전동기(35)와, 이것에 일체화한 감속기(36)로 이루어지고, 이 감속기(36)의 출력부가 상기 구동축(31)에 연동되어 있다.
상기 종동축(30)과 구동축(31)의 좌우 양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 사이에는, 스프로킷(바퀴체의 일례)(38,39)을 통해서 무단 체인(무단회동체의 일례)(4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로킷(38,39)은, 상기 지지부재(32)의 내측에 배치되어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단 체인(40)은 링크(41)와 연결핀(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무단 체인(40)은, 왕로측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되고, 또한 복로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단차부(28) 내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무단 체인(40) 사이에 물품 지지체(이동부재의 일례)(50)가 다수 부착되어 있다.
그 때에, 상기 무단 체인(40)측으로부터의 돌출부, 즉 상기 연결핀(42)군 중, 소정 피치 간격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돌출부의 일례)(43)이 물품 지지체(50)의 설치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안쪽 끝부분, 즉 돌출부분의 선단에는 환상 오목부(44)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환상 오목부(44)의 내부측은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면(44a)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품 지지체(50)는, 도 1~도 3, 도 6~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무단 체인(40)의 회동 방향으로 되는 주반송경로(45)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을 길이방향(51)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물품 지지체(50)는, 상면(표면)(54a)에 길이방향(51)에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52)를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3세트(복수 세트)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면(이면)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51)에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53)를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4세트(복수 세트)로 형성한 편평한 형상의 물품 적재판부(54)와, 이 물품 적재판부(54)의 하면 중간부(이면 중간부분)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1쌍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길이방향(51)에 따른 다리판부(55,56)와, 물품 적재판부(54)의 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판부(57)와, 이 전방 판부(57)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前位) 원호부(57A)와, 물품 적재판부(5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에 연장되는 후방 판부(58)와, 이 후방 판부(58)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後位) 원호부(58A)에 의해,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은, 서로 대향하는 측(내측)으로 돌출함으로써 두께부로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서 또한 물품 적재판부(54)의 하면 중간부와의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측에서 개방되는 홈형상의 안내부(59,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판부(57)와 후방 판부(58)는,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하는 측을 향해 점차로 접근하도록 내측 경사진 형상으로 되고, 그리고 전위 원 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는 세로로 반이 쪼개진 통형상으로,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 판부(57)와 후방 판부(58)의 하단에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전방 판부(57)와 후방 판부(58)의 하단을, 타물에 걸리기 어렵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를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안내부(59,60)를 보호해서 손상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에는, 하방에서 개방되는 홈형상의 나사결합부(55a,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52~60 등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구성된 물품 지지체(50)에 의하면, 전체를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에는,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이 삽입 결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들 사이드 브래킷(61)은 철제로 이루어지고, 도 1, 도 8~도 10,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긴 본체부(62)의 내면측의 상부에서 전후의 2개소에, 절곡에 의해 안쪽으로 돌출되는 연결용 돌출부(62a)가 형성되고, 그리고 연결용 돌출부(62a) 사이에는 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2)에 있어서의 하부에는, 안쪽으로의 지지용 돌출부(62B)가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 사이드 브래킷(61)의 외면측에서 전방부(한쪽)의 1개소에는,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상체(연결부의 일례)(64)가, 그 내측 끝의 작은 지름부분을 삽입함으로써 부착 되고(고정되고), 또한 후방부(다른쪽)에는, 왜곡에 의해 외측으로 소정 치수 변위시킨 변위판부(62C)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변위판부(62C)에는, 내외 양측방과 후방(다른쪽 외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의 끼워맞춤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체(64)에 의해, 무단 체인(40)의 회동 방향(주반송경로(45)의 방향)과는 직교형상방향의 삽입 구멍부(65)가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부(65)의 삽입방향의 내부측은,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 확경면(65a)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체(64)의 삽입 구멍부(65)에 삽입가능(내부 끼움 가능)한 통형상 연결체(67)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체(67)의 통형상부(67A)의 내주면에 의해 길이방향(51)의 삽입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즉 통형상 연결체(67)는, 그 통형상부(67A)의 외측 끝에 상기 통형상체(이동부재측)(64)의 외측 끝면(64a)에 접촉가능한 플랜지부(67B)가 형성됨과 아울러, 통형상부(67A)의 안쪽 끝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4개(복수)로 분할된 설편부(67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설편부(67C)의 내측 끝에는, 상기 삽입 구멍부(65)의 경사 확경면(65a)에 내측으로부터 대향 가능한 외향 볼록부(67D)와, 상기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환상 오목부(44)에 탄성 결합 가능한 내향 볼록부(67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형상 연결체(67)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 때에 통형상체(64)와 통형상 연결체(67)는, 상기 통형상체(64)의 압입 이동에 의해 외측 끝면(64a)에 플랜지부(67B)가 접촉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67D)가 이간 공간(A)을 두고 내측으로 이간됨으로써, 설편 부(67C)가 탄성에 저항하여 이간 이동 가능하게 되고, 또한 통형상체(64)의 뽑아냄 이동에 의해 외측 끝면(64a)에 대하여 플랜지부(67B)가 이간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67D)가 접촉되어서 설편부(67C)의 탄성에 저항한 이간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사이드 브래킷(61)은,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 적재판부(54)와 전방 판부(57) 또는 후방 판부(58)에 의해 형성된 전후 1쌍의 공간부에 1쌍의 연결용 돌출부(62a)를 삽입하고, 다음으로, 관통구멍(63)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69)를 나사결합부(55a,56A)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 결합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체(64)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67)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해서 내부 끼움하여, 그 플랜지부(67B)를 통형상체(64)의 외측 끝면(64a)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설편부(67C)군의 외향 볼록부(67D)를 경사 확경면(65a)에 내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통형상체(64)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67)를 내부 끼움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형상 연결체(67)의 삽입 구멍(68)에 대하여, 상기 무단 체인(40)측으로부터의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설편부(67C)군의 내향 볼록부(67E)를 환상 오목부(44)에 대하여 탄성 결합시켜서,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체(67)에 결합함으로써,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서 무단 체인(40)에 연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좌우 1쌍의 무단 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 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브래킷(61)의 통형상체(64)에는 수지제의 링체(75)가 외부로부터 끼 워져 있고, 이 링체(75)에 대하여,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66)가 외부로부터 끼워지게 된다. 즉, 끼워맞춤부(66)와 링체(75)의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 즉 철제와 수지제로 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체(64)에는, 상기 링체(75)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피 안내부재의 일례로, 베어링 형식이나 롤러 형식 등으로 이루어진다.)(70)가 외부로부터 끼워지고, 이들 회전체(70)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양 안내 레일부(18,26)의 상향 지지면(18a,26a)에 지지 안내된다. 또한 상기 지지용 돌출부(62B)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롤러(피 안내부재의 일례)(71)가 세로축(72)을 통해서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드 롤러(71)는, 상기 안내 레일부(18)의 가로방향 안내면(18b)이나 상단 연장부(29)의 가로방향 안내면(29a)에 안내된다. 또한 상기 통형상체(64)에는, 상기 회전체(70)의 외측에 위치되어 리테이닝링(7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70)를 왕로측 안내 레일부(18)로 지지 안내하고 있을 때, 무단 체인(40)은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 때, 안내 레일부(18)의 상향 지지면(18a)이, 상기 기립부(11)의 상단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로 되어 회전체(70)를 지지 안내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단은, 길이가 긴 연결핀(43)에 의한 연결 축심(회전체(70)의 중심)(43A)보다 하방에서 또한 무단 체인(무단회동체)(4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무단 체인(40)은, 그 하면을 기립부(11)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무단 체인(40)을 길이방향(51)으로 이동시킨(휘게 한)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 부터 넣고빼기는, 기립부(11)에 방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각 물품 지지체(50)에는, 이 물품 지지체(50)에 외부로부터 끼워 안내됨으로써 길이방향(51)으로 이동가능한 물품 가로 압압체(80)가 설치되고, 이들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하위의 직사각형 통형상부분과 상위의 가로 압압 작용부(85)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 도 6~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상기 물품 적재판부(54)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편형한 형상의 상측 판재(81)와, 이위에 판재(81)의 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전방 판부(57)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방 판재(82)와, 상기 상측 판재(81)의 후단으로부터 하방 또한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후방 판부(58)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방 판재(83)와, 전방 판재(82)와 후방 판재(83)의 하단 간에 위치됨으로써 전위 원호부(57A)나 후위 원호부(58A)에 하측(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편평한 형상의 바닥판재(84)에 의해 직사각형 통형상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판재(81)의 상면측(상방)에 가로 압압 작용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로 압압 작용부(85)는,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를 제외한 나머지부(편형한 형상부)의 상방을 덮는 천판재(86)와, 이 천판재(86)를 상측 판재(81)에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 판재(도시 생략.)군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에,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와 천판재(86)의 상면을 측면으로 바라봤을(상면형상) 때, 전단부(81A)의 부분은,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로 상승하는 주둥이 형상의 시단 오목형상 상면(시단 상면의 일례)(81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전방부는, 직선 형상이고 또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로 상승하는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으로 형성되고, 천판재(86)의 중간부는,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점차로 상승하는 전방 볼록 원호형상 상면(86b)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후방 볼록 원호형상 상면(86c)으로 형성되고, 천판재(86)의 후단부분은,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급격하게 하강하는 코너면(86d)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급격하게 하강하는 볼록 원호형상 후면(86e)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와 천판재(86)(가로 압압 작용부(85))를 평면으로 바라봤을(측면형상) 때,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는 볼록 원호형상의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후단에 연속해서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급격하게 들어가는 오목형상 측면(8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양측면은, 오목형상 측면(81c)에 연이어지는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로 좁아져 폭이 좁은 후단부로 되도록, 즉 기립 형상이고 또한 전방부에 대하여 후방부가 타측면측으로 경사진 가로방향 경사면(86f)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천판재(86)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경사각도(θ1)가 30도인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방향 경사면(86f)의 부분에는, 그 가로 압압 접촉면(87a)이 평면으로 바라봐서 요철형상이고 또한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는, 가로 압압 작용 부(85)로부터 상측 판재(81)에 걸친 측면을 덮는 형상, 즉 상면은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면에 연이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설치 상태에 있어서는, 전단부분이 오목형상 측면(81c)에 접촉되고, 그 요철형상의 가로 압압 접촉면(87a)에 있어서의 볼록형상 측면부(외측면)가 상기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연이어지는 두께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86~87 등에 의해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재(84)의 상면측에는,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 돌출형상의 피 끼워맞춤부(90)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피 끼워맞춤부(90)의 상반부는 상반되는 측(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두께부로 형성되고, 이들 두께부에 의해서, 상기 안내부(59,60)에 끼워맞춰져 슬라이딩 안내되는 피 안내부(91,9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피 안내부(91,92)측에는,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 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상향 탄성체와, 전방부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앞방향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피 끼워맞춤부(9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서 양 피 안내부(91,92)의 사이에는,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1쌍의 슬릿(93)을 통해서 상향 설편체(상향 탄성체의 일례)(94)가 형성되고, 이들 상향 설편체(94)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상향 설편체(94)의 여유단에는 상방으로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가 물품 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의 피 안내부(9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는, 상 하방향으로 1쌍의 슬릿(95)을 통해서 앞방향 설편체(앞방향 탄성체의 일례)(96)가 형성되고, 이들 앞방향 설편체(96)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앞방향 설편체(96)의 유단(遊端)에는 전방으로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가 전방부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81~96 등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제외하고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하부측에는, 상기 피 끼워맞춤부(90)를 이용하여 피안내체가 부착된다. 즉 상기 피 끼워맞춤부(90)의 중앙부, 즉 피 안내부(91,92)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롤러 축(지지축의 일례)(100)이, 그 상부를 매립 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늘어뜨려 설치되고, 이 롤러 축(100)의 돌출 하부에, 안내 롤러(피안내체의 일례)(101)가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안내 롤러(101)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이면 외방에 위치된다.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중간 프레임부재(2)에 있어서의 상위의 가로 연결부재(5)에는 상기 안내 롤러(101)의 안내를 행하는 왕로 안내장치(110)가 배치되고, 또한 하위의 가로 연결부재(5)에는 복로 안내장치(116)가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의 분기부에는, 왕로측의 상부 전환수단(130)과 복로측의 하부 전환수단(131)이 배치되고, 또한 왕로측의 시단 근처에는 좌우 1쌍의 분배수단(132A,132B)이 배치된다.
상기 왕로 안내장치(110)는, 시단부의 양측에 각각 좌우 1쌍으로 설치한 시 단 안내부(111A,111B)와, 이들 시단 안내부(111A,111B)의 종단에 상기 분배수단(132A,132B)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1쌍의 내측 이동안내부(112A,112B)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112A,112B)의 종단에 상기 상부 전환수단(130)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1쌍의 외측 이동안내부(113A,113B)와, 이들 외측 이동안내부(113A,113B)의 종단에 대향하여 배치된 각각 좌우 1쌍의 종단 안내부(114A,114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로 안내장치(116)는, 아래쪽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1쌍의 내측 이동안내부(117A,117B)와, 이들 내측 이동안내부(117A,117B)의 종단에 상기 하부 전환수단(131)을 통해서 대향하고, 또한 아래쪽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1쌍의 외측 이동안내부(118A,118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로 안내장치(110)의 시단 안내부(111A,111B)나 종단 안내부(114A,114B), 및 상기 복로 안내장치(116)의 외측 이동안내부(118A,118B)는, 상위의 가로 연결부재(5)에 고정된 브래킷(120)과, 이 브래킷(120)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부착되는 안내체(121), 및 안내판(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체(121)는 알루미늄의 압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안내판(122)은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이들 안내체(121)와 안내판(122)의 서로 대향하는 면 사이에 안내 롤러(101)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왕로 안내장치(110)의 내측 이동안내부(112A,112B)나 외측 이동안내부(113A,113B), 및 상기 복로 안내장치(116)의 내측 이동안내부(117A ,117B)는, 상기 안내체(121)를 하위의 가로 연결부재(5)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고, 이 안내체(121)의 측면에 의해 안내 롤러(101)가 안내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종의 반전부로 안내 롤러(108)의 안내를 행하기 위하여, 양 축(30,31)의 부분에는 안내 롤러(101)의 끼워맞춤을 허용하는 반전 안내체(135A,135B,136A,136B)가 부착되어 있다.
도 1,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위 프레임 재(10)(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서, 무단 체인(40)을 배치함과 아울러 왕로측 안내 레일부(18)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에, 무단 체인(40)이나 회전체(7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한 커버체(체인 커버(140))가 배치된다. 이 커버체(140)는, 측판부(141)와, 이 측판부(141)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상측 판부(142)에 의하여, 단면으로 역 L자 형상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140)는, 측판부(141)를 기립부(11)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촉시킨 상태에서, 측판부(141)의 하단부분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143)를, 외측방향 홈부(14) 내에 미리 위치시킨 너트체(144)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위 프레임 재(10)의 기립부(1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때에, 상측 판부(142)에 있어서의 최상면은, 물품 적재판부(54)의 상면(54a)과 면일한 형태의 레벨로 되어 있다.
도 2,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의 양측 외방에는, 주반송경로(45)에 대하여 외방 또한 아래쪽으로 경사진 분기 반송경로(150A,150B)를 형성하는 분기 컨베이어(151A,151B)가 설치된다. 이들 분기 컨베이어(151A,151B)는, 컨베이어 프레임에 다수의 롤러(152)를 지지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상위 프레임 재(10)의 상향 도브테일 홈(15) 등을 분기 컨베이어(151A,151B)와의 연결에 이용해도 된다. 160은 물품을 나타낸다.
이하에,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반송설비의 조립, 및 물품(160)의 반송, 분기작용을 설명한다.
반송설비의 시공시 등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을 프레임 조립형상으로 조립하여, 그리고 본체 프레임(1)에 무단 체인(40)이나 물품 지지체(50) 등을 조립한 후, 양 상위 프레임 재(10)의 상단에 커버체(140)를 배치시킨다.
즉, 물품 지지체(50)에 형성한 전후 1쌍의 공간부에 사이드 브래킷(61)의 1쌍의 연결용 돌출부(62a)를 삽입하여, 물품 지지체(50)의 끝면측에 사이드 브래킷(61)의 내면측을 접촉시킨 후, 관통구멍(63)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69)를 나사결합부(55a,55B)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에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할 수 있고, 그 때에,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하기 전, 또는 한쪽의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에, 물품 지지체(50)에 대하여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외부로부터 끼우고 있다. 또한,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하기 전, 또는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에, 이들 사이드 브래킷(61)측에, 통형상 연결체(67)나 회전체(70)나 사이드 롤러(71)를 세트하고 있다.
즉, 통형상체(64)의 삽입 구멍부(65)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67)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때에 삽입은, 설편부(67C)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측으로 변형시키고, 외향 볼록부(67D)군을 삽입 구멍부(65)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 면서 행해진다. 이와 같은 삽입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플랜지부(67B)를 통형상체(64)의 외측 끝면(64a)에 접촉 또는 접근시켜서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설편부(67C)군의 외향 볼록부(67D)를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여, 이간 공간(A)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시켜 결합상태로 함으로써, 통형상체(64)에 대하여 통형상 연결체(67)를 내부 끼움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사이드 브래킷(61)측에 통형상 연결체(67)를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체(64)에 대하여, 링체(75)를 외부로부터 끼운 후 회전체(70)를 외부로부터 끼움과 아울러 리테이닝링(73)을 장착하고, 또한 지지용 돌출부(62B)에 대하여, 세로축(72)을 통해서 사이드 롤러(71)를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에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 무단 체인(40)에 있어서의 특정의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체(67)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서 무단 체인(4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단 체인(40)의 소정 개소를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휘게 함으로써), 이 소정 개소를 기립부(11)의 상방을 통해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과 통형상 연결체(67)의 통형상부(67A)를 서로 대향시킨 후, 통형상부(67A)에 대하여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외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삽입이 끝에 가까웠을 때,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선단이 내향 볼록부(67E)군에 접촉한다. 이 때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 여 외향 볼록부(67D)가 이간 공간(A)을 두고 내측으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설편부(67C)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변형시키고, 이것에 의해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삽입은, 내향 볼록부(67E)군을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선단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면서 행해진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편부(67C)군의 내향 볼록부(67E)를 환상 오목부(44)에 대하여 탄성 결합시킴으로써,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사이드 브래킷(61)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서 무단 체인(40)에 연결할 수 있다. 그 때에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부터의 삽입(연결)은, 기립부(11)에 방해되는 일 없이, 작업성을 좋게 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좌우 1쌍의 무단 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 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그 때에, 사이드 브래킷(61)의 끼워맞춤부(66)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링체(75)에 외부로부터 끼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양 상위 프레임 재(10)의 상단에 커버체(140)를 배치시킨다. 즉, 측판부(141)의 하부를 기립부(11)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촉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통과한 볼트체(143)를, 외측방향 홈부(14) 내에 미리 위치시킨 너트체(144)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위 프레임 재(10)의 기립부(1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품 지지체(50)의 설치나 커버체(140)의 배치를 행하는 전후에, 본체 프레임(1)측에, 왕로 안내장치(110), 복로 안내장치(116), 상부 전환수단(130), 하부 전환수단(131), 분배수단(132A,132B) 등을 배치하고 있 다. 이것에 의해 반송설비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한 반송설비는, 구동장치(34)의 전동기(35)를 작동시키고, 감속기(36)에 연동한 구동축(31)을 통해서 스프로킷(39)을 강제 회전시킴으로써, 양 무단 체인(4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이 양 무단 체인(40)의 회동에 의해 물품 지지체(50)군을, 회전체(70)를 통해서 양 안내 레일부(18,26)의 상향 지지면(18a,26a)에 지지 안내시킴과 아울러, 사이드 롤러(71)를 통해서 안내 레일부(18)의 가로방향 안내면(18b)이나 상단 연장부(29)의 가로방향 안내면(29a)에 안내시킴으로써,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에 복로측에 있어서는, 회전체(70)의 상방에 상단 연장부(29)가 위치하므로, 이 회전체(70)의 부상을 저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군을 상하로 덜컹거리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군이 순환 이동하므로, 시단부의 물품 지지체(50)군 상에 공급한 물품(160)을 주반송경로(45) 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반송시에 있어서, 왕로에서의 양 무단 체인(40)의 이동은, 커버체(140)의 하방에서 또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서 행해지고, 또한 복로에서의 양 무단 체인(40)의 이동은, 상단 연장부(29)의 하방에서 또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행해진다.
이와 같은 반송을 행할 때에, 물품 지지체(50)군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그 안내 롤러(101)가 안내장치(110,116)군에 안내됨으로써, 피 안내부(91)를 통해서 물품 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으로 왕복 이동하거나, 물품 지지체(50)와 함께 주반송경로(45)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이동하거나 한다.
즉, 예컨대 일방측의 시단 안내부(111A)에 안내되어 있는 안내 롤러(101)는, 분배수단(132A)이 직선 형상 분배 자세일 때에 직진 안내되고, 그리고 안내 작용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직진한 후 종단 안내부(114A)에 안내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물품(160)에 작용하지 않고, 이 물품(160)은 주 반송경로(45) 위를 직진상으로 반송된다. 또한 반대측도 마찬가지로서, 시단 안내부(111B)의 안내 롤러(101)는, 분배수단(132B)으로부터 종단 안내부(114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일방측의 시단 안내부(111A)에 안내되어 있는 안내 롤러(101)는, 분배수단(132A)이 경사진 형상의 분배 자세일 때에 내측으로 경사 안내되고, 그리고 내측 이동안내부(112A)에 안내되어 내측으로 이동된 후, 상부 전환수단(130)을 통해서 외측 이동안내부(113B)로 옮겨지고, 이 외측 이동안내부(113B)에 안내되어 외측으로 이동된 후 종단 안내부(114B)에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 지르게 되고, 이것에 의해 타측의 가로 압압 작용부(85)가 물품(160)에 가로 압압 작용하여, 이 물품(160)을, 그 방향을 바꾸면서, 주반송경로(45)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 분기 이동시키고, 다른쪽의 분기 컨베이어(151B)에 건네 주게 된다.
또한 반대측도 마찬가지로서, 시단 안내부(111B)의 안내 롤러(101)는, 분배수단(132B), 내측 이동안내부(112B), 상부 전환수단(130), 외측 이동안내부(113A), 종단 안내부(114A)에 안내되고,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의 일측의 가로 압압 작용부(85)가, 가로 압압 접촉부재(90)를 통해서 물품(160)에 가로 압압 작용하여, 이 물품(160)을 한쪽의 분기 컨베이어(151A)에 건네 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종단 안내부(114A,114B)의 단부에 도달한 안내 롤러(101)는 반전 안내체(136A,136B)에 안내되어 반전한다. 그리고 복로 안내장치(116)에 있어서는, 우선 내측 이동안내부(117A,117B)에 안내되어 중앙부로 이동되고, 다음으로 하부 전환수단(131)에 의해 좌우로 분배된 후, 외측 이동안내부(118A,118B)의 안내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반전 안내체(135A,135B)에 안내되어 반전한 후, 시단 안내부(111A,111B) 중 어느 하나로 옮겨진다.
이와 같은 반전 안내체(135A,135B,136A,136B)에 안내되어 반전할 때,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61) 사이가 상대적으로 신축되는 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부(66)와 링체(75)가 슬라이딩 접촉 이동하지만, 그 때에 철제의 끼워맞춤부(66)와 수지제의 링체(75)의 슬라이딩 접촉 이동, 즉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접촉 이동이기 때문에, 예컨대 끼워맞춤면이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접촉 이동에 비해서,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왕복 이동은, 전후의 피 안내부(91,92)를 통하고,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안내부(59,60)에 끼워맞춰져 안내되는 상태에서, 즉, 설편체(94,96)군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바람직한 슬라이딩 접촉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덜컹거림이 없고,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 없이,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설편체(94,96)군을 길이방향(51)의 양단으로 나누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이동은, 왕복 중 어느 것에 있어서 도 동등한 상태인 바람직한 슬라이딩 접촉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이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 지름으로써, 가로 압압 작용부(85)를 물품(160)에 가로 압압 작용시켜서, 이 물품(16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51A,151B)에 건네 주고 있지만, 그 때에 물품(160)은, 볼록형상부(52) 사이에서 지지되고, 또한 볼록형상부(52) 위를 슬라이딩하므로, 그 분기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160)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물품 지지체(50)측을 마모시키는 일 없이, 소기의 분기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분기 이동되는 물품(160)은, 무단 체인(4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해서 상위 프레임 재(10)에 고정한 커버체(140)의 상방을 타고 넘음으로써, 물품(160)에 부착되어 있던 진애 등이 무단 체인(40)측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측부는,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가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가로 압압 접촉면(87a)이 연이어지는 상태에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가로 압압 작용부(85)에 있어서의 측부의 거의 전체 길이를 가로 압압 작용면으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의 가로 압압 작용부(85) 사이의 간극(B)(도 8 참조)을 작게 해서, 물품(160)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에서 소기의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는,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쪽 하방으로 의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연이어져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대하여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가로 압압 개시시에 있어서,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80) 사이에서 물품(160)이 끼워넣어지는 상태로 되었을 때, 이 물품(160) 밑에, 우선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이 원활하게 들어가고, 그리고 물품(160)을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의해 들어 올리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끼워넣어짐이 없는 상태에서 소기의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160)이나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가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품(160)의 아래로의 들어감은,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운전시에 있어서, 고장이나 사고 등의 2차 재해에 의해, 무단 체인(40)과 물품 지지체(50)가 길이방향(51)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간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 즉, 길이가 긴 연결핀(43)과 통형상체(64)가 상대적으로 빠짐 이동하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연결핀(43)과 일체적인 형상으로 빠짐 이동하려고 하는 통형상 연결체(67)의 외향 볼록부(67D)군이 경사 확경면(65a)에 접촉함과 아울러, 내향 볼록부(67E)군에 경사면(44a)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외향 볼록부(67D)군이 경사 확경면(65a)에 접촉함으로써 통형상체(64)에 대한 통형상 연결체(67)의 빠짐 이동을 저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내향 볼록부(67E)군에 경사면(44a)이 접촉함으로써 통형상 연결체(67)에 대한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빠짐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연결핀(43)과 통형상체(64)가 상대적으로 빠짐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고장이나 사고 등의 재해가 확대화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바꾸는 등의 보수나 점검 작업을 행하는 것에, 우선 통형상체(64)에 대하여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외측으로 빠짐 이동(연결 해제)시킨다. 그 때에,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연결핀(43)이 사이드 브래킷(61)측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부(67B)의 외측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위치시켜서, 이 플랜지부(67B)에, 통형상체(64)의 외측 끝면(64a)에 접촉시키는 외력(P)을 부여하고, 설편부(67C)군의 외향 볼록부(67D)를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여, 이간 공간(A)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시켜 둔다. 이것을 유지한 상태에서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외측으로 빠짐 이동시키면, 내향 볼록부(67E)군에 경사면(44a)이 접촉하여, 설편부(67C)군을, 탄성에 저항하여 통축심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변형시키려고 한다. 이 때 외향 볼록부(67D)가, 경사 확경면(65a)에 대하여 이간 공간(A)을 두고 내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있으므로, 설편부(67C)군의 탄성에 저항한 변형은 전혀 지장 없이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통형상 연결체(67)를 사이드 브래킷(61)측에 남긴 상태에서 길이가 긴 연결핀(43)을 외측으로 빠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의 빠짐(연결 해제)도,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부터 삽입(연결)과 마찬가지로 하여, 작업성을 좋게 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무단 체인(40)이 주반송경로(45)를 따라 좌우 1쌍으로 배치되고, 이들 무단 체인(40) 사이에 주반송경로(45)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51)으로 된 이동부재(물품 지지체(50))가 다수 부착된 전환 컨베이어 형식의 반송설비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주반송경로(45)의 일측에만 무단 체인(40)이 배치되고, 이 무단 체인(40)에 이동 부재의 일측 끝이 연결된 형식의 반송설비나, 이동부재로서, 물품지지용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채용한 형식의 반송설비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에, 이 물품 지지체(50)에 외부로부터 끼워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설치한 전환 컨베이어 형식의 반송설비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생략한 슬랫 컨베이어 형식의 반송설비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에 사이드 브래킷(61)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 브래킷(61)에, 삽입 구멍부(65)가 형성된 통형상체(64)가 설치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사이드 브래킷(61)이 생략되고, 물품 지지체(50)에 통형상체(64)가 설치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로서 무단 체인(40)을 채용하고, 링크(41)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42)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43)에 의해 돌출부를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무단 체인(40)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형식이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무단벨트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를, 양단에 설치한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서 무단회동체(무단 체인(40)) 사이에 설치하고,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안내 레일부(18)를 형성함과 아울러, 안내 레일부(18)에는 상향 지지면(18a)과 내측으로의 가로방향 안내면(18b)을 형성하고, 사이드 브래킷(61)측에, 상향 지지면(18a)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회전체(70))와, 가로방향 안내면(18b)에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사이드 롤러(71))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가로방향 안내면(18b)과 피 안내부재를 생략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피 안내부재가, 길이방향(51)을 따른 축심(연결 축심(43A))의 둘레로 회전가능한 회전체(70)로 이루어지고, 그 축심(연결 축심(43A))에 대하여 하방에 기립부(11)의 상단이 위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기립부(11)의 상단보다 축심(연결 축심(43A))이 하방에 위치하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로서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양측 외방에 각각 분기 컨베이어(151A,151B)를 설치하고, 물품(160)을 가로 압압하여 주반송경로(45)의 양측부 외방으로 나누어져 배당하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 프레임(1)의 일측 외방에 분기 컨베이어(151A 또는 151B)를 설치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설비로서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1개의 반송 컨베이어에 합류 시키는 형식이나, 1개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에 분기시키는 형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위 프레임 재(10)와 하위 프레임 재(20)의 별체화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하위 프레임 재(20)를 측판, 측 프레임 형식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30도의 경사각도(θ1)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지만, 이 경사각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16~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무단 체인(40) 사이에 물품 지지체(50)를 부착할 때, 사이드 브래킷(61)의 통형상체(64)에는 링형상의 피 끼워맞춤체(76)가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즉 피 끼워맞춤체(76)는, 통형상부(76A)와, 이 통형상부(76A)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76B)로 이루어지고,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 때에 양 플랜지부(76B) 사이에 위치되는 통형상부(76A)의 외주는 정육각형상(짝수의 정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8개소에 편형한 형상면(다각형면의 일례)(76a)이 형성되게 된다.
이 피 끼워맞춤체(76)에 대하여,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66)가 외부로부터 끼울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내외 양측방과 후방(다른쪽 외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의 끼워맞춤부(66)는, 평행한 형상의 상하 1쌍의 끼워맞춤면(66a)을 갖는 상태로 형성되고, 이들 끼워맞춤면(66a)에 180도 변위한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이, 간극이 거의 없게 빈틈없이 대향되는 상태에서, 피 끼워맞춤체(76)에 끼워맞춤부(66)가 외부로부터 끼워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피 끼워맞춤체(76)와 끼워맞춤부(66)는, 편평한 형상면(76a)과 끼워맞춤면(66a)의 면접촉에 의해 무단 체인(40)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하에,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반송설비의 조립, 및 물품(160)의 반송, 분기 작용을 설명한다.
좌우 1쌍의 무단 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 지지체(50)를 부착할 때에, 사이드 브래킷(61)의 끼워맞춤부(66)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피 끼워맞춤체(76)에 외부로부터 끼워지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끼움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브래킷(61)의 끼워맞춤부(66)와,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의 피 끼워맞춤체(76)를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시켜서, 끼워맞춤부(66)에 있어서의 평행한 형상의 상하 1쌍의 끼워맞춤면(66a)에, 피 끼워맞춤체(76)의 180도 변위한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을, 간극이 거의 없게 빈틈없이 대향시킨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 때에, 통형상부(76A)의 외주의 8개소에 편평한 형상의 편평한 형상면(76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끼워맞춤면(66a)에 빈틈없이 대향되는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에 연속해서 끼워맞춤방향측에 위치한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이, 경사진 대향각 형상으로 위치하여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근 이동시킨 외부 끼움을, 걸림 등 생기는 일 없이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반송, 분기 작용시에 있어서, 종단 안내부(114A,114B)의 단부에 도달한 안내 롤러(101)가 반전 안내체(135A,135B,136A,136B)에 안내되어 반전할 때,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61) 사이가, 무단 체인(40)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신축됨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절곡되는 상태로 된다. 그 때에 상대적인 신축은, 피 끼워맞춤체(76)의 편평한 형상면(76a)과 끼워맞춤부(66)의 끼워맞춤면(66a)이 상하의 2개소에서 면접촉한 상태에서 행해짐으로써, 반전부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을 완화시켜 행하게 되고, 또한 면접촉에 의한 신축은, 접촉부분인 편평한 형상면(76a)이나 끼워맞춤면(66a)이 마모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대적인 절곡은, 통형상체(64)와 피 끼워맞춤체(76)의 상대 회전에 의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철제의 끼워맞춤부(66)와 수지제의 피 끼워맞춤체(76)의 면슬라이딩 접촉 이동, 즉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면슬라이딩 접촉 이동이므로, 예컨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면슬라이딩 접촉 이동에 비해서,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의 운전에서,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에 다소의 마모가 생겼을 때, 길이가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의 뽑아내기(연결 해제)를 행한 상태에서,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61)을 무단 체인(40)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간 이동시켜서 끼워맞춤부(66)로부터 피 끼워맞춤체(76)를 뽑아낸 후, 이 피 끼워맞춤체(76)를 통형상체(64)에 대하여 소정 각도(45도) 회전시킴으로써, 마모되지 않은 새로운(다른)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을 끼워맞춤면(66a)에 대하여 면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육각형상의 피 끼워맞춤체(76)의 경우, 3회의 전환(합계 4회)에 의 한 사용형태를 갖고, 이것에 의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정육각형상의 피 끼워맞춤체(76)를 채용한 형식에 대하여, 도 21A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통형상부(76A)의 외주는 정육각형상(짝수의 정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서, 6개소에 편평한 형상면(다각형면의 일례)(76a)이 형성된 형식이고, 또한 도 21B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통형상부(76A)의 외주는 정사각형상(짝수의 정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서, 4개소에 편평한 형상면(다각형면의 일례)(76a)이 형성된 형식이고, 그리고 도 21C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통형상부(76A)의 외주는 1쌍의 편평한 형상면(76a)과 1쌍의 원호형상면(76b)에 의해 형성된 형식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에, 이 물품 지지체(50)에 외부로부터 끼워 길이방향(51)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설치한 전환형식의 반송설비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생략한 슬랫 컨베이어 형식의 반송설비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로서 무단 체인(40)을 채용하고, 링크(41)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42)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43)에 의해 돌출부를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무단 체인(40)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형식이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무단벨트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를, 양단에 설치한 사이드 브래 킷(61)을 통해서 무단회동체(무단 체인(40)) 사이에 설치하고,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안내 레일부(18)를 형성함과 아울러, 안내 레일부(18)에는 상향 지지면(18a)과 내측으로의 가로방향 안내면(18b)을 형성하고, 사이드 브래킷(61)측에, 상향 지지면(18a)에 지지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회전체(70))와, 가로방향 안내면(18b)에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사이드 롤러(71))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가로방향 안내면(18b)과 피 안내부재를 생략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철제의 끼워맞춤부(66)와 수지제의 피 끼워맞춤체(76)로 이루어지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수지제의 끼워맞춤부(66)와 철제의 피 끼워맞춤체(76)로 이루어지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피 안내부재가, 길이방향(51)을 따른 축심(연결 축심(43A))의 둘레로 회전가능한 회전체(70)로 이루어지고, 그 축심(연결 축심(43A))에 대하여 하방에 기립부(11)의 상단이 위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기립부(11)의 상단보다 축심(연결축심(43A))이 하방에 위치하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로서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1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양측 외방에 각각 분기 컨베이어(151A,151B)를 설치하고, 물품(160)을 가로 압압하여 주반송경로(45)의 양측부 외방으로 나누어서 배당하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 프레임(1)의 일 측 외방에 분기 컨베이어(151A 또는 151B)를 설치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설비로서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1개의 반송 컨베이어에 합류시키는 형식이나, 1개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에 분기시키는 형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상위 프레임 재(10)와 하위 프레임 재(20)의 별체화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하위 프레임 재(20)를 측판, 측 프레임 형식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30도의 경사각도(θ1)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지만, 이 경사각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 22~도 3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물품 지지체(50)는, 그 상향의 볼록형상부(52)군의 상부가 편평한 면(52a)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위치되는 하향의 볼록형상부(53)군의 하부도 편평한 면(53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의 안내부(59,60)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전후 안내면(59a,60a)이 형성됨과 아울러, 두께부의 상면에 의해 하위 안내면(59b,6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 안내면은, 상기 물품 적재판부(54)의 하방을 향하는 면인 상기 볼록형상부(53)군의 편평한 면(53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의 하면(외면)은, 하향 원호면(57a,58a)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품 지지체(50)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됨으로써 길이방향(51)으로 이동가능한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그 상측 판재(81)의 상면측(상방)에 가로 압압 작용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로 압압 작용부(85)는,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를 제외한 나머지부(편형한 형상부)의 상방을 덮는 천판재(86)와, 이 천판재(86)를 상측 판재(81)에 연결하는 전후 1쌍(단수 또는 복수)의 좌우방향 리브 판재(88), 및 좌우 중앙(단수 또는 복수)의 전후방향 리브 판재(89)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리브 판재(88,89)군에 의해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강도 증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는,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쪽 하방으로의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연이어져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대하여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과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과 전방 볼록 원호형상 상면(86b)과 후방 볼록 원호형상 상면(86c)과 코너면(86d)과 볼록 원호형상 후면(86e)은,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이 순로 연속해서 형성되게 된다. 이 연속 형성에 의해, 측면으로 바라봐서 전체를 곡면화하여 외관이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천판재(86)의 후단부분을 볼록 원호형상의 코너면(86d)으로 함으로써, 예컨대 반송설비의 전후에 반입용이나 반출용의 반송수단(벨트 컨베이어 장치 등에서 도시생략.)이 배치되어 있었을 때에, 오동작 등에 의해 반전 중의 물품 가로 압압체(80)가 벨트 등에 접촉하려고 했을 때, 코너면(86d)이 접촉함으로써 벨트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상면에서, 전단부(81A)와 천판재(86)의 경계부분, 및 상기 좌우방향 리브 판재(88)의 상방위치에는, 오목부(86A)가 좌우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컨대 가로 압압 작용부(80)를 수지 성형했을 때에, 좌우방향 리브 판재(88)군의 부분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생기는 오목부(86A)군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와 천판재(86)(가로 압압 작용부(85))를 평면으로 바라봤을(측면형상) 때,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는 볼록 원호형상의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후단에 연속해서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급격하게 들어가는 오목형상 측면(8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양측면은, 오목형상 측면(81c)에 연이어지는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로 좁아져 폭이 좁은 후단부로 되도록, 즉 기립형상이고 또한 전방부에 대하여 후방부가 타측면측으로 경사진 가로방향 경사면(86f)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천판재(86)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경사각도(θ2)가 20도인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측 판재(81)의 전단부(81A)를 제외한 부분이나 리브 판재(88,89)군은 사다리꼴 판형상 내에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방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부분(87A)은,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후단, 즉 코너면(86d)이나 볼록 원호형상 후면(86e)으로 이루어지는 후단(85A)에 대하여, 설정 길이(L)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에 설정 길이(L)는, 앞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후단면)(87B)과,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전단(전단면)(87C) 사이에, 간극(S)이 생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후단부분(87A)은,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내측면측에서 전후 3개소(전후 복수 개소)로부터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공동부에 삽입가능한 각각 변형 통형상의 돌출부(87D)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87D)의 편평한 형상의 하면으로부터는 걸림부(87E)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판재(81)에는, 걸림부(87E)군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구멍부(81B)군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구멍부(81B)는, 좌우방향 리브 판재(88)를 피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3개소(전후 복수 개소)와 우측의 전후 3개소(전후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때에 좌열의 결합구멍부(81B)군과 우열의 결합구멍부(81B)군은 전후방향으로 다른 상태(위치 어긋남 상태)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공동부에 돌출부(87D)를 삽입하고, 걸림부(87E)군을 결합구멍부(81B)군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내측면을 가로방향 경사면(86f)에 접촉시키고, 가로 압압 접촉면(87a)의 볼록형상 측면부를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연이어지는 상태로 하고, 또한 가로 압압 접 촉면(87a)을 전방부에 대하여 후방부가 타측면측으로, 20도의 경사각도(θ2)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가로 압압 작용부(85)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때에 걸림부(87E)군의 결합구멍부(81B)군으로의 결합에 의해,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설치를 강고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열과 우열를 전후방향으로 서로 다른 형상으로 함으로써,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수지 성형에 의한 형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86~89 등에 의해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재(84)의 상면측에는,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 돌출형의 피 끼워맞춤부(90)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피 끼워맞춤부(90)의 상반부는 상반되는 측(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두께부로 형성되고, 이들 두께부에 의해, 안내부(59,60)에 끼워맞춰져 슬라이딩 안내되는 피 안내부(91,9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 안내부(91,92)의 상단부에서 상반되는 면(외측면)에 의해, 전후 안내면(59a,60a)에 슬라이딩 접촉 안내되는 전후 피 안내면(91a,92a)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의해, 하위 안내면(59b,60b)에 슬라이딩 접촉 안내되는 하위 피 안내면(91b,92b)이 형성되고, 그리고 두께부의 상면에 의해, 상기 볼록형상부(53)의 편평한 면(53a)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어 슬라이딩 접촉 안내되는 상위 피 안내면(91c,92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전후의 피 안내부(91,92)를 통해서,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안내부(59,60)에 끼워맞춰져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평면으로 바라봄(상면형상)에 있어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상측 판재(81)나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천판재(8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로 좁아져 후단부가 폭이 좁은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전방 판재(82)는, 원호형상 측면(81b)에 의한 좁아짐에 의해 상측 판재(81)의 전단부보다 조금 폭이 좁은 광폭의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 판재(83)는, 상측 판재(81)의 폭이 좁은 후단부에 연이어지는 폭이 좁은 상반부(83A)와, 점차로 폭을 넓혀져 전방 판재(82)에 있어서의 조금 폭이 좁은 광폭과 마찬가지의 폭으로 되는 사다리꼴 하반부(83B)에 의해 역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판재(84)는, 전방 판재(82)와 후방 판재(83)의 하단에 연이어지는 폭이 넓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사다리꼴 판형상의 상측 판재(81)이나 천판재(86)에 대하여,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판재(84)가 길이방향(5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전위 원호부(57A)의 하향 원호면(57a)이나 후위 원호부(58A)의 하향 원호면(58a)에 대한 대향폭을 넓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 끼워맞춤부(90)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길이방향(51)으로 긴 직사각형상이고, 전방부의 피 안내부(91)는 바닥판재(84)와 마찬가지의 폭으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의 피 안내부(92)는 바닥판재(84)의 폭에 대하여 폭을 넓게 하고, 이것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피 스토퍼부(97)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에 피 스토퍼부(97)가,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본체부(62)의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길이방향(51)의 이동 한계가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 스 토퍼부(97)의 접촉면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외방 볼록의 볼록형상 원호면이어도 된다.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피 안내부(91,92)측에는,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 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상향 탄성체와, 전방부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접촉가능한 앞방향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피 끼워맞춤부(9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서 양 피 안내부(91,92)의 사이에는,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1쌍의 슬릿(93)을 통해 상향 설편체(상향 탄성체의 일례)(94)가 형성되고, 이들 상향 설편체(94)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상향 설편체(94)의 여유단에는 상방으로의 접촉부(94a)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94a)가 피 끼워맞춤부(9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됨으로써, 물품 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의 피 안내부(91)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1쌍의 슬릿(95)를 통해서 앞방향 설편체(앞방향 탄성체의 일례)(96)가 형성되고, 이들 앞방향 설편체(96)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앞방향 설편체(96)의 여유단에는 전방으로의 접촉부(96a)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96a)가 전후 피 안내면(91a)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됨으로써, 전방부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 상측 판재(81)와 전방 판재(82)와 후방 판재(83)는,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 판재(82) 및 후방 판재(83)는, 상측 판재(81)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중심측)을 향해 판두께가 점차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지지체(50)의 전방 판부(57)와 후방 판부(58)가, 물품 적재판부(54)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 경사진 형상(내측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그것에 의해서 생긴 공간을 이용하여, 전방 판재(82) 및 후방 판재(83)의 상단부분의 두께(t)에 대하여, 하단부분의 두께(T1)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재(84)의 두께(T2)는, 전방 판재(82)와 후방 판재(83)의 하단부분의 두께(T1)로 연속되어 두껍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방 판재(82)와 후방 판재(83)의 하단에 연속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비어있는 곳(84A)을 사이에 두고 실질의 판두께(T3)가 점차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t<T1≒T2<T3] 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변화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전후길이를 길게(대형화) 하는 일 없이, 이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전체의 강도 증강을 도모하고 있다.
그 때에 바닥판재(84)는, 중앙부가 편평한 두께부이고 또한 주변이 전후단 및 좌우단으로부터 점차로 두꺼워지는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하면(84A)은 전체적으로 플랫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타물과의 걸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의 상측 판재(81)측의 하면에는, 상기 물품 지지체(50)의 물품 적재판부(54)에 형성한 볼록형상부(52)에 상방으로부 터 대향되는 3개의 오목홈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81~98 등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제외하고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하부측에는, 상기 피 끼워맞춤부(90)를 이용하여 피안내체가 부착된다. 즉 상기 피 끼워맞춤부(90)의 중앙부, 즉 피 안내부(91,92)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롤러 축(지지축의 일례)(100)이, 그 상부를 매립 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늘어뜨려 설치되고, 이 롤러 축(100)의 돌출 하부에, 안내 롤러(피안내체의 일례)(101)가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안내 롤러(101)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이면 외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롤러 축(100)의 상부를 피 안내부(91,92) 사이의 중앙부에 매립 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이 롤러 축(100)의 지지부를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즉 물품 지지체(50)의 하단인 원호부(57A,58A)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내 롤러(101)를 원호부(57A,58A)에 접근해서 배치할 수 있어서, 물품 가로 압압체(80) 자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축(100)은, 충분히 높이가 취해지는 피 안내부(91,92) 사이에 있어서 강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제3실시예에 있어서, 물품(160)의 반송, 분기 작용을 설명한다.
즉 반송을 행할 때에, 물품 지지체(50)군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는, 그 안내 롤러(101)가 안내장치(110,116)군에 안내됨으로써, 피 안내부(91)를 통해서 물품 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으로 왕복 이동하거나, 물품 지지 체(50)와 함께 주반송경로(45)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이동하거나 한다.
이와 같이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이동시킬 때에, 물품 가로 압압체(80)가 가로 압압 이동을 행하지 않고 무부하 상태일 때, 또는 가벼운 물품(160)을 가로 압압 이동시키는 경부하 상태일 때에는, 양 상향 설편체(94)의 접촉부(94a)가 볼록형상부(53)의 편평한 면(53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하위 피 안내면(91b,92b)을 하위 안내면(59b,60b)에 누름과 아울러, 양 앞방향 설편체(96)의 접촉부(96a)가 안내부(59)의 전후 안내면(59a)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후방 압압력에 의해 전후 피 안내면(92a)을 안내부(60)의 전후 안내면(60a)에 누르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에 대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왕복 이동은, 접촉부(94a)가 편평한 면(53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위 피 안내면(91b,92b)이 하위 안내면(59b,60b)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접촉부(96a)가 전후 안내면(59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 안내면(92a)이 전후 안내면(60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가로 압압체(80)가 무거운 물품(160)의 가로 압압 이동을 행하고 있는 중부하 상태일 때에는, 그 가로 압압 편하중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에 대하여 물품 가로 압압체(80)가 조금 변위하게 된다. 즉, 물품(160)으로의 접촉측에 있어서는, 상향 설편체(9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피 안내부(91,92)가 상승해서 상위 피 안내면(91c,92c)이 볼록형상부(53)의 편평한 면(53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또한 물품(160)으로의 접촉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앞방향 설편체(9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전후 피 안내면(91a)이 전후 안내면(59a)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에 대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왕복 이동은, 상위 피 안내면(91c,92c)이나 접촉부(94a)가 편평한 면(53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위 피 안내면(91b,92b)이 하위 안내면(59b,60b)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 안내면(91a)이나 접촉부(96a)가 전후 안내면(59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 안내면(92a)이 전후 안내면(60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이것들에 의해 상기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왕복 이동은, 전후의 피 안내부(91,92)를 통해서, 물품 지지체(50)에 있어서의 안내부(59,60)에 끼워맞춰져 안내되는 상태에서, 즉, 바람직한 슬라이딩 접촉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덜컹거림이 없고,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는 일 없이,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설편체(94,96)군을 길이방향(51)의 양단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있으므로,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이동은, 왕복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동등한 상태의 바람직한 슬라이딩 접촉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적재판부(54)의 하면에 하향의 볼록형상부(53)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볼록형상부(53)의 하부를 편평한 면(53a)에 형성하고, 그리고 피 안내부(91,92)의 상면을, 편평한 면(53a)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상위 피 안내면(91c,92c)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의 길이방향(51)으로의 이동시에는, 상위 피 안내면(91c,92c)이 편평한 면(53a) 위를 슬라이딩하므로, 그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물품 지지체(50)측을 마모시키는 일 없이, 소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이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 지름으로써, 가로 압압 작용부(85)를 물품(160)에 가로 압압 작용시켜, 이 물품(16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51A,151B)에 건네 주고 있지만, 그 때에 물품(160)은, 볼록형상부(52)군의 편평한 면(52a) 사이에서 지지되고, 또한 편평한 면(52a) 위를 슬라이딩하는 것이므로, 그 분기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160)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또한 물품 지지체(50)측을 마모시키는 일 없이, 소기의 분기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측부는,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가 원호형상 측면(81b)에 형성되고, 이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가로 압압 접촉면(87a)이 연이어지는 상태에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됨과 아울러,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부분(87A)이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후단(85A)에 대하여 설정 길이(L)만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의한 가로 압압 작용면(압압면)을 크게(길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안정된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의 가로 압압 접촉부재(87) 사이의 간극(S)(도 27 참조)을 작게 하여, 물품(160)이 끼워넣어지기 어려운 상태에서 소기의 가로 압압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사정으로, 전후의 물품 가로 압압체(80) 사이에서 물품(160)이 끼워넣어지는 상태로 되었을 때,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부분(87A)이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휘어서) 피해지게 되고, 이것에 의해 물품 가로 압압체(80)나 물품(16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가로 압압체(80)군이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 지름으로써, 가로 압압 작용부(85)를 물품(160)에 가로 압압 작용시켜서, 이 물품(16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51A,151B)에 나누어서 건네 주고 있지만, 이 때 물품 지지체(50)상의 물품(160)은, 무단 체인(4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해서 상위 프레임 재(10)에 고정된 커버체(140)의 상방을 타고 넘음으로써, 물품(160)에 부착되어 있었던 진애 등이 무단 체인(40)측에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 3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있어서의 후단부분(87A)의 후단(87B)이,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의 전방 판재(82)의 앞면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간극(S)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 변형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있어서의 후단부분(87A)이,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있어서의 전단부(81A)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설정 길이(L)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설정 길이(L)는, 앞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후단면)(87B)과,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전단(전단면)(87C) 사이에, 간극(S)이 생기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의한 가로 압압 접촉면(압압 작용면)(87a)을, 보다 크게(길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별도의 변형예를, 도 3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물품 가로 압압체(80)로서,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양측면이 가로방향 경사면(86f)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 물품 가로 압압체(80)로서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여러가지의 형상이어도 된다.
즉, 도 32A에 나타내는 별도의 변형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양측면이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됨과 아울러, 가로 압압 작용부(85)와 양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걸쳐진 앞면측이 반원 형상면(F)으로 형성된 물품 가로 압압체(80)이다.
또한, 도 32B에 나타내는 별도의 변형예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양측면이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경사면(E)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양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평행한 형상으로 된 물품 가로 압압체(80)이다.
또한, 도 32C에 나타내는 별도의 변형예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후반부 의 양측면이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경사면(E)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됨과 아울러,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전반부의 양측면이, 앞일수록 내측의 가로방향 경사면(G)으로 형성된 물품 가로 압압체(80)이다.
그리고, 도 32D에 나타내는 별도의 변형예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후반부의 양측면이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전반부의 양측면이 앞일수록 내측의 가로방향 경사면(G)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직선 형상면(E)으로부터 가로방향 경사면(G)에 걸쳐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가 설치된 물품 가로 압압체(80)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20도의 경사각도(θ2)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부착하고 있지만, 이 경사각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에 의해서, 그 후단부분(87A)을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발포재(스폰지 등)나 수지판 등, 탄성변경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부분(87A)을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후단부분이 탄성변형되지 않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87)의 후단부분(87A)을 일체적으 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후단부분(87A)을 별체로 하여 설치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를,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쪽 하방으로의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연이어져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에 대하여 각도가 완만한 시단 상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과 시단 상면을 같은 각도로 연속해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시단 상면을,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로 상승하는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으로 형성하고,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을, 직선 형상이고 또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로 상승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을 직선 형상 상면이나 볼록 원호형상 상면으로 형성한 형식이나,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을 오목 또는 볼록의 원호형상 상면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에서 후단부분을 볼록 원호형상의 코너면(86d)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직각형상 코너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로서,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로 상승하는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과, 직선 형상이고 또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로 상승하는 경사진 형상의 상면(86a)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점차로 상승하는 전방 볼록 원호형상 상 면(86b)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후방 볼록 원호형상 상면(86c)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하강하는 코너면(86d)과, 볼록 원호형상이고 또한 하강하는 볼록 원호형상 후면(86e)을,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연속해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상부의 전체 영역을 연속한 원호형상면에 의해 형성한 형식이나, 상부의 전체 영역을 복수의 직선 형상면으로 연속해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측부로서, 전단부(81A)의 좌우 코너부를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가로 압압 접촉면(87a)이 연이어지는 상태에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좌우 코너부가 각이 진 형식이나, 원호형상 측면(81b)에 대하여 가로 압압 접촉면(87a)을 평면으로 바라봐서 오목 또는 볼록의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 압압 작용부(85)의 경사진 가로방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결합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가로방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87)를 접착이나 볼트 결합 등에 의해 고정하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를, 편평한 형상의 물품 적재판부(54)와, 물품 적재판부(54)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1쌍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또한 사이에 안내부(59,60)를 형성하는 다리판부(55,56)와, 물품 적재판부(54)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판부(57)와, 전방 판부(57)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57A)와, 물품 적재판부(5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판부(58)와, 후방 판부(58)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58A)로 구성하고, 물품 가로 압압체(80)에는, 양 원호부(57A,58A)가 상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바닥판재(84)의 상면측에, 안내부(59,60)에 끼워맞추는 피 안내부(91,92)를 형성하고, 양 원호부(57A,58A)를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켜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양 원호부(57A,58A)의 여유단 부분을 양 다리판부(55,56)에 연결 형태로 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물품 적재판부(54)의 상면(54a)에, 길이방향(51)을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52)를 형성함과 아울러, 물품 가로 압압체(80)측에, 볼록형상부(52)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오목홈부(98)를 형성하고, 볼록형상부(52)의 상부를 편평한 면(52a)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볼록형상과 오목홈을 반대로 한 형식, 볼록형상이나 오목홈을 형성하지 않는 형식, 볼록형상부(52)의 상부를 편평한 면으로 하지 않는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하부측에, 본체 프레임(1)측의 안내장치(110,116)에 안내되는 피안내체(안내 롤러(101))를, 그 상부를 피 안내부(91,92)의 중앙부에 매립하여 지지시킴으로써 늘어뜨려 설치한 지지축(롤러 축(100))의 돌출 하부에 부착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물품 가로 압압체(80)의 하부로부터 일체적인 형상으로 늘어뜨려 설치한 지지축부에 피안내체를 부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물품 지지체(50)로서 하면측 개방의 다이 레일 형상 으로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로서 무단 체인(40)을 채용하고, 링크(41)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42)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43)에 의해 돌출부를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무단 체인(40)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형식이나, 소정 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무단벨트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양측 외방에 각각 분기 컨베이어(151A,151B)를 설치하고, 물품(160)을 가로 압압하여 주반송경로(45)의 양측부 외방으로 나누어져 배당하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 프레임(1)의 일측 외방에만 분기 컨베이어(151A 또는 151B)를 설치한 형식 등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설비로서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1개의 반송 컨베이어에 합류시키는 형식이나, 1개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에 분기시키는 형식으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상위 프레임 재(10)와 하위 프레임 재(20)의 별체화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하위 프레임 재(20)를 측판, 측 프레임 형식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반송설비에 의하면, 무단회동체와 이동부재의 연결, 이탈(연결 해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결합상태를 항상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 고, 반전부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에 의한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접촉부분이 마모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물품 가로 압압체의 전후 간격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물품의 끼워넣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Claims (17)

  1. 무단회동체에 연결된 이동부재측에는,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과는 직교형상방향의 삽입 구멍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부의 삽입방향의 내부측에는,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 확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구멍부에 삽입가능한 통형상 연결체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체는, 그 통형상부의 외측 끝에 상기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접촉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통형상부의 안쪽 끝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설편부로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연결체의 통형상부에 대하여,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돌출부의 안쪽 끝부분에는 환상 오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환상 오목부의 내부측은 내측일수록 큰 지름으로 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편부에는, 상기 경사 확경면에 내측으로부터 대향 가능한 외향 볼록부와, 상기 환상 오목부에 탄성 결합 가능한 내향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측의 외측 끝면에 플랜지부가 접촉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내측으로 이간되어 설편부가 탄성에 저항하여 이간 이동 가능하게 되고, 외측 끝면에 대하여 플랜지부가 이간되었을 때, 경사 확경면에 대하여 외향 볼록부가 접촉되어 설편부의 탄성에 저항한 이간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무단회동체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좌우 1쌍이 배치되고, 이 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이동부재가 다수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재가 물품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물품 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이동부재측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 브래킷에, 삽입 구멍부가 형성된 통형상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무단회동체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에 의해 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7. 주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 지지체가 설치되고, 이 물품 지지체의 양단은,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서 무단회동체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의 외면측에서 전후방부의 한쪽에는, 무단 회동체와의 연결부가 외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이 연결부에는 피 끼워맞춤체가 느슨하게 회전할 수 있게 외측에서 끼워지고, 또한 사이드 브래킷의 다른쪽에는, 내외 양측방과 다른쪽 외방으로 개방되는 오목 형상의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끼워맞춤부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피 끼워맞춤체에 외측에서 끼워지기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피 끼워맞춤체와 끼워맞춤부는, 면접촉에 의해 무단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피 끼워맞춤체의 외주는 짝수의 정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끼워맞춤부에는 평행한 형상의 1쌍의 끼워맞춤면이 형성되고, 이들 끼워맞춤면에 180도 변위한 1쌍의 다각형면이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물품 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0. 제7항에 있어서, 연결부에는 길이방향의 삽입 구멍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 구멍부에 대하여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1. 제7항에 있어서, 무단회동체는 무단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된 길이가 긴 연결핀이 사이드 브래킷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2. 제7항에 있어서, 주반송경로를 따라, 물품 지지체의 지지 안내를 행하는 안내 레일부가 설치되고, 연결부에는, 피 끼워맞춤체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안내 레일부에 안내되는 피 안내부재가 외측에서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3. 주반송경로를 따라 배치된 좌우 1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형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 지지체와, 이 물품 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가 설치되고, 이 물품 가로 압압체는, 그 상부에 가로 압압 작용부가 설치되고, 이 가로 압압 작용부의 양측면에는 가로 압압 접촉부재가 설치되고, 이들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은, 가로 압압 작용부의 후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부분은,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5. 제13항에 있어서, 가로 압압 작용부의 양측면은, 전방부에 대하여 후방부가 타측면측으로 경사진 가로방향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들 가로방향 경사면의 부분에 가로 압압 접촉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6. 제13항에 있어서, 물품 가로 압압체는, 하위의 직사각형 통형상부분과 상위의 가로 압압 작용부로 구성되고, 직사각형 통형상부분의 상측 판재 상면측에 설치되는 가로 압압 작용부는, 상측 판재의 전단부를 제외한 나머지부의 상방을 덮는 천판재를 갖고, 상측 판재의 전단부는, 오목 원호형상이고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로 상승하는 시단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17. 제13항에 있어서, 앞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후단과, 뒤에 위치되는 물품 가로 압압체에 설치된 가로 압압 접촉부재의 전단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설비.
KR1020070018300A 2006-03-15 2007-02-23 반송설비 KR101237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70066A JP4650306B2 (ja) 2006-03-15 2006-03-15 転換設備
JPJP-P-2006-00070068 2006-03-15
JPJP-P-2006-00070067 2006-03-15
JP2006070068A JP2007246202A (ja) 2006-03-15 2006-03-15 コンベア設備
JP2006070067A JP4635919B2 (ja) 2006-03-15 2006-03-15 搬送設備
JPJP-P-2006-00070066 200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812A true KR20070093812A (ko) 2007-09-19
KR101237315B1 KR101237315B1 (ko) 2013-02-28

Family

ID=3805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300A KR101237315B1 (ko) 2006-03-15 2007-02-23 반송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83936B2 (ko)
EP (1) EP1834906B1 (ko)
KR (1) KR101237315B1 (ko)
AT (1) ATE447532T1 (ko)
DE (1) DE602007003038D1 (ko)
ES (1) ES2333987T3 (ko)
PL (1) PL1834906T3 (ko)
TW (1) TWI3658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0049C2 (nl) * 2006-04-10 2007-10-11 Riet Equipment B V Van Transportinrichting.
US7497316B2 (en) * 2006-05-12 2009-03-03 Fki Logistex, Inc. Sortation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s
US7611006B2 (en) * 2006-07-31 2009-11-03 Fki Logistex, Inc. Conveyor systems and methods
GB0622058D0 (en) * 2006-11-06 2006-12-13 Meadwestvaco Corp Article metering apparatus
JP4361117B2 (ja) * 2008-01-25 2009-1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ドローラ付きコンベヤチェーン
NL1036169C2 (nl) * 2008-11-07 2010-05-10 Vanderlande Ind Nederland Inrichting voor het sorteren van producten.
US8069977B2 (en) * 2009-02-26 2011-12-06 Jervis B. Webb Company Slider bed conveyor
US8167116B2 (en) * 2009-05-26 2012-05-01 Dematic Corp. Reducing drag on the web of a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JP5652618B2 (ja) * 2010-07-07 2015-01-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仕分け手段
KR101508031B1 (ko) * 2010-07-07 2015-04-0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분류 수단
WO2012026998A1 (en) 2010-08-27 2012-03-01 Dematic Corp.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CN108382838B (zh) 2011-12-23 2020-09-15 德马泰克公司 分拣机板条连接装置
WO2015160892A1 (en) * 2014-04-16 2015-10-22 Dematic Corp. Pre-angling of articles for sortation
CN104000503A (zh) * 2014-05-09 2014-08-27 安徽一鼎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炒菜机的主料输送装置
JP5743361B1 (ja) * 2014-09-24 2015-07-01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仕分装置およびスラット
CN108473258B (zh) * 2015-12-18 2021-08-13 沃尔夫链条有限公司 滑轮装置、活节链以及活节链作为输送链的应用
US10640302B2 (en) * 2017-07-31 2020-05-05 Dematic Corp. Article sorter with active discharge
EP3678965A4 (en) * 2017-09-07 2021-06-23 Aegis Sortation LLC CONVEYOR MAINTENANCE SYSTEM AND PROCESS
WO2020131127A1 (en) * 2018-12-20 2020-06-25 Aegis Sorta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slat installation/removal
US11905129B2 (en) 2017-09-07 2024-02-20 Aegis Sorta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slat installation/removal
CN116374536B (zh) * 2023-06-05 2023-09-15 四川省冶金设计研究院 一种矿井箕斗输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7678B2 (ja) 1984-05-10 1997-06-04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 株式会社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
JP2851407B2 (ja) 1990-10-08 1999-01-27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装置
US5127510A (en) * 1990-10-31 1992-07-07 Rapistan Demag Corporation Modular diverter shoe and slat construction
JPH06115680A (ja) * 1992-10-08 1994-04-26 Okura Yusoki Co Ltd 搬送振分装置
US5613591A (en) * 1992-11-09 1997-03-25 Litt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Inc. Sortation conveyor and devices
JP2596923Y2 (ja) * 1992-12-14 1999-06-28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US5595279A (en) * 1995-06-06 1997-01-21 Western Atlas Inc. Sortation conveyor
EP0784025A1 (de) * 1996-01-11 1997-07-16 MTF Technik Schürfeld GmbH &amp; Co. KG Plattenförderband
AU2586899A (en) * 1999-01-12 2000-08-01 Buschman Company Pusher elements for package sortation conveyor
JP4433259B2 (ja) 2001-06-13 2010-03-17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仕分け装置
JP3791391B2 (ja) * 2001-10-23 2006-06-28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DE60208232T2 (de) * 2001-11-01 2006-06-22 Siemens Ag Fördersystem mit umleitlaufschienennetz
US6860376B1 (en) * 2002-04-08 2005-03-01 Intelligrated, Inc. Sortatio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NL1020825C2 (nl) * 2002-06-11 2003-12-17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met langs dragers verschuifbare duwschoenen.
JP4127798B2 (ja) 2003-02-10 2008-07-30 日本発条株式会社 物品仕分け用コンベア
JP4311121B2 (ja) * 2003-08-05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TWI304390B (en) * 2005-03-28 2008-12-21 Daifuku Kk Conver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47532T1 (de) 2009-11-15
DE602007003038D1 (de) 2009-12-17
EP1834906B1 (en) 2009-11-04
US20070215436A1 (en) 2007-09-20
PL1834906T3 (pl) 2010-04-30
ES2333987T3 (es) 2010-03-03
EP1834906A3 (en) 2008-09-03
EP1834906A2 (en) 2007-09-19
KR101237315B1 (ko) 2013-02-28
TW200734259A (en) 2007-09-16
TWI365837B (en) 2012-06-11
US7383936B2 (en)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15B1 (ko) 반송설비
US8272503B2 (en) Support device for a convey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conveyor installation
KR101013117B1 (ko) 전환설비
AU2011293870B2 (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US7506744B2 (en) Changeover system
US6105755A (en) Curved conveyor section
JP4650306B2 (ja) 転換設備
JP4215017B2 (ja) 転換設備
JP4274141B2 (ja) 転換設備
JP4581783B2 (ja) 転換設備
JP4211752B2 (ja) コンベア設備
JP4552723B2 (ja) 転換設備
JP4635919B2 (ja) 搬送設備
JP5931652B2 (ja) チェンコンベア
JP4487839B2 (ja) 転換設備
JP4941436B2 (ja) コンベア設備
JP4497005B2 (ja) 転換設備
JP2007246202A (ja) コンベア設備
JP2005255367A (ja) 転換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