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3730A -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3730A
KR20070093730A KR1020060024006A KR20060024006A KR20070093730A KR 20070093730 A KR20070093730 A KR 20070093730A KR 1020060024006 A KR1020060024006 A KR 1020060024006A KR 20060024006 A KR20060024006 A KR 20060024006A KR 20070093730 A KR20070093730 A KR 2007009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upper plate
installation
des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009B1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102006002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0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2Kraft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5Paper, e.g. cardboard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선반장을 설치시 선반장의 전방향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상판에 끼움과 아울러 선반장의 후면과 상판의 테두리를 체결부재로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책상, 상판, 선반장

Description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structure of mounting a shelf on a desk}
도 1은 종래 책상의 상판에 스크린 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을 설치한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상판 55: 프레임
56: 다리 80: 고정홈
90: 수용홈 100: 결합부
110: 브라켓 120: 결합돌기
130: 결합공 200: 선반장
300: 고정부 310: 지지대
320: 설치부재 330: 체결부재
본 발명은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에 선반장을 설치시 선반장의 전방향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상판에 끼움과 아울러 선반장의 후면과 상판의 테두리를 체결부재로 간단히 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작업대 등과 같은 테이블에는 책꽂이 또는 작업 도구함, 공구대, 정리함 등과 같은 소품이 놓여지게 되는데, 이러한 소품들은 테이블의 후방 또는 일측방에 놓여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테이블의 사용면적을 줄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소품이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용구를 놓고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특허공개번호 2003-39315호에서와 같은 데스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 시스템의 레그 패널(1)은 한 쌍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레그 패널(1)은 빔(4)으로 연결되고, 상기 빔(4)은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상판(2)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빔(4)의 후측 가장자리에는 스크린 패널 유지부재(16)가 부착되고, 상기 스크린 패널 유지부재(16)는 상부로 지지로드(10)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지지로드(10)는 스크린 패널(5) 내부에 삽입되어 스크린 패널(5)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 데스크 시스템의 스크린 패널은 하부를 빔과 두 지점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전면에 물품을 걸거나 수납시 전면으로 휘거나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스크린 패널은 빔과의 결합부위 마다 볼트 등의 체결장치로써 체결 고정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판에 놓이는 선반장의 전방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선반장에서 연장된 지지대를 상판에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며, 선반장과 상판을 한번만 나사 결합하는 체결부재로써 상호 결합됨에 따라 선반장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과 선반장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로서 선반장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판에 지지됨으로써 선반장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기 상판에 위치 고정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전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부재와, 상기 선반장을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와 체결하여 상기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한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을 설치한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은 상판(51)과 프레임(55)은 결합부(100)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55)은 틀 형상이며, 다리(5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00)는 브라켓(110), 결합돌기(120), 결합공(1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51)의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51)의 각 모서리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20)는 브라켓(110) 각각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결합돌기(120)는 상판(51)과 수평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30)은 상기 결합돌기(120)를 슬라이딩 삽입하기 위해 프레임(55)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상판(51)은 프레임(55) 상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돌기(120)가 결합공(130)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55)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판(51)의 브라켓(110)이 프레임(55)의 외부로 노출될 경우 조립 및 분해 작업시 상해를 입을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55)은 각 모서리 부위에 수용홈(90)을 형성하여 브라켓(110)을 수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수용홈(90)은 상판(51)이 슬라이딩되며 프레임(55)에 결합되기 위해 브라켓(110)의 이동궤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크기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상판(51)은 상부에 선반장(200)을 구비한다.
상기 선반장(200)은 소형 물품을 수납하거나 걸기 위해 구비되고, 상판(51) 상에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선반 등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장(200)은 상판(51)의 후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됨으로써 상판(51)에서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선반장(200)은 고정부(300)에 의해 상판(5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300)는 지지대(310)와 설치부재(320) 및 체결부재(3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선반장(200)의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판(51)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지지대(310)는 선반장(200)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소형 물품을 수납하거나 걸어놓은 선반장(200)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대(310)는 상판(51)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선반장(20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나씩 연장되어 상판(51)과 접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재(320)는 지지대(310)의 하단을 상판(51)에 고정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설치부재(320)는 설치블록(321), 설치돌기(326) 및 설치홈(327)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블록(321)은 프레임(55)의 상면에서 상판(51)의 임의적 슬라이딩을 방지하여 상판(51)의 분리를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지지대(3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설치블록(321)은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대해 상판(5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 프레임(55)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설치블록(321)은 상판(51) 상에 놓여 상판(51)과 프레임(55)을 동시에 나사(322)로서 결합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설치블록(321)이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상판(51)은 프레임(55)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대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홈(80)을 함몰 형성한다.
상기 고정홈(80)은 상판(51)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이 고정홈(80)에 의해 프레임(55)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블록(321)은 고정홈(80)의 내측면에 접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프레임(55)의 상부 테두리에 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설치블록(321)은 스틸 재질의 프레임(55)과만 나사(322)로서 결합된다.
즉, 상기 상판(51)은 보통 원목 재질이거나 플라스틱 재질로서 프레임(55)과 종래처럼 볼트로 체결되지 않고, 스틸 재질인 프레임(55)과 설치블록(321)만을 나사로 결합함에 따라 상판(51)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블록(321)이 프레임(55)에 나사(322)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판(51)은 설치블록(321)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321)은 나사(322)에 의해 프레임(55)으로부터 간단히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상판(51)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블록(321)은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내부 일부에 설치공(323)을 하부와 연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설치공(323)은 각종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전선을 상판(51)의 하부로 정렬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설치블록(321)은 개폐 가능한 커버(324)를 구비하여 설치공(323)을 막도록 한다.
이는, 상기 설치공(323)을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설치블록(321)은 프레임(55)과 나사(322)로서 결합되기 때문에 죔력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블록(321)은 고정홈(80)에 안착되어 프레임(55)과 결합된 상태에서 무리한 상판(51)의 강제적 인력이나 척력에 의해 파손 또는 변형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설치블록(321)은 하부를 통해 내부로 보강부재(325)를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325)는 설치블록(321)의 내부로 끼워지게 되고, 설치블록(321)의 상부로 삽입된 나사(322)의 끝단은 보강부재(325)를 관통하여 프레임(55)과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25)는 설치블록(321)의 횡력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돌기(326)는 지지대(310) 각각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며, 설치홈(327)은 설치블록(321)에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설치돌기(326)가 설치홈(327)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지지대(310)는 조립 완료되며, 지지대(310)를 포함한 선반장(200)이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330)는 일반적인 볼트의 결합을 최대한 줄이면서 선반 장(200)과 상판(51)을 결합하기 위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330)는 수직편(331), 연장편(333), 결합홈(334), 결합돌기(335) 및 체결스크류(336)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편(331)은 선반장(200)의 후면과 이의 하단과 접한 상판(51)의 측면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333)은 상판(51)의 측면과 접한 수직편(33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판(51)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51)은 하면에 결합홈(334)을 형성함과 동시에 연장편(333)은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결합돌기(335)를 돌출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결합돌기(335)는 결합홈(334)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편(331)은 체결홀(332)을 형성하게 되고, 체결스크류(336)는 체결홀(332)에 삽입되어 선반장(200)과 체결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결합돌기(335)를 결합홈(334)에 끼운 후 체결스크류(336)로써 수직편(331)과 선반장(200)을 체결하면, 수직편(331)은 고정 설치되고, 연장편(333)의 결합돌기(335)가 결합홈(334)에 끼워진 것으로 인해 선반장(200)과 상판(51)의 틈새 벌어짐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는 상판에 설치되는 선반장을 조립시 최대한 나사 결합을 줄여 선반장의 분리 및 조립 작업성을 향 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책상의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구비된 상판에 선반장이 고정부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선반장의 전면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상판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선반장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기 상판에 위치 고정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의 전방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설치부재와;
    상기 선반장을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와 체결하여 상기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설치블록과;
    상기 지지대 각각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설치돌기와;
    상기 설치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돌기를 끼움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판의 측면 및 상기 선반장의 후면에 동시에 접하며, 상단에 체결홀을 형성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하단에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하면과 접하는 연장편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연장편의 끝단에서 상기 수직편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연장편과 상판의 하면을 접촉시키는 결합돌기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선반장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편 및 연장편을 고정하는 체결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1020060024006A 2006-03-15 2006-03-15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10076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06A KR100762009B1 (ko) 2006-03-15 2006-03-15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006A KR100762009B1 (ko) 2006-03-15 2006-03-15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730A true KR20070093730A (ko) 2007-09-19
KR100762009B1 KR100762009B1 (ko) 2007-09-28

Family

ID=3868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006A KR100762009B1 (ko) 2006-03-15 2006-03-15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5623A (zh) * 2016-10-09 2016-12-21 佛山海悦智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式书本架的讲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39B1 (ko) 2013-01-30 2013-04-05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이시스 파티션 겸용 다목적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1545U (ja) 1983-01-20 1984-07-27 ニチモク株式会社 机と棚との連結構造
JP2002010836A (ja) 2000-06-30 2002-01-15 Itoki Crebio Corp 棚付き学習机
KR20190000870A (ko) * 2018-12-24 2019-01-03 (주)제이브이엠 약제 인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5623A (zh) * 2016-10-09 2016-12-21 佛山海悦智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拆卸式书本架的讲台
CN106235623B (zh) * 2016-10-09 2019-06-11 河南护理职业学院 一种具有可拆卸式书本架的讲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2009B1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576B1 (en) Front face mounting apparatus and process
JP2014045920A (ja) 家具転倒防止装置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20100010944U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JP4291031B2 (ja) 連結デスク等における仕切パネルの取付構造
US20060124038A1 (en) Cabinet for display
JP2004016401A (ja) 棚付き机
JP4388507B2 (ja) 収納棚
JP2998064B2 (ja) 組立式棚装置におけるキャビネット構造
JP2006087448A (ja) 物品載置天板
JP4782567B2 (ja) 間仕切パネルへの棚板の取付構造
JP3758607B2 (ja) 棚板の取付装置
KR200335198Y1 (ko)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102571310B1 (ko) 가구 설치용 선반
JP5148193B2 (ja) 上棚付き机
KR200321265Y1 (ko) 받침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물품수납장
JP2013022410A (ja) 棚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金具
KR200366389Y1 (ko) 사무용 책상
JP5231261B2 (ja) 什器における棚板支持構造
JP5337003B2 (ja) デスク
KR20200134535A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JPH11164741A (ja) 机上棚装置
JP2024058309A (ja) 什器システム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KR20210112536A (ko) 주방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